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57Y1 - 학습 놀이구 - Google Patents

학습 놀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57Y1
KR200459657Y1 KR2020090011849U KR20090011849U KR200459657Y1 KR 200459657 Y1 KR200459657 Y1 KR 200459657Y1 KR 2020090011849 U KR2020090011849 U KR 2020090011849U KR 20090011849 U KR20090011849 U KR 20090011849U KR 200459657 Y1 KR200459657 Y1 KR 200459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support
play
learning
children
m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655U (ko
Inventor
박기태
Original Assignee
박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태 filed Critical 박기태
Priority to KR2020090011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5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the elements being slidably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2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slid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로홈이 형성된 몸체를 바닥지지부의 상부에 입설하여 구성함으로써 어린아이들이 앉아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목을 숙여 놀이를 즐김에 따라 야기되는 성장발달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로홈을 따라 블록을 이동시켜 목적지에 도달하여 여러 개의 블록을 맞추어 하나의 한글이나 영어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의 인지능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미로홈을 따라 목적지에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어린아이의 놀이를 겸할 수 있도록 하고, 미로홈의 형상을 양측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여러 명의 어린아이들이 같이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작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블록을 빨리 도달시키도록 유도함으로써 어린아이들간에 경쟁심을 불러 일으키게 함에 따라 게임을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한 학습 놀이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측에 수용부(11)가 형성된 바닥지지부(10)와; 상기 바닥지지부(10)의 수용부(11)에 입설되고 하부측에 내측으로 걸림홀(21)이 형성된 미로홈(22)이 전면에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미로홈(22)의 걸림홀(21)에 걸어지는 걸림부(31)가 형성되어 상기 미로홈(22)의 내부에 내삽되는 이동블록(30)과; 상기 이동블록(30)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홀(4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20)의 전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전면에 자석(42)이 내삽된 가이드블록(40)과; 상기 가이드블록(40)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블록(40)의 전면에 내삽된 자석(42)에 부착되는 자석패드(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0)는,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삼각 피라미드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지지부(10)의 수용부(11)에 하단이 밀착되고 상부가 경사지게 입설되는 제1몸체(20a)와; 상기 제1몸체(20a)의 상부측단과 상부가 밀착되어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바닥지지부(10)의 수용부(11)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몸체(20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10)의 하부측에는 물건이나 책 등을 보관하는 수납보관부(10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학습놀이구, 학습유희구, 미로놀이구

Description

학습 놀이구{play tool of study for children}
본 고안은 학습 놀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지지부위에 세워진 몸체에 형성된 미로홈을 따라 블록을 이동시켜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를 맞추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의 학습능력 향상은 물론 블록을 미로홈을 따라 이동시켜 목적지에 위치시킨 후 문자나 숫자를 맞춤으로써 어린아이의 인지능력은 물론 행동능력의 발달을 유도하고 미로홈을 따라 일일이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놀이를 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가 바닥지지부의 상부측으로부터 입설되어 지지됨에 따라 어린아이들이 앉아 머리를 숙이지 않음으로써 어린아이의 신체발달에 유익한 학습 놀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학하기 전의 어린아이들은 대개 유치원이나 놀이방 또는 기타 미술학원과 같은 학원에 다니게 되는 데, 이러한 교육시설에 다니면서 학습을 통해 한글이나 영어 또는 숫자를 배우게 된다.
이와 같이 어린아이들이 배우는 학습교구들은 대개 그림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림책에 그려진 그림의 이름을 통해 배우도록 하기 위해 그림책의 그림과 일치하는 문자를 인쇄하여 어린아이들이 그려진 그림을 통해 자연스럽게 한글이나 영어 또는 숫자를 배우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글의 ' ㄱ ' 을 배우도록 '기차' 나 '기린' 과 같은 그림을 그려 넣고, 그려진 그림 바로 옆에 한글 ' ㄱ ' 을 인쇄하여 한글을 배우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그림책과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그림과 글자를 인쇄한 학습카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어린아이들은 학습카드에 그려진 그림을 통해 사물의 이름과 함께 이름에 들어 있는 한글이나 영문을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가 한글을 깨우치기 위해서는 우선 글자와 친숙해져만 하는데, 보통의 경우에는 말을 먼저 배우고 나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익힌 후에 단어나 문장을 읽고 쓰는 것을 반복하면서 한글을 익히게 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그림책의 그림이나 또는 학습카드의 그림을 통해 한글의 단어나 문장을 단순히 읽고 쓰는 것을 반복하는 행위는 어린이에게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학습의욕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가 흥미를 느끼면서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놀이 기구를 그동안 사용해 오고 있으며, 이러한 놀이기구는 대개 블록을 쌓거나 또는 그림을 맞추거나 하면서 한글이나 영어를 식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놀이기구는 방식이 블록을 쌓는 블록쌓기 놀이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어린아이들이 바로 싫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블록들이 분실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시간이 경과되면 블록놀이를 할 수 없게 되는 또 다 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쌓기 놀이는 어린아이들의 집중력은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에 기타 인지력이나 행동능력의 발달은 어려워 어린아이들이 장시간 쌓기 놀이를 하면서 학습공부를 할 경우 또 다른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학습놀이구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341136호인 학습용 미로 게임판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편평한 시트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안내레일이 형성된 미로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배경그림이 도시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안내레일에 하부가 끼워지고, 상부는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되어 미로형의 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핀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설치된 이동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플레이트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된 이동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상면에는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표현된 배경그림과 쌍을 이루는 이동그림이 도시된 이동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쌍을 이루며 상호 연관관계를 갖는 다수개의 그림들을 상부플레이트 위에서 짝짓기 형태의 미로 게임으로 구성함으로써, 어린들이 미로 게임을 즐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기억연상 학습과 연관성 학습을 습득할 수 있어 아동들의 지능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미로홈이 형성된 몸체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이 이러한 판형의 미로 게임판을 사용할 경우에, 앉아서 허리를 구부리고 머리를 숙인 상태에서 미로 게임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어린아이의 성장발달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어린아이들이 학습과 함께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놀이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로홈이 형성된 몸체를 바닥지지부의 상부에 입설하여 구성함으로써 어린아이들이 앉아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목을 숙여 놀이를 즐김에 따라 야기되는 성장발달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로홈을 따라 블록을 이동시켜 목적지에 도달하여 여러 개의 블록을 맞추어 하나의 한글이나 영어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의 인지능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미로홈을 따라 목적지에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어린아이의 놀이를 겸할 수 있도록 하고, 미로홈의 형상을 양측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여러 명의 어린아이들이 같이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작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블록을 빨리 도달시키도록 유도함으로써 어린아이들간에 경쟁심을 불러 일으키게 함에 따라 게임을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한 학습 놀이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는,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된 바닥지지부와; 상기 바닥지지부의 수용부에 입설되고 하부측에 내측으로 걸림홀이 형성된 미로홈이 전면에 구성된 몸체와; 상기 미로홈의 걸림홀에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미로홈의 내부에 내삽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홀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전면에 자석이 내삽된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블록의 전면에 내삽된 자석에 부착되는 자석패드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몸체는,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삼각 피라미드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지지부의 수용부에 하단이 밀착되고 상부가 경사지게 입설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상부측단과 상부가 밀착되어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바닥지지부의 수용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지지부의 하부측에는 물건이나 책 등을 보관하는 수납보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는 바닥지지부위에 세워진 몸체에 형성된 미로홈을 따라 블록을 이동시켜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나 숫자를 맞추도록 함으로써 어린아이의 학습능력 향상은 물론 블록을 미로홈을 따라 이동시켜 목적지에 위치시킨 후 문자나 숫자를 맞춤으로써 어린아이의 인지능력은 물론 행동능력의 발달을 유도하고 미로홈을 따라 일일이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놀이를 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가 바닥지지부의 상부측으로부터 입설되어 지지됨에 따라 어린아이들이 앉아 머리를 숙이지 않고도 놀이를 즐길 수 있음으로써 어린아이의 신체발달에 유익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의 학습놀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는, 내측에 수용부(11)가 형성된 바닥지지부(10)와, 상기 바닥지지부(10)의 수용부(11)에 입설되고 하부측에 내측으로 걸림홀(21)이 형성된 미로홈(22)이 전면에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미로홈(22)의 걸림홀(21)에 걸어지는 걸림부(31)가 형성되어 상기 미로홈(22)의 내부에 내삽되는 이동블록(30)과, 상기 이동블록(30)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홀(4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20)의 전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전면에 자석(42)이 내삽된 가이드블록(40)과, 상기 가이드블록(40)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블록(40)의 전면에 내삽된 자석(42)에 부착되는 자석패드(50)로 구성된다.
상기 자석패드(50)의 전면에는 한글이나 영어 또는 숫자와 같은 문자(51)가 인쇄된다.
상기 자석패드(50)는 고무자석과 같이 자석에 쉽게 탈부착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외에 자석패드(50)에 금속분을 함침시키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상기 자석패드(50)가 가이드블록(40)에 내삽되는 자석(42)에 의해 쉽게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한글이나 영어 또는 숫자가 각각 인쇄된 자석패드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몸체(20)는,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삼각 피라미드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지지부(10)의 수용부(11)에 하단이 밀착되고 상부가 경사지게 입설되는 제1몸체(20a)와, 상기 제1몸체(20a)의 상부측단과 상부가 밀착되어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바닥지지부(10)의 수용부(11)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몸체(20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20)가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가 서로 상부측이 접합상태에서 양측으로 하부측이 벌어지는 삼각 피라미드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들이 서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20)의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의 하부측이 안착되는 상기 바닥지지부(10)의 내측 수용부(11)에는 상기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의 바닥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보조벽(1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보조벽(12)에 의해 상기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가 외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 되어 상기 몸체(20)가 바닥지지부(10)에서 견고하게 입설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학습놀이구는, 어린아이들이 상기 자석패드(50)가 부착된 상기 가이드블록(40)을 몸체(20)에 형성된 미로홈(22)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자석패드(50)가 부착된 가이드블록(40)을 여러 개 이동시켜 한글이나 영어를 맞춤으로써 학습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한글이나 영어를 맞추기 위해 자석패드(50)가 부착된 가이드블록(40)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어린아이들이 인지력 향상과 함께 행동능력의 발달을 겸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0)에 형성된 미로홈(22)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모양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2명의 어린아이들이 상기 몸체(20)의 양측에서 서로 자석패드(50)가 부착된 가이드블록(40)을 이동시키면서 먼저 제시된 한글이나 영어 등을 맞추는 놀이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놀이를 즐기면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놀이와 함께 학습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이나 영어 또는 숫자를 학습함에 있어 지루함과 싫증을 느끼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납보관부(10a)의 하단에는 이동바퀴와 같은 구름수단으로 더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를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수납보관부(10a)에 많이 사용하는 책이나 학습지 또는 기타의 물품을 같이 보관하여 사용함으로써 학습 놀이구 이외에 보관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 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의 학습놀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학습 놀이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지지부 10a : 수납보관부
11 : 수용부 20 : 몸체
20a : 제1몸체 20b : 제2몸체
21 : 걸림홀 22 : 미로홈
30 : 이동블록 31 : 걸림부
40 : 가이드블록 41 : 끼움홀
42 : 자석
50 : 자석패드

Claims (3)

  1. 내측에 수용부(11)가 형성된 바닥지지부(10)와;
    상기 바닥지지부(10)의 수용부(11)에 입설되고 하부측에 내측으로 걸림홀(21)이 형성된 미로홈(22)이 전면에 구성된 몸체(20)와;
    상기 미로홈(22)의 걸림홀(21)에 걸어지는 걸림부(31)가 형성되어 상기 미로홈(22)의 내부에 내삽되는 이동블럭(30)과;
    상기 이동블럭(30)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홀(4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20)의 전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전면에 자석(42)이 내삽된 가이드블록(40)과;
    상기 가이드블록(40)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블록(40)의 전면에 내삽된 자석(42)에 부착되는 자석패드(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놀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는,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삼각 피라미드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지지부(10)의 수용부(11)에 하단이 밀착되고 상부가 경사지게 입설되는 제1몸체(20a)와;
    상기 제1몸체(20a)의 상부측단과 상부가 밀착되어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바닥지지부(10)의 수용부(11)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몸체(2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놀이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10)의 하부측에는 물건이나 책 등을 보관하는 수납보관부(10a)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놀이구.
KR2020090011849U 2009-09-09 2009-09-09 학습 놀이구 KR200459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849U KR200459657Y1 (ko) 2009-09-09 2009-09-09 학습 놀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849U KR200459657Y1 (ko) 2009-09-09 2009-09-09 학습 놀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55U KR20110002655U (ko) 2011-03-16
KR200459657Y1 true KR200459657Y1 (ko) 2012-04-04

Family

ID=4420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849U KR200459657Y1 (ko) 2009-09-09 2009-09-09 학습 놀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066B1 (ko) * 2009-11-03 2013-02-05 (주)페찌 아동을 위한 한글 학습교구
KR101232187B1 (ko) * 2011-01-21 2013-02-12 (주)페찌 큐빅 형상의 어린이용 다목적 학습교구
KR101434744B1 (ko) * 2012-09-19 2014-08-29 추대운 놀이 기능이 가미된 유아용 학습 패널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047Y1 (ko) 2005-11-18 2006-04-18 김정묵 스도쿠 퍼즐 게임구
KR20110001068U (ko) * 2009-07-23 2011-01-31 허광무 학습용 교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047Y1 (ko) 2005-11-18 2006-04-18 김정묵 스도쿠 퍼즐 게임구
KR20110001068U (ko) * 2009-07-23 2011-01-31 허광무 학습용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655U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657Y1 (ko) 학습 놀이구
US20150306491A1 (en) Universal learning system
KR20180092454A (ko) 한글한판 놀이 교구를 이용한 낱말 만들기 게임방법
US20140272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Spanish
KR101302538B1 (ko) 언어 학습 퍼즐
CN101561974A (zh) 儿童反义词学习抢答游戏扑克牌
CN209993132U (zh) 一种拼读练习板
KR102521266B1 (ko) 7가지 문자조각을 갖는 한글 학습도구
WALL Penguins
JP3244487U (ja) 神経衰弱ゲーム型木目を持つ木製遊戯セット
WO2017047175A1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CN106512382A (zh) 一种棋类游戏式葡语幼教板
KR20130049882A (ko) 알파벳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방법
JP6249541B1 (ja) 水に浮かぶ表示媒体
JP3159739U (ja) 知育ボードゲームセット
CN106512381A (zh) 一种互动游戏式意大利语学习幼教板
CN208085295U (zh) 一种拼图书
JP3160769U (ja) 音符すごろく
KR100670223B1 (ko) 외국어 교육용 게임 카드세트
KR20060025038A (ko) 한문학습용 카드 및 그 이용방법
JP2009000948A (ja) カードブック
KR101974511B1 (ko) 퍼즐형 학습교구
KR20080004550U (ko) 주사위 놀이판을 갖는 학습교재
KR20170001686U (ko) 학습용 교구
Churakova et al. GAMES IN TEACHING THE PERSIAN LANGUAGE TO PRIMARY SCHOOL LEAR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