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762Y1 -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762Y1
KR200465762Y1 KR2020100012227U KR20100012227U KR200465762Y1 KR 200465762 Y1 KR200465762 Y1 KR 200465762Y1 KR 2020100012227 U KR2020100012227 U KR 2020100012227U KR 20100012227 U KR20100012227 U KR 20100012227U KR 200465762 Y1 KR200465762 Y1 KR 200465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ail gate
rib
operat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938U (ko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76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7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2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 E05F11/16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shifting the wing by pivotally-connected members (mov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일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 인입된 장홈이 형성되고, 테일 게이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며, 타단에 케이블이 결합하는 바(bar)형태의 링크와, 상기 링크가 상기 테일게이트와의 힌지결합 시, 상기 링크 일단의 장홈 사이의 힌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링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테일 게이트에 삽입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에 접촉하도록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로부터 작동력이 인가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부분 절단되어 직선형태의 경사진 절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면에 상기 링크의 타단부가 접촉되는 작동리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Tail gate operating device}
본 고안은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일 게이트는 차량의 후면에 장착되어 내부 공간을 단속할 수 있다. 이때, 테일 게이트에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가 부착되어 테일 게이트를 차량에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는 일반적으로 레버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작용력을 가함으로써 구동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레버에 힘을 가하면, 레버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를 회전시킨다. 이때, 케이블은 링크에 연결되어 링크의 회전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테일 게이트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레버는 테일 게이트의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테일 게이트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레버는 사용자에 힘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회전하여야 하므로 테일 게이트에는 레버의 회전각도를 확복하기 위하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비가 오거나 고속 세차시 상기 공간으로 외부의 물이 차량의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수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수밀성이 향상된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일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 인입된 장홈이 형성되고, 테일 게이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며, 타단에 케이블이 결합하는 바(bar)형태의 링크와, 상기 링크가 상기 테일게이트와의 힌지결합 시, 상기 링크 일단의 장홈 사이의 힌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링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테일 게이트에 삽입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에 접촉하도록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로부터 작동력이 인가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부분 절단되어 직선형태의 경사진 절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면에 상기 링크의 타단부가 접촉되는 작동리브를 구비하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 결합되는 상기 링크의 타단이 상기 소정부분 절단된 상기 작동리브의 내측으로 소정부분 인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리브의 두께는 상기 링크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바디부측 부분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작동리브의 두께는 상기 링크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측 부분으로 올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양측에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리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작동리브의 측면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링크의 타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링크이탈방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버튼부를 형성하여 외부의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버튼부를 통하여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100)는 일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 인입된 장홈이 형성되고, 테일 게이트(T)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며, 타단에 케이블(150)이 결합하는 링크(120)를 포함한다. 링크(120)의 일단은 테일 게이트(T)에 결합부재(130)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30)는 테일 게이트(T)와 링크(120)를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100)는 링크(120)의 일단에 배치되는 탄성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탄성부(140)는 링크(120)이 일단에 형성된 장홈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부재(13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링크(1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40)는 링크(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토션스프링(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40)는 상기 토션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링크(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모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100)는 테일 게이트(T)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버튼부(110)를 포함한다. 버튼부(110)는 링크(120)의 타단에 접촉하도록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작동력이 인가되는 바디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1)는 테일 게이트(T)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1)는 양측에 굴곡지게 형성되어, 후술할 작동리브(112)가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리브(113)는 바디부(111)가 테일 게이트(T) 내부로 이동할 때, 바디부(111)가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튼부(110)는 바디부(1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작동리브(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동리브(112)는 링크(120)와 접촉하여 바디부(111)의 작동력을 링크(120)로 전달할 수 있다.
작동리브(112)는 상기 바디부(11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부분 절단되어 직선형태의 경사진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면은 상기 케이블(150)이 결합되는 링크의 타단과 접촉할 수 있다.이때, 경사의 방향은 링크(120)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바디부(111) 측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동리브(112)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리브(112)의 두께는 링크(120)와 접촉하는 부분이 바디부(111) 측 부분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동리브(112)의 두께는 링크(120)와 접촉하는 부분이 바디부(111) 측 부분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버튼부(110)는 작동리브(112)의 측면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링크의 타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링크이탈방지리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링크이탈방지리브(114)는 작동리브(1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작동리브(112)와 링크이탈방지리브(114)는 링크(12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이탈방지리브(114)는 링크(120)의 작동시 링크(1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1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1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테일 게이트(T)를 개방하기 위하여 버튼부(110)에 작동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바디부(111)에 손가락 등을 접촉하여 작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작동력이 인가되면, 바디부(111)는 테일 게이트(T)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테일 게이트(T)에는 바디부(111)가 이동하도록 가이드홀(H)이 형성되어 바디부(111)가 가이드되어 내측으로 밀릴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1)가 테일 게이트(T)의 내측으로 밀릴 때, 가이드리브(113)는 가이드홀(H)을 따라 바디부(111)를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11)는 가이드홀(H)의 경로를 따라 이탈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바디부(111)가 테일 게이트(T) 내측으로 밀리게 되면, 작동리브(112)가 바디부(111)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또한, 작동리브(112)는 타단이 링크(120)와 접촉하여 링크(12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때, 작동리브(112)의 타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작동리브(112)가 링크(120) 측으로 이동할 때, 링크(120)의 곡면과 작동리브(112)의 경사가 서로 접촉하여 링크(120)에 힘을 가하게 된다.
링크(120)의 곡면과 작동리브(112)의 경사는 서로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고, 마찰력에 의하여 링크(1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링크(120)는 회전하면서 케이블(150)의 길이를 가변시켜, 테일 게이트(T)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바디부(111)로부터 작동력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작동력이 제거되면, 탄성부(140)는 링크(120)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링크(120)는 탄성부(140)에서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링크(12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작동리브(112)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작동리브(112)는 상기 힘에 의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바디부(111)도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1)는 테일 게이트(T)의 외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조작이 간편하고 작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버튼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100)는 버튼부(120)를 통하여 테일 게이트(T)의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공간을 생략함으로써 테일 게이트(T)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특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특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110 : 버튼부
111 : 바디부
112 : 작동리브
113 : 가이드리브
114 : 링크이탈방지리브
120 : 링크
130 : 결합부재
140 : 탄성부
150 : 케이블

Claims (8)

  1. 일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 인입된 장홈이 형성되고, 테일 게이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며, 타단에 케이블이 결합하는 바(bar)형태의 링크와,
    상기 링크가 상기 테일게이트와의 힌지결합 시, 상기 링크 일단의 장홈 사이의 힌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링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테일 게이트에 삽입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에 접촉하도록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로부터 작동력이 인가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부분 절단되어 직선형태의 경사진 절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면에 상기 링크의 타단부가 접촉되는 작동리브를 구비하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결합되는 상기 링크의 타단이 상기 소정부분 절단된 상기 작동리브의 내측으로 소정부분 인입되어 배치되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토션스프링인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리브의 두께는 상기 링크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바디부측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리브의 두께는 상기 링크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바디부측 부분으로 올수록 두꺼워지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양측에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리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를 구비하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작동리브의 측면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링크의 타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링크이탈방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KR2020100012227U 2010-11-26 2010-11-26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KR200465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227U KR200465762Y1 (ko) 2010-11-26 2010-11-26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227U KR200465762Y1 (ko) 2010-11-26 2010-11-26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938U KR20120003938U (ko) 2012-06-05
KR200465762Y1 true KR200465762Y1 (ko) 2013-03-08

Family

ID=4661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227U KR200465762Y1 (ko) 2010-11-26 2010-11-26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76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26A (ko) * 2000-09-19 2002-03-27 이계안 자동차 연료주입구 및 트렁크의 버튼식 수동해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26A (ko) * 2000-09-19 2002-03-27 이계안 자동차 연료주입구 및 트렁크의 버튼식 수동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938U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2540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WO2018006790A1 (zh) 门锁
JP5752913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CN106103870B (zh) 车用门把手
JP2006298146A (ja) ワイパアーム
GB2536671A (en) Rectractable handle arrangement
KR200465762Y1 (ko)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JP2012237143A (ja) 可動部材へのケーブル連結構造
JP2009079352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401360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JP6649608B2 (ja) テールゲートドア用スイッチの取付構造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241031B1 (ko) 테일 게이트 작동장치
CN114470805A (zh) 仿真刀剑玩具
KR100837982B1 (ko) 일체형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구조
JP2008063864A (ja) スライドドア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JP6566667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2007018802A (ja) スイッチ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パワーウィンド用スイッチ
JP3976956B2 (ja) 引戸の開戸補助装置
JPH0235111B2 (ja) Jidoshayodoahandorusochi
JP7045262B2 (ja) 車両用ハンドル装置
CN105239862B (zh) 门把手装置
JP6104752B2 (ja) ポップアップ機能付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519160B1 (ko) 차량의 파킹레버장치
KR101751266B1 (ko) 트렁크 래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