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708A -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 Google Patents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708A
KR20190102708A KR1020180023513A KR20180023513A KR20190102708A KR 20190102708 A KR20190102708 A KR 20190102708A KR 1020180023513 A KR1020180023513 A KR 1020180023513A KR 20180023513 A KR20180023513 A KR 20180023513A KR 20190102708 A KR20190102708 A KR 2019010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sonant
vowel
card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오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영 filed Critical 오세영
Priority to KR102018002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2708A/ko
Publication of KR2019010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08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tex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75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pictures or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63F2003/0405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relating to specific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드게임도구(1)는, 표면에 한글 자음(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자음카드(11)들 및 표면에 한글 모음(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모음카드(13)들을 포함하고, 카드(11,13)들의 이면에는 서로 구별하지 못하게 동일한 무늬(17)가 형성되어 있는, 한글자모카드(10); 및 표면을 오픈한 카드(11, 13)들을 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자음카드(11)가 배치되는 초성블록(21), 초성블록(21)의 우측에 위치되고 모음카드(13)가 배치되는 종모음블록(22), 초성블록(21)의 하측에 위치되고 모음카드(13)가 배치되는 횡모음블록(23), 및 횡모음블록(23)의 하측에 위치되고 자음카드(11)가 배치되는 종성블록(24)이 형성되어 있는 글자조립판(20); 을 포함하고, 무작위로 섞은 히든의 한글자모카드(10)의 카드(11, 13)들에서, 게임 참가자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1장씩의 카드(11, 13)를 선택 및 오픈하여, 글자조립판(20)의 대응하는 블록(21, 22, 23, 24)에 배치하고, 글자조립판(20)에 배치된 카드(11, 13)들의 조합이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구성하게 될 때, 글자를 완성되게 하는 최종의 카드(11, 13)를 글자조립판(20)에 배치한 게임 참가자가, 완성된 글자를 구성하는 카드(11, 13)들을 획득하고, 히든의 카드(11, 13)가 모두 선택 및 오픈된 후에 각 게임 참가자가 획득한 카드(11, 13)에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Description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Hangul Consonant-Vowel Board Game Tool}
본 발명은 보드게임도구에 관한 것이며, 보드게임을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한글을 학습할 수 있는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한글을 포함한 각종 글자를 배우는 과정은, 반복하고 암기해야 하는 지루한 과정이므로, 학습자가 쉽게 학습에 흥미를 잃고 곤란을 겪게 된다. 따라서 한글학습의 주안점 중의 하나는,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런 배경에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다양한 한글학습 콘텐츠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시청각 학습교재들까지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규칙을 정해 놓고 승부를 겨루는 게임은, 흥미와 승부욕을 유발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서, 게임에 학습적 요소를 접목한 놀이학습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실현되어 왔다.
학습에 접목할 수 있은 대표적인 게임으로서는, 종이 판이나 나무 판으로 된 보드 주변에 여럿이 둘러앉아 즐기는 놀이인 보드게임이 있다.
보드게임에 학습적 요소를 접목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477898호의 '학습용 보드게임 도구', 대한민국 특허 제10-1661451호의 '생물자원 학습용 보드게임도구', 대한민국 특허 제10-1150924호의 '외국어 학습용 보드 게임 교구', 대한민국 특허 제10-1632996호의 '한자 학습용 보드 게임 교구', 대한민국 특허 제10-1609669호의 '학습용 보드게임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 학습용 보드게임 시스템 및 그 보드게임 방법', 대한민국 특허 제10-1294600호의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교구', 및 대한민국 특허 제10-1585632호의 '단어 만들기 보드게임' 등이 있다.
특히, 보드게임에 한글학습을 접목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81015호의 '한글 기반의 보드 게임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4665호의 '한글 자모 낱자를 조합하여 진행하는 보드 게임 방법 및 장치'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는 승패를 겨루는 보드게임을 즐기면서 지루함이 없이 흥미를 가지고 자연스럽게 한글을 학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글자를 만드는 한글의 제자원리를, 승패를 겨루는 놀이로 즐길 수 있는 보드게임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게임을 즐기는 과정에서, 자음과 모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조합에 의해 글자가 완성되어지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숙지하고, 완성된 글자의 청음 및 발음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한글이 학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동이나 외국인들과 같이 한글을 처음 배우는 학습자가 보드게임을 통해 흥미를 잃지 않고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는, 한글자모카드와 글자조립판을 포함한다.
상기 한글자모카드는, 표면에 한글의 자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자음카드들 및 표면에 한글의 모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모음카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들의 이면에는 서로 구별하지 못하게 동일한 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글자조립판은, 표면을 오픈한 상기 카드들을 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글자조립판에는, 상기 자음카드가 배치되는 초성블록, 상기 초성블록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가 배치되는 종모음블록, 상기 초성블록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가 배치되는 횡모음블록, 및 상기 횡모음블록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음카드가 배치되는 종성블록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를 사용한 보드게임은, 무작위로 섞은 히든의 상기 한글자모카드의 상기 카드들에서, 게임 참가자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1장씩의 상기 카드를 선택 및 오픈하여, 상기 글자조립판의 대응하는 상기 블록에 배치하고, 상기 글자조립판에 배치된 상기 카드들의 조합이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구성하게 될 때, 상기 글자를 완성되게 하는 최종의 상기 카드를 상기 글자조립판에 배치한 게임 참가자가, 완성된 상기 글자를 구성하는 상기 카드들을 획득하고, 히든의 상기 카드가 모두 선택 및 오픈된 후에 각 게임 참가자가 획득한 상기 카드에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상기 블록들에는 서로 구분되는 다른 표식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카드의 표면에는 상기 블록의 상기 표식에 대응하는 서로 구분되는 표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한글자모카드는, 게임 참가자가 선택하면 상기 글자조립판에 배치하지 않고, 선택한 해당 게임 참가자가 점수를 획득하는 적어도 1장 이상의 조커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용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표면에 한글의 자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자음카드 이미지들 및 표면에 한글의 모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모음카드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 이미지들의 이면에는 서로 구별하지 못하는 동일한 무늬의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한글자모카드 이미지 데이터; 표면을 오픈한 상기 카드 이미지들을 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판상의 이미지이고, 상기 자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초성블록 이미지, 상기 초성블록 이미지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종모음블록 이미지, 상기 초성블록 이미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횡모음블록 이미지, 및 상기 횡모음블록 이미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종성블록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글자조립판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자음과 상기 모음에 의해 만들어지는 글자들의 발음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글자발음 음성데이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컴퓨터로 실행하면, 무작위로 섞은 히든의 상기 한글자모카드의 상기 카드들에서, 게임 참가자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1장씩의 상기 카드를 선택 및 오픈하여, 상기 글자조립판의 대응하는 상기 블록에 배치하고, 상기 글자조립판에 배치된 상기 카드들의 조합이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구성하게 될 때, 상기 글자를 완성되게 하는 최종의 상기 카드를 상기 글자조립판에 배치한 게임 참가자가, 완성된 상기 글자를 구성하는 상기 카드들을 획득하고, 히든의 상기 카드가 모두 선택 및 오픈된 후에 각 게임 참가자가 획득한 상기 카드에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보드게임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및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용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자음과 모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조합으로 글자가 완성되는 과정을 보드게임으로 실현한 도구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보드게임을 즐기는 과정에서, 자음과 모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조합에 의해 글자가 완성되어지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관찰함과 아울러, 완성된 글자를 청음 및 발음하는 것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한글을 학습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아동이나 외국인들과 같이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습자가 흥미를 잃지 않고 한글을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예시적인 한글자모카드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의 사용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의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1)는, 한글자모카드(10)와 글자조립판(20)을 포함한다.
상기 한글자모카드(10)는,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자음카드(11)와 다수의 모음카드(13)를 포함한다.
한글자모카드(10)를 구성하는 전체의 자음카드(11)와 모음카드(13)들은, 예를 들어 화투나 트럼프와 같이 동일한 크기와 재질(예, 종이 또는 플라스틱합성수지 시트)의 4각형 카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각 자음카드(11)의 표면에는 하나씩의 자음(12)이 형성(인쇄)되어 있고, 각각의 모음카드(13)에는 하나씩의 모음(14)이 형성(인쇄)되어 있는 한편, 이들 카드(11, 13)들의 이면에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이 노출되도록 엎어놓은 히든 상태에서 표면에 인쇄된 자음과 모음을 구별하지 못하도록, 동일한 무늬(17)가 형성(인쇄)되어 있다. 상기 무늬(17)로는 서로 구별되지 않은 무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자음카드(11)는, 도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14개의 기본자음에 5개의 복자음을 더한 표준어 자음인 'ㄱ(기역: [k/g]), ㄲ(쌍기역: [kk], ㄴ(니은: [n]), ㄷ(디귿: [t/d]), ㄸ(쌍디귿: [tt]), ㄹ(리을: [l/r]), ㅁ(미음: [m]), ㅂ(비읍: [p/b]), ㅃ(쌍비읍: [pp]), ㅅ(시옷: [s]), ㅆ(쌍시옷: [ss]), ㅇ(이응: [ng]), ㅈ(지읒:[j]), ㅉ(쌍지읒: jj]), ㅊ(치읓:[ch]), ㅋ(키읔: [k]), ㅌ(티읕: [t]), ㅍ(피읖: [p]) 및 ㅎ(히읗: [h])'의 자음(12)이 형성(인쇄)된 19장의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글학습 초보자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자음카드(11)에는 5개의 복자음(ㄲ, ㄸ, ㅃ, ㅆ, ㅉ)을 제외하고 14자의 기본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및 ㅎ)만을 형성한 14장의 자음카드(11)만을 포함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의 한글에서, 종성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및 ㅄ'의 11자의 복자음을 형성(인쇄)한 11장의 종성용 자음카드를 자음카드(11)에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모음카드(13)는, 도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10개의 기본모음인 'ㅏ(아: [a]), ㅑ(야: [ya]), ㅓ(어: [eo]), ㅕ(여: [yeo]), ㅗ(오: [o]), ㅛ(요: [yo]), ㅜ(우: [u]), ㅠ(유: [yu]), ㅡ(으: [eu]) 및 ㅣ(이: [i])'의 모음(14)이 형성(인쇄)된 10장의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10자의 모음(14)은, 초성인 자음(12)의 우측에 종으로 쓰는 'ㅏ, ㅑ, ㅓ, ㅕ 및 ㅣ'의 종모음(14a)과 초성인 자음(12)의 아래에 횡으로 쓰는 'ㅗ, ㅛ, ㅜ, ㅠ 및 ㅡ'의 횡모음(14b)으로 구성된다.
복모음인 11개의 'ㅐ(애: [ae]), ㅒ(얘: [yae]), ㅔ(에: [e]), ㅖ(예: [ye]), ㅘ(와: [wa]), ㅙ(왜: [wae]), ㅚ(외: [oe]), ㅝ(워: [wo]), ㅞ(웨:[we]), ㅟ(위: [wi]) 및 ㅢ(의: [ui])'의 모음은, 상기 10개의 기본모음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10장의 모음카드(13)로 21자의 표준어 모음을 모두 형성할 수 있다.
카드(11, 13)에 자음(12)과 모음(14)을 형성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인쇄가 바람직하지만, 자음(12)과 모음(14)을 카드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등, 인쇄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도 배제되지 아니하며, 이하 동일하다.
상기 글자조립판(20)은, 한글자모카드(10)의 카드(11, 13)들을, 자음(12)과 모음(14)이 보이도록 표면을 오픈한 상태로 위에 배치할 수 있는 판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어 종이나 플라스틱합성수지로 형성된 넓은 사각형의 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글자조립판(20)의 표면에는,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록이 형성(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으로는 초성블록(21), 종모음블록(22), 횡모음블록(23) 및 종성블록(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글자조립판(10)은, 19자의 자음(12)이 형성된 19장의 자음카드(11)와 10자의 모음이 형성된 10장의 모음카드(13)로 구성된 한글자모카드(10)를 적용하고, 'ㅐ' 등의 복모음은 제외하고, 10자의 기본 모음(14)만으로 글자를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예이다.
상기 초성블록(21)은, 자음(12)이 형성된 자음카드(11)가 배치되는 블록으로서, 초성으로서의 자음(12)이 위치한다.
상기 종모음블록(22)은, 초성블록(21)의 우측에 위치되고, 종모음(14a)이 형성된 모음카드(13)가 배치되는 블록으로서, 중성으로서의 종모음(14a)이 위치한다.
상기 횡모음블록(23)은, 초성블록(21)의 하측에 위치되고, 횡모음(14b)이 형성된 모음카드(13)가 배치되는 블록으로서, 중성으로서의 횡모음(14b)이 위치한다.
상기 종성블록(24)은, 횡모음블록(23)의 하측에 위치되고 자음(12)이 형성된 자음카드(11)가 배치되는 블록으로서, 종성으로서의 자음(12)이 위치한다.
한글자모카드(10)에 전술한 종성용 복자음('ㄶ' 등)이 형성된 자음카드도 포함한 경우, 종성블록(24)에는 종성용 복자음이 형성된 자음카드를 배치함으로써 종성용 복자음도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한글자모카드(10)와 글자조립판(20)의 구성에 따라, 한글자모카드(10)에서 카드(11, 13)를 1장씩 차례차례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11, 13)를 오픈하여, 선택된 카드(11, 13)에 형성된 자음(12)과 모음(14)이 위치되어야 하는 블록(21, 22, 23, 24)을 찾아 배치하면, 배치된 자음(12)과 모음(14)의 조합에 의하여 글자를 만들 수 있다.
도3의 구체예는, 초성블록(21)에 자음(12)인 'ㅎ'이 형성된 자음카드(11)를 배치하고, 중성블록(22)에 종모음(14a)인 'ㅏ'이 형성된 모음카드(13)를 배치하는 한편, 종성블록(24)에 자음(12)인 'ㄴ'이 형성된 자음카드(11)를 배치함으로써, 이들 자음(12)과 모음(14)에 의해 글자 '한'이 완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글자조립판(10)의 종모음블록(22)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제1 및 제2의 종모음블록(22a, 22b)으로 구성할 수 있다. 종모음블록(22)을 2개의 블록으로 구성하면, 예를 들어 종모음(14a)인 'ㅏ'가 형성된 모음카드(13)와 종모임인 'ㅣ'가 형성된 모음카드(13)를 각각 제1 및 제2의 종모음블록(22a, 22b)에 좌우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복모음 'ㅐ'를 조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복모음(ㅐ, ㅒ, ㅔ 및 ㅖ)들을 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의 종모음블록(22a, 22b)에 종모음(14a)이 형성된 모음카드(13)를 배치하고 횡모음블록(23)에 횡모음(14b)이 형성된 모음카드(13)를 배치하면,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및 ㅢ'의, 모든 복모음을 조합할 수 있다.
도5의 구체예는, 초성블록(21)에 자음(12) 'ㄲ'이 형성된 자음카드(11)를 배치하고, 종모음블록(22)에 종모음(14a)인 'ㅏ'가 형성된 모음카드(13)와 종모음인 'ㅣ'가 형성된 모음카드(13)를 좌우 나란히 배치하고, 횡모음블록(23)에 횡모음(14b)인 'ㅗ'가 형성된 모음카드(13)를 배치하는 한편, 종성블록(24)에 자음(12)인 'ㅇ'이 형성된 자음카드(11)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이들 자음과 모음에 의해 글자 '꽹'이 완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글자조립판(20)의 블록(21, 22, 23, 24)들은 서로 식별되게 다른 표식(25, 25a, 25b, 25c)으로 표시하는 한편, 카드(11, 13)의 표면에도 해당 카드가 배치될 블록(21, 22, 23, 24)의 표식(25, 25a, 25b, 25c)에 대응하는(동일한) 표식(19. 19a, 19b, 19c)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글자조립판(20)과 카드(11,13)에 서로 대응하게 표시하는 표식(25, 19)은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구체예는 표식(25, 19)으로서 배경의 색깔을 적용한 예이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초성블록(21)과 종성블록(24)은 배경색을 '청색'으로 표시(인쇄)하는 것으로 표식(25a)을 함과 아울러, 대응하는 자음(12)이 형성된 자음카드(11)의 배경색도 '청색'으로 표식(19a)을 하고; 종모음블록(22)은 배경색을 '녹색'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표식(25b)을 함과 아울러, 대응하는 종모음(14a)이 형성된 모음카드(13)의 배경색도 '녹색'으로 표식(19b)을 하는 한편; 횡모음블록(23)은 배경색을 '적색'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표식(25c)을 함과 아울러, 대응하는 횡모음(14b)이 형성된 모음카드(13)의 배경색도 '적색'으로 표식(19c)을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블록(21, 22, 23, 24)의 표식(25)을 배치될 카드(11, 13)의 표식(19)과 서로 일치시킴에 따라, 게임 참가자는 선택한 카드(11, 13)의 표식(19)과 블록의 표식을 확인하는 것을 통해, 선택한 카드를 보다 용이하게 대응하는 블록에 배치할 수 있다.
한글자모카드(10)에는, 도2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12)과 모음(14)의 조합에 의한 글자의 완성과는 직접적으로 상관없는 적어도 1장 이상의 조커카드(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게임 참가자가 조커카드(15)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조커카드(15)는 글자조립판(20)에 배치하여 글자를 완성하는 것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획득하여 점수를 획득하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는 동그라미대장, 세모대장 및 네모대장으로 명명한 3장의 조커카드(15)를 추가한 예이다. 각 조커카드(15)는 노란색 배경에 동그라미, 세모 및 네모의 캐릭터(16)를 각각 형성(인쇄)하여 다른 카드와 구별되게 할 수 있다.
조커카드(15)의 점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카드(11)와 모음카드(13)의 획득점수가 각각 1점인 것으로 할 때, 조커카드(15)는 예를 들어 각각 3점의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고, 조커카드(15)를 적용하면 보드게임의 승패에 이변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게임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1)를 사용하여 보드게임을 할 때, 한글자모카드(10)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19장의 자음카드(11), 10장의 모음카드(13) 및 3장의 조커카드(15)를 포함하는 총 32장의 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11장의 종성용 복자음을 위한 자음카드를 더 추가하여, 43장의 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한글자모카드(10)에는, 모든 카드가 종류별로 1장씩만 포함되게 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복모음의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인 'ㅏ, ㅓ, ㅗ, ㅜ, ㅡ 및ㅣ'은, 그 사용빈도에 맞게 2장 이상 다수 장이 포함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1)는, 무작위로 섞은 히든의 카드(11, 13)들에서, 게임 참가자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1장씩의 상기 카드를 선택 및 오픈하여, 선택한 카드(11, 13)를 글자조립판(20)의 대응하는 블록(21, 22, 23, 24)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하며, 게임진행과정에서 글자조립판(20)에 배치된 카드(11, 13)들의 조합이 글자(예, 글자 '한' 또는 글자 '꽹')를 완성하게 되면, 글자가 완성되게 하는 최종의 카드(11, 13)를 글자조립판(20)에 배치한 게임 참가자가, 완성된 글자를 구성하는 카드(11, 13)들을 모두 획득한다.
도3의 구체예에서 어느 게임 참가자가 'ㅏ'이 형성된 모음카드(13)를 종모음블록(22)에 배치한 결과로서 글자 '한'이 완성되었을 때, 해당 게임 참가자는 글자 '한'을 구성하는 3장의 카드인 'ㅎ'가 형성된 자음카드 'ㅏ'가 형성된 모음카드 및 'ㄴ'이 형성된 자음카드를 획득하게 된다.
도5의 구체예에서, 어느 게임 참가자가 'ㄲ'이 형성된 자음카드(13)를 초성블록(21)에 배치한 결과로서, 글자 '꽹'이 완성되었을 때, 해당 게임 참가자는 글자 '꽹'을 구성하는 5장의 카드인 'ㄲ'이 형성된 자음카드, 'ㅗ'이 형성된 모음카드, 'ㅏ'이 형성된 모음카드, 'l'이 형성된 모음카드 및 'ㅇ'이 형성된 자음카드를 획득하게 된다.
한글자모카드(10)를 구성하는 히든의 카드(11, 13)들이 모두 선택 및 오픈된 후, 각 게임 참가자가 획득한 카드(11, 13)에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를 사용하여 학습자와 교습자를 포함한 2인이 보드게임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글자조립판(20)을 사이에 두고 2인의 게임 참가자가 위치한다.
다음에, 한글자모카드(10)의 전체 카드를 화투나 트럼프를 섞듯이 무작위로 잘 섞는다.
다음에, 한글자모카드(10)의 카드(11, 13)들을, 표면이 보이지 않는 히든 상태로, 글자조립판(20) 옆의 히든카드자리(26: 게임 참가자가 모두가 접근하기 좋은 글자조립판 위나 그 옆의 적당한 자리)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제1 게임 참가자(예, 교습자)가 적층된 카드들 중에 예를 들어 최상층의 1장의 카드를 선택하여 오픈하고, 선택한 카드가 자음이 형성된 자음카드(11)이면, 해당 카드를 글자조립판(20)의 초성블록(21) 또는 종성블록(24)에 배치하고, 종모음(14a)이 형성된 모음카드(13)이면 종모음블록(22)에 배치하고, 횡모음(14b)이 형성된 모음카드(13)이면 횡모음블록(23)에 배치한다.
다음에, 제2 게임 참가자(예, 학습자)가 남아 있는 적층된 카드들 중에 예를 들어 다시 최상층의 1장의 카드를 선택하여 오픈하며, 선택한 카드가 자음이 형성된 자음카드(11)이면, 해당 카드를 글자조립판(20)의 종성블록(24) 또는 초성블록(21)에 배치하고, 종모음(14a)이 형성된 모음카드(13)이면 종모음블록(22)에 배치하고, 횡모음(14b)이 형성된 모음카드(13)이면 횡모음블록(23)에 배치한다.
제2 게임 참가자의 카드 선택 및 배치 후에 글자가 완성되지 않으면, 다시 제1 게임 참가자가, 계속해서 카드의 선택 및 글자조립판(20)에의 배치를 한다.
특정 게임 참가자의 카드 선택 및 배치 후에, 글자조립판(20)에 배치된 카드들에 형성된 자음(12)과 모음(14)의 조합으로 글자가 완성되면, 해당 글자를 완성시킨 게임 참가자는 완성된 글자를 구성하는 모든 카드(예, 2장 내지 5장)를 획득하여 본인의 자리 앞의 획득카드자리(27)에 모아 둔다. 이와 같이 글자를 완성시켜 카드를 획득한 경우, 더 흥미로운 게임 진행을 위한 보상규정으로, 해당 게임 참가자는 다음 게임 참가자에게 순서를 넘기지 않고 다시 한 번 더 카드를 선택할 자격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글자가 완성되면, 교습자인 게임 참가자는, 자음과 모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조합에 의해 글자가 완성되어지는 한글의 제자원리와 글자의 발음을, 예를 들어 'ㅎ - ㅏ - ㄴ'은 '한'과 같이 학습자인 게임 참가자가 직접 읽어서 발음해 보도록 하거나, 교습자가 발음하여 학습자가 따라서 발음하고 청음하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한글을 학습하도록 유도한다.
카드를 선택하고 배치하는 과정에서, 카드를 선택하여 오픈하는 순간, 글자를 완성하기 위해 기대하는 글자를, 예를 들어 '자음카드', '모음카드'와 같이, 게임 참가자가 목적하는 카드의 종류를 외치면서 게임을 하도록 하면, 게임의 흥미를 더욱 북돋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글자조립판(20)의 초성블록(21)과 종성블록(24)에 이미 자음카드(11)가 모두 배치된 상태에서 카드를 선택 오픈하는 경우에는, 선택한 카드가 꼭 모음카드(13)일 필요가 있다. 이때 게임 참가자는 모음카드의 선택을 기대하면서 '모음카드'라고 외치면서 게임을 진행 하는 것이다.
더 흥미로운 게임 진행을 위해, 선택한 카드를 낙장으로 버리는 규정을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성블록(21)과 종성블록(24)에 이미 자음카드(11)가 모두 배치된 상태에서 다시 자음카드(11)가 선택된 경우와 같이, 선택한 카드를 배치할 블록에 이미 카드가 배치되어 있어서 선택한 카드를 블록에 배치할 수 없는 경우, 해당 카드는 낙장으로 글자조립판(20) 위나 옆의 적당한 자리(낙장카드자리: 28)에 버리게 할 수 있다.
선택한 카드가 낙장이 될 경우, 벌칙 규정을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낙장을 발생케 한 게임 참가자가 이미 획득해 둔 카드가 있다면, 벌칙으로 획득해 둔 카드 1장을 낙장과 함께 버리도록 할 수 있으며, 이후 순서는 다음 게임 참가자로 넘어간다.
더 흥미로운 게임 진행을 위해, 보상 규정을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자모카드(10)에 조커카드(15)가 포함된 경우, 특정 게임 참가자가 조커카드를 선택하면, 해당 게임 참가자가 해당 조커카드(15)를 획득하여 점수를 획득하고, 조커카드(15)를 선택한 그 보상으로 순서를 넘기지 않고 해당 게임 참가자가 다시 한 번 더 카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소정 개수의 조커카드를 획득하면 즉시 게임에 승리하고 해당게임이 종료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의 게임과정은, 한글자모카드(10)의 히든 상태의 적층된 전체의 카드가 모두 선택 및 오픈되어 모두 소진될 때까지 계속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적층 카드가 모두 소진되면 그때까지 각 게임 참가자가 획득한 카드의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이때, 각각의 자음카드(11)와 모음카드(13)는 모두 동일한 낮은 점수(예, 1점)를 부여하고 조커카드(15)는 높은 점수(예, 3점)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자음카드(11)는 1점인 반면 모음카드(13)는 2점과 같이, 카드별로 다른 점수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판의 게임이 종료되면, 한글자모카드(10)의 전체 카드를 모아서 다시 무작위로 잘 섞고, 글자조립판(20) 위나 옆에 히든 상태로 다시 적층하여 새로운 게임을 시작한다.
도시된 구체예는, 히든의 카드(11, 13)들을 히든카드자리(26)에 적층해 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히든의 카드(11, 13)들을 적층하지 않고, 바닥에 넓게 펼쳐 놓아서 게임 참가자가 임의의 카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를, 유형의 한글자모카드(10)와 글자조립판(20)으로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라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용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보드게임도구 및 게임과정을 관련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프로그램화 하여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 될 수 있는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한글자모카드 이미지 데이터, 글자조립판 이미지 데이터, 및 글자발음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한글자모카드 이미지 데이터는, 표면에 한글의 자음이 각각 형성(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자음카드 이미지들 및 표면에 한글의 모음이 각각 형성(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모음카드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 이미지들의 이면에는 서로 구별하지 못하는 동일한 무늬의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이다.
상기 글자조립판 이미지 데이터는, 표면을 오픈한 상기 카드 이미지들을 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판상의 이미지이면서, 상기 자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초성블록 이미지, 상기 초성블록 이미지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종모음블록 이미지, 상기 초성블록 이미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횡모음블록 이미지, 및 상기 횡모음블록 이미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종성블록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이다.
상기 글자발음 음성데이터는, 상기 자음과 상기 모음에 의해 만들어지는 글자들의 발음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데이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용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컴퓨터로 실행하면,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보드게임이 진행된다. 즉, 무작위로 섞은 히든의 상기 카드들에서, 게임 참가자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1장씩의 상기 카드를 선택 및 오픈하여 상기 글자조립판의 대응하는 상기 블록에 배치하고, 상기 글자조립판에 배치된 상기 카드들의 조합이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구성하게 될 때 상기 글자로 완성되게 하는 최종의 상기 카드를 상기 글자조립판에 배치한 게임 참가자가, 완성된 상기 글자를 구성하는 상기 카드들을 획득하고, 히든의 상기 카드가 모두 선택 및 오픈된 후에, 각 게임 참가자가 획득한 상기 카드에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널리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 분야의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고, 구체적인 프로그램 그 자체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10: 한글자모카드 11: 자음카드
12: 자음 13: 모음카드
14: 모음 14a: 종모음
14b: 횡모음 15: 조커카드
16: 캐릭터 17: 무늬
19. 19a, 19b, 19c: 카드의 표식 20: 글자조립판
21: 초성블록 22: 종모음블록
23: 횡모음블록 24: 종성블록
25, 25a, 25b, 25c: 블록의 표식 26: 히든카드자리
27: 획득카드자리 28: 낙장카드자리

Claims (4)

  1. 표면에 한글의 자음(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자음카드(11)들 및 표면에 한글의 모음(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모음카드(13)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11, 13)들의 이면에는 서로 구별하지 못하게 동일한 무늬(17)가 형성되어 있는, 한글자모카드(10); 및
    표면을 오픈한 상기 카드(11, 13)들을 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음카드(11)가 배치되는 초성블록(21), 상기 초성블록(21)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13)가 배치되는 종모음블록(22), 상기 초성블록(2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13)가 배치되는 횡모음블록(23), 및 상기 횡모음블록(23)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음카드(11)가 배치되는 종성블록(24)이 형성되어 있는 글자조립판(20); 을 포함하고,
    무작위로 섞은 히든의 상기 한글자모카드(10)의 상기 카드(11, 13)들에서, 게임 참가자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1장씩의 상기 카드(11, 13)를 선택 및 오픈하여, 상기 글자조립판(20)의 대응하는 상기 블록(21, 22, 23, 24)에 배치하고, 상기 글자조립판(20)에 배치된 상기 카드(11, 13)들의 조합이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구성하게 될 때, 상기 글자를 완성되게 하는 최종의 상기 카드(11, 13)를 상기 글자조립판(20)에 배치한 게임 참가자가, 완성된 상기 글자를 구성하는 상기 카드(11, 13)들을 획득하고, 히든의 상기 카드(11, 13)가 모두 선택 및 오픈된 후에 각 게임 참가자가 획득한 상기 카드(11, 13)에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21, 22, 23, 24)들에는 서로 구분되는 다른 표식(25, 25a, 25b, 25c)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카드(11, 13)의 표면에는 상기 블록(21, 22, 23, 24)의 상기 표식(25, 25a, 25b, 25c)에 대응하는 서로 구분되는 표식(19, 19a, 19b, 19c)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자모카드(10)는, 게임 참가자가 선택하면 상기 글자조립판(20)에 배치하지 않고, 선택한 해당 게임 참가자가 점수를 획득하는 적어도 1장 이상의 조커카드(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4. 표면에 한글의 자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자음카드 이미지들 및 표면에 한글의 모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모음카드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 이미지들의 이면에는 서로 구별하지 못하는 동일한 무늬의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한글자모카드 이미지 데이터;
    표면을 오픈한 상기 카드 이미지들을 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판상의 이미지이고, 상기 자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초성블록 이미지, 상기 초성블록 이미지의 우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종모음블록 이미지, 상기 초성블록 이미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횡모음블록 이미지, 및 상기 횡모음블록 이미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음카드 이미지가 배치되는 종성블록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글자조립판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자음과 상기 모음에 의해 만들어지는 글자들의 발음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글자발음 음성데이터; 를 포함하고,
    무작위로 섞은 히든의 상기 한글자모카드의 상기 카드들에서, 게임 참가자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로 1장씩의 상기 카드를 선택 및 오픈하여, 상기 글자조립판의 대응하는 상기 블록에 배치하고, 상기 글자조립판에 배치된 상기 카드들의 조합이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구성하게 될 때, 상기 글자를 완성되게 하는 최종의 상기 카드를 상기 글자조립판에 배치한 게임 참가자가, 완성된 상기 글자를 구성하는 상기 카드들을 획득하고, 히든의 상기 카드가 모두 선택 및 오픈된 후에 각 게임 참가자가 획득한 상기 카드에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용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23513A 2018-02-27 2018-02-27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KR20190102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513A KR20190102708A (ko) 2018-02-27 2018-02-27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513A KR20190102708A (ko) 2018-02-27 2018-02-27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708A true KR20190102708A (ko) 2019-09-04

Family

ID=6795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513A KR20190102708A (ko) 2018-02-27 2018-02-27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27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309A (ko) * 2019-11-27 2021-06-04 김민지 학습용 자음 카드게임 도구
KR102521989B1 (ko) * 2022-10-06 2023-04-14 주식회사 코택트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도구 및 이를 포함한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60059A (ko) * 2021-10-27 2023-05-04 민요한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309A (ko) * 2019-11-27 2021-06-04 김민지 학습용 자음 카드게임 도구
KR20230060059A (ko) * 2021-10-27 2023-05-04 민요한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
KR102521989B1 (ko) * 2022-10-06 2023-04-14 주식회사 코택트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도구 및 이를 포함한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4075945A1 (ko) * 2022-10-06 2024-04-11 주식회사 코택트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도구 및 이를 포함한 한글 교육용 카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2212A (en) Multi-functional alphabet cardgame w/optional diamonoidal cards
US5607160A (en) Three talent boardgame
US4592553A (en) Matrix category game
US20070269773A1 (en) Educational game and activity
US2012028045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ducating
US4715608A (en) Educational game apparatus
KR20190102708A (ko)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CA2471836A1 (en) Method and board game for teaching vocabulary
Pavey Art-based games
US5584484A (en) Board game apparatus
KR20110110378A (ko) 언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보드게임
US20170128823A1 (en) Multilevel educational alphabet corresponding numbers word game
US20080203661A1 (en) Words
KR102386357B1 (ko) 학습용 자음 카드게임 도구
US20090218768A1 (en) Smarty smart sticks
Posamentier et al. Strategy games to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US20120086167A1 (en) Educational game
JP3244487U (ja) 神経衰弱ゲーム型木目を持つ木製遊戯セット
KR102001876B1 (ko)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KR102259179B1 (ko) 건너가기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자음모음 놀이 교구
GB2358807A (en) A word forming board game
KR20220050484A (ko) 모루를 이용한 색칠 학습 및 유희용 조립식 완구
US20100040999A1 (en) Education board game system and related method
Jones Games, games, games-and reading class
KR20200145217A (ko) 국가별 지하철 노선도를 이용한 보드게임 기구 및 게임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