KR200467680Y1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680Y1
KR200467680Y1 KR2020100008974U KR20100008974U KR200467680Y1 KR 200467680 Y1 KR200467680 Y1 KR 200467680Y1 KR 2020100008974 U KR2020100008974 U KR 2020100008974U KR 20100008974 U KR20100008974 U KR 20100008974U KR 200467680 Y1 KR200467680 Y1 KR 200467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cargo
post member
spac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599U (ko
Inventor
고영철
Original Assignee
고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철 filed Critical 고영철
Priority to KR2020100008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68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6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63B25/0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for cer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029/027Removable walls, e.g. for temporarily erecting cabin spaces in ship hold, or for subdividing living areas into smaller units; Fittings for removable wall pa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 선적 공간 좌, 우현 벽체에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짝을 이루어 용접 고정하여 설치되며 그 내부에 레일부가 형성된 포스트 부재, 및 상기 포스트 부재 내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탈착되어 상기 화물 선적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하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부재에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좌우에 테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테일부에는 고정볼트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좌우의 보조가이드부에 의하여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고정하며,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는 외곽둘레의 프레임과 상기 외곽 둘레 프레임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단위 플레이트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경사져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 상부로 전후면 방향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Partition structure of cargo shipment space in cargo ship}
본 고안은 다품목의 곡물류 등의 화물을 구분하여 선적할 수 있는 다수의 벌크로 구분하기 위한 분리 구조물이 설치된 화물 운반선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 운반선의 적재 공간을 다수의 벌크 구조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파티션 플레이트를 탈착할 수 있는 화물운반선의 화물 선적 공간의 분리 격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운반선은 선박 중심부에 형성된 선창구조가 단일의 벌크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형성되어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인 화물은 이를 수납하는 일정 크기의 컨테이너가 들어 있는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가 화물 운반 선박의 상기 화물 적재 공간에 선적되어 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곡물류 등의 경우에 상기 화물 운반 선박의 화물 적재 공간에 벌크 형태로 그대로 적재하여 화물 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운반선은 화물적재 공간이 하나의 벌크(bulk) 형태로 되어 있어서 화물 운반시 여러 화물이 한꺼번에 적재됨으로 하역작업을 할 경우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특히, 곡물이나 원료 등의 수송의 경우에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은 1개의 벌크(bulk)구조로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다품종의 곡물 또는 원료를 동시에 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곡물 또는 원료가 혼합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다수의 원료 품목의 혼합에 따라 품질 저하와 하역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특히 사료나 사료용 곡물을 운반하는 화물운반선인 경우 배합사료 원료 특성상 다품목을 선적하여 수송하여야 하는데 단일한 벌크로 이루어진 화물 선적 공간인 경우 수송 중 원료의 혼합 등에 의하여 원료 수송 및 품질관리에 취약한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곡물, 원료 등과 같은 혼입되기 쉬운 다수 품목의 벌크화물을 수송하는 경우에도 혼합되지 않고 품질관리가 용이하도록 선적 공간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화물 운반선의 선적 공간의 분리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벌크 화물선에 있어서 선적 공간을 가변하기 위한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탈착할 수 있는 격벽 구조와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은, 화물 선적 공간이 하나의 벌크 구조로 된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선적 공간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에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짝을 이루어 용접 고정하여 설치되며 그 내부에 레일부가 형성된 포스트 부재, 및 상기 포스트 부재 내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탈착되어 상기 화물 선적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하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부재에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레일부는 전면 폭이 넓고 후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전면 좌우에 테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테일부에는 고정볼트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볼트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좌우의 보조가이드부에 의하여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고정하며,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는 외곽둘레의 프레임과 상기 외곽 둘레 프레임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단위 플레이트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경사져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 상부로 전후면 방향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파티션 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위쪽을 커버하는 상부 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에는 상기 외곽둘레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고정된 걸이부가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쌍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의 좌우 모서리부분에는 중심 걸이부가 좌우쌍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부에 구비되는 관통공은 좌우 보조 가이드부가 형성하는 간격을 가변할 수 있도록 관통공의 세로 열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화물 공간의 선적 공간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의 일부분에 곡선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의 배면 부분과 상기 좌, 우현 벽체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 플레이트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에 의하면, 벌크 화물선에 있어서 선적 공간을 가변하기 위한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탈착할 수 있는 격벽 구조와 레일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수 품목을 적재하여 운송하여도 타품목과 혼합되지 않으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품목에 따라 분리하여 적재하므로 단위면적당 적재율이 향상되고 1회 수송으로 다품목을 동시에 수송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역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가 설치된 화물 운반선의 평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가 설치된 화물 운반선의 내부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의 포스트 부재와 보조가이드부, 상부덮개의 상세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포스트 부재와 보조가이드부, 상부덮개가 결합된 상세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가 포스트 부재에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차단 플레이트가 결합된 포스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가 설치된 화물 운반선의 평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가 설치된 화물 운반선의 내부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의 포스트 부재와 보조가이드, 상부덮개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라 포스트 부재와 보조가이드부, 상부덮개가 결합된 상세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가 포스트 부재에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운반선(100)의 선적 공간(50)에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으로서 포스트 부재(10)와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3군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 격벽은 화물 운반선(100)의 선적 공간이 원래 하나의 벌크(bulk)구조로서 이루어진 공간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분리 격벽이 설치되는 개소나 위치도 선적되는 화물의 종류나 필요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는 상기 선적 공간(50)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60)에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짝을 이루어 설치되며 그 내부에 레일부(15)가 형성된 포스트 부재(10)와 상기 포스트 부재(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부(15)와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탈착되어 상기 화물 선적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하는 파티션 플레이트부재(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하나의 레일부(15)에는 2 개의 파티션 플레이트(2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박의 선적 공간이 높은 경우에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중첩하여 슬라이딩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스트 부재(10)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가장자리부와 슬라이딩 결합하거나 탈착되는 레일이 형성된 레일부(15)와 상기 레일부의 배면(17)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17)은 상기 화물 운반선(100)의 좌, 우현 벽체(60)에 용접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상기 레일부는 전면 폭이 넓고 후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전면부 좌우 양쪽에는 각각 테일부(18)를 형성하되 상기 테일부(18)에는 고정볼트(1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일부(18)에는 보조 가이드부(30)가 상기 고정 볼트(19)에 의하여 결합된다.
즉,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테일부(18)에 돌출 형성된 고정볼트(19)는 좌우의 보조가이드부(30)에 형성된 관통공(32)과 결합되어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안내하면서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테일부(18)에 돌출 형성된 고정볼트(19)는 보조가이드부(30)에 형성된 관통공(32)과 결합되는 경우 결합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조가이드부(30)는 포스트 부재(10)와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 틈새로 곡물이나 사료가 이웃하는 공간으로 혼입되거나 이로 인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에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탈, 부착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가이드부(30)에는 상기 고정 볼트(19)와 결합되는 관통공(32)의 세로 열이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여 도4와 같이 포스트부재(10)에 결합될 경우에 테일부(18)에서 연장되는 좌우 보조가이드부(30)의 간격을 가변하여 상기 포스트부재(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3,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상부에는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결합된 상태로 위쪽을 덮어서 커버하는 상부 덮개(40)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덮개(40)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위쪽으로 이동하거나 넘치는 곡물 또는 화물이 포스트 부재 내부로 들어가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로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탈, 부착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가 포스트 부재에 결합된 상태도로서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운반선(100)의 좌우현 벽체에 고정 설치된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에 그 양쪽 가장자리 단부가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는 전체적으로 외곽둘레의 프레임(22)과 상기 외곽 둘레 프레임(22)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26)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6) 사이에는 단위 플레이트(24)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26)은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경사져서 단위 플레이트(24) 위로 전후면 방향에서 돌출된다.
이것은 상기 지지 프레임(26)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지지 프레임(26) 상에 곡물 등 입자가 쌓이게 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 내로 슬라이딩 결합하기 위해서는 기중기 등으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들어올려 상기 레일부(15) 내부로 정확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들어올리기 위한 연결부재가 필요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소정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에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경우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들어올리기 위한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걸이부(25)가 상기 외곽둘레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쌍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들어올려서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에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작업은 주로 바람이 많이 부는 부두 또는 연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그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중심 걸이부(27)가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의 좌우 모서리부분에 좌우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차단 플레이트가 결합된 포스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6를 참조하면, 화물 운반선의 구조에 따라서 화물 운반선(100)의 선적 공간(50)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60)는 바닥쪽으로 갈수록 외벽이 외부로 곡선 형상으로 굽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벽체(60) 부분에 포스트 부재(10)를 용접 고정하는 경우 벽체 상부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용접 고정되지만 하부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용접할 수가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우에 선적 공간(50)에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설치하더라도 종류에 따른 곡물 등이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에 의하여 분리된 선적 공간(50)에 선적되는 경우에도 적재된 다량의 곡물 자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상기 벽체(60) 사이에 생긴 틈새로 인하여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설치한 경우에도 곡물 등이 혼합될 염려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상기 선박 벽체(60)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공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에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별도의 차단 플레이트(12)가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화물 운반선의 선적 공간(50)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60)의 일부분에 곡선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배면 부분과 상기 좌, 우현 벽체(60)의 사이를 차단하는 플레이트(12)를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배면과 상기 좌, 우현 벽체(60)에 동시에 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12)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상기 벽체(60)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따라서 대략 반구형에 가까운 소정의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제, 본 고안에 따라 포스트 부재(10)와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 중 상기 포스트 부재(10)는 선박의 좌, 우현 벽체에 설치 고정된 상태로 필요에 따라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20)를 상기 포스트 부재(10)에 부착하거나 탈착하여 화물 선적 공간을 이용하게 된다.
1개의 벌크 구조로 되어 있는 선적 공간은 하나의 단일 품목의 화물을 선적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벌크 구조로 그대로 사용하고, 곡물류 또는 기타 유사한 화물인 경우 이를 품목별로 구분하여 적재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적정한 개소의 포스트 부재(10)에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20)를 결합시켜서 선적 공간을 분리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20)는 선적 화물의 높이에 따라서 한쌍의 포스트 부재(10)에 형성되는 레일부(15)에 두개 이상의 파티션 플레이트(20)를 중첩하여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부착은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에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외곽 프레임(22)의 좌우 가장자리 단부를 슬라이딩 시켜서 결합하고, 이때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걸이부(25)에 로프 등 연결부재를 걸어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탈착시에도 동일하게 상기 걸이부(25)에 로프 등 연결부재를 걸어서 기중기 등에 의하여 간단하게 탈착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 부재(1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설치되는 개소는 선적되는 화물의 종류나 품목수에 따라 조절되며, 모든 포스트부재(10)의 위치에 따라서 간격이 균등하게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결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상기 어느 포스트 부재(10)에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설치되는 가에 따라서 상기 선적 공간(50)은 다양하게 가변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포스트 부재 12 : 차단 플레이트
15 : 레일부 17 : 배면
18 : 테일부 19 : 고정볼트
20 :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 22 : 외곽 둘레 프레임
24 : 단위 플레이트 25 : 걸이부
26 : 지지 프레임 30 : 보조가이드부
32 : 관통공 40 : 상부 덮개
50 : 선적 공간 60 : 벽체
100 : 화물운반선

Claims (5)

  1. 화물 선적 공간이 하나의 벌크 구조로 된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선적 공간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에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짝을 이루어 용접 고정하여 설치되며 내부에 레일부가 형성된 포스트 부재; 및
    상기 포스트 부재 내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탈착되어 상기 화물 선적 공간을 분할하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부재에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레일부는 전면 폭이 넓고 후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전면 좌우에 테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테일부에는 고정볼트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볼트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좌우의 보조가이드부와 너트 결합하여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고정하며, 상기 보조 가이드부가 상기 포스트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테일부에서 연장되는 좌우 보조 가이드부가 형성하는 간격을 가변할 수 있도록 좌우 보조가이드부 관통공의 세로 열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스트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파티션 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위쪽을 커버하는 상부 덮개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는 외곽둘레의 프레임과 상기 외곽 둘레 프레임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단위 플레이트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경사져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 상부로 전후면 방향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에는 상기 외곽둘레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고정된 걸이부가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쌍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의 좌우 모서리부분에는 중심 걸이부가 좌우쌍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공간의 선적 공간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의 일부분에 곡선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의 배면 부분과 상기 좌, 우현 벽체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 플레이트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KR2020100008974U 2010-08-27 2010-08-27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KR200467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74U KR200467680Y1 (ko) 2010-08-27 2010-08-27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74U KR200467680Y1 (ko) 2010-08-27 2010-08-27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99U KR20120001599U (ko) 2012-03-07
KR200467680Y1 true KR200467680Y1 (ko) 2013-06-28

Family

ID=4617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974U KR200467680Y1 (ko) 2010-08-27 2010-08-27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6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771B1 (ko) * 2013-12-24 2015-07-03 고영철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8913A (en) * 1978-09-15 1980-12-16 Advanced Structures Corp. Bulkhead structure
JPS63172797U (ko) * 1987-05-01 1988-11-09
KR200395958Y1 (ko) * 2005-06-09 2005-09-16 고영철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8913A (en) * 1978-09-15 1980-12-16 Advanced Structures Corp. Bulkhead structure
JPS63172797U (ko) * 1987-05-01 1988-11-09
KR200395958Y1 (ko) * 2005-06-09 2005-09-16 고영철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99U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7232A (zh) 货运集装箱
KR200467680Y1 (ko)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TW201433524A (zh) 用來將待運送的貨櫃支撐在貨船上的支撐件,用來在貨船上載運貨物的貨櫃,支撐貨櫃的方法及用來支撐貨櫃的繫橋
KR200395958Y1 (ko)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KR20120001133A (ko) 벌크화물선의 하부스툴 보강 방법
KR102532335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CN201224484Y (zh) 用于运输超宽集装箱的运输架
KR101533771B1 (ko)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KR101344140B1 (ko) 벌크 화물선의 쉐딩 플레이트 취부 구조 및 취부 방법
CN212767381U (zh) 一种物流复合循环使用转运托盘
CN211643276U (zh) 便于安装和拆卸的新型框架
US5873479A (en) Device for ensuring the transport of containers
CN108502106A (zh) 运输船及其集装箱船货舱
KR20150002648U (ko) 분리형 래싱 브리지 운반장치
JPS621688A (ja) ばら積船
CN205365998U (zh) 一种应用于船舶货舱底部的直梯
CN2106792U (zh) 多功能组合货舱机动驳
FI123124B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irtokelojen kuljettamiseksi kehtotelinerakennelmalla sekä kehtotelinerakennelma
KR20120077938A (ko) 선박용 해치커버 조립부재 리프팅 지그
ITTO20030143U1 (it) Contenitore modificato per spedizione marittima
JP3142932U (ja) 運搬台車
KR20230142958A (ko) 분리된 두 개의 작업실을 갖는 라싱 케이지
JPS6345435Y2 (ko)
TW202300403A (zh) 在海上船舶中支撐負載的設備、貨物船舶及在海上船舶中提供負載支撐的方法
KR20130045962A (ko) 셀가이드 지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