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839Y1 -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 Google Patents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839Y1
KR200331839Y1 KR20-2003-0025248U KR20030025248U KR200331839Y1 KR 200331839 Y1 KR200331839 Y1 KR 200331839Y1 KR 20030025248 U KR20030025248 U KR 20030025248U KR 200331839 Y1 KR200331839 Y1 KR 200331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plate
letters
neutral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벽
Original Assignee
안대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대벽 filed Critical 안대벽
Priority to KR20-2003-0025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퍼즐형 한글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자가 각면에 기재된 다수의 글자판과 글자판이 안착되는 글자조합판이 구비되어 글자 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합하여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하게되는 퍼즐형 한글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한글의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기재된 글자판을 글자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글자조합판에 조합하여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하게되고, 초성자음, 중성모음을 크기가 다른 다수의 조각판으로 제작하여 한글의 글자형태가 '초성+중성' 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결합할때 자음 및 모음의 크기를 달라지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퍼즐형 한글학습교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전면에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각각 인쇄되고, 후면에 삽입홈이 형성된 다수의 글자판과; 상기 글자판이 안착되는 글자조합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글자판의 삽입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출선이 형성된 글자조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자판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글자판 수용부와; 상기 글자조합판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조합판 수용부가 형성된 수용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퍼즐형 한글학습교구{THE HANGUL TEACHING TOOL WITH PUZZLE MODEL}
본 고안은 퍼즐형 한글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이 전면에 인쇄된 복수개의 글자판과, 상기 글자판이 안착되는 글자조합판이 구비되어 글자 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합시켜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되도록 하는 퍼즐형 한글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학습은 가정이나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등에서 어린이에게 기본자음 14개(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와 기본모음 10개(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를 무의미하게 암기시켜 학습하게 하거나, 단어(예: 가방, 나비, 다람쥐, 사자등)를 직접 기억하게 하는 학습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방법들은 학습시 수많은 낱말과 문장을 만드는 글자를 모두 기억해야 함으로 한글학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된 낱자의 결합으로 글자가 만들어지는 한글조합원리를 통하여 한글을 학습시키려는 여러 학습교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퍼즐형으로 낱자가 인쇄된 조각판과 글자조합판은 동일한 크기의 기본자음 14개와 기본모음 10개가 인쇄된 복수개의 조각판에 한정적 조각판 삽입홈을 가지고 글자에 따라 글자의 크기가 다르게 조합되는 글자조합판이거나, 한글의 6가지 형태에 따라 각각 복수용도로 사용되어 부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복수개의 한정적 낱자인쇄조각판에 글자에 따라 낱자인쇄조각판 삽입홈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6개의 또는 복수개의 개별적 글자조합판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교구들은 낱자크기가 일정하여 글자에 따라 글자의 크기가 다르게 조합되거나 개개의 자음과 모음이 복수용도(예: 'ㄱ' -> 'ㄴ', 'ㅏ' -> 'ㅓ', 'ㅗ', 'ㅜ'등)로 사용되어 학습자가 초성, 중성, 종성의 낱자를 혼동하여 자음과 모음의 자리를 바꾸거나 반대로 하여 기존에 없는 글자로 조합하는 등 규칙적인 원칙하에 지속적으로 학습하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며, 1개의 글자 조합판으로 동일한 크기의 다양한 글자를 수용하지 못하고, 한글의 6가지 형태에 따라 글자 조합판을 선택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한글학습교구로는 우리나라 한글을 한글조합원리를 통하여 초성, 중성, 종성낱자의 조합방식으로 기본에서부터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습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글의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인쇄된 글자판을 글자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글자조합판에 조합하여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하도록 하고, 초성자음, 중성모음을 크기가 다른 다수의 조각판으로 제작하여 한글의 글자형태가 '초성+중성' 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결합될 때 자음 및 모음의 크기를 달라지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퍼즐형 한글합습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전면에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각각 인쇄되고, 후면에 삽입홈이 형성된 다수의 글자판과; 상기 글자판이 안착되는 글자조합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글자판의 삽입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출선이 형성된 글자조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자판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글자판 수용부와; 상기 글자조합판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조합판 수용부가 형성된 수용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자판 수용부는 상/하면에 만곡된 조각판 인출홈이 형성되고, 좌/우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밑면에는 글자판 수용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퍼즐형 한글학습교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글자조합판의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퍼즐형 한글학습교구의 사용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각판 수용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글자조합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따른 한글학습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용틀 20 : 글자조합판
30 : 글자조합부 32 : 돌출선
50 : 초성자음글자판 52 : 중성모음조각판
54 : 종성자음조각판 58 : 삽입홈
70 : 글자판 수용편 72 : 글자판 인출홈
74 : 걸림턱 76 : 글자판 수용부
78 : 조합판 수용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퍼즐형 한글학습교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글자조합판의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한글학습교구의 사용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각판 수용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글자조합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따른 한글학습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글자조합판(20)과, 상기 글자조합판(20)에 안착되는 다수의 글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글자조합판(20)은 상기 글자판이 안착되는 글자조합부(30)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글자조합부(30)에는 상기 글자판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출선(3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글자판은 전면에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각각 인쇄되고 후면에는 상기 글자조합부(30)의 돌출선(32)에 체결되는 삽입홈(58)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자판이 수용되는 다수의 글자판 수용부(76)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글자조합판(2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개의 공간이 형성된 수용틀(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자판 수용부(76)는 상면, 하면에 만곡된 조각판 글자판 인출홈(72)이 형성되고, 좌면, 우면에는 걸림턱(74)이 형성되며, 밑면에는 글자판 수용편(70)이 구비된다.
상기 글자판은 일정한 두께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초성자음이 전면에 인쇄된 초성자음글자판(50)과, 중성모음이 전면에 인쇄된 중성모음글자판(52)과, 종성자음이 전면에 인쇄된 종성자음글자판(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초성자음글자판(50)은 한글의 표준자음인 초성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ㄸ,ㅃ,ㅉ,ㅆ) 19개가 각각 전면에 인쇄되고, 상기 중성모음글자판(52)은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ㅐ,ㅔ,ㅒ,ㅘ, ㅙ, ㅚ,ㅝ,ㅞ, ㅟ, ㅢ) 21개가 각각 전면에 인쇄되며, 상기 종성자음글자판(54)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ㄲ, ㄳ, ㄵ,ㄶ, ㄺ,ㄻ, ㄼ, ㄽ, ㄾ, ㄿ, ㅀ, ㅄ, ㅆ 의 27개가 각각 전면에 인쇄된다. 아울러, 상기 초성자음글자판(50)은 크기가 서로 다른 5종류가 제작되고, 상기 중성모음 글자판(52)은 크기가 서로 다른 2종류로 제작된다.
상기 글자조합판(20)은 소정 두께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글자판이 안착되도록 사각형상의 글자조합부(30)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글자판의 삽입홈(58)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출선(32)이 형성된다.
상기 글자조합부(30)는 상기 초성, 중성, 종성 낱자가 인쇄된 다수개의 글자판들이 초성+중성, 초성+중성+종성으로 조합되어 글자를 이루는 공간이다.
상기 글자판 수용부(76)는 상기 초성자음글자판(54), 중성모음글자판(52), 종성자음글자판(54)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하면에 만곡된 형상의 글자판 인출홈(72)을 형성하고, 좌/우면에 걸림턱(74)이 형성되며, 밑면에는 글자판 수용편(70)이 구비된다.
상기 글자판 수용편(70)은 소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글자판 수용부(76)의 밑면의 공간중 일부를 차지한다.
상기 수용틀(10)은 일측에 상기 다수의 글자조합판(20)이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조합판 수용부(78)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다수의 글자판 수용부(76)가 구비된다.
상기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인쇄된 글자판은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글자조합부(30)의 크기와 일치하는 정방형의 글자판을 "가, 고, 과, 각, 곡, 각"형의 6가지 한글 글자형태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퍼즐형 한글학습기구를 사용하여 학습하기 위해 글자조합판(20)에 만들고자 하는 초성자음글자판(50)과 중성모음글자판(52) 및 종성자음글자판(54)을 "가, 고, 과, 각, 곡, 각"의 6가지 글자형태에 따라 '초성+중성', '초성+중성+종성'으로 안착시킨다.
이때, 글자조합판(20)에 형성된 돌출선(32)에 맞게 글자판의 삽입홈(58)을결합한다.
이에 따라, 글자가 조합될때 초, 중, 종성 낱자 글자판들이 복수용도로 사용되지 않아 학습자에게 혼동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형 글자를 나타내기 위해 "ㄱ"을 나타내는 상기 초성자음글자판(50)과 "ㅏ"를 나타내는 상기 중성모음글자판(52)을 상기 글자조합부(30)에 조합한다.
또한, "각"형 글자를 나타내기 위해 "ㄱ"를 나타내는 상기 초성자음글자판(50)과 "ㅏ"를 나타내는 상기 중성모음글자판(52) 및 "ㄱ"을 나타내는 상기 종성자음글자판(54)을 상기 글자조합 공간에 조합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라 "가"형 글자를 나타내기 위한 "ㄱ"의 초성자음글자판과 "각"형 글자를 나타내기 위한 "ㄱ"의 초성자음글자판 및 "ㄱ"의 종성자음글자판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다. 아울러, "가"형 글자를 나타내기 위한 "ㅏ"의 중성모음글자판과, "각"형 글자를 나타내기 위한 "ㅏ"의 중성모음글자판의 크기도 또한 상이하다.
따라서 크기가 서로 다른 초성자음 5종류, 중성모음을 2종류 및 종성자음 글자판을 사용함으로서 사용자가 한글이 "가, 고, 과, 각, 곡, 각"의 6가지 글자형태임을 알게되며, 상기 6가지 형태에 따라 자음 및 모음의 크기가 다름을 알게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글자판 수용부(76)와 다수의 조합판 수용부(78)가 구비된 수용틀(10)을 사용하여, 다수의 글자판은 글자판 수용부(76)에 안착시키고, 다수의 글자조합판(20)은 조합판 수용부(78)에 끼움결합시킨다.
이에따라, 다수의 글자판을 글자 순서대로 체계적인 배열을 하여 한 눈에 글자를 알아보고 명확히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하부가 글자판 수용편(70)과 접촉되지 않은 글자판 타측 부분을 누루면 글자판 수용편(70)과 접촉된 일측부분이 위로 올라오게 되며, 글자판 인출홈(72)을 통해 손가락을 글자판에 접촉시켜 수용틀(10)의 글자판 수용부(76)로 부터 글자판을 이탈시키고, 이탈된 글자판을 글자조합판에 형성된 글자조합부(30)에 안착시켜 원하는 글자를 조합한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하지 않은 글자판은 전면에 인쇄된 글자가 보이지 않도록 글자판 수용부(76)에 뒤집어서 안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할 글자판만을 쉽게 찾을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퍼즐형 한글학습교구는, 한글의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인쇄된 글자판을 글자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글자조합판에 조합하여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하게 되어 어린이들이 글자를 익히기가 지루하지 않고,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성자음, 중성모음을 크기가 다른 다수의 조각판으로 제작하여 한글의 글자형태가 '초성+중성' 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결합할 때 자음 및 모음의 크기를 달라지는 것을 빨리 인지할 수 있어 한글의 학습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면에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각각 인쇄되고, 후면에 삽입홈이 형성된 다수의 글자판과;
    상기 글자판이 안착되어 일정한 글자가 조합되는 글자조합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글자판의 삽입홈과 결합되는 다수의 돌출선이 형성된 글자조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조합판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조합판 수용부와, 상기 글자판이 수용되는 다수의 글자판 수용부가 형성된 수용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판이 수용되는 다수의 글자판 수용부가 구비된 글자판 수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판 수용부는 상/하면에 만곡된 글자판 인출홈이 형성되고, 좌/우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밑면에는 상기 글자판이 안착되는 글자판 수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형 한글한글교구.
KR20-2003-0025248U 2003-08-05 2003-08-05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KR200331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48U KR200331839Y1 (ko) 2003-08-05 2003-08-05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48U KR200331839Y1 (ko) 2003-08-05 2003-08-05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839Y1 true KR200331839Y1 (ko) 2003-10-30

Family

ID=4941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248U KR200331839Y1 (ko) 2003-08-05 2003-08-05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83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3126A1 (en) * 2005-12-23 2007-06-28 Dae-Byeog An The hangul teaching tool with puzzle model
KR101001704B1 (ko) * 2008-07-08 2010-12-16 석금호 한글표시블럭
KR101229066B1 (ko) 2009-11-03 2013-02-05 (주)페찌 아동을 위한 한글 학습교구
KR20180084357A (ko) * 2017-01-17 2018-07-25 이은화 퍼즐형 학습교구
KR20190040750A (ko) 2017-10-11 2019-04-19 구본섭 문자 학습 카드
KR200494876Y1 (ko) * 2021-04-26 2022-01-14 주식회사 포어셈블러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KR20220098634A (ko) 2021-01-04 2022-07-12 김민경 스탬프를 이용한 한글 학습용 놀이교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3126A1 (en) * 2005-12-23 2007-06-28 Dae-Byeog An The hangul teaching tool with puzzle model
KR101001704B1 (ko) * 2008-07-08 2010-12-16 석금호 한글표시블럭
KR101229066B1 (ko) 2009-11-03 2013-02-05 (주)페찌 아동을 위한 한글 학습교구
KR20180084357A (ko) * 2017-01-17 2018-07-25 이은화 퍼즐형 학습교구
KR101974511B1 (ko) * 2017-01-17 2019-05-02 이은화 퍼즐형 학습교구
KR20190040750A (ko) 2017-10-11 2019-04-19 구본섭 문자 학습 카드
KR20220098634A (ko) 2021-01-04 2022-07-12 김민경 스탬프를 이용한 한글 학습용 놀이교구
KR200494876Y1 (ko) * 2021-04-26 2022-01-14 주식회사 포어셈블러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9639A (en) Multi-educational device
US3654712A (en) Teaching aid kit
US5716212A (en) Teaching aid
KR200331839Y1 (ko)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US4515566A (en) Flip card apparatus for forming units of speech
KR101042596B1 (ko) 한글교습도구
KR200493135Y1 (ko)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JP5594738B2 (ja) 英語学習ジグソーパズル
US2964858A (en) Educational game
KR20120080365A (ko) 큐브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KR100491108B1 (ko) 입체형 글씨체가 각인된 글씨 쓰기 연습용 교재
US3808709A (en) Child teaching board game
KR200291798Y1 (ko) 한글학습용 퍼즐
JP6489395B2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KR200410258Y1 (ko) 퍼즐형 한글학습교구
KR100733484B1 (ko)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KR200291779Y1 (ko) 한글학습용 퍼즐
KR200266958Y1 (ko) 문자 교습구
JP3202206U (ja) パズルゲームセット
KR200189401Y1 (ko) 한글 학습교구
KR200144759Y1 (ko) 어학 교습구
CN104637368A (zh) 语文教学方法及装置
KR200494876Y1 (ko) 놀이학습용 퍼즐 장치
KR20120072583A (ko) 받침 학습용 교습구
KR101210898B1 (ko) 영어 문장 5형식 학습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