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876Y1 -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 Google Patents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76Y1
KR200494876Y1 KR2020210001301U KR20210001301U KR200494876Y1 KR 200494876 Y1 KR200494876 Y1 KR 200494876Y1 KR 2020210001301 U KR2020210001301 U KR 2020210001301U KR 20210001301 U KR20210001301 U KR 20210001301U KR 200494876 Y1 KR200494876 Y1 KR 200494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vowel
cards
groove
pu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어셈블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어셈블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어셈블러
Priority to KR2020210001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릭터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캐릭터 카드; 캐릭터 카드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캐릭터 홈이 배치된 퍼즐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카드는, 자음글자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자음 카드와, 모음글자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모음 카드를 포함하며, 상기 캐릭터 홈은, 자음 카드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자음 홈과 모음글자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모음 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Puzzle for learning through play}
본 고안은 퍼즐 장치로서, 파닉스 학습을 도와주는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이다.
흥미와 자신감은 모든 학습의 기본이며, 특히 한글을 처음 시작하는 유아와 초등학교 아이들은 영어를 쉽게 시작할 수 있는 학습적 접근법과 배려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글 학습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파닉스는 이제까지 학습자 중심이라기 보다는 반드시 선생님이 지도해야하는 방식의 접근법을 사용해 왔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한글 발음의 학습에 있어서 한글 단어 고유의 음절수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한편, 사회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다양화되면서 난독증과 같은 기초 읽기쓰기 결손 학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들에게 다양하고 유연한 교육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나, 학교만으로는 유연한 교육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휴원,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가정에서 글자 파닉스를 깨우치도록 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한글 파닉스 필요성 증가, 난독증 등 기초 읽기쓰기 결손 학생 증가, 그에 따른 학부모 니즈의 증가를 기반으로 한 한글 읽기·쓰기발달 학습 지원 도구의 필요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 만들어진 카드를 이용한 학습방법은 하나의 카드에 알파벳이나 단어를 기재하고, 또 다른 카드에는 그 단어에 대한 그림 을 기재하거나 또는 카드 앞면에는 단어를 기재하고 뒷면에 그 단어에 대한 그림을 기재하여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학습방식은 단순히 사람, 동물, 사물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와 그 단어에 상응하는 그림을 카드의 표면에 인쇄하여 학습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학습자로 하여금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성 또는 영상매체를 이용한 기존의 어학용 교구(컴퓨터, CD, 비디오)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최근에 출시하여 국내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특허받은 깜박이 학습기"나 "똑똑한 전자 영어 단어 학습기(공개특허 10-2016-0050805)"은 영어에 관련된 자료를 USB를 통해 저장하여 이 학습기기로 학습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 특허등록된 교구로는 아동용 외국어 학습 교구(특허등록 제094956호)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아동용 학습 교구는 학습자의 상상력이나 관찰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개 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한글, 알파벳, 단어, 숙어, 영어문장 등의 예문카드 및 이와 연관된 그림카드를 제시하고, 이 예문카드를 조합시켜 문장을 반복하여 학습하는 도구들이어서 학습자로 하여금 "오락성"보다는 "학습성"이라는 느낌을 강하게 하여 주입식 및 암기식 학습방법이기 때문에 학습자로 하여금 소극적 및 수동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하여 영어의 관심과 학습 효율성을 떨어지게 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50805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놀이카드과 블록 놀이판을 조합시켜 언어나 단어를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모듈조합식 퍼즐블록 교구 셋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블록을 끼울수 있는 홈이 있는 놀이판과 놀이카드를 퍼즐처럼 체결하고 조합하여 그림을 완성한 뒤, 다시 카드의 모양을 보고 연관된 블록을 홈에 끼우는 놀이활동을 통해 정답을 만들며 연관된 단어나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퍼즐블록 교구셋트의 모듈화된 놀이카드와 놀이블록, 놀이퍼즐을 블록함에 내부에 정렬하여 보관하고, 놀이블록과 놀이퍼즐에 부착된 고무자석과 블록함 상판에 부착된 고무자석을 통해 자석놀이활동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캐릭터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캐릭터 카드; 캐릭터 카드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캐릭터 홈이 배치된 퍼즐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카드는, 자음글자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자음 카드와, 모음글자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모음 카드를 포함하며, 상기 캐릭터 홈은, 자음 카드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자음 홈과 모음 카드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모음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자음 카드의 가로변의 길이는, 자음 홈의 가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될 수 있는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며, 모든 자음 카드의 세로변의 길이는, 자음 홈의 세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될 수 있는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며, 모든 모음 카드의 가로변의 길이는, 모음 홈의 가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될 수 있는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며, 모든 모음 카드의 세로변의 길이는, 모음 홈의 세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될 수 있는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퍼즐 시트는, 하나의 자음 홈과 하나의 모음 홈이 인접하여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퍼즐 시트는, 하나의 자음 홈과 두 개의 모음 홈이 인접하여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퍼즐 시트는, 일측면에 돌출바가 형성되고,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복수개의 퍼즐 시트가 돌출바와 삽입홈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릭터(한글 자음, 모음, 알파벳 등)를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자체를 퍼즐 형태로 제작하여 글자를 깨우칠 수 있는 파닉스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록을 끼울수 있는 홈이 있는 퍼즐 시트와 캐릭터 카드를 퍼즐처럼 체결하고 조합하여 그림을 완성한뒤, 다시 카드의 모양을 보고 연관된 블록을 홈에 끼우는 놀이활동을 통해 정답을 만들며 연관된 단어나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카드 및 모음 카드가 퍼즐 시트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자음 홈과 모음 홈이 인접하여 이격 배치된 퍼즐 시트의 예시 그림.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퍼즐 시트가 서로 체결되어 연결된 실제 제품 사진.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카드 및 모음 카드가 퍼즐 시트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자음 홈과 모음 홈이 인접하여 이격 배치된 퍼즐 시트의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퍼즐 시트가 서로 체결되어 연결된 실제 제품 사진이다.
파닉스(Phonics)는 단어가 가진 소리, 발음을 배우는 교수법으로서, 아이들에게 읽는 법을 가르치기 위해서 넓게 이용되고 있는 교수법이다. 즉, 어떤 발음이 어느 문자군과 결합되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교수법이다. 그리고 그 문자의 발음을 조합해 모르는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구성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습법이다.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된 한국어에서는 각각의 낱글자가 문자그대로의 발음이 나며, /가/, /나/, /다/라는 문자 또는 받침이 조합되어 어떻게 소리나는지를 가르치는 학습법을 파닉스라고 한다. 한국어의 음절은 앞의 받침이나 두음법칙과 같이 단어의 위치와 관련된 단순한 법칙을 제외하고는 그대로의 소리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모듈화된 놀이카드와 놀이판을 퍼즐처럼 결합하여 단어나 언어를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는 모듈조합식 퍼즐블록 교구셋트에 관한 것으로, 블록을 끼울수 있는 홈이 있는 놀이판과 놀이카드를 퍼즐처럼 체결하고 조합하여 그림을 완성한 뒤, 다시 카드의 모양을 보고 연관된 블록을 홈에 끼우는 놀이활동을 통해 정답을 만들며 연관된 단어나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글자 구성과 놀이퍼즐을 매칭시키면서 파닉스 원리를 깨우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캐릭터 카드(100)와, 캐릭터 카드(100)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캐릭터 홈이 배치된 퍼즐 시트(200)를 포함한다.
캐릭터 카드(100)는, 캐릭터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카드를 말한다. 여기서 캐릭터라 함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영어 알파벳 등과 같이 언어를 구성하는 글자 개별 단위이다.
이하 설명에서 캐릭터의 예시로서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한글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알파벳 등도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캐릭터가 한글일 경우, 캐릭터 카드(100)는, 자음글자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자음 카드(100a)와, 모음글자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모음 카드(100b)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음 카드(100a)는, 자음글자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카드이다. 자음은, 혼자 쓸 수 없는 글자로서 총 14개의 자음이 존재하는데, 따라서 자음 카드(100a)는 24개 구비된다.
예를 들어, 'ㄱ' 자음 형상을 가지는 'ㄱ' 자음 카드, 'ㄴ' 자음 형상을 가지는 'ㄴ' 자음 카드, 'ㄷ' 자음 형상을 가지는 'ㄷ' 자음 카드, 'ㄹ' 자음 형상을 가지는 'ㄹ' 자음 카드, 'ㅁ'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ㅁ' 자음 카드, 'ㅂ'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ㅂ' 자음 카드, 'ㅅ'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ㅅ' 자음 카드, 'ㅇ'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ㅇ' 자음 카드, 'ㅈ'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ㅈ' 자음 카드, 'ㅊ'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ㅊ' 자음 카드, 'ㅋ'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ㅋ' 자음 카드, 'ㅌ'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ㅌ' 자음 카드, 'ㅍ'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ㅍ' 자음 카드, 'ㅎ'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ㅎ' 자음 카드, 'ㄲ' 자음 형상을 가지는 'ㄲ' 자음 카드, 'ㄸ' 자음 형상을 가지는 'ㄸ' 자음 카드, 'ㅃ'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ㅃ' 자음 카드, 'ㅆ'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ㅆ' 자음 카드, 'ㅉ' 자음 형상을 가지는 'ㅉ' 자음 카드의 총 19개의 자음 카드가 구비된다.
이밖에 상술한 14개의 단자음 이외에, "ㄲ, ㄸ, ㅃ, ㅆ, ㅉ"의 5개의 쌍자음이 추가될 경우 총 19개의 자음 카드(100a)가 구비될 수 있다.
모음 카드(100b)는, 모음글자 형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카드이다. 모음은, 혼자 쓸 수 있는 글자로서 총 10개의 모음이 존재하는데, 따라서 모음 카드(100b)는 10개 구비된다.
예를 들어, 'ㅏ'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ㅏ' 모음 카드(100b), 'ㅐ'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ㅐ' 모음 카드, 'ㅓ'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ㅓ' 모음 카드, 'ㅔ'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ㅔ' 모음 카드, 'ㅗ'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ㅗ' 모음 카드, 'ㅚ'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ㅚ' 모음 카드, 'ㅜ'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ㅜ' 모음 카드, 'ㅟ'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ㅟ' 모음 카드, 'ㅡ'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ㅡ' 모음 카드, 'ㅣ' 모음 형상을 가지는 'ㅣ' 모음 카드의 총 10개의 모음 카드(100b)가 구비된다.
이밖에 상술한 10개의 단모음 이외에,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라는 11개의 쌍자음이 추가될 경우 총 21개의 자음 카드(10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자음 카드(100a)와 모음 카드(100b)는, 종이, 플라스틱, 나무 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퍼즐 시트(200)는, 종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현된 시트지로서, 도면에서는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사각형 이외에도 삼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도형 형태의 시트지로 구현될 수 있다.
퍼즐 시트(200)는, 캐릭터 카드(100)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캐릭터 홈이 배치된 시트이다.
자음 카드(100a)와 모음 카드(100b)가 탈착되는 퍼즐 시트(200)로 구현되는 경우, 자음 카드(100a)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자음 홈과 모음글자가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모음 홈이 배치된다.
자음 카드(100a) 또는 모음 카드(100b)의 캐릭터 카드(100)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해당 캐릭터(예를 들어, ㅡ)의 모양 그대로 제작한 것이 아니라, ‘ㅡ’가 아닌 ‘ㅜ’과 같은 캐릭터도 삽입이 가능하도록 별도 공간을 형성하여 학습자가 더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여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를 위해 각 자음 홈에는, 다양한 자음 카드(100a)가 탈착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구현되는데, 모든 자음 카드(100a)의 가로변의 길이는, 자음 홈의 가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될 수 있는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며, 모든 자음 카드(100a)의 세로변의 길이는, 자음 홈의 세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될 수 있는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구현한다.
마찬가지로 각 모음 홈에는, 다양한 모음 카드(100b)가 탈착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구현되는데, 이를 위해 모든 모음 카드(100b)의 가로변의 길이는, 모음 홈의 가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될 수 있는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며, 모든 모음 카드(100b)의 세로변의 길이는, 모음 홈의 세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될 수 있는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구현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시트에는 다양한 자음 카드(100a)와 모음 카드(100b)가 삽입되어 다양한 글자를 구현해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퍼즐 시트(200)에 배치되는 자음 홈과 모음 홈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자음 홈과 하나의 모음 홈이 인접하여 이격 배치된 퍼즐 시트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자음 홈과 두 개의 모음 홈이 인접하여 이격 배치된 퍼즐 시트(200)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밖에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퍼즐 시트(200)는, 단일 시트로서 자음 카드(100a) 및/또는 모음 카드(100b)가 체결되어 하나의 글자를 구현해낼 수 있지만, 나아가 복수개의 퍼즐 시트(200)가 서로 체결되어 연결되도록 구현하여 복수개의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를 구현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퍼즐 시트(200)는, 일측면에 돌출바가 형성되고,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현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퍼즐 시트(200)가 돌출바와 삽입홈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복수개의 글자가 조합된 하나의 단어를 구현해 낼 수 있다.
나아가, 모듈화된 퍼즐 시트와 캐릭터 카들를 블록함에 내부에 정렬하여 보관하고, 퍼즐 시트에 부착된 고무자석과 블록함 상판에 부착된 고무자석을 통해 자석놀이활동을 제공할 수도 있다.
결국, 상술한 본 고안의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는, 캐릭터(한글 자음, 모음, 알파벳 등)를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자체를 퍼즐 형태로 제작하고, 퍼즐 형태의 카드를 모듈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캐릭터를 삽입할 수 있는 모듈의 홈을 해당 캐릭터(예를 들어, ㅡ)의 모양 그대로 제작한 것이 아니라, ‘ㅡ’가 아닌 ‘ㅜ’과 같은 캐릭터도 삽입이 가능하도록 별도 공간을 형성하여 학습자가 더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여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캐릭터 카드
100a:자음 카드
100b:모음 카드
20O:퍼즐 시트

Claims (6)

  1. 서로 다른 캐릭터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캐릭터 카드(100); 및
    상기 복수 개의 캐릭터 카드(100)가 탈착되도록 형성된 캐릭터 홈이 배치된 퍼즐 시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캐릭터 카드(100)는, 서로 다른 자음글자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자음 카드(100a)와, 서로 다른 모음글자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모음 카드(100b)를 포함하며,
    상기 캐릭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자음 카드(100a)가 탈착되도록 형성된 자음 홈과 상기 복수 개의 모음 카드(100b)가 탈착되도록 형성된 모음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자음 카드(100a) 각각의 가로변의 길이는 자음 홈의 가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 가능한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자음 카드(100a) 각각의 세로변의 길이는 자음 홈의 세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 가능한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모음 카드(100b) 각각의 가로변의 길이는 모음 홈의 가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 가능한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모음 카드(100b) 각각의 세로변의 길이는 모음 홈의 세로 내변에 끼어져 탈착 가능한 길이로서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즐 시트(200)는,
    하나의 자음 홈과 하나의 모음 홈이 인접하여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즐 시트(200)는,
    하나의 자음 홈과 두 개의 모음 홈이 인접하여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즐 시트(200)는,
    일측면에 돌출바가 형성되고,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복수개의 퍼즐 시트(200)가 돌출바와 삽입홈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KR2020210001301U 2021-04-26 2021-04-26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KR200494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01U KR200494876Y1 (ko) 2021-04-26 2021-04-26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01U KR200494876Y1 (ko) 2021-04-26 2021-04-26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76Y1 true KR200494876Y1 (ko) 2022-01-14

Family

ID=7934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01U KR200494876Y1 (ko) 2021-04-26 2021-04-26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7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798Y1 (ko) * 2002-06-18 2002-10-11 (주)아리수미디어 한글학습용 퍼즐
KR200331839Y1 (ko) * 2003-08-05 2003-10-30 안대벽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KR20120069122A (ko) * 2010-12-20 2012-06-28 허상훈 한글놀이기구
KR20160050805A (ko) 2014-10-31 2016-05-11 양도현 디아이와이 스토리 교구 셋트
KR102202501B1 (ko) * 2020-09-04 2021-01-13 김연희 한글 학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798Y1 (ko) * 2002-06-18 2002-10-11 (주)아리수미디어 한글학습용 퍼즐
KR200331839Y1 (ko) * 2003-08-05 2003-10-30 안대벽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KR20120069122A (ko) * 2010-12-20 2012-06-28 허상훈 한글놀이기구
KR20160050805A (ko) 2014-10-31 2016-05-11 양도현 디아이와이 스토리 교구 셋트
KR102202501B1 (ko) * 2020-09-04 2021-01-13 김연희 한글 학습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798호(2002.10.11. 공고)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ess Early spelling: From convention to creativity
US3670427A (en) Language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Jones Learning an alien lexicon: A teach-yourself case study
US20090023119A1 (en) Metho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Wagstaff Building practical knowledge of letter-sound correspondences: A beginner's word wall and beyond
KR101042596B1 (ko) 한글교습도구
Nathenson-Mejía Writing in a second language: Negotiating meaning through invented spelling
US6551110B1 (en) Visual educational device for teaching literacy
KR200494876Y1 (ko)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KR100602590B1 (ko) 블록완구
KR200472467Y1 (ko) 영유아 및 장애인용 영어 학습교재
Douville Helping parents develop literacy at home
KR200291798Y1 (ko) 한글학습용 퍼즐
KR200205223Y1 (ko) 어린이용 그림책
KR100468557B1 (ko) 문장잇기 영어학습교구
KR102521266B1 (ko) 7가지 문자조각을 갖는 한글 학습도구
KR20170001686U (ko) 학습용 교구
Mavrogenes Reading in Ancient Greece
Hillerich Whole Language: Looking for Balance among Dichotomies.
Moffett et al. What works is play
KR20220146145A (ko) Ai교육용 앱을 통한 비대면 자기주도 놀이 학습 방법
GB2521486A (en) Apparatus for assistance in learning a language
Wati Unused Printed-Mass Media for Teaching English in Different Types of Skills
Paugh et al. Teaching towards democracy with postmodern and popular culture texts
Kh THE ROLE OF GRAMMAR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