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059A -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059A
KR20230060059A KR1020210144298A KR20210144298A KR20230060059A KR 20230060059 A KR20230060059 A KR 20230060059A KR 1020210144298 A KR1020210144298 A KR 1020210144298A KR 20210144298 A KR20210144298 A KR 20210144298A KR 20230060059 A KR20230060059 A KR 2023006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word
consonant
korean
syl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877B1 (ko
Inventor
민요한
강순교
Original Assignee
민요한
강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요한, 강순교 filed Critical 민요한
Priority to KR102021014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8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08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tex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1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measuring devices
    • A63F2250/1063Timers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어휘 능력 배양을 위해 가본적으로 한글의 최소 구성 단위인 자음과 모음을 음절 당 한번씩 활용하여 낱말 잇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를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구성할 낱말의 음절을 자유롭게 추가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만능 음절 카드(103) 장치 및 게임 조건에 따라 구성해야 할 낱말의 음절 수를 지정해주는 음절 지정 카드(200) 게임 구성 요소로 가지고 한글 자모음 카드(100) 배합 및 배분 후 카드 제출영역(A101)에 게임을 시작할 때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등록한 이후 단어 구성 시 카드 제출영역(A101)의 낱말의 첫 음절 힌트 자모음과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자모음 카드를 참조하면서 한글 낱말 연상 작용을 하도록 해줌으로서 단어 구현에 필요한 음절 수 및 본인이 구상할 단어의 범위에 대한 제약을 줄여 줌으로 한글 낱말을 구상 시 풍부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Word linking teaching tool or game device and method using Hangul consonant and vowel cards}
본 발명은 한글 어휘 능력 배양을 위해 가본적으로 한글의 최소 구성 단위인 자음과 모음을 음절 당 한번씩 활용하여 낱말 잇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를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구성할 낱말의 음절을 자유롭게 추가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만능 음절 카드(103) 장치 및 게임 조건에 따라 구성해야 할 낱말의 음절 수를 지정해주는 음절 지정 카드(200) 구성으로 기존 낱말 어휘 구성 선행 기술보다 게임 참여자로 하여금 한글 어휘력을 더 풍부하게 연상 및 사용하게 하여 한글 학습 효과를 증대 시키는 교구 또는 게임 장치 구성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속에서 자국어 또는 외국어의 어휘력을 활용하여 낱말 구성하는 교구 또는 게임 장치 또는 방법은 상이한 언어 구성 단위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현재까지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부 제10-1073650호의 경우 영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영어 단어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퍼즐 형식의 형태로 구성하고 단어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점수를 부과하는 형태의 발명이 있고,
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부 제10-1908112호의 경우 기본적으로 한글 자모음 카드를 사용하여 단어를 구성하는 게임 장치와 방법이지만 단어 구성에 있어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카드를 사용하여 구성 단어에 사용된 자음과 모음을 모두 사용해야만 보유 카드 제출이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구성된 만능 자모음 카드도 게임자가 부족한 자모음 중 하나를 보조하는 역할로 한정되어 있어 낱말 구성 게임에 있어 보다 풍부한 한글 어휘 허용 범위 내 게임 진행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낱말 구성 놀이 선행 기술에 있어 기존 발명에서의 제약사항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 한글 낱말 구성 게임 선행 기술과는 상이하게 게임 시작 시 제시된 첫 음절의 자모음이나 게임 중 전 게임자가 완성한 낱말의 마지막 음절의 자모음을 게임 순서자가 작성해야 하는 단어의 첫 음절의 초성/중성/종성 중 하나로만 활용하게 하여 전 게임자가 완성한 음절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본인이 구상한 단어의 첫 음절을 구성할 수 있으며 두번째 음절 이후 나머지 음절의 초성/중성/종성도 본인이 소유한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 및 만능 음절 카드(103)으로 자유롭게 연상하여 낱말의 나머지 음절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기존 구두상으로 진행하는 한글 낱말 잇기 게임의 기본 구성 단위인 음절 기반에서는 전 게임 참가자가 제시한 낱말의 마지막 음절을 구두로 전달 받아 게임 참가자가 구성할 단어의 첫 음절로 기억 및 연상 작용을 통해 낱말을 구성하는 진행이 가능하나 한글 구성의 최소 단위인 한글 자음 또는 한글 모음 기반으로 낱말 잇기 게임을 진행하고자 할 때는 작성하고자 하는 낱말 첫 음절의 초성/중성/종성으로 낱말 구성 허용 범위가 확대 및 분할되어 정해진 시간 내 낱말을 구성 시 낱말 구상을 위해 제시 자모음을 시각적으로 안내 해주기 위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 형태의 게임 도구를 요구한다.
또한 한글 자모음 기반의 낱말 잇기 게임에서 만능 음절카드(103)를 추가함으로 본인이 작성할 단어의 음절의 위치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구성될 단어의 음절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 참가자가 보유하고 있는 한글 자음 카드(101) 또는 한글 모음 카드(102)와 함께 활용되어 보다 넓은 어휘 범위를 사용하여 낱말 잇기 게임을 실시함으로 기존 선행 기술 대비 창의력 및 어휘 능력 구사 능력을 확대할 수 있다.
이 뿐 아니라 특정 조건에서 낱말 잇기 게임 중 특정 조건에서 게임 참여자로 하여금 음절 지정 카드(200)를 선택하게 함으로 필요시 어휘 구성 게임 난이도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글 어휘 능력 배양을 위해 가본적으로 한글의 최소 구성 단위인 자음과 모음을 음절 당 한번씩 활용하여 낱말 잇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를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구성할 낱말의 음절을 자유롭게 추가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만능 음절 카드(103) 장치 및 게임 조건에 따라 구성해야 할 낱말의 음절 수를 지정해주는 음절 지정 카드(200) 게임 구성 요소를 가지고 한글 자모음 카드(100) 배합 및 배분 후 카드 제출영역(A101)에 게임을 시작할 때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한 장 등록한 이후 단어 구성 시 카드 제출영역(A101)의 첫 음절 힌트 자모음과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참조하면서 한글 낱말 연상 작용을 하도록 해줌으로서 단어 구현에 필요한 음절 수 및 본인이 구상할 단어의 범위를 확대해 줌으로 한글 낱말을 구상 시 풍부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글 최소 단위인 자모음 기반으로 낱말 잇기 게임을 진행할 경우 다음 낱말을 구성해야 하는 게임 참여자가 카드 제출영역(A101) 내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통해 초성, 중성, 종성 중 하나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전 게임자가 구성한 마지막 음절과 상이한 낱말의 첫 음절을 구성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더욱 풍부한 한글 어휘 허용 범위에서 낱말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이음 낱말을 구상할 때 단어 구성을 위한 집중도를 높여줄 수 있다.
아울러 단어 구성 시 카드 제출영역(A101)의 낱말의 첫 음절 힌트 자모음과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자모음 카드를 참조하면서 낱말 연상 작용을 하도록 해줌으로서 단어 구현에 필요한 음절 수의 확장성을 가지고 한글 낱말을 구상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특정 조건에서는 음절 지정 카드(200)을 사용하여 낱말 잇기 음절 수 제약하여 낱말 구상할 수 있도록 하여 게임자의 낱말 구성 난이도를 조절하게 하거나
공통 또는 상이한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0)를 게임 도구로 추가함으로 게임 참여 시 긴장감과 집중력 및 타 게임 참여자와의 경쟁 심리를 유발시켜 본 게임 교구를 통한 한글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 장치 구성의 대략적 배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 만능 음절카드(103), 음절 지정카드(200) 게임 도구를 이용한 자모음 기반의 낱말 잇기 게임에 대한 대략적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기본 게임 도구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 만능 음절 카드(103)의 앞면과 뒷면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음절 지정카드(200)의 앞면과 뒷면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카드 제출영역(A101)에 한 장의 한글 자음 카드(101)와 게임 참여자(P100)가 보유한 한글 자음 카드(101) 한 장을 이용하여 이음절의 낱말 잇기 방법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카드 제출영역(A101)에 한 장의 한글 자음카드(101)와 게임 참여자(P100)이 보유한 한글 자음 카드(101) 한 장 및 한글 모음 카드(102) 한 장 총 두 장의 보유 카드를 이용하여 삼 음절의 낱말 잇기 방법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카드 제출영역(A101)에 한 장의 한글 자음 카드(101)와 게임 참여자(P100)의 보유 한글 자모음 카드(100) 두 장 중 한 장은 한글 자음 카드(101) 그리고 나머지 한 장은 만능 음절카드(103)일 경우를 이용하여 삼 음절의 낱말 잇기 방법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음절 지정 카드(200)를 사용하는 경우로 공통 영역에 한 장의 한글 자음 카드(101)와 본인이 보유한 한글 자음 카드(101)를 사용하고 음절 지정 카드(200)에서 지정한 음절 수만큼 낱말 잇기 방법 실시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에 낱말 작성 공통 시간 측정 도구(300)를 추가 구성했을 때 게임 장치 구성의 대략적 배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 만능 음절카드(103), 승리 결정 필수 카드(200) 및 낱말 작성 공통 시간 측정 도구(300)를 게임 도구를 이용한 자모음 기반의 낱말 잇기 게임에 대한 대략적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기본 게임 도구인 한글 자모음 카드(100)와 음절 지정 카드(200)에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0)를 더 추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에 어휘력 차이에 따른 저 어휘력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1), 중 어휘력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2). 상 어휘력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3)를 추가 구성했을 때 장치 및 대략적 배치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기본 게임 도구인 한글 자모음 카드(100)와 음절 지정 카드(200)에 저 어휘자용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1), 중 어휘자용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2). 상 어휘자용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3)를 추가 구성했을 때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 만능 음절카드(103), 승리 결정 필수 카드(200) 및 어휘력 차이에 따른 상이한 작성 공통 시간 측정 도구(301,302,303)를 게임 도구를 이용한 자모음 기반의 낱말 잇기 게임에 대한 대략적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 만능 음절카드(103), 음절 결정 카드(200) 및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0)를 모두 적용했을 때 한글 자모음 기반의 낱말 잇기 게임 방법에 대한 순서도에 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구성과 게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 장치 구성 및 게임참여자(P100)가 4명일 경우의 대략적 게임 장치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게임 참여자(P100)들은 각자 게임 진행에 필요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일정 수 보유하게 되고 여분의 한글 자모음 카드(100)는 공동영역(A100) 중 일부 영역에 놓여 게임 시작 시 카드 제출 영역(A101)에 한글 자모음 카드(100) 중 한 장을 추가하거나 게임 참여자(P100)가 정해진 시간 안에 낱말 잇기를 하지 못하는 경우 추가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동 영역(A100) 내에 카드 제출영역(A101)은 게임 참여자(P100)가 낱말 잇기를 성공했을 경우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제출하는 공간으로 게임 시작시에는 공동 영역에 놓인 한글 자모음 카드(100) 중 한 장을 뒤집어 첫번째 게임 참여자가 구성할 낱말의 첫 음절 한글 자모음 힌트를 제공하고 게임 중에는 낱말 작성에 사용한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 또는 만능 음절 카드(103)를 낱말 구성 음절에 쓰인 자모음 순서대로 제출하여 작성 낱말의 마지막 음절에 사용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가 최상위에 노출되게 놓는다. 그리고 공동영역(A100)의 한부분에는 음절 결정 카드(200)를 두어 게임 중 게임 참여자(P100)가 게임 승리를 결정할 특정한 조건이 되었을 때 최상위에 놓인 음절 결정 카드(200) 중 한 장 취득하여 해당 카드가 제시하는 음절 수 조건대로 카드 제출영역에 놓인 한글 자모음 카드로 첫 음절을 구성하고 본인이 소유한 카드로 나머지 음절에 사용하여 낱말을 구성하여 보유 카드를 모두 카드 제출영역(A101)에 내려놓을 조건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2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략적인 흐름을 설명하면 자모음 단위의 한글 낱말 잇기를 실시하기 위한 한글 자음 카드(101)와 한글 모음 카드(102) 및 자유롭게 음절 구성이 가능한 만능 음절카드(103)를 함께 배합하는 낱말 잇기 한글 자모음 카드 배합 단계(S100) 후 인원수에 맞게 배분하는 낱말 잇기 한글 자모음 카드 배분 단계(S200)를 진행한다.
이후 게임 시작 시 첫 낱말을 작성하기 위한 첫 음절을 구성할 힌트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공동 영역(A100)내 카드 제출영역(A101)에 등록하는 첫 음절 구성 자모음 카드 제출 영역 등록 단계(S300)를 가진다.
이후 특정 조건하에서 음절 지정 카드(S200)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낱말 잇기 음절 수 지정 조건 결정 단계(S400)를 가진다. 실례로 게임참여자(P100)가 한 장의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보유할 경우 음절 지정 카드(200)를 선택하도록 지정할 수 있고 이외에도 낱말 잇기 음절 수를 지정하는 여러가지 조건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게임 참여자(P100)는 카드 제출영역(A101)에 제시되어 있는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본인이 작성할 낱말의 첫 음절의 초성/중성/종성 중 하나의 구성 요소로 활용하고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이용하여 구성할 단어의 남은 음절에 활용하여 낱말 단어 구상을 하는 자모음 기반 낱말 잇기 단어 구상 단계(S500)를 가지며
본인이 소유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활용하여 단어 구성에 성공했을 경우 본인이 보유 중인 카드 중 낱말 잇기에 사용했던 한글 자음 카드(101), 한글 모음 카드(102), 만능 음절 카드(103)를 카드 제출 영역(A101)에 모두 제출하는 낱말 잇기 단어 구성 기여 자모음 카드 제출 단계(S600)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게임자가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카드를 모두 소진하게 될 경우 게임 승자를 결정하는 단계 후 순위가 결정하고 게임은 마무리하는 보유 카드 제출 완료에 따른 게임 승자 결정 단계(S700)를 가진다.
도 3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을 위한 게임 도구의 기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같은 규격의 카드 크기와 같은 색상과 모양의 뒷면을 갖는 한글 자모음 카드(100)는 일정 개수의 한글 자음 카드(101), 일정 개수의 한글 모음 카드(102), 일정 개수의 만능 음절 카드(103)로 구성되고 낱말 구성을 위한 각 음절의 구성 요소로 사용한다. 이때 한글 자음 카드(101)는 초성 또는 종성, 한글 모음 카드(102)의 경우 중성 위치에 적용하여 각 음절의 낱말을 구성할 수 있고 만능 음절 카드(103)의 경우 본인이 정한 음절 위치의 자모음을 자유롭게 정하여 낱말을 구성하는 요소로 사용할 수 있어 본인이 보유한 카드의 낱말 구성 범위를 기존 음절 단위의 낱말 잇기 보다 더 확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 중에는 특정 조건일 경우 한글 자모음 카드와 다른 뒷면 색상과 모양을 가지는 음절지정 카드(200)를 한 장 선택했을 경우 게임자가 지정해진 음절 수에 맞추어 낱말을 구성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게임 구성 요소인 낱말 잇기 작성 카드 중 한글 자음 카드(101)와 한글 모음 카드(102) 및 만능 음절카드(103)의 앞면과 한글 자모음 카드 뒷면(100b)에 대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카드 정면도 예에서 음절 만능 카드(103)의 앞면 모양은 한글 구성 요소의 근본이 되는 천지인( . , ㅡ ,ㅣ) 을 중복적으로 겹친 형태로 표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의 음절 지정 카드(200)의 앞면과 음절 지정 카드 뒷면(200b)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게임 참여자가 작성할 낱말의 음절 수를 지정하는 기능을 하며 게임 참여자들이 동의한 특정 조건 하에서만 사용하기 때문에 한글 자모음 카드 뒷면(100b)과 상이한 카드 뒷면(200b)을 가지고 공동 영역(A100)내 한글 자모음 카드(100)와 다른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한글 자모음 카드(100)와 음절 지정 카드(200)의 카드 디자인과 크기에 대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도구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게임의 실시 예로 도 6에서와 같이 카드 제출영역(A101)에 게임 첫 한글 자모음 카드가 “ㄱ” 이거나 전 게임 참가자가 “학교” 로 낱말 구성하고 제출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가 한글 자음 카드(101) “ㄱ” 이고 본인이 보유한 카드 중 “ㄴ” 한글 자음카드(101)을 이용하여 낱말 잇기를 작성하려면 하기와 같이 첫 음절의 “ㄱ”을 초성 또는 종성으로 활용하고 “ㄴ” 도 두번째 음절의 “초성” 또는 “종성”으로 종 4가지 경우의 수로 낱말을 연상하여 구성할 수 있다.
“ㄱ” 초성, “ㄴ” 초성 구성의 경우 예로서 “가나”, “고난”, “개념” 등
“ㄱ” 초성, “ㄴ” 종성 구성의 경우 예로서 “가난”, ”공간”, ”거인” 등
“ㄱ: 종성, “ㄴ” 조성 구성의 경우 예로서 “극한”, “국내”, “묵념” 등
“ㄱ: 종성, “ㄴ” 종성 구성의 경우 예로서 “북한”, “숙환”, “국민” 등
본 발명은 상기 자모음 구성 실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 게임 참여자가 제출한 마지막 음절 “교”에 국한되지 않고 카드 제출영역(A101)의 한글 자음 카드(101) “ㄱ” 을 활용하여 게임 참여자(P100)가 본인이 구성할 낱말의 음절의 초성/종성 기반으로 사용함으로 기존 음절 기반의 낱말 잇기 보다 많은 한글 어휘를 사용하여 단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며 낱말을 완성한 경우 본인이 보유한 카드 중 낱말 작성에 기여한 “ㄴ” 자음 카드를 공동 영역(A100) 내 카드 제출영역(A101)에 제출할 수 있다.
다음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순서의 게임 참여자가 카드 제출영역(A101)으로 제출한 한글 자음 카드(101)를 첫 음절의 초성/중성/종성 중 하나로 사용하고 게임 참석자(P100)는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카드 중 한글 모음 카드(102)와 한글 자음 카드(103)로 구성 단어 중 두번째 음절 및 세번째 음절 의 초성/중성/종성 중 하나로 사용하여 자유롭게 삼 음절 단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로서 카드 제출영역(A101)에는 “ㄴ” 한글 자음 카드(101)가 있고 본인이 소유한 한글 모음 카드(102) “ㅏ” 한 장과 한글 자음 카드(101) “ㄷ” 한 장을 사용하여 총 삼 음절의 단어를 구현하고자 할 때 “노동자”, “판도라”, “군함도” 등으로 모음의 경우 두번째 음절이나 세번째 음절의 중성으로, 자음의 경우 두번째 음절 또는 세번째 음절의 초성/종성 위치 중 본인이 구성하고자 하는 낱말에 맞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게임 참여자가 카드 제출영역(A101)으로 제출한 한글 자음 카드(101)를 첫 음절의 초성/중성/종성 중 하나로 사용하여 사용하고 본인 차례에 만능 음절카드(103)와 한글 자음 카드(101)를 추가하여 삼 음절 낱말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카드 제출영역(A101)에는 “ㄷ” 한글 자음 카드(101)가 있고 본인이 소유한 한 장의 만능 음절카드(103)와 한글 자음 카드(101) “ㄱ” 한 장을 사용하여 총 3음절의 단어를 구현하고자 할 때 “대구역”, “대게찜” “도가니” 등으로 만능 음절 카드(103)의 경우 두번째 음절이나 세번째 음절의 어떤 음절이든 자유롭게 한글 음절 구성이 가능하고 자음의 경우 두번째 음절 또는 세 번째 음절의 초성/종성 위치 중 본인이 구성하고자 하는 낱말에 맞게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임참여자(P100)가 본인의 차례에서 정해진 시간과 규칙에 의해 낱말을 완성을 할 경우 본인이 소유한 카드 중 낱말 작성에 기여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음절 구성 순서대로 카드 제출 영역(A101)에 제출하여 본인의 카드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게임 참여자(P100) 본인의 카드를 빨리 소진하기 위해 단어 구상 단계에서 가능하면 많은 음절의 단어를 구상하게 되고 이로써 어휘 구성력이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만약 정해진 시간 내 낱말 잇기 규칙을 지키지 못할 경우 공통 영역(A100)에 놓인 여분의 한글 자모음 카드(100) 중 한 장을 수취하게 된다.
이때 게임 참여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를 제출할 수 있는 조건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게임참여자의 동의한다면 같은 한글 자음 카드(101) 두 장을 가지고 있을 때 쌍 자음을 구성하여 제출할 수도 있으며 같은 한글 모음 카드(102) 두 장을 가지고 있을 때 이중 모음으로 구성하여 제출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통상적으로 자음과 모음 그리고 자유 음절 작성 카드로 추가할 수 있는 게임방법을 낱말 잇기 형식으로 추가할 수 있다.
도 9은 음절 지정 카드(200) 사용 실시 예로 제시한 것으로 특정 조건에서 게임 참가자(P100)가 한 장의 한글 자모음 카드(100) 중 한글 자음 카드(101)을 보유하고 음절 지정 카드(200) 중 한 장을 선택한 결과 “삼” 이라는 카드를 선택된 경우 카드 제출영역(A101)에 펼쳐진 “ㄱ” 을 첫 음절, 본인이 보유한 한글 자음 “ㄴ” 을 두번째 음절 또는 세번째 음절의 초성 또는 종성의 자음으로 활용하여 정해진 시간 내 삼 음절의 단어(“고난도”, “강남역”, “공포탄” 등)를 제출하면 가지고 있는 카드를 모두 내려 놓고 최종 승리자가 된다. 만약 정해진 시간 내에 삼 음절의 단어를 구성하지 못할 경우 공통 영역(A100)에 놓인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한 장 가져와서 게임에 지속 참여하게 된다.
음절 지정 카드(200) 사용 조건도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게임 참가자들이 정한 조건하에서 자유롭게 규정할 수 있다. 실례로 게임 참가자가 배분 받은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낱말 구성을 통해 제출하여 게임 참여자(P100) 중 한 장의 한글 자모음 카드(100)만 남게 되어 본인의 게임 차례일때 음절 지정 카드(200) 중 한 장을 선택하는 것으로 게임 조건을 설정할 경우 해당 조건의 게임 참가자는 음절 지정 카드(200)가 지정한 음절로 카드 제출영역(A101)에 펼쳐진 한글 자모음 카드(100)와 본인 소유의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모두 사용하여 이음 낱말을 구성해야만 카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게임 참여자(P100)에게 공정한 시간 측정을 위해 시간 측정 도구를 게임 구성에 추가할 수 있다.
도 10은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 장치 구성 및 게임참여자(P100)가 4명일 경우 공통된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0)를 공동 영역(A100)에 추가 배치하여 게임자의 낱말 구성 제한 시간을 공정하게 확인하는 대략적 게임 장치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동 영역에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0)을 더한 경우에는 도 2 순서도에서 낱말 잇기 단계 구상 단계(S500) 직후 낱말 구상 제한 시간 측정 단계(S550) 이 추가되고 제한 시간 내 단어를 구성하였을 경우 작성에 기여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을 카드 제출 영역(A101)에 제출하게 된다.
도 12는 도3에서 구성된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을 위한 게임 도구의 기본 구성 요소인 한글 자모음 카드(100)과 음절 지정 카드(200)에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0)를 추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는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 장치에서 4명의 게임 참여자가 각각 어휘력이 상이할 경우 상이한 시간 측정 도구를 각 게임 참가자에게 제공하여 어휘력별 낱말 구성 제한 시간을 확인하는 대략적 게임 장치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본 도면에서의 실시 예는 비전자식 시간 측정 도구인 각기 다른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모래시계를 선택하였으며 타 게임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고 어휘력 게임 참여자(P101)의 경우 짧은 시간을 가진 고 어휘력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1)를 지정하고 상대적으로 저 어휘력 게임 참여자(P103)의 경우 긴 시간을 부여하는 저 어휘력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3)를 지정하며 일반적인 중 어휘 게임 참여자(P102)의 경우 중 어휘력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2)로 낱말 작성자 난이도에 따라 적정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단어 작성 시간 도구를 지정한다.
또 다른 시간 측정 도구 배정의 예로 전 게임이 끝나고 난 후 게임 우승자는 다음 게임을 참여할 때 고 어휘력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1)를 사용하고 전 게임에서 가장 많은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보유하고 게임에 패한 게임자에게 다음 게임에서 어휘 구성에 긴 시간을 부여하는 저 어휘력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3)를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이한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는 통상적으로 상황에 따라 2단계 이상의 단계로 지정할 수 있으며 한 가지 경우에 국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를 배정하는 경우에는 도 11 순서도에서 낱말 잇기 자모음 카드 배분 단계(S200) 직후 추가적으로 어휘 능력에 따른 낱말 구성 제한 시간 측정 도구 배정 단계(S250)가 추가되고 제한 시간 내 단어를 구성하였을 경우 작성에 기여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을 카드 제출 영역(A101)에 제출하게 된다.
도 15는 도3에서 구성된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을 위한 게임 도구의 기본 구성 요소인 한글 자모음 카드(100)과 음절 지정 카드(200)에 어휘력 수준 따른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1,302,303)를 추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인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 장치 구성을 도 15과 같이 사용했을 시 게임 순서도를 표기한 것으로 한글 자모음 카드(100) 배합 및 배분 그리고 어휘능력에 따른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1,302,303)을 지정 후 배분하며 카드 제출 영역(A101)에 게임을 시작할 때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등록한 이후 게임 참여자(P100)가 음절 지정 카드(200) 조건인지 확인 후 조건을 충족하지 않을 시에는 카드 제출 영역(A101)에 놓인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활용하여 본인이 작성할 단어 첫 음절의 초성/중성/종성 중 하나로 구상하고 본인이 보유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을 활용하여 2개 이상의 음절로 구성된 낱말을 만들어 제출하며 게임 중 음절 지정 카드(200) 사용 조건이 되었을 경우 음절 지정 카드(200)를 선택한 경우 표기된 음절 수만큼 마지막 낱말 작성 후 보유한 카드를 제출하고 게임에서 승리하거나 음절 수만큼 낱말을 작성하지 못했을 시 한글 자모음 카드 (100)를 추가 획득하여 게임에 지속 참여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어휘력에 따른 상이한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1,302,303)는 특정한 하나의 도구나 작성 시간에 국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어떠한 시간 측정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 전자식 시간 측정 도구나 모래 시계와 같이 비전자식 시간 측정 도구를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100 - 한글 자모음 카드
100b - 한글 자모음 카드 뒷면
101 - 한글 자음 카드
102 - 한글 모음 카드
103 - 만능 음절 카드
200 -음절 지정 카드
200b - 음절 지정 카드 뒷편
300 - 낱말 작성 공통 시간 측정 도구
301 - 저 어휘자용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
302 - 중 어휘자용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
303- 고 어휘자용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
S100 - 낱말 잇기 자모음 카드 배합 단계
S200 - 낱말 잇기 자모음 카드 배분 단계
S250 - 어휘 능력에 따른 제한 시간 측정 도구 배정 단계
S300 - 낱말 첫 음절 구성 자모음 카드 제출 영역 등록 단계
S400 - 낱말 잇기 음절수 지정 조건 결정 단계
S500 - 낱말 잇기 단어 구상 단계
S550 - 낱말 구상 제한 시간 측정 단계
S600 - 낱말 잇기 단어 구성 기여 자모음 카드 제출 단계
S700 - 보유 카드 제출 완료에 따른 게임 승자 결정 단계
P100 - 게임 참여자
P101- 고 어휘능력 게임자
P102 - 중 어휘능력 게임자
P103 - 저 어희능력 게임자
A100 - 공통 영역
A101 - 카드 제출영역

Claims (4)

  1.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 카드 장치에 있어서
    한글 끝말 잇기 게임 시 게임 공통 영역(A100)의 카드 제출영역(A101)에 위치하여 게임 참여자(P100)에게 한글 끝말 잇기 한글 단어 구성 시 첫 음절의 초성/중성/종성 중 하나의 위치의 한글 자음 또는 한글 모음의 힌트를 제공하여 이전 게임자가 완성한 낱말 잇기 단어의 마지막 음절과 동일 또는 상이하게 카드 제출영역(A101)의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포함한 한글 첫번째 음절로 낱말 잇기 단어를 구성 할 수 있게 하며, 게임 참여자(P100)가 보유하여 낱말 잇기 단어의 두번째 음절부터 각 음절의 초성/중성/종성 중 하나의 위치의 한글 자음 또는 한글 모음 힌트로 활용하여 게임 참여자(P100)가 낱말 잇기 단어를 완성할 수 있게 하는 일정 개수의 한글 자음카드(101), 일정 개수의 한글 모음카드(102)를 포함하며
    게임 공통 영역(100)내 카드 제출 영역(A101)에 위치할 경우 게임 참여자(P100)가 낱말 잇기 단어 구성 시 한글 자모음의 제약없이 첫 음절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게 하며, 게임 참여자가 보유할 경우 두번째 음절 이후의 낱말 잇기 단어에 사용할 음절을 게임 참여자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만능 음절카드(103)를 포함하며
    게임 참여자(P100)에게 구성할 낱말 잇기 단어의 음절 수를 지정 부여하는 음절 지정 카드(200)를 포함하는 한글 자모음 카드 낱말 잇기 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한글 낱말 잇기 단어 구상 시 게임 참여자가 정해진 제한 시간 내 단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낱말 구상 시간 측정 도구(300)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자모음 카드 낱말 잇기 카드 장치
  3.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게임 방법에 있어서
    일정 개수의 한글 자음카드(101), 일정 개수의 한글 모음카드(102), 일정 개수의 만능 음절카드(103)의 낱말 잇기 자모음 카드 배합 단계(S100)
    배합한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2명 이상 다수의 게임자에게 일정 장수씩 분취하는 낱말 잇기 자모음 카드 배분 단계(S200)
    카드 배분 단계(S200) 후 남은 여분의 한글 자모음 카드(100) 중 한글 단어의 첫 음절 구성하기 위한 한 장의 카드를 카드 제출영역(A101)에 등록하는 첫 음절 구성 한글 자모음 카드 등록 단계(S300)
    첫 음절 구성 자모음 등록 단계(S300) 후 정해진 음절 수만큼의 낱말 잇기 기회를 부여하는 음절 지정 카드(200)를 선택하는 낱말 잇기 음절 수 지정 조건 결정 단계(S400)
    게임 참가자(P100)가 게임 시작 단계에는 카드 제출영역(A101)에 등록된 한글 자모음카드(100)를; 게임 중에는 이전 게임 참가자가 완성한 한글 낱말 작성 시 카드제출영역(A101)에 마지막으로 제출한 음절의 한글 자모음카드(100)를; 본인이 구성할 단어의 첫 음절 초성/중성/종성 또는 초성/중성 중 하나로 활용하여 자유롭게 정하고 단어의 두번째 음절 이후는 자신이 보유한 한글 자음 카드(101) 또는 한글 모음 카드(102) 또는 만능 음절카드(103)를 하나 이상 활용하여 최소 2음절 이상의 낱말을 구성하는 자모음 기반 낱말 잇기 단어 구상 단계(S500)
    게임 참가자(P100)가 낱말 잇기 단어 구상 단계를 통해(S500) 한글 낱말이 완성되었을 경우 두번째 음절 이후 낱말 구성에 활용하여 낱말 제작에 사용된 본인 소유의 한글 자모음 카드(100)를 순서대로 카드 제출영역(A101)에 제출하는 낱말 잇기 단어 구성 기여 자모음 카드 제출 단계(S600),
    게임 참가자(P100)가 자모음 카드 낱말 잇기 단어 구상 단계(S500) 및 낱말 잇기 단어 구성 기여자모음 카드 제출 단계(S600)를 반복 실시하여 자신이 보유한 한글 자모음카드(100)를 모두 카드 제출 영역(A101)에 제출하면 승리자가 결정되는 낱말 잇기 게임 승자 결정 단계(S700)를 포함하는 한글 자모음 카드 낱말 잇기 카드 게임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낱말 잇기 자모음 카드 배분 단계(S200) 이후 각 게임 참여자의 어휘력 수준에 따라 동일 또는 상이한 낱말 작성 시간을 부여하는 낱말 작성 시간 측정 도구(300)를 지정하는 시간 측정 도구 배정 단계(S250)와 낱말 잇기 단어 구상 단계(S500)에서 게임 참여자가 제한 시간 내 단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낱말 구성 제한 시간 측정 단계(S550)을 더 포함하는 한글 자모음 카드 낱말 잇기 게임 방법
KR1020210144298A 2021-10-27 2021-10-27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 KR10255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298A KR102551877B1 (ko) 2021-10-27 2021-10-27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298A KR102551877B1 (ko) 2021-10-27 2021-10-27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059A true KR20230060059A (ko) 2023-05-04
KR102551877B1 KR102551877B1 (ko) 2023-07-05

Family

ID=8638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298A KR102551877B1 (ko) 2021-10-27 2021-10-27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8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112B1 (ko) * 2017-02-09 2018-10-15 이화연 한글한판 놀이 교구를 이용한 낱말 만들기 게임방법
KR20190102708A (ko) * 2018-02-27 2019-09-04 오세영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KR20210065309A (ko) * 2019-11-27 2021-06-04 김민지 학습용 자음 카드게임 도구
KR20210112611A (ko) * 2020-03-05 2021-09-15 문혜정 한글 낱말 학습을 위한 윷놀이 보드게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112B1 (ko) * 2017-02-09 2018-10-15 이화연 한글한판 놀이 교구를 이용한 낱말 만들기 게임방법
KR20190102708A (ko) * 2018-02-27 2019-09-04 오세영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KR20210065309A (ko) * 2019-11-27 2021-06-04 김민지 학습용 자음 카드게임 도구
KR20210112611A (ko) * 2020-03-05 2021-09-15 문혜정 한글 낱말 학습을 위한 윷놀이 보드게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877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iffith Contest and contradiction in early Greek poetry
Holmes The idea of a Christian college
US7216868B2 (en) Word forming board game with lettered tiles
US11045716B2 (en) Board game for cultural learning that incorporates smart device with software application into game play
Kidd Prizing children's literature: The case of Newbery gold
KR101943644B1 (ko) 목표 지향 긍정적 심리치료를 위한 보드게임
US6623009B1 (en) Word-phrase card game
KR101042300B1 (ko) 다양한 색상과 기호 및 이미지를 활용한 컴퓨터 게임을 통한 영어 학습 방법
KR101908112B1 (ko) 한글한판 놀이 교구를 이용한 낱말 만들기 게임방법
Henricks Reason and Rationalization: A Theory of Modern Play.
US5816574A (en) Game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US6986512B2 (en) Word game and method of play
JP4758989B2 (ja) ボードゲームの改良
KR102551877B1 (ko) 한글 자모음 카드를 이용한 낱말 잇기 교구 또는 게임 장치와 방법
KR20190102708A (ko) 한글 자모음 보드게임도구
US20170128823A1 (en) Multilevel educational alphabet corresponding numbers word game
Steinberger Ruling: Guardians and Philosopher-Kings
Tomski et al. FINE RESULTS SCALES IN DIFFERENT VERSIONS OF JIPTO
US5704790A (en) Methods of playing games which enhance mathematical understanding
Cameron From Rome to Constantinople: studies in honour of Averil Cameron
Guterres et al. The Use of Dice Game To Improve Students Ability in Simple Past Tense To the First Grade Students of Secondary School in Timor–Leste
KR102259179B1 (ko) 건너가기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자음모음 놀이 교구
US20230149796A1 (en) Game for Learning Bible Teachings
Mansoor et al. Designing Educational Games as Learning Media for Lontara/Bugis Script for Children 7-8 Years old: Memory Game with Aksara Lontara Content
KR102338262B1 (ko) 진로 탐색용 보드 게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