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370Y1 - 상품 진열대 - Google Patents

상품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370Y1
KR200465370Y1 KR2020080013547U KR20080013547U KR200465370Y1 KR 200465370 Y1 KR200465370 Y1 KR 200465370Y1 KR 2020080013547 U KR2020080013547 U KR 2020080013547U KR 20080013547 U KR20080013547 U KR 20080013547U KR 200465370 Y1 KR200465370 Y1 KR 200465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roduct
shaped
plate
display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849U (ko
Inventor
마사모토 데라다
Original Assignee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3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47F5/005Partition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7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erishable good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간단하고 쉬운 구조이면서 다채로운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고, 단계 조절이 되는 볼륨감이 있는 구분을 할 수 있는 진열의 연출이 뛰어난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단변 형상의 측판(2a)과 장변 형상의 측판(1a)을 갖는 L자 단면 형상의 틀체(10a)를 2개 사용하는 상품 진열대(10)로서, 2개의 측판(2a, 1a)에 걸쳐 연속하는 관통홈(4a)을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다수 부설하고, 단변 형상의 측판(2a)의 선단에 걸어맞춤 돌기(3a)를 형성하며, 장변 형상의 측판(1a)의 선단측의 면부에 걸어맞춤 관통 구멍(5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품 진열대{DISPLAY RACK FOR COMMODITY}
본 고안은, 주로 청과물 매장에서 사용되는 다면적인 진열을 할 수 있고, 또한 진열 안정성이 뛰어난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슈퍼, 백화점, 전문점, 편의점 등의 점 내에서 예를 들면 청과물의 진열에 사용되는 상품 진열장으로서, 상품을 재치하는 1개 이상의 경사면을 한 방향으로 인접해 설치하고, 이 한 방향 일단에 상품 낙하 방지부를 가지며, 또한 타단에 평면을 가져 앞 진열면을 구성하고, 이 앞 진열면의 뒤편에 칸막이판의 끼워맞춤 홈을 적어도 1개 이상 설치해 뒤 진열면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진열 케이스 내에 높이 가변의 설치대를 배설하여, 이 설치대에 상품 진열장의 상기 앞 진열면 및 뒤 진열면 중 어느 한쪽을 부착하고, 어느 다른 쪽에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장이 알려져 있다(특허공개 2001-197984호 공보). 이 상품 진열장은, 적은 부품으로, 상품의 다양화, 빈번히 일어나는 모양 변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고, 모양 변화 때마다 쓸모없이 되거나 새롭게 구입할 필요성을 줄이며, 또한 보관을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지극히 유용한 진열장이다.
또, 특허공개 2006-431호 공보에는, 적어도 3개의 측판을 갖고, 이 3개의 측판 가운데, 적어도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측판에 연속하는 관통홈을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다수 부설한 틀체로 이루어지며, 또한, 이 관통홈에 상기 상품 칸막이판을 끼워 맞춰 사용하는 상품 진열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상품 진열대를 이용하면, 주로 청과물 매장에서 사용되는 다면적인 진열을 할 수 있고, 또한 진열 안정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그렇지만, 특허공개 2001-197984호 공보의 진열장에서 사용되는 칸막이판은, 전후 방향에 같은 피치로 다수 부설된 끼워맞춤 홈에 걸어 맞춤해, 진열 상품을 전후 방향으로 구획하는 것이다. 즉, 당해 칸막이판은 진열 상품이 전후 방향으로 굴러 떨어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좌우 방향을 구획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이런 종류의 진열장으로는 사과나 자몽 등의 환물(丸物) 상품, 혹은 파, 우엉 등의 장물 상품을 좌우로 구획해 진열하지 못하고, 또 이러한 볼륨감이 있는 진열을 연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공개 2006-431호 공보의 상품 진열대에서 사용하는 상품 칸막이판은 진열 상품을 좌우 방향으로 구획하는 것이라도, 다채로운 진열면을 형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고 쉬운 구조이면서 다채로운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고, 단계 조절이 되는 볼륨감이 있는 좌우의 구분이 가능한 진열의 연출이 뛰어난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실정에 있어서, 본 고안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단변 형상의 측판과 장변 형상의 측판을 갖는 L자 단면 형상의 틀체를 2개 이상 사용하는 상품 진열대로서, 2개의 측판에 걸쳐 연속하는 관통홈을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다수 부설하고, 이 단변 형상의 측판의 선단에 걸어맞춤 돌기를 형성하며, 이 장변 형상의 측판의 선단측의 면부에 걸어맞춤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관통홈 에 상품 칸막이판을 끼워 맞춘 상품 진열대이면, 간단하고 쉬운 구조이면서 다채로운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고, 단계 조절이 되는 볼륨감이 있는 구분이 가능한 것 등을 찾아내어,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고안은, 단변 형상의 측판과 장변 형상의 측판을 갖는 L자 단면 형상의 틀체를 2개 이상 사용하는 상품 진열대로서, 2개의 측판에 걸쳐 연속하는 관통홈을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다수 부설하고, 이 단변 형상의 측판의 선단에 걸어맞춤 돌기를 형성하며, 이 장변 형상의 측판의 선단측의 면부에 걸어맞춤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상기 걸어맞춤 돌기는, 상기 단변 형상의 측판의 선단에, 또한 선단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것인 상기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돌기폭은, 상기 관통홈의 홈폭보다 약간 작은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판 형상의 상품 칸막이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통홈에 상기 상품 칸막이판을 끼워 맞춰 사용하는 상기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상기 2개의 L자 단면 형상의 틀체를 장착해 사각 형상의 상자체로 하고, 상기 상품 칸막이판은, 상기 틀체의 관통홈에 끼워 맞춰, 상기 틀체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사용하는 상기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상기 2개의 L자 단면 형상의 틀체를 장착해 산형 형상의 진열면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상기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상품이, 야채, 청과물인 상기 상품 진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품 진열대에 의하면, 1개의 틀체의 걸어맞춤 돌기와 다른 틀체의 걸어맞춤 관통 구멍을, 1개의 틀체의 걸어맞춤 관통 구멍과 다른 틀체의 걸어맞춤 돌기를 각각 걸어 맞춤시키면 상자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상자체의 관통홈에 상품 칸막이판을 끼워 맞춰, 상기 틀체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사용하면, 단계 조절이 되는 볼륨감이 있는 구분을 할 수 있다. 또, 2개의 틀체를 설치면에 산형의 진열면이 되도록 설치해, 1개의 틀체의 걸어맞춤 돌기와 다른 틀체의 걸어맞춤 관통 구멍을 걸어 맞춤시키든지, 또는 1개의 틀체의 걸어맞춤 돌기와 다른 틀체의 관통홈을 걸어 맞춤시키면, 다면적인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진열면에의 설치가 용이하고, 단계 조절이 되는 볼륨감이 있는 구분이 가능해진다. 또, 상품 칸막이판은 얇은 두께로 양호하기 때문에 상품을 진열한 다음에도 용이하게 상품 사이를 통해 관통홈에 끼워 맞출 수 있으므로, 매장의 상품의 진열의 혼란을 막고, 상품 진열의 가이드로서 위방향으로 쌓아 올리는 볼륨감이 있는 상품 진열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이란 통로측(고객측)을 말하고, 「후」란 그 반대측을 말한다. 또, 길이 방향이란 설치 상태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즉, 세로 형상의 관통홈에 직교하는 방향을 말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틀체의 외관 형상은, 단변 형상의 측판과 장변 형상의 측판의 2개의 측판을 갖는 L자 단면 형상의 부재이고, 측판은 길이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단변 형상이란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말하고, 장변 형상이란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말한다.
또, 관통홈은 소위 세로홈으로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측판에 걸쳐 연속하는 관통홈이다. 관통홈의 선단 및 후단은 막다른 곳이며, 측판의 전후 방향으로는 관통하고 있지 않다. 측판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면, 원래 소정의 폭치수를 갖는 측판을 형성할 수 없다. 장변 형상의 측판에 있어서의 관통홈의 가장자리와 당해 측판의 가장자리의 제1 여백부의 길이는, 단변 형상의 측판에 있어서의 관통홈의 가장자리와 당해 측판의 가장자리의 제2 여백부의 길이보다 길다. 이 제1 여백부에는 걸어맞춤 관통 구멍이 설치되기 때문이다.
관통홈 사이의 소정의 피치로서는,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같은 피치이어도 되고, 상이한 피치이어도 되지만, 같은 피치인 것이, 제작이 용이하거나 사용하기 앙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피치 치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목적 등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된다. 피치 간격이 작을수록, 치밀한 구획을 할 수 있다. 또, 관통홈의 형상이라고 해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 mm 폭의 긴 홈 등을 들 수 있다.
관통홈에 끼워 맞춤하는 상품 칸막이판으로서는, 판 형상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물, 부정 형상의 판 형상물, 하단에 끼워맞춤편을 갖는 판 형상물 등을 들 수 있다. 하단에 끼워맞춤편을 갖지 않는 것은, 하단 가장자리 전체 혹은 칸막이판 본체의 일부가 관통홈에 끼워 맞춤한다. 또, 상품 칸막이판은 틀체의 관통홈에 끼워 맞춰 상품 칸막이판의 전방부를 상기 틀체보다 전방으로 돌출시키든지, 혹은 상품 칸막이판의 상방부를 상기 틀체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진열장 등의 설치면이 진열면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대를 도 1 ~ 도 3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상품 진열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품 진열대를 구성하는 한쪽의 틀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틀체의 측면도이다. 상품 진열대(10)는, 단변 형상의 측판(2a)과 장변 형상의 측판(1a)을 갖는 L자 단면 형상의 틀체(10a)를 2개(10a, 10b) 사용하는 것으로서, 2개의 측판(1a, 2a)에 걸쳐 연속하는 관통홈(4a)을 길이 방향(도 중, X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다수 부설하고, 단변 형상의 측판(2a)의 선단에 걸어맞춤 돌기(3a)를 형성하며, 장변 형상의 측판(1a)의 선단측의 면부(11a)에 걸어맞춤 관통 구멍(5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걸어맞춤 돌기(3a)는 단변 형상의 측판(2a)의 선단(22a)에, 또한 선단(22a)의 양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것이며, 소정폭으로 돌기 높이가 낮은 기초부(31a)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1개의 걸어맞춤 돌기(3a)의 돌기폭은, 관통홈(4a)의 홈폭보다 약간 작은 것이고, 다른 한쪽의 틀체(10b)의 관통홈(4b)에 원활히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끼워 맞춰진 후에는 끼워 맞춤이 느슨해지지 않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걸어맞춤 돌기(3a, 3a) 사이에서 형성되는 걸어맞춤 돌기간 폭의 치수 l2는, 3개의 관통홈(4a)간의 치수 l3 및 걸어맞춤 관통 구멍(5a)의 폭치수 l1보다 약간 작다. 이에 의해 걸어맞춤 돌기(3a, 3a)가 관통홈(4a)에 걸어 맞춤할 때, 3개의 관통홈(4a)에 걸쳐서, 양단의 관통홈(4a)에 걸어 맞춤할 수 있다. 또, 걸어맞춤 돌기(3a, 3a)는 걸어맞춤 관통 구멍(5a)에 원활히 걸어 맞 춤한다. 3개의 관통홈(4a)간의 치수 l3과 걸어맞춤 관통 구멍(5a)의 폭치수 l1은 동일한 것이 적합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걸어맞춤 돌기(3a, 3a)는 상기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한 쌍의 걸어맞춤 돌기(3a, 3a)가 아니고, 1개여도 된다. 이 경우, 걸어맞춤 관통 구멍(5a)은 1개의 걸어맞춤 돌기에 걸어 맞춤하는 형상이면 양호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단변 형상의 측판의 단변 길이(l4)와 장변 형상의 측판의 장변 길이(l5)의 비(l4:l5)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1.5 ~ 2.5, 적합하게는 1:2이다.
장변 형상의 측판(1a)에 있어서의 관통홈(4a)의 가장자리와 당해 측판(1a)의 가장자리에서 형성되는 제1 여백부(6a)의 길이는, 단변 형상의 측판(2a)에 있어서의 관통홈(4a)의 가장자리와 당해 측판(2a)의 가장자리에서 형성되는 제2 여백부의 길이(7a)보다 길다. 제1 여백부(6a)의 길이는 1 ~ 수 cm 정도이며, 제2 여백부의 길이(7a)는 그 2배 정도이다. 제2 여백부(7a)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단변 형상의 측판(2a)의 강도가 약해진다. 한편, 제2 여백부(7a)의 길이가 너무 길면, 상품 칸막이판의 치수가 제한되어 구분하는 범위가 좁아질 우려가 있다. 또, 제1 여백부(6a)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걸어맞춤 관통 구멍(5a)의 존재도 있어, 장변 형상의 측판(1a)의 강도가 약해진다. 한편, 제1 여백부(6a)의 길이가 너무 길면, 상자체에 있어서의 상품 칸막이판의 구분이 세로 방향 및 안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한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대를 도 4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4(A)는 본 예의 상품 진열대의 사용 상태도, (B)는 (A)의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A)는, 1개의 틀체(1Oa)의 걸어맞춤 돌기(3a)와 다른 틀체(1Ob)의 걸어맞춤 관통 구멍(5b)을, 1개의 틀체(10a)의 걸어맞춤 관통 구멍(5a)과 다른 틀체(10b)의 걸어맞춤 돌기(3b)를 각각 걸어 맞춤시켜 상자체를 형성해 세로 배치로 한 것이다. 이 세로 배치 상태에 있어서, 하단의 모퉁이가 관통홈에서 연속하고 있는 면(1b)을 전면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장변 형상의 측판(1b)의 관통홈(4b)의 길이에 상당하는 높이의 상품 칸막이판(9a)을 관통홈(4b)에 끼워 넣으면, 상자체의 전면에 재치되는 상품을 구획할 수 있다. 상품 칸막이판(9a)의 후단은 틀체(1a)의 관통홈(4a)에는 걸어 맞춤하고 있지 않으며, 장변 형상의 측판(1a)에 맞닿은 상태가 되고 있다. 이 상품 칸막이판(9a)에 의한 구분에 의하면, 비교적 높이가 있고, 또한 단계 조절이 되는 볼륨감이 있는 구분이 가능해진다. 도 4(B) 중, 우측이 전방측(고객측)이다.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A)는, 세로 배치 상태의 하단의 모퉁이에 있어서 관통홈이 연속하지 않는 면(1a)을 전면이라고 해도 된다. 이 경우, 상품 칸막이판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예에서 사용하는, 하측이 일부 절결되어진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변형예라도,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A)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 외에, 높이가 있는 상품 칸막이판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대를 도 5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5(A)는 본 예의 상품 진열대의 사용 상태도, (B)는 (A)의 개략 측 면도이다.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B)에, 1개의 틀체(10a)의 걸어맞춤 돌기(3a)와 다른 틀체(10b)의 걸어맞춤 관통 구멍(5b)을, 1개의 틀체(10a)의 걸어맞춤 관통 구멍(5a)과 다른 틀체(10b)의 걸어맞춤 돌기(3b)를 각각 걸어 맞춤시켜 상자체를 형성해 세로 배치로 한 것이다. 이 세로 배치 상태에 있어서, 하단의 모퉁이가 관통홈에서 연속하지 않는 면(2a)을 전면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하측이 또한 후방측이 일부 절결되어진 상품 칸막이판(9b)을 관통홈(4a)에 끼워 넣으면, 상자체의 상면 및 전면에 재치되는 상품을 구획할 수 있다. 상품 진열대(10B)에 의하면, 상자체에 의해 단(段) 올림면, 혹은 2단 형상의 진열면 등 다채로운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품 칸막이판(9b)에 의한 구분은, 비교적 높이와 전후 방향의 길이가 있고, 또한 단계 조절이 되는 볼륨감이 있는 구분이 가능해진다. 도 5(B) 중, 우측이 전방측(고객측)이다.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B)는, 세로 배치 상태의 하단의 모퉁이에 있어서 관통홈이 연속하는 면(2b)을 전면이라고 해도 된다. 이 경우, 상품 칸막이판은 높이가 제한된 직사각형 형상의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변형예라도,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B)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 외에,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있는 상품 칸막이판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대를 도 6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6(A)는 본 예의 상품 진열대의 기울어짐 후방에서 본 사용 상태도, (B)는 본 예의 상품 진열대의 기울어짐 전방에서 본 사용 상태도, (C)는 (A)의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C)는, 2개의 틀체(10a, 10b)를 틀체(10a) 가 후측, 틀체(10b)가 전측이 되도록 설치하고, 또한 각각 산형 형상의 진열면이 되도록 설치하며, 또 전측의 틀체(1Ob)의 걸어맞춤 돌기(3b)를 후방의 틀체(10a)의 걸어맞춤 관통 구멍(5a)에 걸어 맞춤시켜, 톱날 형상의 진열면을 형성한 것이다. 톱날 형상의 진열면에 형성되는 관통홈(4a, 4b)에 직사각형 형상의 상품 칸막이판(9c)을 끼워 넣으면, 진열면의 상면에 재치되는 상품을 구획할 수 있다. 이 상품 칸막이판(9c)에 의한 구분에 의하면, 톱날 형상의 진열면을 단계 조절이 되는 볼륨감이 있는 구분이 가능해진다. 도 6(C) 중, 우측이 전방측(고객측)이다.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C)는, 전후 방향을 반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6(C) 중, 좌측이 전방측(고객측)이라고 해도 된다. 이러한 변형예라도,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C)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C)는, 틀체(10a, 10b)의 한 조 이상을 더 전후 방향에 접속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큰 톱날 형상의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대를 도 7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7(A)는 본 예의 상품 진열대의 기울어짐 후방에서 본 사용 상태도, (B)는 본 예의 상품 진열대의 기울어짐 전방에서 본 사용 상태도, (C)는 (A)의 개략 측면도이다.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D)는, 2개의 틀체(10a, 10b)를 틀체(10a)가 후측, 틀체(10b)가 전측이 되도록 설치하고, 또한 각각 산형 형상의 진열면이 되도록 설치하며, 또 전측의 틀체(10b)의 걸어맞춤 돌기(3b)를 후방의 틀체(1a)의 관통홈(4a)에 걸어 맞춤시켜, 톱날 형상의 진열면을 형성한 것이다. 상품 진열대(10D)에 있어서의 톱날은, 상품 진열대(10C)에 있어서의 톱날에 비해, 보다 예각 인 단면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도 6(C) 중, 우측이 전방측(고객측)이다. 이 상품 진열대(10D)에 의하면, 톱날 형상의 진열면이며, 규칙성이 없는 독특한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D)는, 전후 방향을 반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7(C) 중, 좌측이 전방측(고객측)이라고 해도 된다. 이러한 변형예라도,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D)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D)는, 틀체(10a, 10b)의 한 조 이상을 더 전후 방향에 접속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넓은 톱날 형상의 진열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상품 진열대(10D)는, 톱날 형상의 진열면에 형성되는 관통홈(4a, 4b)에 직사각형 형상의 상품 칸막이판(도시 않음)을 끼워 넣으면, 진열면의 상면에 재치되는 상품을 구획할 수 있다. 이 상품 칸막이판에 의한 구분에 의하면, 톱날 형상의 진열면을 단계 조절이 되는 볼륨감이 있는 구분이 가능해진다.
또, 본 고안의 상품 진열대는, 2개의 틀체(10a, 10b)를 틀체(10a)가 후측, 틀체(10b)가 전측이 되도록 분리하여 설치하고, 또한 각각 산형 형상의 진열면이 되도록 설치해 사용할 수 있다. 즉, 2개의 틀체(10a, 10b)는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진열대에 있어서도 변칙적인 톱날 형상의 진열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품 진열대는, 야채, 청과물, 건물(乾物), 정육 등 진열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진열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품 진열대를 구성하는 한쪽의 틀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틀체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 형태예의 상품 진열대의 사용 상태도, (B)는 (A)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A)는 제2 실시 형태예의 상품 진열대의 사용 상태도, (B)는 (A)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A)는 제3 실시 형태예의 상품 진열대의 후방에서 본 사용 상태도, (B)는 본 예의 상품 진열대의 전방에서 본 사용 상태도, (C)는 (A)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A)는 제4 실시 형태예의 상품 진열대의 후방에서 본 사용 상태도, (B)는 본 예의 상품 진열대의 전방에서 본 사용 상태도, (C)는 (A)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장변 형상의 측판 2a, 2b : 단변 형상의 측판
3a : 걸어맞춤 돌기 4a, 4b : 관통홈
5a : 걸어맞춤 관통 구멍 10, 10A ~ 10D : 상품 진열대
10a, 10b : 틀체

Claims (7)

  1. 단변 형상의 측판과 장변 형상의 측판을 갖는 L자 단면 형상의 틀체를 2개 이상 사용하는 상품 진열대로서, 2개의 측판에 걸쳐 연속하는 관통홈을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다수 부설하고, 상기 단변 형상의 측판의 선단에 걸어맞춤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장변 형상의 측판의 선단측의 면부에 걸어맞춤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는, 상기 단변 형상의 측판의 선단에, 또한 선단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돌기폭은, 상기 관통홈의 홈폭보다 약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판 형상의 상품 칸막이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통홈에 상기 상품 칸막이판을 끼워 맞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개의 L자 단면 형상의 틀체를 장착해 사각 형상의 상자체로 하고, 상기 상품 칸막이판은, 상기 틀체의 관통홈에 끼워 맞춰, 상기 틀체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개의 L자 단면 형상의 틀체를 장착해 산형 형상의 진열면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야채, 청과물, 건물(乾物), 정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대.
KR2020080013547U 2007-11-16 2008-10-10 상품 진열대 KR2004653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7-008870 2007-11-16
JP2007008870U JP3139109U (ja) 2007-11-16 2007-11-16 商品陳列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49U KR20090004849U (ko) 2009-05-20
KR200465370Y1 true KR200465370Y1 (ko) 2013-02-14

Family

ID=4151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547U KR200465370Y1 (ko) 2007-11-16 2008-10-10 상품 진열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39109U (ko)
KR (1) KR200465370Y1 (ko)
CN (1) CN201375274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705B1 (ko) * 2021-02-22 2021-11-01 송범진 다용도 칸막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9658B2 (ja) * 2013-08-08 2017-09-20 日研工業株式会社 物品陳列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145A (ja) 2004-05-11 2005-12-22 Kawajun Co Ltd 商品陳列棚
JP2006000431A (ja) 2004-06-18 2006-01-05 Kawajun Co Ltd 商品陳列台
JP2006034552A (ja) 2004-07-27 2006-02-09 Kawajun Co Ltd 商品陳列台
KR200426349Y1 (ko) 2006-07-04 2006-09-13 이은재 상품 진열대용 보조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145A (ja) 2004-05-11 2005-12-22 Kawajun Co Ltd 商品陳列棚
JP2006000431A (ja) 2004-06-18 2006-01-05 Kawajun Co Ltd 商品陳列台
JP2006034552A (ja) 2004-07-27 2006-02-09 Kawajun Co Ltd 商品陳列台
KR200426349Y1 (ko) 2006-07-04 2006-09-13 이은재 상품 진열대용 보조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705B1 (ko) * 2021-02-22 2021-11-01 송범진 다용도 칸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9109U (ja) 2008-01-31
CN201375274Y (zh) 2010-01-06
KR20090004849U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0077B2 (en) Display rack with interlocking dividers
US6527129B2 (en) Commodity display board
US20040256341A1 (en) Shelf having an adjustable divider
KR200465370Y1 (ko) 상품 진열대
JP4514099B2 (ja) 商品陳列台
JP4059447B2 (ja) 商品陳列台及びその使用方法
JP3135217U (ja) 書棚及びそれに用いる棚板係止具
JP4116036B2 (ja) 商品陳列用ボード
JP4653433B2 (ja) 商品陳列台
JP3103554U (ja) 商品陳列台
JP3131613U (ja) 多目的ボード及び商品陳列台
JP3118499U (ja) 棚受け用支柱
KR101501773B1 (ko) 주먹밥용 진열선반 및 주먹밥의 진열 방법
JP2005245672A (ja) 商品陳列装置
JP4721316B2 (ja) 商品陳列台
KR20100110103A (ko) 상품 진열 선반
JP2006149597A (ja) 商品陳列用ボード
JP4656869B2 (ja) 商品陳列棚
JP4849603B2 (ja) 商品陳列台
JP3127023U (ja) 商品陳列調整台及び組み付け商品陳列調整台
JP3174565U (ja) システム什器
JP3124091U (ja) 商品陳列台
KR200345694Y1 (ko) 진열장
JP2001238769A (ja) ショーケース
JP3120901U (ja) 商品陳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