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926B1 -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926B1
KR102060926B1 KR1020190084915A KR20190084915A KR102060926B1 KR 102060926 B1 KR102060926 B1 KR 102060926B1 KR 1020190084915 A KR1020190084915 A KR 1020190084915A KR 20190084915 A KR20190084915 A KR 20190084915A KR 102060926 B1 KR102060926 B1 KR 10206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intermediate product
clamp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호충
박호섭
문재룡
왕종준
Original Assignee
기호충
박호섭
문재룡
왕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호충, 박호섭, 문재룡, 왕종준 filed Critical 기호충
Priority to KR102019008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making circular cuts or w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8Carriages forming part of a cut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십여 내지 150mm 이하 두께의 작업대상물을 직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절단하거나, 일정 직경을 가진 홀 또는 경사면을 가진 홀을 뚫는 가공을 실시하는 제1 유닛; 직사각 형상을 복수로 연결하여 수 m 내지 십여 m의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및 외주면 연결부를 가우징(gouging)하는 제2 유닛; 및 제1차 용접된 부위를 형성하도록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제1차 용접을 실시하거나 가우징부에 의한 가우징이 완료된 부분을 따라 제2차 용접을 실시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십여 내지 150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매우 두꺼운 작업대상물을 절단하고 용접하는 일련의 수관보일러 제조 공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BOILER}
본 발명은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두꺼운 작업대상물을 절단하고 용접하는 일련의 수관보일러 제조 공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의 연소실내에서는 주로 복사에 의한 전열(傳熱)이 이루어지며, 상기 가스통로에서는 주로 대류에 의한 전열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0200544호의 "수관 보일러"(이하 선행기술)를 포함한 많은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현재에도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을 포함한 일반적인 수관 보일러는 무수히 많은 튜브, 즉 전열관을 작업 대상면에 천공하여 고정시키고 용접시키는 등 일련의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하여 실시하고 있는 현장이 아직도 많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롭고 단순한 작업을 자동적이며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2005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매우 두꺼운 작업대상물을 절단하고 용접하는 일련의 수관보일러 제조 공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십여 내지 150mm 이하 두께의 작업대상물을 직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절단하거나, 일정 직경을 가진 홀 또는 경사면을 가진 홀을 뚫는 가공을 실시하는 제1 노즐과, 상기 제1 노즐을 상기 작업대상물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1 본체와, 상기 작업대상물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본체를 일정한 방향과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일 패널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직사각 형상을 복수로 연결하여 수 m 내지 십여 m의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및 외주면 연결부의 제1차 용접된 부위의 루트(root) 부분을 녹여서 압축에어로 불어내는 작업을 실시하는 가우징(gouging)부와, 상기 중간제작물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상기 중간제작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와,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상기 중간제작물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 중 하나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전달계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차 용접된 부위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상기 제1차 용접을 실시하거나 상기 가우징부에 의한 가우징이 완료된 부분을 따라 제2차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기와, 상기 용접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용접기를 상기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촉 또는 이격시키거나 상기 용접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본체의 좌우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레일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함몰 형성된 레일홈에 맞물려 이동 가능한 휠과, 상기 제1 본체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클램프와, 상기 지지대와 직교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클램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에 대하여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 홀더와, 상기 연장 홀더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노즐을 탈착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제3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닛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 레일과, 상기 바닥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승강지지 바와, 상기 승강지지 바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안전 발판과, 상기 안전 발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안전 난간을 포함하는 제4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십여 내지 150mm 이하 두께의 작업대상물을 직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절단하거나, 일정 직경을 가진 홀 또는 경사면을 가진 홀을 뚫는 가공을 실시하는 제1 노즐과, 제1 노즐을 작업대상물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1 본체와, 작업대상물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본체를 일정한 방향과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일 패널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직사각 형상을 복수로 연결하여 수 m 내지 십여 m의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및 외주면 연결부의 제1차 용접된 부위의 루트(root) 부분을 녹여서 압축에어로 불어내는 작업을 실시하는 가우징(gouging)부와, 중간제작물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중간제작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와, 복수의 지지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중간제작물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복수의 지지롤러 중 하나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전달계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제1차 용접된 부위를 형성하도록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제1차 용접을 실시하거나 가우징부에 의한 가우징이 완료된 부분을 따라 제2차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기와, 용접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접기를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촉 또는 이격시키거나 용접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매우 두꺼운 작업대상물을 절단하고 용접하는 일련의 수관보일러 제조 공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형 및 초대형 수관보일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대량 생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제1 본체의 좌우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함몰 형성된 레일홈에 맞물려 이동 가능한 휠과, 제1 본체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클램프와, 지지대와 직교되게 배치되며 제1 클램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된 지지봉과, 지지봉의 양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와, 제2 클램프에 대하여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 홀더와, 연장 홀더의 말단에 구비되어 제1 노즐을 탈착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제3 클램프를 더 구비함으로써,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하며 대형의 수관보일러 제작시 다양한 형상의 절단 가공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유닛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 레일과, 바닥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와, 대차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승강지지 바와, 승강지지 바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안전 발판과, 안전 발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안전 난간을 포함하는 제4 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작업장내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내지 제4 유닛을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내지 제4 유닛(200, 300, 400)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 및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십여 내지 150mm 이하 두께의 작업대상물(510)을 직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절단하거나, 일정 직경을 가진 홀 또는 경사면을 가진 홀을 뚫는 가공을 실시하는 제1 노즐(101)과, 제1 노즐(101)을 작업대상물(510)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1 본체(102)와, 작업대상물(510)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본체(102)를 일정한 방향과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일 패널(103)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직사각 형상을 복수로 연결하여 수 m 내지 십여 m의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제작물(520)의 내주면 및 외주면 연결부의 제1차 용접된 부위(521)의 루트(root) 부분을 녹여서 압축에어로 불어내는 작업을 실시하는 가우징(gouging)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중간제작물(520)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중간제작물(520)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202)와, 복수의 지지롤러(202)를 회전 지지하며 중간제작물(520)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03, 204)과, 복수의 지지롤러(202) 중 하나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전달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유닛(300)은 제1차 용접된 부위(521)를 형성하도록 중간제작물(5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제1차 용접을 실시하거나 가우징부(201)에 의한 가우징이 완료된 부분(522)을 따라 제2차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기(301)와, 용접기(301)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접기(301)를 중간제작물(52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촉 또는 이격시키거나 용접기(30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조작부(310)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도 1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본체(102)의 좌우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 패널(103)의 양측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함몰 형성된 레일홈(104)에 맞물려 이동 가능한 휠(10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제1 본체(102)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는 지지대(10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지지대(106)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클램프(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지지대(106)와 직교되게 배치되며 제1 클램프(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눈금(141)이 표시된 지지봉(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지지봉(140)의 양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제2 클램프(120)에 대하여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 홀더(1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유닛(100)은, 연장 홀더(150)의 말단에 구비되어 제1 노즐(101)을 탈착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제3 클램프(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본체(102)의 일측에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107)는 운반 및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본체(102)의 일측에는 전류 조절을 위한 전류 다이얼(108)과, 장치 전체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109)도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정한 위치로부터 절단을 하려고 하면, 제3 클램프(130)에 제1 노즐(101)을 결합시킨 다음, 제3 클램프(130)의 위치를 지지봉(140) 상의 눈금(141) 중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킨 후 제1 본체(102)의 휠(105)을 레일홈(104)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절단하면 될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2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203, 204)은 중간제작물(520)의 원통 형상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전달계(210)는, 복수의 지지롤러(202) 중 하나와 연결되는 구동모터(211)와, 구동모터(211)와 복수의 지지롤러(202) 중 하나 사이에 배치되는 감속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작부(310)는, 용접기(301)의 일측에 연결되어 중간제작물(520)의 내주면 및 외주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바(311)와, 제2 유닛(200)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제1 바(311)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제2 바(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10)는 제1 바(311)와 제2 바(312) 사이에 구비되는 이동자(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자(313)는 용접기(301)가 중간제작물(5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바(312)에 대하여 제1 바(311)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자(313)는 용접기(301)가 중간제작물(5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되게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바(312)에 대하여 제1 바(31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제4 유닛(4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4 유닛(400)은, 제2 유닛(200)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 레일(410, 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유닛(400)은, 바닥 레일(410, 410)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420, 420)와, 대차(420, 4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승강지지 바(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유닛(400)은, 승강지지 바(43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안전 발판(440)과, 안전 발판(44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안전 난간(4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십여 내지 150mm 이하 두께의 작업대상물(510)을 직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절단하거나, 일정 직경을 가진 홀 또는 경사면을 가진 홀을 뚫는 가공을 실시하는 제1 노즐(101)과, 제1 노즐(101)을 작업대상물(510)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1 본체(102)와, 작업대상물(510)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본체(102)를 일정한 방향과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일 패널(103)을 포함하는 제1 유닛(100); 직사각 형상을 복수로 연결하여 수 m 내지 십여 m의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제작물(520)의 내주면 및 외주면 연결부의 제1차 용접된 부위(521)의 루트(root) 부분을 녹여서 압축에어로 불어내는 작업을 실시하는 가우징(gouging)부(201)와, 중간제작물(520)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중간제작물(520)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202)와, 복수의 지지롤러(202)를 회전 지지하며 중간제작물(520)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03, 204)과, 복수의 지지롤러(202) 중 하나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전달계(21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및 제1차 용접된 부위(521)를 형성하도록 중간제작물(5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제1차 용접을 실시하거나 가우징부(201)에 의한 가우징이 완료된 부분(522)을 따라 제2차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기(301)와, 용접기(301)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접기(301)를 중간제작물(52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촉 또는 이격시키거나 용접기(30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조작부(310)를 포함하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십여 내지 150mm 이하의 두께를 가진 매우 두꺼운 작업대상물(510)을 절단하고 용접하는 일련의 수관보일러 제조 공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형 및 초대형 수관보일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대량 생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제1 본체(102)의 좌우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 패널(103)의 양측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함몰 형성된 레일홈(104)에 맞물려 이동 가능한 휠(105)과, 제1 본체(102)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는 지지대(106)와, 지지대(106)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클램프(110)와, 지지대(106)와 직교되게 배치되며 제1 클램프(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눈금(141)이 표시된 지지봉(140)과, 지지봉(140)의 양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120)와, 제2 클램프(120)에 대하여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 홀더(150)와, 연장 홀더(150)의 말단에 구비되어 제1 노즐(101)을 탈착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제3 클램프(130)를 더 구비함으로써,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하며 대형의 수관보일러 제작시 다양한 형상의 절단 가공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유닛(200)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 레일(410, 410)과, 바닥 레일(410, 410)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420, 420)와, 대차(420, 4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승강지지 바(430)와, 승강지지 바(43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안전 발판(440)과, 안전 발판(44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안전 난간(450)을 포함하는 제4 유닛(400)을 더 구비함으로써, 작업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작업장내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매우 두꺼운 작업대상물을 절단하고 용접하는 일련의 수관보일러 제조 공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노즐
102...제1 본체
103...레일 패널
104...레일홈
105...휠
106...지지대
107...손잡이
108...전류 다이얼
109...온오프 스위치
110...제1 클램프
120...제2 클램프
130...제3 클램프
140...지지봉
141...눈금
150...연장 홀더
200...제2 유닛
201...가우징부
202...지지롤러
203, 204...지지 프레임
210...구동전달계
211...구동모터
212...감속기
300...제3 유닛
301...용접기
310...조작부
311...제1 바
312...제2 바
313...이동자
400...제4 유닛
410, 410...바닥 레일
420, 420...대차
430...승강지지 바
440...안전 발판
450...안전 난간
510...작업대상물
520...중간제작물
521...제1차 용접된 부위
522...가우징이 완료된 부분

Claims (3)

  1. 십여 내지 150mm 이하 두께의 작업대상물을 직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절단하거나, 일정 직경을 가진 홀 또는 경사면을 가진 홀을 뚫는 가공을 실시하는 제1 노즐과, 상기 제1 노즐을 상기 작업대상물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1 본체와, 상기 작업대상물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본체를 일정한 방향과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레일 패널과, 상기 제1 본체의 좌우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레일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 내측을 따라 함몰 형성된 레일홈에 맞물려 이동 가능한 휠과,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류 조절을 위한 전류 다이얼과, 상기 제1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직사각 형상을 복수로 연결하여 수 m 내지 십여 m의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및 외주면 연결부의 제1차 용접된 부위의 루트(root) 부분을 녹여서 압축에어로 불어내는 작업을 실시하는 가우징(gouging)부와, 상기 중간제작물의 원통 형상의 외주면 전방측 및 후방측과 각각 접촉하며 상기 중간제작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와,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를 회전 지지하며 상기 중간제작물을 받침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지지롤러 중 하나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전달계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제1차 용접된 부위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상기 제1차 용접을 실시하거나 상기 가우징부에 의한 가우징이 완료된 부분을 따라 제2차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기와, 상기 용접기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용접기를 상기 중간제작물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과 접촉 또는 이격시키거나 상기 용접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지면에 배치되는 바닥 레일과, 상기 바닥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승강지지 바와, 상기 승강지지 바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안전 발판과, 상기 안전 발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안전 난간을 포함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본체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클램프와,
    상기 지지대와 직교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클램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에 대하여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 홀더와,
    상기 연장 홀더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노즐을 탈착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제3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3. 삭제
KR1020190084915A 2019-07-15 2019-07-15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KR10206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15A KR102060926B1 (ko) 2019-07-15 2019-07-15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15A KR102060926B1 (ko) 2019-07-15 2019-07-15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926B1 true KR102060926B1 (ko) 2019-12-30

Family

ID=6910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15A KR102060926B1 (ko) 2019-07-15 2019-07-15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3361A (zh) * 2020-08-16 2020-10-30 桂林航天工业学院 一种机器人焊接变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888B2 (ja) * 1990-02-15 2000-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888B2 (ja) * 1990-02-15 2000-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3361A (zh) * 2020-08-16 2020-10-30 桂林航天工业学院 一种机器人焊接变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839B1 (ko) 폼워크생산용 자동용접장치
CN201735956U (zh) 激光切割机的工作台
CN211588853U (zh) 防护栏自动焊接设备
CN109623177B (zh) 一种带钣金矫形功能的机器人激光焊平焊仰焊一体化夹具
KR101536641B1 (ko) 용접강관의 비드절단 장치
CN213888610U (zh) 一种搅拌车筒体机器人焊接系统
KR102060926B1 (ko)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KR101708908B1 (ko) 비계용 발판 제조용 용접장치
CN206382749U (zh) 可调节移动的焊接支架
KR200494535Y1 (ko) 선박 건조용 용접작업 보조장치
KR100609196B1 (ko) 복관 외면 2-심 동시 자동용접장치
CN219767193U (zh) 一种散热器片管自动焊接装置
CN209811545U (zh) 一种自动焊接装置及采用该自动焊接装置的焊接设备
CN112025033A (zh) 防护栏自动焊接设备
CN116638205A (zh) 一种钢结构局部加热切割装置
CN104139306B (zh) 一种旋转门横梁加工系统及其加工方法
CN212191829U (zh) 一种钢管环焊缝焊接工装胎架
CN212665253U (zh) 自动化直缝焊接装置
KR101039567B1 (ko) 용접카
CN212191648U (zh) 一种一体式火焰切割机
KR102094104B1 (ko) 스트립 전극을 이용한 파이프 내면 자동용접장치
KR20070065593A (ko) 수직사다리의 용접을 위한 이송장치
CN203062121U (zh) 全自动焊接作业平台
KR200459636Y1 (ko)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JP2607788B2 (ja) 長尺ロンジ材の位置決め・仮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