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958Y1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5958Y1 KR200395958Y1 KR20-2005-0016534U KR20050016534U KR200395958Y1 KR 200395958 Y1 KR200395958 Y1 KR 200395958Y1 KR 20050016534 U KR20050016534 U KR 20050016534U KR 200395958 Y1 KR200395958 Y1 KR 20039595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go
- partition plate
- post member
- cargo carrier
- plat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 운반선의 적재 공간을 다수의 벌크 구조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파티션 플레이트를 탈착할 수 있는 화물운반선의 화물 선적 공간의 분리 격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화물 선적 공간이 하나의 벌크 구조로 된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선적 공간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에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짝을 이루어 설치되며 그 내부에 레일부가 형성된 포스트 부재 및 상기 포스트 부재 내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탈착되어 상기 화물 선적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하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다수 품목을 적재하여 운송하여도 타품목과 혼합되지 않으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역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품목의 곡물류 등의 화물을 구분하여 선적할 수 있는 다수의 벌크로 구분하기 위한 분리 구조물이 설치된 화물 운반선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 운반선의 적재 공간을 다수의 벌크 구조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파티션 플레이트를 탈착할 수 있는 화물운반선의 화물 선적 공간의 분리 격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운반선은 선박 중심부에 형성된 선창구조가 단일의 벌크로 이루어진 선실로 형성되어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인 화물은 이를 수납하는 일정 크기의 컨테이너가 들어 있는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가 화물 운반 선박의 상기 화물 적재 공간에 선적되어 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곡물류 등의 경우에 상기 화물 운반 선박의 화물 적재 공간에 벌크 형태로 그대로 적재하여 화물 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운반선은 화물적재 공간이 하나의 벌크(bulk) 형태로 되어 있어서 화물 운반시 여러 화물이 한꺼번에 적재됨으로 하역작업을 할 경우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특히, 곡물이나 원료 등의 수송의 경우에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은 1개의 벌크(bulk)구조로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다품종의 곡물 또는 원료를 동시에 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곡물 또는 원료가 혼합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다수의 원료 품목의 혼합에 따라 품질 저하와 하역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특히 사료나 사료용 곡물을 운반하는 화물운반선인 경우 배합사료 원료 특성상 다품목을 선적하여 수송하여야 하는데 단일한 벌크로 이루어진 화물 선적 공간인 경우 수송 중 원료의 혼합 등에 의하여 원료 수송 및 품질관리에 취약한 문제점을 나타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곡물, 원료 등과 같은 혼입되기 쉬운 다수 품목의 벌크화물을 수송하는 경우에도 혼합되지 않고 품질관리가 용이하도록 선적 공간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화물 운반선의 선적 공간의 분리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벌크 화물선에 있어서 선적 공간을 가변하기 위한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탈착할 수 있는 격벽 구조와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는 화물 선적 공간이 하나의 벌크 구조로 된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선적 공간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에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짝을 이루어 설치되며 그 내부에 레일부가 형성된 포스트 부재, 및 상기 포스트 부재 내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탈착되어 상기 화물 선적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하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포스트 부재의 상기 레일부에는 2 개의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 의 소정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 의 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경우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들어올리기 위한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걸이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의 단면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의 가장자리부와 슬라이딩 결합하거나 탈착되는 내부홈과 상기 내부홈의 배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은 상기 선박의 좌, 우현 벽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물 운반선의 선적 공간을 이루는 좌, 우현의 벽체의 일부분에 곡선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의 배면 부분과 상기 좌, 우현의 벽체 사이를 차단하는 플레이트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는 전체적으로 외곽둘레의 프레임과 상기 외곽 둘레 프레임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단위 플레이트들이 끼워져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경사져서 단위 플레이트 위로 전후면 방향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는 H빔을 사용하여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좌, 우현에 용접하고 상부를 판상의 부재로 부착하며 홈이 형성된 타측면을 상기 레일부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가 설치된 화물 운반선의 평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가 설치된 화물 운반선의 내부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의 포스트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가 포스트 부재에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운반선(100)의 선적 공간(50)에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으로서 포스트 부재(10)와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3군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 격벽은 화물 운반선(100)의 선적 공간이 원래 하나의 벌크(bulk)구조로서 이루어진 공간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분리 격벽이 설치되는 개소나 위치도 선적되는 화물의 종류나 필요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격벽 구조는 상기 선적 공간(50)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60)에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짝을 이루어 설치되며 그 내부에 레일부(15)가 형성된 포스트 부재(10)와 상기 포스트 부재(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부(15)와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탈착되어 상기 화물 선적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하는 파티션 플레이트부재(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하나의 레일부(15)에는 2 개의 파티션 플레이트(2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박의 선적 공간이 높은 경우에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중첩하여 슬라이딩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스트 부재(10)는 그 단면이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가장자리부와 슬라이딩 결합하거나 탈착되는 레일이 형성된 내부홈(15)과 상기 내부홈의 배면(17)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17)은 상기 선박(100)의 좌, 우현 벽체(60)에 용접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 부재(10)는 H빔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H빔에서 홈이 형성된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좌, 우현에 용접하고 상부를 판상의 부재로 부착하고 홈이 형성된 타측면을 상기 레일부로 사용하여 되는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가 포스트 부재에 결합된 상태도로서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0)의 좌우현 벽체에 고정 설치된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에 그 양쪽 가장자리 단부가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는 전체적으로 외곽둘레의 프레임(22)과 상기 외곽 둘레 프레임(22)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26)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26) 사이에는 단위 플레이트(24)들이 끼워져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26)은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경사져서 단위 플레이트(24) 위로 전후면 방향에서 돌출된다.
이것은 상기 지지 프레임(26)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지지 프레임(26) 상에 곡물 등 입자가 쌓이게 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 내로 슬라이딩 결합하기 위해서는 기중기 등으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들어올려 상기 레일부(15) 내부로 정확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들어올리기 위한 연결부재가 필요하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소정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에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경우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들어올리기 위한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걸이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차단 플레이트가 결합된 포스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화물 운반선의 구조에 따라서 선박(100)의 선적 공간(50)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60)는 바닥쪽으로 갈수록 외벽이 외부로 곡선 형상으로 굽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벽체(60) 부분에 포스트 부재(10)를 용접 고정하는 경우 벽체 상부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용접 고정되지만 하부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용접할 수가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우에 선적 공간(50)에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설치하더라도 종류에 따른 곡물 등이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에 의하여 분리된 선적 공간(50)에 선적되는 경우에도 적재된 다량의 곡물 자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상기 벽체(60) 사이에 생긴 틈새로 인하여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설치한 경우에도 곡물 등이 혼합될 염려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상기 선박 벽체(60)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공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에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별도의 차단 플레이트(12)가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화물 운반선의 선적 공간(50)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60)의 일부분에 곡선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배면 부분과 상기 좌, 우현 벽체(60)의 사이를 차단하는 플레이트(12)를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배면과 상기 좌, 우현 벽체(60)에 동시에 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12)는 상기 포스트 부재(10)와 상기 벽체(60)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따라서 대략 반구형에 가까운 소정의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제, 본 고안에 따라 포스트 부재(10)와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 중 상기 포스트 부재(10)는 선박의 좌, 우현 벽체에 설치 고정된 상태로 필요에 따라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20)를 상기 포스트 부재(10)에 부착하거나 탈착하여 화물 선적 공간을 이용하게 된다.
1개의 벌크 구조로 되어 있는 선적 공간은 하나의 단일 품목의 화물을 선적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벌크 구조로 그대로 사용하고, 곡물류 또는 기타 유사한 화물인 경우 이를 품목별로 구분하여 적재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적정한 개소의 포스트 부재(10)에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20)를 결합시켜서 선적 공간을 분리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20)는 선적 화물의 높이에 따라서 한쌍의 포스트 부재(10)에 형성되는 레일부(15)에 두개 이상의 파티션 플레이트(20)를 중첩하여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부착은 상기 포스트 부재(10)의 레일부(15)에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외곽 프레임(22)의 좌우 가장자리 단부를 슬라이딩 시켜서 결합하고, 이때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기중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걸이부(25)에 로프 등 연결부재를 걸어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의 탈착시에도 동일하게 상기 걸이부(25)에 로프 등 연결부재를 걸어서 기중기 등에 의하여 간단하게 탈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 부재(1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설치되는 개소는 선적되는 화물의 종류나 품목수에 따라 조절되며, 모든 포스트부재(10)의 위치에 따라서 간격이 균등하게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결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상기 어느 포스트 부재(10)에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20)가 설치되는 가에 따라서 상기 선적 공간(50)은 다양하게 가변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에 의하면, 벌크 화물선에 있어서 선적 공간을 가변하기 위한 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탈착할 수 있는 격벽 구조와 레일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수 품목을 적재하여 운송하여도 타품목과 혼합되지 않으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품목에 따라 분리하여 적재하므로 단위면적당 적재율이 향상되고 1회 수송으로 다품목을 동시에 수송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역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가 설치된 화물 운반선의 평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가 설치된 화물 운반선의 내부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의 포스트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가 포스트 부재에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격벽 구조에서 차단 플레이트가 결합된 포스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스트 부재 12 : 차단 플레이트
15 : 레일부 17 : 배면
20 :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 22 : 외곽 둘레 프레임
24 : 단위 플레이트 25 : 걸이부
26 : 지지 프레임 50 : 선적 공간
60 : 벽체 100 : 선박
Claims (7)
- 화물 선적 공간이 하나의 벌크 구조로 된 화물 운반선에 있어서,상기 선적 공간을 이루는 좌, 우현 벽체에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한 곳 이상 짝을 이루어 설치되며 그 내부에 레일부가 형성된 포스트 부재; 및상기 포스트 부재 내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탈착되어 상기 화물 선적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하는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의 포스트 부재의 레일부에는 2 개의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의 소정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의 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경우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걸이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포스트 부재의 단면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의 가장자리부와 슬라이딩 결합하거나 탈착되는 내부홈과 상기 내부홈의 배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은 상기 선박의 좌, 우현 벽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화물 운반선의 선적 공간을 이루는 좌, 우현의 벽체의 일부분에 곡선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포스트 부재의 배면 부분과 상기 좌, 우현의 벽체 사이를 차단하는 플레이트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나의 파티션 플레이트 부재는 전체적으로 외곽둘레의 프레임과 상기 외곽 둘레 프레임 내부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단위 플레이트들이 끼워져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경사져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 상부로 전후면 방향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포스트 부재는 H빔을 사용하여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좌, 우현에 용접하고 상부를 판상의 부재로 부착하며 홈이 형성된 타측면을 상기 레일부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6534U KR200395958Y1 (ko) | 2005-06-09 | 2005-06-09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6534U KR200395958Y1 (ko) | 2005-06-09 | 2005-06-09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9458 Division | 2005-06-0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5958Y1 true KR200395958Y1 (ko) | 2005-09-16 |
Family
ID=4369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6534U KR200395958Y1 (ko) | 2005-06-09 | 2005-06-09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595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680Y1 (ko) * | 2010-08-27 | 2013-06-28 | 고영철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
-
2005
- 2005-06-09 KR KR20-2005-0016534U patent/KR20039595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680Y1 (ko) * | 2010-08-27 | 2013-06-28 | 고영철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203017A1 (en) |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during port operations, comprising a crane, and a base located in the body of the crane that supports and stacks hatchway covers | |
CN104334471A (zh) | 用于运输尤其呈线圈的形状的产品的集装箱 | |
KR101992800B1 (ko) | 하역방법 | |
CN104309761A (zh) | 散货船的底舱机构 | |
US4592585A (en) | Semitrailer and method of loading the same | |
CN101027232A (zh) | 货运集装箱 | |
KR20060045543A (ko) | 화물선 | |
EP2262677B1 (en) | Method and transport frame for loading reels on ship | |
CN101484378B (zh) | 集装箱举升装置 | |
US2440307A (en) | Ship hold | |
KR200395958Y1 (ko)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 | |
KR200467680Y1 (ko)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 |
KR102532335B1 (ko) |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 |
KR20120001133A (ko) | 벌크화물선의 하부스툴 보강 방법 | |
KR101533771B1 (ko) | 화물 운반선의 분리 격벽 구조물 | |
CN108639596B (zh) | 一种可用双20英尺吊具的40英尺多纵底梁重载集装箱 | |
KR200476489Y1 (ko) | 화물운반선의 래킹 벌크헤드 구조 | |
CN2106792U (zh) | 多功能组合货舱机动驳 | |
GB2399337A (en) | A freight container having a removable roof from which goods can be suspended | |
FI124049B (fi) | Menetelmä ja kuljetusjärjestely merenkulkutarkoituksiin | |
EP1500610A2 (en) | Modified shipping container | |
JPS621688A (ja) | ばら積船 | |
KR970700128A (ko) | 화물 해치 장치 | |
KR20130041541A (ko) |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 |
CN109153431B (zh) | 接合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6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