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082B1 - 한자 조합 놀이구 - Google Patents

한자 조합 놀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082B1
KR100809082B1 KR1020040081983A KR20040081983A KR100809082B1 KR 100809082 B1 KR100809082 B1 KR 100809082B1 KR 1020040081983 A KR1020040081983 A KR 1020040081983A KR 20040081983 A KR20040081983 A KR 20040081983A KR 100809082 B1 KR100809082 B1 KR 100809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play
military
hexa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054A (ko
Inventor
안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안 데이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 데이비드 filed Critical 안 데이비드
Priority to KR1020040081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0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 조합 놀이구에 관한 것으로, 육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직급에 맞는 문양이 인쇄된 군사블럭(22)들; 육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한자가 인쇄되며 상기 육각블럭들의 측면들 중 어느 한 면에 다른 육각블럭을 조합하여서 단어를 만들기 위해 구비되는 한자블럭(21)들; 상기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색상에 따라 점수가 차등되도록 여러 색상을 가지는 복수의 색상인쇄칸(13)들과, 양편의 상기 군사블럭(22)들의 배열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군사블럭(22)들이나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문양인쇄칸(12)들과, 상기 군사블럭(22)들이나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빈칸(11)들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색상인쇄칸(13)들, 문양인쇄칸(12)들, 빈칸(11)들이 서로 조합되어서 육각형의 구획칸(14)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 놀이판(10); 상기 놀이판(10)의 양단에 각각 위치되고 다수의 군사블럭(22)들이 위치되며 육각형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 군사블럭칸(16)들과, 상기 군사블럭칸(16)들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취득한 상대방의 군사블럭(22)들을 위치시키는 획득블럭수납칸(15)들로 이루어진 수납부(17); 상기 놀이판(10)의 일측에 위치되고 캐릭터, 문양, 문자 등이 인쇄되어 이들에 의해 놀이의 규칙을 설명하도록 구비되는 해설부(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놀이판, 빈칸, 문양인쇄칸, 색상인쇄칸, 구획칸, 획득블럭수납칸, 군사블럭칸, 수납부, 해설부, 한자블럭, 군사블럭, 색상면

Description

한자 조합 놀이구{Combination Game for Chinese Character}
도 1a는 종래기술의 한자 놀이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종래기술의 한자 놀이구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a는 종래기술의 다른 한자 놀이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b는 종래기술의 다른 한자 놀이구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의 다른 형태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유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다른 유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또 다른 유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또 다른 유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놀이구 10 : 놀이판
11 : 빈칸 12 : 문양인쇄칸
13 : 색상인쇄칸 14 : 구획칸
15 : 획득블럭수납칸 16 : 군사블럭칸
17 : 수납부 18 : 해설부
21 : 한자블럭 22 : 군사블럭 23 : 색상면 24 : 문양면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한자 조합 놀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도형을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복수로 인쇄하고, 인쇄된 빈칸에 한자가 인쇄된 동일한 형태의 도형으로 형성된 한자블럭을 안치시키며, 안치된 한자블럭에 인쇄된 한자를 시작점으로 도형이 맞닿은 여섯 방향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한자블럭을 단어 및 문장을 만들기 위해서 배열하고, 이렇게 배열되는 한자블럭이 놀이판에 형성된 빈칸을 채움에 따라 빈칸들 사이에 형성된 각종 문양 및 색상에 따라 놀이판의 일측으로 배치된 획득블럭수납칸과 해설부에서 해설된 유희의 규칙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서 흥미를 유발시켜 한자가 자연스럽게 학습되는 한자 조합 놀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자(漢字), 한문(漢文)은 장구한 세월 동안 우리 조상들이 사용해 왔고, 지금 21세기를 맞이해서도 여전히 우리들의 언어생활과 학문연구에 필수적인 언어로 살아 있다. 그리고 우리의 우수한 민족문화는 모두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가 한자, 한문을 버려두고서 학습하지 않는다면 우리 스스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말살하는 행위가 될 것이다.
요즈음 많은 사람들이 앞으로 21세기는 문화전쟁시대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문화전쟁시대에는 우리만의 독창적인 고유문화를 갖고 있을 때 다른 나라와 경쟁하여 살아남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자는 동양의 공통문자로서 동양의 중추적 인 위치에 있는 우리나라 사람으로서는 어느 누구를 막론하고 꼭 배워서 잘 알아야 할 문자이다. 그리고 앞으로 무한 속도를 필요로 하는 정보통신시대에는 한자, 한문은 전 세계 사람들로부터 각광을 받는 문자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동일한 시간 안에 가장 많은 정보량을 주고받을 수 있는 문자가 바로 한자이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지금 서구와 중동 등지에서는 한자, 한문 학습의 열기가 고조되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키우려 한다면, 국가적 차원에서, 한자, 한문의 교육을 더욱더 강화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중등학교에서 체계적이고 정상적인 교육방법으로 한자, 한문을 가르쳐야 한다. 또 한자, 한문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전문가들을 많이 양성하여, 연구와 교육이 정상적으로 되도록 국가에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독창적인 민족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한문의 학습은 필수적인 것이며, 한문의 학습을 위해서는 올바른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세계는 엄청난 속도로 변하고 있으며, 국제화, 개방화는 이 시대의 거대한 흐름이다. 우리가 이 조류를 거역할 경우 무한경쟁, 적자생존, 약육강식 의 논리가 지배를 받게 될것이다.
이에, 국제어 습득은 국제화의 출발이며, 국제어의 일환인 한자는 십수억 동북아인이 사용하는 국제문자이다.
우리 국민의 한자실력에 대해서 얘기를 할 때 주로, 대학생을 예로 든다. 최고학부를 다닌다는 미래의 동량 들이 신문하나 제대로 못 읽는 고학력 문맹 이라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불행하게도 실상은 더 참담하다. 한국어문교육연구회가 전국의 17개 대학 1~3학년생 1천5백명을 대상으로 평가한 대학생의 한자실력은 한마디로 충격적이다. 우선 자신이 다니는 학과를 제대로 못쓰는 경우와 부모이름조차 못쓰는 대학생들이 허다했다. 휘트니 휴스턴, 마이클 잭슨 등 외국연예인의 이름은 영어로 척척 쓰면서 부모 이름 등을 한자로 못쓰는 사실은 이만저만한 문제가 아니다.
또한, 서울 모대학 한문교육과의 어느 교수는 "부끄러운 얘기지만 한문을 전공하겠다는 학생들의 한자실력이 워낙 형편없어 신입생에게 내주는 첫 과제가 사자소학 10번 써오기"라고 말했다. 4자소학 은 조선시대 요즘의 유치원생 또래가 공부하던 생활윤리서로 부 모 충 효 같은 기초한자 4백57자가 반복해서 나온다. 일본의 유치원생이 논어선집 을 공부한다는 사실을 우리 대학생이 짐작이나 할지 궁금하다. 그렇다면 기성세대는 괜찮은가. 한글전용세대인 30대 중반 이하는 대학생과 다를 게 없다. 이들의 실력은 일상생활에서 예사로 틀린 어법을 구사하는 데서 짐작할 수는 있다.
이렇게, 한국의 한자 지도가 낙후화되고 한자에 대한 무용론이 지배적인 현실에서 꾸준히 한자를 가르쳐온 한 학교의 예를 들어보면 첫째, 한자는 어렵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무리라고 말하는 일부의 지적은 기우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교내 한자시험이나 경시대회결과를 보면 타 교과 성적보다 월등히 우수하다. 작년 10월에 있었던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에 6학년 어린이가 3급(1천8백자 해독)에 합격하는 등 성과는 기대이상이다. 한자지도에 반대하거나 적극성을 보이 지 않던 교사들도 시간이 지날수록 보람을 느낀다는 수가 압도적이다. 둘째, 한자를 배우면 학습흥미도와 이해력이 향상되어 학력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 이는 한자를 가르치는 교사들의 지배적인 의견이다. 한자지도를 반대하던 한 2학년 교사는 한 달이 못되어 아이가 쓴 한자공책을 가지고 와서 자랑하기도 했으며, 공부를 않던 아이가 한자를 배우면서 학습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이렇게, 국제적인 언어로 거듭나고 있는 한자를 학습하기 위해서 종래의 방법의 학습교구는 한자와 공란을 일정한 형식으로 병기하여 제시된 한자를 공란에 여러번 쓰면서 학습하도록 하였으나, 계속적으로 반복하면 지루하고 흥미가 떨어져서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최근에는 종이카드의 앞면에 한자를 기재하고 뒷면에 그 한자의 음과 뜻을 기재하여 이동 중에도 한자를 암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종래기술의 한자 학습교재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7148호를 도 1a 내지 도 2b를 통하여 설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면(110, 110a) 중앙부에 한자(112, 112a)가 표시되고 상부 측으로 난이도에 따라 다른 개수로 별(118, 118a)을 형성하고, 한자(112, 112a)의 아래에는 해당 한자(112, 112a)의 부수(114, 114a)와 획수를 표시하며, 상단 모서리에 고리로 연결되도록 구멍(120, 120a)을 형성하고, 배면(130, 130a) 중앙부로 한자(112, 112a)의 뜻(132, 132a)과 음(134, 134a)을 표시되며, 하부에는 한자(112, 112a)의 용례(136, 136a)와 획순(138, 138a), 뜻(132, 132a)과 음이 표시되고 상부로 등급 및 고유번호를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계급표시 카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한자 학습에 사용될 수 있다.
첫째, 두 사람이 순서를 정하여 한 사람이 글자가 보이지 않게 여러 장씩 계급표시 카드를 양손에 쥐면, 상대편이 한쪽 손을 선택한다. 선택된 손을 펴서 상대편에게 보여주면 상대편은 계급표시 카드(100, 100a)에 표시된 한자(112, 112a)의 뜻과 음을 말한다. 상대편이 말한 한자(112, 112a)의 음과 뜻이 맞으면 그 계급표시 카드(100, 100a)에 표시된 별의 숫자만큼의 계급표시 카드를 상대편에게 주고, 틀리면 상대편에게서 별의 숫자만큼 계급표시 카드를 받는다.
둘째, 경우에 따라서는 부모가 계급표시 카드를 여러 장 나열하고 뜻과 음을 말하면 자녀끼리 경쟁하여 해당하는 한자(112, 112a)가 표시된 계급표시 카드(100, 100a)를 찾으면, 그 계급표시 카드(100, 100a)에 표시된 별(118, 118a)의 숫자만큼 계급표시 카드를 가진다.
셋째, 나열된 여러 장의 계급표시 카드(100,100a)를 이용해 단어 만들기를 하여 단어가 완성된 계급표시 카드(100, 100a)를 단어를 만든 사람이 가진다.
넷째, 한 사람은 선택된 계급표시 카드에 표시된 한자를 쓰고 상대편은 계급표시 카드(100, 100a)의 배면에 표기된 획순을 보면서 획순이 맞는지를 확인하여 별(118, 118a) 또는 획순만큼 계급표시 카드를 주거나 받는다.
다섯째, 부수와 획순을 가린 상태로 한자(112,112a)를 보고, 그 한자(112, 112a)의 부수를 말하고 옥편에서 빨리 찾는다. 빨리 찾은 사람이 별(118, 118a)의 수만큼 계급표시 카드(100, 100a)를 가진다.
위에서 설명한 계급표시 카드(100, 100a)는 얇은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네 모서리는 둥글게 하여 어린이들이 손을 다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다른 형태의 게임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종래 한자 교습구를 이용하는 경우 계급표시 카드(100, 100a)에 표시된 별(118, 118a) 등과 같은 등급표시를 이용해 아동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을 하면서 한자를 익힐 수 있도록 해주어, 아동 등이 한자학습에 흥미를 잃지 않게 되고, 뛰어난 한자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한자 학습교재는 하나의 한자의 뜻과 용례 및 그에 따른 부수, 획수 등을 외우기 위한 카드를 제시하는 것으로 개개의 한자를 각기 외움에 따라 뜻을 알기에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자를 카드에 병기하여 단순 암기형태로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흥미가 일찍 떨어지고 난이도에 따른 단순한 분류로 인해 게임의 확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 역할을 수행하는 놀이를 통해 캐릭터의 성격을 형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롤플레잉게임(Role Playing Game)이 컴퓨터의 보급에 따라 온라인 게임과 결합하면서 엄청난 속도로 전파되어 가고 있으며, 판 위에 말이나 카드를 놓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진행하는 게임인 보드게임(Board Game)은 플레이어가 직접 대면하여 즐기기 때문에 주로 혼자 즐기게 되는 컴퓨터 게임과 다른 색다른 맛을 느끼게 된다. 최근의 보드게임은 그 종류가 다양해져서 1만여 종에 이르고 있으며, 영토확장과 재산증식에서 환경보호, 남녀평등과 같은 친사회적 소재까지 그 포괄범위가 매우 넓다. 한국에서는 2000년 이후부터 보드게임방이 전국에 확산되면서 보드게임을 즐기는 문화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단순히 한자가 인쇄된 카드를 서로 읽고 외우는 게임에 대한 흥미가 반감되고 점차 학습교재로 그 역할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의 롤플레잉게임과 보드게임의 열광하는 사람들에게 난이도에 따른 카드를 읽고 외우는 식상한 게임에서 탈피하여 한자를 공부하고 익히면서도 롤플레잉게임이나 보드 게임과 같은 게임성을 갖추어 흥미를 유발하면서 학습에도 도움이 되는 놀이구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다양한 도형을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복수개로 인쇄되는 빈칸이 형성된 놀이판에 다양한 한자가 인쇄되어 빈칸에 형성된 도형 형상의 한자블럭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한자블럭에 인쇄된 한자와 연결되는 단어를 도형의 여섯 방향으로 형성하여 한자의 문형을 조합하는 유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개개의 한자를 문장을 통하여 뜻에 맞게 용이하게 암기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과를 증대하고 한자블럭을 다양하게 변위하여 한자의 숫자에 관계없이 제작이 가능하므로 한자 학습의 제한을 없애고 범용성을 증대하며, 한글의 70%를 차지하는 한자의 원음과 뜻을 단어와 문장으로 이해함에 따라 한글의 이해에도 많은 도움을 주어 한자와 한글의 학습능력을 배가 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빈칸들이 형성된 놀이판의 도형 내부에 여러 가지 색상이 인쇄된 색상인쇄칸을 형성하고 캐릭터, 문자, 문양 등이 인쇄한 문양인쇄칸을 형성하여 색상과 인쇄된 문양에 따라 일정한 규칙을 만들어서 보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형성하여 흥미를 잃기 쉬운 한자학습에 보드게임 방식을 접합시켜 놀이를 하면서 한자로 단어를 조합하도록 하여 창의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놀이판의 좌우 양단으로 복수의 도형이 인쇄된 획득블럭수납칸을 형성하여 획득블럭수납칸의 내부에 일정한 규칙에 의해 인쇄되고 각 역할이 주어진 다양한 형태의 문양면과 색상면을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놀이판에 일정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한자블럭을 놓고 거기에 형성된 한자에 따라 도형이 맞닿은 여섯 방향으로 단어와 문장을 만들어 나가면서 색상면이나 문양면에 도달하면 일측에 형성된 해설부의 규칙에 따라 각 역할이 배정된 문양면과 색상면을 획득블럭수납칸으로 가지고 와서 캐릭터의 성격을 형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롤플레잉게임을 진행하도록 형성하여 한자와 롤플레잉게임을 접합시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능력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도형을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인쇄한 빈칸들이 형성된 놀이판, 도형의 내부에 캐릭터, 문자 색상 등을 인쇄한 문양인쇄칸, 한자가 인쇄된 도형 모양의 한자블럭 및 캐릭터, 문자, 색상 등이 인쇄되어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한 문양면을 컴퓨터로 전자화 시켜 놀이구와 인쇄부를 컴퓨터의 내부에서 사용하여 한자를 학습하면서 놀이를 즐기도록 형성하여 컴퓨터로 용이하고 흥미있는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두뇌 발달과 컴퓨터 운영능력 및 한자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는, 육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직급에 맞는 문양이 인쇄된 군사블럭(22)들; 육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한자가 인쇄되며 상기 육각블럭들의 측면들 중 어느 한 면에 다른 육각블럭을 조합하여서 단어를 만들기 위해 구비되는 한자블럭(21)들; 상기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색상에 따라 점수가 차등되도록 여러 색상을 가지는 복수의 색상인쇄칸(13)들과, 양편의 상기 군사블럭(22)들의 배열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군사블럭(22)들이나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문양인쇄칸(12)들과, 상기 군사블럭(22)들이나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빈칸(11)들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색상인쇄칸(13)들, 문양인쇄칸(12)들, 빈칸(11)들이 서로 조합되어서 육각형의 구획칸(14)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 놀이판(10); 상기 놀이판(10)의 양단에 각각 위치되고 다수의 군사블럭(22)들이 위치되며 육각형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 군사블럭칸(16)들과, 상기 군사블럭칸(16)들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취득한 상대방의 군사블럭(22)들을 위치시키는 획득블럭수납칸(15)들로 이루어진 수납부(17); 상기 놀이판(10)의 일측에 위치되고 캐릭터, 문양, 문자 등이 인쇄되어 이들에 의해 놀이의 규칙을 설명하도록 구비되는 해설부(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의 다른 형태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유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다른 유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또 다른 유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또 다른 유희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1)는 다양한 도형을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다수개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 인쇄한 빈칸(11)들을 형성한 놀이판(10)과, 상기 놀이판(10)의 빈칸(11)들에 형성된 도형의 형상으로 상부에는 한자가 인쇄된 한자블럭(21)을 형성하여 빈칸(11)에 형성된 도형에 안치한 상태에서 도형이 맞닿아서 형성된 여섯 방향으로 한자블럭(21)의 한자를 단어와 문장이 작성되도록 연결하는 군사블럭(2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놀이판(10)은 빈칸(11)들 사이에 일정한 규칙에 따라 여러 가지 색상을 형성한 색상인쇄칸(13)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놀이판(10)은 빈칸(11)들의 도형의 내부에 일정한 규칙에 따라 문자, 글자, 캐릭터, 이미지 등을 인쇄하여 형성된 문양인쇄칸(12)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놀이판(10)은 양측 단부의 다수의 도형 내부에 캐릭터, 문양, 글자 등을 인쇄하여 놀이의 규칙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배열하여 놀이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획득블럭수납칸(15)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놀이판(10)의 일측으로 캐릭터, 문양, 문자 등이 놀이의 규칙을 설명하도록 인쇄하여 놀이를 진행하는 해설부(18)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군사블럭(22)은 놀이판(10)의 빈칸(11)들에 형성된 도형에 놓여지도록 도형 형태로 여러 가지 다양한 색상이 형성되어 놀이의 규칙에 따라 배열되는 색상면(23)을 형성하고, 놀이판(10)의 빈칸(11)들 사이에 형성된 도형에 놓여지도록 도형 형태로 캐릭터, 문양, 글자 등이 인쇄되어 놀이의 규칙에 따라 배열하는 문양면(24)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놀이판(10)에 형성된 빈칸(11)들의 도형을 육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각 변이 맞닿아 여섯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하고, 군사블럭(22)도 육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빈칸(11)들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한자블럭(21)을 제시한 상태에서 각변이 맞닿은 여섯 방향으로 단어와 문장이 형성되도록 연결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놀이판(10)에 형성된 빈칸(11)들의 도형을 원으로 여섯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다수개 형성하고, 군사블럭(22)도 원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반칸(11)들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한자블럭(21)을 제시한 상태에서 맞닿은 여섯 방향으로 단어와 문장이 형성되도록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빈칸(11) - 놀이판(10)의 여러 칸들 중에서 색상인쇄나 문양인쇄가 되어 있지 않은 칸을 말한다.
(2) 문양인쇄칸(12) - 놀이판(10)의 여러 칸들 중에서 적군과 아군의 군사블럭(22)을 초기에 세팅하기 위한 칸들을 말한다. 놀이판(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인쇄되어 있다.
(3) 색상인쇄칸(13) - 놀이판(10)의 여러 칸들 중 빈칸(11) 및 문양인쇄칸(12)을 제외한 칸들을 말하며, 이 칸들에는 여러 색상이 인쇄되어 있다. 한자블럭(21)이 해당 색상인쇄칸(13)에 위치되면 그 색상에 따라 매겨진 점수를 가산하여 받게 된다.
(4) 구획칸(14) - 빈칸(11), 문양인쇄칸(12), 색상인쇄칸(13)을 말하며, 양편의 군사블럭(22)들이나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는 놀이판(10) 상의 전체 칸들이다.
(5) 획득블럭수납칸(15) - 한자를 조합하여 나가다가 놀이판(10)의 구획칸(14)들에 착점한 한자블럭(21)이 상대방의 군사블럭(22)상에 위치되면 그 군사블럭(22)을 취득하여 배열하는 칸들이다. 즉 취득한 상대방의 군사블럭(22)인 포로들을 수용하는 칸들이다.
(6) 군사블럭칸(16) - 한자를 조합하여 나가다가 놀이판(10)의 구획칸(14)들에 착점한 한자블럭(21)이 나의 군사블럭(22)상에 위치되면 그 군사블럭(22)을 취득하여 배열하는 칸들이다. 즉, 취득한 아군의 군사블럭(22)을 수용하는 칸들이다.
(7) 수납부(17) - 획득블럭수납칸(15)과 군사블럭칸(16)이 구획되어서 자신이나 상대방의 군사블럭(22)들이 수납되는 곳이다.
(8) 해설부(18) - 게임 진행 방법이 도형이나 문자, 숫자로 설명된 곳이다.
(9) 군사블럭(22) -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놀이판(10) 상에 배열되는 다수의 블럭들이며 나의 블럭들과 상대방의 블럭들로 나누어진다. 이 군사블럭(22)들은 계급에 따라 다양한 캐릭터나 문자, 색상이 인쇄되어 있다. 이러한 군사블럭(22)을 놀이판(10) 상에 세팅시킬 시 색상인쇄칸(13)과 문양인쇄칸(12) 상에 놓지 않으며 빈칸(11) 상에 올려 놓는다.
(10) 한자블럭(21) - 블럭마다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바탕색 상에 한자가 인쇄되어 구비되며, 이 한자블럭(21)의 바탕색에 따라 급수 구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자블럭(21)의 흑색은 8급, 녹색은 7급, 하늘색은 6급 등으로 급수를 구별할 수 있다. 게임을 시작하기 위해 한자블럭(21)들 중 최초의 한자블럭(21)이 놀이판(10) 상에 놓일 때에는 놀이판(10)의 칸들 중에서 빈칸(11)에 놓이게 되며, 그 다음 놓이는 한자블럭(21)들은 최초로 놓인 한자블럭(21)과 연결되도록 하여서 단어나 문장이 이루어지도록 놀이판(10)의 여러 칸들에 놓인다.
(11) 문양면(24) - 각각의 군사블럭(22) 상에 인쇄되어서 그 군사블럭(22)의 계급을 나타내는 캐릭터, 문양, 글자 등을 말한다.
(12) 색상면(23) - 문양면(24)이 인쇄된 군사블럭(22)의 바탕면이며, 이 색상면(23)의 색상을 통해서 그 계급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유희를 즐기는 유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자가 상부에 인쇄된 도형 형상의 군사블럭(22)의 한자블럭(21)을 난이도와 놀이판(10)의 크기에 따른 수량을 결정하여 유희의 범위를 정하는 준비단계(S1)를 거쳐서, 준비된 한자블럭(21)을 다양한 도형을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다수개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 인쇄한 놀이판(10)의 빈칸(11)들의 정해진 위치로 위치시켜 연결될 단어와 문장의 첫 한자블럭(21)을 제시하는 문자 제시단계(S2)에서 제시할 한자를 제시한다.
이렇게, 문제 제시단계(S2)에서 제시된 한자블럭(21)에 대해서 도형이 맞닿도록 형성된 여섯 방향으로 단어와 문장이 형성되는 한자블럭(21)을 빈칸(11)들의 도형이 맞닿아 연결되는 여섯 방향으로 연결하여 조합하는 한자 조합단계(S3)를 거쳐서, 조합되는 한자블럭(21)의 숫자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여 승패를 결정하면서 유희를 즐기는 유희단계(S4)에서 점수에 따른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유희를 즐기는 다른 형태의 유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자가 상부에 인쇄된 도형 형상의 군사블럭(22)의 한자블럭(21)을 난이도와 놀이판(10)의 크기에 따른 수량을 결정하여 유희의 범위를 정하는 준비단계(S11)를 거쳐서, 준비된 한자블럭(20)을 놓기 위해서 도형이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다수개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 인쇄한 놀이판(10) 빈칸(11)들의 도형 사이에 일정한 규칙으로 여러 가지 색상을 형성한 색상인쇄칸(13)을 형성하여 배열하면서 색상에 따라 규칙이 정해지는 유희규칙 규정단계(S12)에서 유희의 규칙을 규정한다.
이렇게, 유희규칙 규정단계(S12)에서 규정된 규칙에 따라 한자블럭(21)을 도형이 맞닿은 여섯 방향이 되도록 다수개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 인쇄되고 색상인쇄칸(13)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빈칸(11)들의 정해진 위치로 위치시켜 연결될 단어와 문장의 첫 한자블럭(21)을 제시하는 문자 제시단계(S13)를 거쳐서, 제시된 한자블럭(21)에 대해서 도형이 맞닿은 여섯 방향으로 단어와 문장이 형성되는 한자블럭(21)을 빈칸(11)의 도형이 맞닿아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결하여 조합하는 한자 조합단계(S14)에서 한자를 조합하면서 유희를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한자블럭(21)의 숫자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고, 한자블럭(21)을 놓으면서 단어와 문장을 조합하다가 색상인쇄칸(13)에 놓이게 되면 다른 규칙을 형성하여 승패에 영향을 주면서 승패를 결정하는 유희를 즐기는 유희단계(S15)에서 여러 가지 규칙으로 흥미로운 유희를 즐기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유희를 즐기는 또 다른 형태의 유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자가 상부에 인쇄된 도형 형상의 군사블럭(22)의 한자블럭(21)을 난이도와 놀이판(10)의 크기에 따른 수량을 결정하여 유희의 범위를 정하는 준비단계(S21)를 거쳐서, 준비된 한자블럭(21)을 놓기 위해서 형이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다수개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 인쇄한 놀이판(10)의 빈칸(11)들의 도형 사이에 일정한 규칙으로 여러 가지 색상을 형성한 색상인쇄칸(13)을 형성하고, 도형의 내부에 일정한 규칙으로 문자, 글자, 캐릭터, 이미지 등을 인쇄한 문양인쇄칸(12)을 형성하여 배열하여 놀이판(10)을 구성하는 놀이판 구성단계(S22)에서 놀이의 규칙에 맞게 배열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놀이판 구성단계(S22)에서 색상인쇄칸(13)과 문양인쇄칸(12)이 배열된 놀이판(10)의 일측으로 해설부(18)를 형성하여 각 색상과 문양에 따른 규칙을 알려주고 임무를 부여하여 유희가 진행되도록 색상과 문양에 따라 규칙이 정해지는 유희규칙 규정단계(S23)를 거쳐서, 규정된 규칙에 따라 한자블럭(21)을 도형이 맞닿은 여섯 방향이 되도록 다수개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 인쇄되고 색상인쇄칸(13)과 문양인쇄칸(12)을 해설부(18)의 규칙대로 배열된 빈칸(11)들의 정해진 위치로 위치시켜 연결될 단어와 문장의 첫 한자블럭(21)을 제시하는 문자 제시단계(S24)에서 한자의 글자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문제 제시단계(S24)에서 제시된 한자블럭(21)에 대해서 도형이 맞닿은 여섯 방향으로 단어와 문장이 형성되는 한자블럭(21)을 빈칸(11)들의 도형이 맞닿아 연결되는 여섯 방향으로 연결하여 조합하는 한자 조합단계(S25)를 거쳐서, 조합되는 한자블럭(21)의 숫자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고, 한자블럭(21)을 놓으면서 단어와 문장을 조합하다가 색상인쇄칸(13)이나 문양인쇄칸(12)에 놓이게 되면 해설부(18)에 병기된 규칙에 따라 각종 임무를 수행하고 승패를 결정하며 즐기는 유희단계(S26)에서 보드게임과 같은 형태로 각종 임무를 수행하고 흥미를 유발하면서 유희를 즐기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자 조합 놀이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유희를 즐기는 또 다른 형태의 유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자가 상부에 인쇄된 도형 형상의 군사블럭(22)의 한자블럭(21)을 난이도와 놀이판(10)의 크기에 따른 수량을 결정하고, 놀이가 진행되는 이야기와 스토리에 따라 색상이 형성된 색상면(23)과, 이야기와 스토리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 문양 및 문자 등이 형성된 문양면(24)을 규칙에 따라 형성하여 유희의 범위를 정하는 준비단계(S31)를 거쳐서, 준비된 군사블럭(22)을 놓기 위해서 다양한 도형이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다수개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 인쇄한 놀이판(10) 빈칸(11)들의 도형 사이에 일정한 규칙으로 여러 가지 색상을 형성한 색상인쇄칸(13)을 형성하고, 도형의 내부에 일정한 규칙으로 문자, 글자, 캐릭터, 이미지 등을 인쇄한 문양인쇄칸(12)을 형성하여 배열하여 놀이판(10)을 구성하는 놀이판 구성단계(S32)에서 놀이판을 구성한다.
이렇게, 놀이판 구성단계(S32)에서 색상인쇄칸(12)과 문양인쇄칸(13)이 배열된 놀이판(10)의 일측으로 캐릭터, 문양, 글자 등을 인쇄하여 놀이의 규칙을 설명하여 놀이를 진행하는 해설부(18)를 형성하여 각 색상과 문양에 따른 규칙을 표시하여 임무를 부여하고 유희가 진행되도록 알려주며 놀이판(10)의 양측 단부로 다수의 도형 내부에 캐릭터, 문양, 글자 등을 인쇄한 획득블럭수납칸(15)을 형성하여 유희의 스토리에 따라 문양면(24)과 색상면(23)을 수납하여 유희의 진행을 알리고 승패나 임무 수행을 규정하는 유희규칙 규정단계(S33)를 거쳐서, 정해진 규정된 규칙에 따라 놀이판(10)에 형성된 빈칸(11), 색상인쇄칸(13) 및 문양인쇄칸(12)의 상부로 해설부(18)에서 해설된 스토리에 따라서 캐릭터, 문양, 글자 등이 인쇄된 문양면(24)과 다양한 색상이 인쇄된 색상면(23)을 사용자가 적절히 배열하여 한자 조합에 의해 한자블럭(21)이 위치하면 상대 및 자신의 캐릭터를 획득블럭수납칸(15)획득블럭수납칸서 규칙에 따라 승부를 결정하도록 문양면(24)과 색상면(23)을 배열하는 군사블럭 배열단계(S34)에서 여러 문양과 색상을 해설부(18)의 해설에 따라 배열한다.
상기와 같이, 군사블럭 배열단계(S34)에서 문양면(24)과 색상면(23)을 배열한 상태에서 한자블럭(21)을 도형이 맞닿은 여섯 방향이 되도록 다수개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 인쇄되고 색상인쇄칸(13)과 문양인쇄칸(12)이 해설부(18)의 규칙대로 배열된 빈칸(11)들의 정해진 위치로 위치시켜 연결될 단어와 문장의 첫 한자블럭(21)을 제시하는 문자 제시단계(S35)를 거쳐서, 조합되는 한자블럭(21)의 숫자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고, 한자블럭(21)을 놓으면서 단어와 문장을 조합하다가 색상인쇄칸(13)이나 문양인쇄칸(12)에 놓이게 되면 해설부(18)에 병기된 규칙에 따라 각종 임무를 수행하며, 군사블럭 배열단계(S34)에서 배열된 문양면(24)과 색상면(23)에 한자블럭(21)이 놓이면 문양면(24)과 색상면(23)을 획득블럭수납칸(15)에 위치하면서 해설부(18)의 스토리 전개에 따라 승패를 결정하며 즐기는 유희단계(S37)에서 롤플레잉 게임과 같이 흥미진진한 스토리를 한자 조합 놀이에 추가시켜 더욱 흥미를 유발하여 즐겁게 게임을 즐길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자조합 놀이구를 이용한 좀 더 구체적인 놀이방법을 설명한다.
1. 준비
한자블럭(21)과 군사블럭(22)을 구별해서 나눈다.
한자블럭(21)은 인쇄된 한자가 위를 향하도록 배열한다. 한자의 급수는 한자블럭(21)의 바탕색상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군사블럭(22)은 나의 군사블럭(22)과 상대방의 군사블럭(22)으로 나누어진다.
각 플레이어는 다양한 군사블럭(22)들을 소유하는 바, 여러 개의 "군"블럭들과, "장군"블럭들과, "기사"블럭들과, "인자"블럭들과 "왕"블럭을 소유한다.
각각의 군사블럭(22)들은 놀이판(10)의 빈칸(11)에 놓는다.
군사블럭(22)들을 빈칸(11)에 놓을 때에는 각각의 군사블럭(22)들의 계급을 알 수 없도록 도형이나 문자가 바닥을 향하도록 놓는다.
양쪽의 군사블럭(22)들이 놀이판(10)의 빈칸(11)들에 배치되면 게임을 시작한다.
2. 게임방법
먼저 게임을 진행하는 첫번째 사람(나)은 한 개의 한자블럭(21)을 골라서 놀이판(10)의 빈칸(11)들 중 어느 하나의 빈칸(11)에 올려 놓는다.
두번째 사람(상대방)은 그 한자블럭(21)에 인쇄된 한자에 어떤 다른 한자를 연결하면 특정한 단어나 문장이 이루어지는지를 생각하여서 다른 한자블럭(21)을 선택하고 선택된 한자블럭(21)을 최초의 한자블럭(21)에 연결되도록 놀이판(10)의 칸들 상에 올려 놓는다.
예를 들어 내가 놀이판(10)의 빈칸(11)들 중 어느 하나의 빈칸(11)에 "中"자의 한자블럭(21)을 올려 놓았을 경우, 상대방은 "國"자를 선택하여서 "中"자와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中國"이라는 단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어가 만들어질 때마다 그 단어를 만든 사람에게 점수가 부여된다.
그 다음 내가 게임을 진행하여서 다른 단어나 문장을 만들고, 그 다음 상대방이 게임을 진행하여서 다른 단어나 문장을 만들며 이와 같이 게임을 반복한다.
여기서, 한자블럭(21)을 놀이판(10)의 칸들에 놓을 때에 군사블럭(22)이 위치한 칸들에 놓이게 되면 그 군사블럭(22)은 게임을 진행하고 있는 사람이 이를 취득한다.
이때, 그 군사블럭(22)이 자신의 군사블럭(22)이면 취득하여서 자신의 군사블럭칸(16)에 위치시키고 상대방의 군사블럭(22)이면 취득하여서 자신의 획득블럭수납칸(15)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게임을 계속 진행하여서 점수가 높은 사람이나 상대방의 특정 군사블럭, 예를 들면 "왕"군사블럭(22)을 취득한 사람이 승자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자조합 놀이구는 다양한 도형을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복수개로 인쇄되는 빈칸들이 형성된 놀이판에 다양한 한자가 인쇄된 한자블럭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한자블럭에 인쇄된 한자와 연결되는 단어를 도형의 여섯 방향으로 형성하여 한자의 문형을 조합하는 유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개개의 한자를 문장을 통하여 뜻에 맞게 용이하게 암기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과를 증대하고 한자블럭을 다양하게 변위하여 한자의 숫자에 관계없이 제작이 가능하므로 한자 학습의 제한을 없애고 범용성을 증대하며, 한글의 70%를 차지하는 한자의 원음과 뜻을 단어와 문장으로 이해함에 따라 한글의 이해에도 많은 도움을 주어 한자와 한글의 학습능력을 배가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빈칸들이 형성된 놀이판의 도형 내부에 여러 가지 색상이 인쇄된 색상인쇄칸을 형성하고 캐릭터, 문자, 문양 등이 인쇄한 문양인쇄칸을 형성하여 색상과 인쇄된 문양에 따라 일정한 규칙을 만들어서 보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형성하여 흥미를 잃기 쉬운 한자학습에 보드게임 방식을 접합시켜 놀이를 하면서 한자로 단어를 조합하도록 하여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놀이판의 좌우 양단으로 복수의 도형이 인쇄된 획득블럭수납칸을 형성하여 획득블럭수납칸의 내부에 일정한 규칙에 의해 인쇄되고 각 역할이 주어진 다양한 형태의 문양면과 색상면을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놀이판에 일정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한자블럭을 놓고 거기에 형성된 한자에 따라 도형이 맞닿은 여섯 방향으로 단어와 문장을 만들어 나가면서 색상면이나 문양면에 도달하면 일측에 형성된 해설부의 규칙에 따라 각 역할이 배정된 문양면과 색상면을 획득블럭수납칸으로 가지고 와서 캐릭터의 성격을 형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롤플레잉게임을 진행하도록 형성하여 한자와 롤플레잉게임을 접합시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능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다양한 도형을 여섯 방향으로 맞닿도록 인쇄한 빈칸들이 형성된 놀이판, 도형의 내부에 캐릭터, 문자 색상 등을 인쇄한 문양인쇄칸, 한자가 인쇄된 도형 모양의 한자블럭 및 캐릭터, 문자, 색상 등이 인쇄되어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한 문양면을 컴퓨터로 전자화 시켜 놀이구와 인쇄부를 컴퓨터의 내부에서 사용하여 한자를 학습하면서 놀이를 즐기도록 형성하여 컴퓨터로 용이하고 흥미있는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두뇌 발달과 컴퓨터 운영능력 및 한자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2)

  1. 육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직급에 맞는 문양이 인쇄된 군사블럭(22)들;
    육각블럭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한자가 인쇄되며 상기 육각블럭들의 측면들 중 어느 한 면에 다른 육각블럭을 조합하여서 단어를 만들기 위해 구비되는 한자블럭(21)들;
    상기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색상에 따라 점수가 차등되도록 여러 색상을 가지는 복수의 색상인쇄칸(13)들과, 양편의 상기 군사블럭(22)들의 배열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군사블럭(22)들이나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문양인쇄칸(12)들과, 상기 군사블럭(22)들이나 한자블럭(21)들이 위치되도록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빈칸(11)들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색상인쇄칸(13)들, 문양인쇄칸(12)들, 빈칸(11)들이 서로 조합되어서 육각형의 구획칸(14)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 놀이판(10);
    상기 놀이판(10)의 양단에 각각 위치되고 다수의 군사블럭(22)들이 위치되며 육각형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 군사블럭칸(16)들과, 상기 군사블럭칸(16)들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취득한 상대방의 군사블럭(22)들을 위치시키는 획득블럭수납칸(15)들로 이루어진 수납부(17);
    상기 놀이판(10)의 일측에 위치되고 캐릭터, 문양, 문자 등이 인쇄되어 이들에 의해 놀이의 규칙을 설명하도록 구비되는 해설부(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 조합 놀이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40081983A 2004-10-14 2004-10-14 한자 조합 놀이구 KR100809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983A KR100809082B1 (ko) 2004-10-14 2004-10-14 한자 조합 놀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983A KR100809082B1 (ko) 2004-10-14 2004-10-14 한자 조합 놀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054A KR20060033054A (ko) 2006-04-19
KR100809082B1 true KR100809082B1 (ko) 2008-03-03

Family

ID=3714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983A KR100809082B1 (ko) 2004-10-14 2004-10-14 한자 조합 놀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70B1 (ko) * 2009-10-12 2012-01-20 김진우 한자 학습 게임의 형성자 캐릭터 형성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874Y1 (ko) * 1982-08-25 1983-12-13 임춘재 교습겸용 오락용구
KR200209617Y1 (ko) * 2000-08-17 2001-01-15 스토커 테리 영어학습 게임기구
KR20020030434A (ko) * 2000-10-17 2002-04-25 김민기 낱말학습기구
KR20020043483A (ko) * 2002-04-26 2002-06-10 이동원 말과 공을 이용한 스포츠 게임 기구
KR200314562Y1 (ko) * 2003-01-11 2003-05-27 김세환 퍼즐게임용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874Y1 (ko) * 1982-08-25 1983-12-13 임춘재 교습겸용 오락용구
KR200209617Y1 (ko) * 2000-08-17 2001-01-15 스토커 테리 영어학습 게임기구
KR20020030434A (ko) * 2000-10-17 2002-04-25 김민기 낱말학습기구
KR20020043483A (ko) * 2002-04-26 2002-06-10 이동원 말과 공을 이용한 스포츠 게임 기구
KR200314562Y1 (ko) * 2003-01-11 2003-05-27 김세환 퍼즐게임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054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5585A (en) Multiple-post toy stacker assembly
Nicholson Making gameplay matter: Designing modern educational tabletop games
US20040209231A1 (en) Second language learning system
Zuparova Using Didactic Game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s
KR20180092454A (ko) 한글한판 놀이 교구를 이용한 낱말 만들기 게임방법
Prensky In digital games for education, complexity matters
KR20190102708A (ko)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KR100809082B1 (ko) 한자 조합 놀이구
Ochoa Simulation and gaming: Simile or synonym?
Morgan et al. Use phonics activities to motivate learners with difficulties
JP3124609U (ja) 知育玩具
Downs From globes to GIS: The paradoxical role of tools in school geography
CN101561974A (zh) 儿童反义词学习抢答游戏扑克牌
JP3244487U (ja) 神経衰弱ゲーム型木目を持つ木製遊戯セット
RU36628U1 (ru) Настольная игра с прямоугольными карточками
KR100692929B1 (ko) 오락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한글과 한자 및 외국어 교습용카드
Ghere et al. Inventing music education games
Nicholson Improving the trivia game model
GB2358807A (en) A word forming board game
Rosenberg Time Offline and On
KR200371310Y1 (ko) 한문학습용 카드
Asadbek HOW TO UTILIZE FLASH CARDS, REALIA AND PHOTOGRAPHS, FEELY BAGS, STORY TIME, ORGANIZING AND USING BLACKBOARD PROPERLY
TWM626339U (zh) 情緒認知教具組合
Golden Fostering enthusiasm through child-created games
Shuhratovna ENGLISH LESSONS FOR PRIMARY CLASSES ARE INTERESTING AND EFFECTIVE ORGA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