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851Y1 -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851Y1
KR200464851Y1 KR2020120010878U KR20120010878U KR200464851Y1 KR 200464851 Y1 KR200464851 Y1 KR 200464851Y1 KR 2020120010878 U KR2020120010878 U KR 2020120010878U KR 20120010878 U KR20120010878 U KR 20120010878U KR 200464851 Y1 KR200464851 Y1 KR 200464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ixing bracket
plate
brack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학용
Original Assignee
문학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학용 filed Critical 문학용
Priority to KR2020120010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위에 실은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물차에 장착하여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의 일측 공간에 축 설치되는 회전 브래킷;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 상기 회전 브래킷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축 결합되는 제1 실린더;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축 결합되는 링크 암; 및 상기 회전 브래킷과 상기 링크 암에 축 결합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고 세우기 위한 제1,2 실린더를 동일 선상의 상하에 설치함으로써 공간(폭)을 줄이고, 상기 플레이트의 기울기 및 높이 제어가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Lifting apparatus for lifter}
본 고안은 화물차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위에 실은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에는 화물을 간편하게 실어 올리기 위한 화물 리프터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화물 리프터는 크게 화물을 실기 위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고 세우기 위한 리프팅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장치는 통상 상기 화물차에 장착되는 제1 브래킷과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2 브래킷과 상기 제1,2 브래킷을 연결하는 실린더 및 링크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리프팅장치는 상기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고 세우기 위해 두 개의 실린더와 상기 링크가 좌우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어 공간(폭)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플레이트에 짐을 실어 들어올린 상태에서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화물을 실은 수레 자체를 올리기 위해서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을 기울여야 하는데, 이런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수레를 올릴 때 플레이트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고 세우기 위한 실린더와 링크의 공간(폭)을 줄이고, 상기 플레이트의 기울기 및 높이 제어가 간편하고 안전한 화물차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화물차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위에 실은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에 장착하여 고정하되, 양측에 두 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일측 공간의 하측 후방에는 제1 축이 형성되고, 타측 공간의 상측 전방에는 제2 축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공간의 상측 전방에는 상기 제2 축의 위치보다 높은 지점에 스토퍼가 형성된 제1 고정 브래킷;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의 일측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측 후방이 상기 제1 축에 축 결합되어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하되, 상단은 상기 스토퍼에 걸려 지지되면서 전방으로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축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방 하측에는 제3 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방 상측에는 제4 축이 형성된 회전 브래킷;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하여 고정하되, 양측에 두 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일측 공간의 하측에는 제5 축이 형성되고, 타측 공간의 상측에는 제6 축이 형성된 제2 고정 브래킷; 상기 회전 브래킷의 제3 축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의 제5 축에 축 결합되는 제1 실린더;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의 제2 축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의 제6 축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6 축에 근접하는 상측에 제7 축이 형성된 링크 암; 및 상기 회전 브래킷의 제3 축과 상기 링크 암의 제7 축에 축 결합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화물차용 리프터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고 세우기 위한 두 개의 실린더를 동일 선상의 상하에 설치함으로써 공간(폭)을 줄이고, 상기 플레이트의 기울기 및 높이 제어가 간편하고 안전함으로써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화물차용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화물차용 리프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화물차용 리프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화물차용 리프터의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고안의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물차에 장착하여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100), 상기 제1 고정 브래킷의 일측 공간에 축 설치되는 회전 브래킷(200),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하여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300), 상기 회전 브래킷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축 결합되는 제1 실린더(400), 상기 제1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에 축 결합되는 링크 암(500) 및 상기 회전 브래킷과 상기 링크 암에 축 결합되는 제2 실린더(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0)은 상기 화물차에 장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서, 양측에 두 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일측 공간의 하측 후방에는 제1 축(110)이 형성되고, 타측 공간의 상측 전방에는 제2 축(120)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공간의 상측 전방에는 상기 제2 축(120)의 위치보다 높은 지점에 스토퍼(1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고정 브래킷(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의 후방에 좌우 한 쌍이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브래킷(100)은 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면서 화물차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 브래킷(200)은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0)의 일측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축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측 후방이 상기 제1 축(110)에 축 결합되어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한편, 상단은 상기 스토퍼(130)에 걸려 지지되면서 전방으로 회전이 제한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래킷(200)은 상기 제2 축(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방 하부에는 제3 축(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축(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방 상측에는 제4 축(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0)를 승강시키고 세울 때에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브래킷(200)의 상단이 상기 스토퍼(130)에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무거운 화물을 실어도 플레이트(10)가 전방으로 기울기 않고 안정적이며, 상기 플레이트(10)의 전방을 기울일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의 전방이 바닥에 닿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회전 브래킷(200)의 상측이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어 기울어진 플레이트(10)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브래킷(300)은 상기 플레이트(10)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양측에 두 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일측 공간의 하측에는 제5 축(310)이 형성되고, 타측 공간의 상측에는 제6 축(3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고정 브래킷(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의 후방에 좌우 한 쌍이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 브래킷(300)은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 브래킷(100)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 실린더(400)는 상기 회전 브래킷(200)의 제3 축(210)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300)의 제5 축(310)에 축 결합된다.
상기 링크 암(500)은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0)의 제2 축(120)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300)의 제6 축(320)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6 축(320)에 근접하는 상측에 제7 축(5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 암은 상기 제1 실린더(400)의 옆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실린더(600)는 상기 회전 브래킷(200)의 제3 축(210)과 상기 링크 암(500)의 제7 축(510)에 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실린더(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400) 상측의 동일 선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실린더(400)와 제2 실린더(600)가 동일 선상의 상하에 설치되므로 좌우 설치 공간(폭)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제1 실린더(400)와 제2 실린더(600)의 작동을 통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를 승강시키거나 세우거나 기울일 수 있는데,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의 전방을 기울일 때에는 상기 회전 브래킷(200)이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플레이트(10)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된다.
100: 제1 고정 브래킷 200: 회전 브래킷
300: 제2 고정 브래킷 400: 제1 실린더
500: 링크 암 600: 제2 실린더

Claims (1)

  1. 화물차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위에 실은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에 장착하여 고정하되, 양측에 두 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일측 공간의 하측 후방에는 제1 축(110)이 형성되고, 타측 공간의 상측 전방에는 제2 축(120)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공간의 상측 전방에는 상기 제2 축(120)의 위치보다 높은 지점에 스토퍼(130)가 형성된 제1 고정 브래킷(100);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0)의 일측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측 후방이 상기 제1 축(110)에 축 결합되어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하되, 상단은 상기 스토퍼(130)에 걸려 지지되면서 전방으로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축(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방 하측에는 제3 축(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축(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방 상측에는 제4 축(220)이 형성된 회전 브래킷(200);
    상기 플레이트(10)에 장착하여 고정하되, 양측에 두 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일측 공간의 하측에는 제5 축(310)이 형성되고, 타측 공간의 상측에는 제6 축(320)이 형성된 제2 고정 브래킷(300);
    상기 회전 브래킷(200)의 제3 축(210)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300)의 제5 축(310)에 축 결합되는 제1 실린더(400);
    상기 제1 고정 브래킷(100)의 제2 축(120)과 상기 제2 고정 브래킷(300)의 제6 축(320)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6 축(320)에 근접하는 상측에 제7 축(510)이 형성된 링크 암(500); 및
    상기 회전 브래킷(200)의 제3 축(210)과 상기 링크 암(500)의 제7 축(510)에 축 결합되는 제2 실린더(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
KR2020120010878U 2012-11-26 2012-11-26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 KR200464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78U KR200464851Y1 (ko) 2012-11-26 2012-11-26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78U KR200464851Y1 (ko) 2012-11-26 2012-11-26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851Y1 true KR200464851Y1 (ko) 2013-01-21

Family

ID=5136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878U KR200464851Y1 (ko) 2012-11-26 2012-11-26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85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824U (ko) * 1988-07-07 1990-02-06 권영목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Lift Gate)
KR20010093979A (ko) * 2000-04-03 2001-10-31 문학용 화물적재용 리프터
KR200417312Y1 (ko) 2006-03-02 2006-05-26 문학용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824U (ko) * 1988-07-07 1990-02-06 권영목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Lift Gate)
KR20010093979A (ko) * 2000-04-03 2001-10-31 문학용 화물적재용 리프터
KR200417312Y1 (ko) 2006-03-02 2006-05-26 문학용 화물자동차용 리프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93240A (ja) テーブル移動装置
US9994435B2 (en) Forklift arrangement
WO2017067498A1 (zh) 一种倾斜式前移旋转停车设备
BR112012005926B1 (pt) caminhão empilhadeira incluindo um sistema de ligação para movimento, e caminhão empilhadeira
CN102229398A (zh) 一种集装箱吊具及起吊设备
CA3000875A1 (en) An improved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WO2020019646A1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顶升立柱
KR101569874B1 (ko)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EP3031769B1 (en) Vehicle comprising scissor stabilisers
CN105692507A (zh) 一种基于叉车运输的物料周转箱自动翻转装置
KR200464851Y1 (ko) 화물 리프터용 리프팅장치
JP3191429U (ja) 重機運搬車
KR20120001216A (ko) 트럭 캡 틸팅장치
JP6539602B2 (ja) クローラ式フォークリフト
CN102343942A (zh) 一种起重机及其车架
JP2008030726A (ja) 横型床下格納リフト
CN108657057A (zh) 车辆运输车
KR102299047B1 (ko)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JP5699982B2 (ja) 作業機械
CN207292062U (zh) 台车
CN207449721U (zh) 一种自带升降机的半挂车
JP6072969B1 (ja) 可動荷台付きトラック
KR20200113968A (ko) 차량정비시 차종에 따른 리프팅 장치
JP6015020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チルト装置
JP5713492B2 (ja) 荷受台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