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265Y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265Y1
KR200463265Y1 KR2020100007927U KR20100007927U KR200463265Y1 KR 200463265 Y1 KR200463265 Y1 KR 200463265Y1 KR 2020100007927 U KR2020100007927 U KR 2020100007927U KR 20100007927 U KR20100007927 U KR 20100007927U KR 200463265 Y1 KR200463265 Y1 KR 200463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uct
flange
air conditio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907U (ko
Inventor
오민택
김만수
김제경
박홍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7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26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2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덕트가 결합되는 덕트플랜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덕트플랜지는 덕트와 결합되는 덕트연결관과, 덕트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와, 플랜지의 단부에 설치된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하우징에는 덕트플랜지를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덕트플랜지의 조립성을 개선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구조물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환기하고, 실내 공기를 냉, 난방하여 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된다.
공기조화장치는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의 신선한 공기로 환기시키는 환기유니트나, 실내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는 각종 냉난방기구 또는 순환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배출되는 배기구가 각각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 또는 공기의 정화나 냉난방을 위한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의 유입구 및 배기구에는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을 안내하고, 다른 배관이나 덕트 등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덕트플랜지가 설치된다.
덕트플랜지는 덕트연결관과, 이 덕트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를 포함한다.  플랜지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덕트플랜지가 하우징에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건축물의 벽사이의 공간이나, 천정 등과 같이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설치가 곤란한 장소 등에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덕트플랜지를 하우징에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공기조화장치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 이물질 등이 쌓이거나 내부 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내부 장치 등을 수리/교체하기 위해 덕트플랜지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하우징으로부터 덕트플랜지를 개방하기 위해 덕트플랜지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일일이 풀어서 분해해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우징에 덕트플랜지를 쉽게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나 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덕트가 결합되는 덕트플랜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덕트플랜지는 덕트와 결합되는 덕트연결관과, 덕트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와, 플랜지의 단부에 설치된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하우징에는 덕트플랜지를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체결돌기는 플랜지에서 돌출 형성된 연장부와,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구멍에 끼워진 후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부와, 연장부 및 걸이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걸이부가 구멍에 끼워지도록 중앙측으로 탄성변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slot)을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는 구멍에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에 연장부 및 걸이부의 탄성변형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탄성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과 덕트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방진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진패드에는 체결돌기 및 구멍에 대응되어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공기조화장치에 덕트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덕트플랜지를 별도의 공구 및 체결부재 없이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덕트플랜지의 구조 개선을 통해 덕트플랜지 및 덕트를 공기조화장치에 설치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도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덕트플랜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덕트플랜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체결돌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덕트플랜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덕트플랜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덕트플랜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1)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와 같은 공기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 또는 냉각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 하우징(131)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조화장치(130)의 유입구 및 배기구에는 외부의 배관 등과 연결된 덕트(50) 등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덕트플랜지(1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덕트(50)는 덕트플랜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밴드(band) 또는 테이프, 접착제 등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덕트플랜지(100)는 덕트(50)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연결관(103)과, 이 덕트연결관(103)의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덕트연결관(103)과 플랜지(101) 사이에는 내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리브부재(105)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01)의 단부에는 하우징(131)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돌기(1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1)에는 체결돌기(110)가 삽입되며 결합되는 구멍(1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덕트플랜지(100)는 플랜지(101)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돌기(110)가 하우징(131)의 구멍(133)에 끼워짐에 따라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체결돌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체결돌기(1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돌기(110)는 상기 플랜지(101)에서 돌출 형성된 연장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11)의 길이는 하우징(131)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111)의 단부에는 구멍(133)에 끼워진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이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걸이부(115)는 후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걸이부(115)의 전면, 즉 구멍(133)에 대응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구멍(133)에 끼워지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걸이부(115)의 후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구멍(133)에 끼워진 후, 하우징(131)의 내벽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111) 및 걸이부(115)에는 중앙부에 슬롯(113)(slot)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슬롯(113)은 연장부(111) 및 걸이부(115)가 상기 구멍(133)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중앙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111)는 하우징(131)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립 등의 용이성을 위해 하우징(131)의 두께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공기조화장치(130)는 하우징(131)과 덕트플랜지(100) 사이에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방지부재는 연장부(111)의 둘레에 끼워지는 탄성스토퍼(16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스토퍼(160)는 압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스토퍼(160)는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부에는 연장부(111)에 끼워지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스토퍼(160)는 체결돌기(110)가 하우징(131)의 구멍(13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하우징(131)의 외벽면에 밀착되며 탄성압축된다.  그리고, 탄성스토퍼(160)는 체결돌기(110)가 완전히 결합되면 탄성압축된 형태가 복원되며 하우징(131)과 덕트플랜지(100) 사이의 틈새를 줄여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음방지부재의 일례로, 탄성스토퍼(160)가 체결돌기(110)의 연장부(111)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소음방지부재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30)의 덕트플랜지(100)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공기조화장치(130)는 하우징(131)과 덕트플랜지(100) 사이에 설치된 방진패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진패드(170)는 패드본체(171)와, 이 패드본체(171)에 형성된 관통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173)는 덕트플랜지(100)를 하우징(131)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돌기(110) 및 구멍(133)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방진패드(170)는 체결돌기(110)가 하우징(131)의 구멍(13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하우징(131)의 외벽면에 밀착되며 탄성압축된다.  그리고, 방진패드(170)는 체결돌기(110)가 완전히 결합되면 탄성압축된 형태가 복원되며 하우징(131)과 덕트플랜지(100) 사이의 틈새를 줄여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방진패드(170)는 진동 및 소음을 경감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131)과 덕트플랜지(100) 사이를 밀폐하여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개스킷(gas-ket)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0 : 덕트 100 : 덕트플랜지
101 : 플랜지 103 : 덕트연결관
105 : 리브부재 110 : 체결돌기
111 : 연장부 113 : 슬롯
115 : 걸이부 133 : 구멍
130 : 공기조화장치 131 : 하우징

Claims (6)

  1.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에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덕(50)트가 결합되는 덕트플랜지(1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플랜지(100)는 덕트(50)와 결합되는 덕트연결관(103)과, 상기 덕트연결관(103)의 단부에 설치된 플랜지(101)와, 상기 플랜지(101)의 단부에 설치된 체결돌기(11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31)에는 상기 덕트플랜지(1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돌기(110)가 삽입되는 구멍(133)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110)는 상기 플랜지(101)에서 돌출 형성된 연장부(111)와,
    상기 연장부(1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133)에 끼워진 후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부(115)와,
    상기 연장부(111) 및 상기 걸이부(115)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115)가 상기 구멍(133)에 끼워지도록 중앙측으로 탄성변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slot, 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115)는 상기 구멍(133)에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에 상기 연장부(111) 및 상기 걸이부(115)의 탄성변형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11)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31)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탄성스토퍼(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청구항 1과 청구항 3과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1)과 상기 덕트플랜지(100) 사이에 설치된 방진패드(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진패드(170)에는 상기 체결돌기(110) 및 상기 구멍(133)에 대응되어 관통된 관통부(17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2020100007927U 2010-07-28 2010-07-28 공기조화장치 KR200463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927U KR200463265Y1 (ko) 2010-07-28 2010-07-28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927U KR200463265Y1 (ko) 2010-07-28 2010-07-28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07U KR20120000907U (ko) 2012-02-08
KR200463265Y1 true KR200463265Y1 (ko) 2012-10-25

Family

ID=4584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927U KR200463265Y1 (ko) 2010-07-28 2010-07-28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2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51Y1 (ko) * 2013-01-08 2014-08-26 주식회사 팬직 환풍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137A (ja) 1998-10-16 2000-04-28 Daikin Ind Ltd ダクト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137A (ja) 1998-10-16 2000-04-28 Daikin Ind Ltd ダクト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07U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605B1 (ko) 유로 라인에 따른 유동적 설치가 용이한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EP2530392A1 (en) Ventilation terminal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KR20160031657A (ko) 열회수형 환기장치용 분배박스 및 이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1554013B1 (ko) 조립성과 작업성이 개선된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KR200463265Y1 (ko) 공기조화장치
JP201603817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465438B2 (ja) 空気調和装置
JP5201049B2 (ja) 浴室換気乾燥暖房機
JP2007024358A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この空調システムを備えた建物
WO2017134720A1 (ja) 空気調和装置
JP5907807B2 (ja) ダクト用換気扇
JP585885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294247B1 (ko) 블럭 조립식 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형 전열교환기
JP2007205589A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JP2000274727A (ja) 空気調和機及び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
JP2009275612A (ja) 消音ボックス付送風機
JP5446220B2 (ja) 送風装置
US20080202617A1 (en) Air supply pipe
CN217154437U (zh) 一种新风系统
CN220292336U (zh) 一种电控组件和空调外机
JP2007292410A (ja) 据付用型紙及び空気調和装置
CN211290501U (zh) 降噪装置以及具有该降噪装置的三管路空调辅助模块
KR20170020625A (ko) 전열교환기용 급배기구 조인트 플랜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WO2010150334A1 (ja) 空調ユニットの配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