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36Y1 -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36Y1
KR200459636Y1 KR2020100000996U KR20100000996U KR200459636Y1 KR 200459636 Y1 KR200459636 Y1 KR 200459636Y1 KR 2020100000996 U KR2020100000996 U KR 2020100000996U KR 20100000996 U KR20100000996 U KR 20100000996U KR 200459636 Y1 KR200459636 Y1 KR 200459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welding
unit
torch
automatic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719U (ko
Inventor
정자현
Original Assignee
(주) 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우 filed Critical (주) 선우
Priority to KR2020100000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3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29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situated alongside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자동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함에 있어서, 용접 데이터 값을 입력하기 입력부; 입력된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케이블 트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이동된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부; 및 상기 이송부 및 용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Automatic welding device for cable tray}
본 고안은 자동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이루는 각 구성 부품들을 용접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면서도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라 함은, 가스 배관, 수도관 등을 포함하는 각종 배관 및 광케이블 등을 포함하는 각종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많은 하중을 받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최근 광케이블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신축 아파트나 일반 단독 주택을 대상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광케이블 구축 공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광케이블, 전기 배선 등을 인입 할 수 있는 방법이 수직구 이용, 배란다 우수관, 가스 배관을 이용한 병행 포설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지만, 케이블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축 아파트, 공장, 선박 및 기존 주택에서도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배관 및 광케이블 포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현재 케이블 트레이는 크게 조립식 트레이와 용접식 트레이로 분류되고 있으며, 조립식 트레이는 단독 주택, 작은 공장 및 빌딩에 배선 및 케이블 등 낮은 하중을 지지하는 반면 용접식 트레이는 선박에 구조물, 공장에 배선, 아파트 전기 배선 및 건축물에 수도관 등 많은 하중을 받는 구조물을 지지한다.
케이블 트레이 제조 산업은 원가 상승과 품질 경쟁 등의 국제적 기술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 기반이 미비하여 산업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실정이며 작업 환경이 매우 열악하여 직업병 발생 및 기타 건강장해에 대한 위험성이 크며 이 요인들은 직무기피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선박에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는 많은 중량을 지지하는 구조물로 전 제품이 용접으로 제조가 이루어지며 용접자동화가 되지 않아 작업자들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제조시간 및 작업비용이 크게 소요되고 생산성 및 품질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울러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용접기술은 열악한 작업환경과 유해하고 육체적인 부담이 크기 때문에 근로자들이 꺼리는 대표적인 3D작업 중에 하나로 최근 숙련된 용접인력의 감소, 용접사의 고령화 및 인건비 증가 등의 이유로 용접자동화가 국가 경쟁력의 현안으로 대두 되고 있다. 국내 조선산업에서 대기업을 중심으로 생산성 향상차원에서 용접 자동화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현재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용접 자동화기술은 극히 제한적인 공정에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설비 또한 상당히 고가인 관계로 대부분 중소기업에서는 수동용접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순서는 일반적으로 인력을 통해 지그 장치에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고, 이를 1차 용접한 후, 다시 이를 2차 용접하고 슬러그 제거 및 마무리 작업을 통해 완성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과정은 단순반복 작업과 고중량의 운반작업 등으로 인하여 높은 노동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2인 이상의 장시간 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분진 및 소음으로 인한 열악한 작업환경, 인력을 통한 빈번한 제조물 이송으로 인한 산업재해, 단순반복 작업으로 인한 심리적 약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먼저, 공정에 단순화를 이루고 기존 작업에 필요한 인원을 절감하여 다른 타 작업에 활용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조 싸이클 타임 단축으로 단위당 생산량이 증가 되고, 균일한 용접 비드를 가지는 용접물의 생산이 가능하고, 용접 공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제품에 불량률 감소시킬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자동용접 장치에 한번 이송으로 용접이 이루어져 원가 절감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의 제공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접 데이터 값을 입력하기 입력부; 리드 스크류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부에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일정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정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를 상기 리드 스크류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는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이동된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부; 및 상기 이송부 및 용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에는 틸팅부가 구비되며, 상기 틸팅부: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맞물리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며 케이블 트레이가 고정되는 이송대차; 및 및 상기 보조프레임을 일정 각도로 들어올리기 위한 실린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보조프레임 상에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대차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 대차는 상기 구동부의 홈과 결합 되어 연동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접부:는 지지대; 한 쌍의 토치; 및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토치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토치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토치 고정수단은 상기 토치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드 스크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의 일정 부분에는 용접 진행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더 구비된다.
삭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먼저, 공정에 단순화를 이루고 기존 작업에 필요한 인원을 절감하여 다른 타 작업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제조 싸이클 타임 단축으로 단위당 생산량이 증가 되고, 균일한 용접 비드를 가지는 용접물의 생산이 가능하고, 용접 공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제품에 불량률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자동용접 장치에 1번 이송으로 용접이 이루어져 원가 절감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의 전체 구성도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메인프레임의 사시도다.
도 3 은 본 고안의 틸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다.
도 4 는 본 고안의 용접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자동용접 장치(100)의 전체 구성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는(100) 크게 입력부(110), 이송부(120), 용접부(130) 및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자동용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값을 입력하는 부분으로, 후술할 용접부의 위치 및 용접 속도, 이송부(120)의 이송속도 및 위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용접 공정변수인 전류, 전압 등을 설정하여 케이블 트레이(111) 제작에 필요한 최적의 용접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력부(11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상기 데이터들을 입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용접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용접의 대상이 되는 케이블 트레이(111)를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121) 및 구동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21)의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메인프레임(121)의 좌, 우 양측에는 후술할 이송 대차(142)가 일정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2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21)의 하부에는 리드 스크류(1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122)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리드 스크류(12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부(122)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122)는 상부에 일정 형상의 홈(122a)이 형성된 몸체(122b), 상기 구동부(122)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122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홈은 후술할 케이블 트레이(111)가 장착되는 이송 대차(142)가 상기 이송부(120)와 연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홈(122a)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부가 개방된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이송부(120)가 이동하여 이송 대차(142)와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이송 대차(142)는 상기 이송부(12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함께 이동되어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를 상기 용접부(130)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122c)는 상기 구동부(122)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다양한 모터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모터는 서보(Servo)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122)를 정확하고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프레임(121) 상에는 상기 구동부(122)와 연결되는 전력 및 데이터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수단(121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수단(121a)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덕트 형상의 체인 컨베이어 밸트를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부(122)와 연결되는 상기 전력 및 데이터 케이블이 상기 구동부(122)의 이동에 따라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대차(142)의 차륜에 끼여 피복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21)의 양측 즉 좌, 우측에는 틸팅(tilting)부(140)가 더 구비된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틸팅부(1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틸팅부(140)는 보조프레임(141), 이송 대차(142) 및 실린더(14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141)은 상기 메인프레임(121)과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보조프레임(141)은 상기 메인프레임(121)과 동일 높이 및 동일 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술한 메인프레임(121)의 레일(121b)이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대차(142)는 상기 메인프레임(121)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프레임(141) 상에서도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프레임(141)의 끝단에는 상기 이송 대차(142)가 레일(121b)에서 탈선하지 않도록 탈선 방지용 보조장치(14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프레임(141)의 레일(121b) 상에는 케이블 트레이(111)가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들(121)(141)의 레일(121b)을 따라 용접되는 부분까지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 대차(142)가 더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틸팅부(140) 하부에는 상기 보조프레임(141)을 일정 각도로 들어올릴 수 있는 실린더(143)가 구비되어 있다.
이는 작업자가 편하고 간단하게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를 상기 이송 대차(142)에 고정 내지 분리할 수 있도록 일정 각을 이루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실린더(143)는 다양한 방식의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였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들(121)(141)의 레일(121b)은 상기 이송 대차(142)의 차륜이 상기 레일(121b)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L"형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이송 대차(142)의 정확한 이동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프레임(141)의 틸팅(tilting)시 상기 이송 대차(142)가 상기 보조프레임(14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아울러 수행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21)의 양 끝단에는 센서(도시되지않음)가 구비될 수 있어 상기 구동부(122)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부(122)가 상기 이송 대차(142)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122)에 정지신호를 보내어 상기 구동부(122)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센서는 동작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비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였다.
이하, 용접부(13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용접부(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용접부(130)는 지지대(131), 한 쌍의 토치(132) 및 상기 토치(13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33)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지지대(131)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A"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구동부(122)에 의해 이송된 케이블 트레이(111)를 용접할 수 있는 안정된 위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131)는 작업장 바닥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토치(132)를 상, 하,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용접 모재와 상기 토치(132)사이의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안정된 용접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토치(132)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를 접합하기 위한 용접기에 해당하며, 상기 고정수단(13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133)은 상기 지지대(131)에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토치(132)를 한 쌍으로 구비하는 이유는 사다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 부품들을 한 번의 용접으로 접합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토치(132)에 의한 용접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선박제조 및 대형 구조물의 용접작업에 사용되는 MAG용접공법을 채택하였으며, 손쉽게 용접 가능한 350A 급 CO2 인버터 용접기를 이용하였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13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드 스크류(133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 스크류(133a)를 통해 상기 토치(132)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다양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용접의 대상이 되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는 그 폭이 다양한 구조물로 상기 리드 스크류(133a)를 통해 상기 한 쌍의 토치(132) 폭을 조절 다양한 사이즈의 케이블 트레이를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2)를 통해 이동된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가 용접 지점에 도착시 상기 토치(132)를 하강시켜 정확하고 신속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3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접 장치의 용접 진행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술한 입력부(110)의 역할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31)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이송부(120) 및 용접부(1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100)의 용접 진행 공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메인프레임(121)의 양측에 구비되는 틸팅부(140)(2개소)의 이송 대차(142)(2대)에 용접하고자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부품을 올려놓은 후 이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용접 데이터를 입력하며, 입력된 대로 상기 이송부(120)가 상기 보조프레임(141)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송 대차(142)와 연결, 이를 용접부(130) 하부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용접부(130)의 토치(132)가 하강하여 사다리 형상의 케이블 트레이 부품을 차례로 용접한 후,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이송 대차(142)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이송부(120)는 반대쪽 보조프레임 쪽으로 이동하여 케이블 트레이가 고정된 반대쪽 이송 대차를 상기 용접부 아래로 위치한 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접하고 용접후, 상기 이송부(120)는 상기 이송 대차를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100)는 좌, 우측의 이송 대차에 고정된 상기 케이블 트레이(111)를 번갈아 가며 이동시키고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접 장치(100)는 공정에 단순화를 이루고 기존 작업에 필요한 인원을 절감하여 다른 타 작업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제조 싸이클 타임 단축으로 단위당 생산량이 증가 되고, 균일한 용접 비드를 가지는 용접물의 생산이 가능하고, 용접 공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제품에 불량률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동용접 장치에 한번 이송으로 용접이 이루어져 원가 절감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는 용접 대상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용접을 본 고안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용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110:입력부 111:케이블 트레이
120:이송부 121:메인프레임 121a:케이블 보호수단 122:구동부
122a:홈 122b:몸체 122c:모터 123:리드 스크류 130:용접부 131:지지대
132:토치 133:토치 고정수단 133a:리드 스크류 140:틸팅부 141:보조프레임
141a:탈선방지용 보조장치 142:이송 대차 143:실린더 150:디스플레이장치

Claims (14)

  1. 용접 데이터 값을 입력하기 입력부;
    리드 스크류가 구비된 메인프레임과, 상부에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일정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정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를 상기 리드 스크류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는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데이터 값에 해당하는 위치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
    이동된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부; 및
    상기 이송부 및 용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에는 틸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메인프레임과 맞물리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며 케이블 트레이가 고정되는 이송대차; 및
    및 상기 보조프레임을 일정 각도로 들어올리기 위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및 상기 보조프레임 상에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대차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차는 상기 구동부의 홈과 결합 되어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지지대;
    한 쌍의 토치; 및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토치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토치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토치 고정수단은 상기 토치를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드 스크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정 부분에는 용접 진행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2020100000996U 2010-01-28 2010-01-28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KR200459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996U KR200459636Y1 (ko) 2010-01-28 2010-01-28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996U KR200459636Y1 (ko) 2010-01-28 2010-01-28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19U KR20110007719U (ko) 2011-08-03
KR200459636Y1 true KR200459636Y1 (ko) 2012-04-04

Family

ID=4559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996U KR200459636Y1 (ko) 2010-01-28 2010-01-28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301B1 (ko) * 2020-10-23 2021-08-06 김명수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60B1 (ko) 2021-06-28 2024-03-07 김낙현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968A (ja) * 1991-10-28 1993-05-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鋼板パネル自動溶接装置
KR20010027904A (ko) * 1999-09-16 2001-04-06 추호석 흘수 마크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968A (ja) * 1991-10-28 1993-05-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鋼板パネル自動溶接装置
KR20010027904A (ko) * 1999-09-16 2001-04-06 추호석 흘수 마크 용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301B1 (ko) * 2020-10-23 2021-08-06 김명수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19U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31633C (zh) 异形罐体环缝自动焊接机
CN107442890B (zh) 道岔垫板自动化焊接生产线上料系统及方法
CN109885007B (zh) 一种基于机器人焊接生产线的平衡梁智能焊接方法
CN105108274B (zh) 一种液压支架焊接系统及其焊接方法
KR100861695B1 (ko) 러그 용접 로봇 시스템 및 용접 방법
CN103862213A (zh) 施工升降机标准节方框的焊接夹紧装置
CN105397356B (zh) 一种双工位的铣刨鼓刀座机器人自动焊接生产线
KR200459636Y1 (ko)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CN112917035A (zh) 一种预埋件自动化装配焊接装置及其焊接方法
CN112355554A (zh) 一种梯式电缆桥架机器人焊接工作站
CN206382749U (zh) 可调节移动的焊接支架
KR20110104333A (ko) 배관 자동 용접용 매니퓰레이터
KR20060131388A (ko) 오버헤드 전용 용접 로봇장치
CN217618627U (zh) 一种车厢板机器人自动化焊接工作站
CN204524519U (zh) 一种用于焊接变幅活塞杆耳环的机器人焊接系统
CN110480217B (zh) 一种网架连杆自动焊接生产系统的封板或锥头供给单元
CN205218362U (zh) 门式双机器人焊接工作站
CN203045168U (zh) 活动支腿焊接精益生产线
CN212665253U (zh) 自动化直缝焊接装置
CN209272787U (zh) 一种具有防变形功能的特大平衡梁机器人焊接装置
CN108480826A (zh) 一种复杂中组立机器人压缩电弧mag焊接装置
KR102060926B1 (ko)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CN206717343U (zh) 一种钢带点对点焊接装置
CN108188619B (zh) 自动化焊接系统
CN206839391U (zh) 一种用于汽车发动机座的双工位焊接工作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