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301B1 -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301B1
KR102287301B1 KR1020200138220A KR20200138220A KR102287301B1 KR 102287301 B1 KR102287301 B1 KR 102287301B1 KR 1020200138220 A KR1020200138220 A KR 1020200138220A KR 20200138220 A KR20200138220 A KR 20200138220A KR 102287301 B1 KR102287301 B1 KR 10228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unit
frame
support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20013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력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균일한 품질의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양끝단이 용접결합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측면프레임과 수평지지대를 고정하는 복수의 지그모듈이 안착되고,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 상기 지그모듈에 복수의 측면 프레임을 장착하는 프레임 공급부; 상기 지그모듈에 장착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대를 공급하는 지지대 공급부; 상기 지그모듈에 장착된 측면프레임과 수평지지대의 접촉 부위를 용접하는 용접부; 용접이 완료되어 제조된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지그모듈에서 외부로 반출하는 언로딩부; 및 전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Rotation typ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able tray}
본 발명은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품질의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조물로, 일반적으로 공장,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의 정리 정돈을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케이블 등을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는 공개특허 제2009-00335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배치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빔)과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대(렁,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측면프레임은 통상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강판을 성형하여 제조되고, 수평지지대는 상기 측면프레임과 동일한 'ㄷ'자 형태 또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며, 역시 강판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대의 결합은 용접방식, 끼움방식, 알루미늄 압착방식 등이 다양하게 채택되고 있다.
이중 용접 방식은 측면프레임과 수평지지대를 영구적으로 결합하여 결합 강도가 우수하여 가장 경제적인 방법 중 하나이고 널리 적용되는 방법에 해당한다.
그러나 수동으로 용접을 이용하여 측면프레임과 수평지지대를 결합하는 경우, 일정 수준 이상 훈련된 숙련자가 필요하고, 또한 용접 중 발생하는 슬래그가 측면프레임, 수평지지대 등에 튀어 외관을 해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용접부분의 부식성을 고려하여 용접부분에 용융아연 도금을 시행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용접부분이 협소하므로 균일한 용접이 힘들어 강도의 균일성 확보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자동화된 방식으로 용접을 수행하여 일정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전형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력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균일한 품질의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양끝단이 용접결합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측면프레임과 수평지지대를 고정하는 복수의 지그모듈이 안착되고,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 상기 지그모듈에 복수의 측면 프레임을 장착하는 프레임 공급부; 상기 지그모듈에 장착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대를 공급하는 지지대 공급부; 상기 지그모듈에 장착된 측면프레임과 수평지지대의 접촉 부위를 용접하는 용접부; 용접이 완료되어 제조된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지그모듈에서 외부로 반출하는 언로딩부; 및 전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테이블은 상단에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는 4개의 지그모듈을 포함하고, 각 지그모듈은 프레임 공급부, 지지대 공급부, 용접부 및 언로딩부 순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그모듈은 상기 측면프레임을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고정부와 상기 수평지지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고정부와 지지대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공급부는 측면프레임을 공급하는 공급모듈과 상기 공급모듈을 통하여 공급되는 측면프레임을 지그모듈에 장착하는 공급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 로봇은 단말에 장착되어 측면프레임을 그리핑하는 그리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접부는 단말에 장착되는 용접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접건을 복수의 용접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로딩부는 단말에 케이블 트레이를 그리핑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반출 로봇과 반출된 케이블 트레이를 적재하는 반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지그모듈이 용접부에 진입하는 경우, 프레임고정부와 지지대고정부를 동작시켜, 측면프레임과 지지대고정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지그모듈이 언로딩부에 진입하는 경우, 프레임고정부와 지지대고정부의 동작을 해방시켜 측면프레임과 지지대고정부의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프레임 공급부, 지지대 공급부, 용접부 및 언로딩부의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회전 테이블을 90도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는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 테이블, 상기 회전 테이블 상단에 측면프레임을 공급하는 프레임 공급부, 상기 회전 테이블 상단에 수평지지대를 공급하는 지지대 공급부, 상기 수평지지대와 측면프레임의 접촉부에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부, 용접이 완료된 케이블 트레이를 배출하는 언로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제조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균일한 품질의 케이블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케이블 트레이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테이블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그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공급부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용접부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언로딩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인 케이블 트레이(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한쌍의 측면프레임(2) 사이에 다수의 수평지지대(3)가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측면프레임(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칠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3)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역할과 측면프레임(2)의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단면 형태는 강도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끝단은 상기 측면프레임(2)과 결합하며, 본 발명에서는 용접에 의하여 상기 측면프레임(2)과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프레임(2)과 수평지지대(3)를 별도의 공정에서 의하여 절곡 및 절단하여 제조한 후, 수평지지대(3)의 양끝단을 상기 측면프레임(2)와 일면과 용접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100)는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어 공급되는 측면프레임(2)과 수평지지대(3)를 안착한 후, 수평지지대(3)의 끝단과 측면프레임(2)의 접촉부를 용접하여 최종적으로 케이블 트레이(1)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설치되는 회전 테이블(10), 상기 회전 테이블 상단에 측면프레임(2)을 공급하는 프레임 공급부(40), 상기 회전 테이블 상단에 수평지지대(3)를 공급하는 지지대 공급부(50), 상기 수평지지대(3)와 측면프레임(2)의 접촉부에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부(60), 용접에 의하여 제작된 케이블 트레이(1)를 배출하는 언로딩부(80) 및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회전 테이블(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부(11)와 상기 지지부(11) 상단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1)에는 별도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부(12)가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식 모터, 공압 모터 또는 유압 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제어특성을 고려하는 경우 전기식 모터와 변속기를 조합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12) 상단에는 회전 중심에서 동일한 위치와 동일한 크기로 배치되는 4개의 지그모듈(20)을 포함한다.
각각의 지그모듈(20)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12)는 상기 간격을 맞추기 위하여 90도 단위로 회전하여 각각의 단위 공정에 각각의 지그모듈(20)을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한편, 상기 지그모듈(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복수의 측면프레임(2)을 지지하는 프레임고정부(21)와 복수의 수평지지대(3)를 지지하는 지지대고정부(22)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고정부(21)와 지지대고정부(22)는 측면프레임(2)과 수평지지대(3) 접속부의 용접 작업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고정부(21)는 측면프레임(2)의 각 끝단을 지지하는 2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대고정부(22)는 수평지지대(3)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나의 지그모듈(20)에서 생산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1) 수에 의하여 전체 프레임고정부(21)와 지지대고정부(22)의 설치 수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고정부(21)와 지지대고정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이동하여 설치된 측면프레임(2)과 수평지지대(3)를 강하게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동작은 별도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수행되며,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는 복수의 측면프레임(2)과 복수의 수평지지대(3)가 상기 지그모듈(20)에 배치되면, 상기 프레임고정부(21)를 먼저 동작시켜 측면프레임(2)을 고정한 후, 지지대고정부(22)를 동작시켜 다수의 수평지지대(3)를 고정하는 형태로 제어하나, 필요한 경우 동작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프레임고정부(21)는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대고정부(22) 역시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프레임고정부(21) 중 이동하는 부분을 내부에 배치되는 단일평판에 부착되어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단일평판을 별도의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고정부(22)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2개의 케이블 트레이(1)가 상기 지그모듈(20)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 케이블 트레이(1) 별로 별도의 단일평판을 구성하고, 상기 2개의 단일평판을 동시에 이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공급부(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2)을 공급하는 공급모듈(41)과 상기 공급모듈(41)에서 공급되는 측면프레임(2)을 상기 회전 테이블(10) 상단에 배치되는 지그모듈(20)에 안착시키는 공급 로봇(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 로봇(45)의 단말에는 측면프레임(2)을 진공에 의하여 고정하는 진공흡입식 그리퍼(46)가 장착되나, 필요한 경우 상기 그리퍼(46)는 다른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 로봇(45)은 전체 6축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그리퍼(46) 역시 상기 제어부(90)를 통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물론 상기 공급 로봇(45)은 상기 로봇만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90)와 연동되어 제어되므로, 기능적으로는 단일 제어부(9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모든 로봇과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별 제어장치들을 포함하더라도 서로 통신에 의하여 연동되어 제어되므로, 단일 제어부(9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공급모듈(41)은 측면프레임(2)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1개 또는 2개의 측면프레임(2)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도 적용 가능하다.
즉, 상기 프레임 공급부(40)는 상기 공급모듈(41)에서 제공되는 측면프레임(2)을 공급 로봇(45)이 그리핑한 후, 상기 회전 테이블(10) 상단에 배치된 하나의 지그모듈(20)의 프레임고정부(21)에 안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의 동작이 완료되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회전 테이블(10)을 90도로 회전시켜 측면프레임(2)이 안착된 지그모듈(20)이 지지대 공급부(50)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 공급부(50)는 상기 프레임 공급부(40)의 측면에 배치되며, 측면프레임(2)들이 안착된 지그모듈(20) 상단에 수평지지대(3)을 안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상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1)에는 2개의 측면 프레임(2)과 적어도 5개 이상의 수평지지대(3)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자동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높은 제조 시간을 필요로 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 공급부(50)는 별도의 지지대모듈(51)에서 공급되는 수평지지대(3)를 작업자가 상기 지그모듈(20)의 지지대고정부(22)에 안착시키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모듈(51)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평지지대(3)를 공급하는 장치로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작업자를 통하여 수평지지대(3)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프레임고정부(21)와 지지대고정부(22)를 작동시켜 측면프레임(2)과 수평지지대(3)를 강하게 고정하고 또한 상기 회전 테이블(20)를 90도 회전시킨다.
필요한 경우 상기 프레임고정부(21)와 지지대고정부(22)의 고정을 회전 테이블(20) 회전 후에 또는 회전 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 공급부(40)와 상기 지지대 공급부(50)를 통하여 공급된 측면지지대(2)와 수평지지대(3)는 상기 지그모듈(20) 상단에 배치되어 있므로, 수평지지대(3)와 측면지지대(2)의 접촉부는 상기 용접부(60)에 의하여 용접된다.
상기 용접부(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로봇(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접 로봇(65)은 단말에 부착되는 용접건(66)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건(66)은 복수의 용접팁으로 구성되며, 필요한 경우, 상기 용접팁은 2개 내지 5개로 설정된다.
각 용접팁은 하나의 수평지지대(3) 끝단과 측면프레임(2)을 용접하므로, 용접팁 사이의 거리는 수평지지대(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한다.
따라서 수평지지대(3)가 10개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1)의 경우, 상기 용접팁을 5개 설치된 용접건(66)을 사용하는 경우, 2번의 용접을 통하여 수평지지대(3)의 일끝단이 용접이 완료되므로, 전체 4번의 용접을 통하여 케이블 트레이(1)가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 로봇(65)은 전체 6축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용접건(66) 역시 상기 제어부(90)를 통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즉, 회전 테이블(10)이 회전하여 상단에 측면프레임(2) 및 수평지지대(3)가 안착된 지그모듈(20)이 상기 용접부(60)로 진입되면, 상기 용접 로봇(65)이 동작하여 상기 용접건(66)을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한다.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회전 테이블(10)을 90도 회전시켜 용접이 완료되어 제작된 케이블 트레이(1)가 안착된 지그모듈(20)을 언로딩부(80)로 안내한다.
상기 언로딩부(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출 로봇(85)과 반출모듈(8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반출 로봇(85)은 그리퍼(86)가 단말에 부착되어 상기 제어부(90)에 의하여 동작된다.
상기 반출 로봇(85) 역시 6축으로 구현되며, 상기 반출모듈(81)로 완성된 케이블 트레이(1)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며, 상기 반출모듈(81)은 완성된 케이블 트레이(1)가 필요한 수로 적재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1)를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특별히 그 형상과 구성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회전 테이블(10)이 회전하여 용접이 완료된 케이블 트레이(1)가 안착된 지그모듈(20)이 언로딩부(80)로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프레임고정부(21) 및 지지대고정부(22)를 해방한다.
이후 상기 반출 로봇(85)은 해방된 케이블 트레이(1)를 그리핑하여 상기 반출모듈(81)로 이송하고,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회전 테이블(10)을 회전시켜, 상단의 지그모듈(20)이 프레임 공급부(40)로 안내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 테이블(10)은 상단에 4개의 지그모듈(20)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지그모듈(20)은 해당 단위 공정 장치(프레임 공급부(40), 지지대 공급부(50), 용접부(60) 및 언로딩부(80))에 각각 배치되며, 90도 회전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1)가 지속적으로 언로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케이블 트레이 2: 측면프레임
3: 수평지지대 10: 회전 테이블
11: 지지부 12: 회전부
20: 지그모듈 21: 프레임고정부
22: 지지대고정부 40: 프레임 공급부
41: 공급모듈 45: 공급 로봇
46: 그리퍼 50: 지지대 공급부
51: 지지대모듈 60: 용접부
65: 용접 로봇 66: 용접건
80: 언로딩부 81: 반출모듈
85: 반출 로봇 86: 그리퍼
90: 제어부
100: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Claims (11)

  1.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양끝단이 용접결합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측면프레임과 수평지지대를 고정하는 복수의 지그모듈이 안착되고, 회전하는 회전 테이블;
    상기 지그모듈에 복수의 측면 프레임을 장착하는 프레임 공급부;
    상기 지그모듈에 장착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대를 공급하는 지지대 공급부;
    상기 지그모듈에 장착된 측면프레임과 수평지지대의 접촉 부위를 용접하는 용접부;
    용접이 완료되어 제조된 케이블 트레이를 상기 지그모듈에서 외부로 반출하는 언로딩부; 및
    전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테이블은 상단에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는 4개의 지그모듈을 포함하고, 각 지그모듈은 프레임 공급부, 지지대 공급부, 용접부 및 언로딩부 순으로 회전되고,
    상기 지그모듈은 상기 측면프레임을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고정부와 상기 수평지지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고정부와 지지대고정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지그모듈이 언로딩부에 진입하는 경우, 프레임고정부와 지지대고정부의 동작을 해방시켜 프레임고정부과 지지대고정부의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공급부는 측면프레임을 공급하는 공급모듈과 상기 공급모듈을 통하여 공급되는 측면프레임을 지그모듈에 장착하는 공급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급 로봇은 단말에 장착되어 측면프레임을 그리핑하는 그리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단말에 장착되는 용접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접건을 복수의 용접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부는 단말에 케이블 트레이를 그리핑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반출 로봇과 반출된 케이블 트레이를 적재하는 반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그모듈이 용접부에 진입하는 경우, 프레임고정부와 지지대고정부를 동작시켜, 측면프레임과 수평지지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프레임 공급부, 지지대 공급부, 용접부 및 언로딩부의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회전 테이블을 90도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KR1020200138220A 2020-10-23 2020-10-23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KR102287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20A KR102287301B1 (ko) 2020-10-23 2020-10-23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20A KR102287301B1 (ko) 2020-10-23 2020-10-23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301B1 true KR102287301B1 (ko) 2021-08-06

Family

ID=7731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20A KR102287301B1 (ko) 2020-10-23 2020-10-23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30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642U (ko) * 1996-07-02 1998-04-30 손욱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와 프레임 용접 장치
KR100818127B1 (ko) * 2007-05-28 2008-03-31 우영산업 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용 몰딩의 자동 노칭장치
KR100848476B1 (ko) * 2008-01-28 2008-07-28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장치 및 방법
KR200459636Y1 (ko) * 2010-01-28 2012-04-04 (주) 선우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KR101167718B1 (ko) * 2010-09-27 2012-07-20 주식회사 신영 지그 이송장치
KR20140042955A (ko) * 2012-09-28 2014-04-08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장치
KR101700655B1 (ko) * 2016-05-12 2017-01-31 최종성 용접 로봇을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자동 용접 장치
KR101763809B1 (ko) * 2015-11-27 2017-08-01 주식회사 정도산업 용접 포지셔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642U (ko) * 1996-07-02 1998-04-30 손욱 음극선관의 새도우 마스크와 프레임 용접 장치
KR100818127B1 (ko) * 2007-05-28 2008-03-31 우영산업 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용 몰딩의 자동 노칭장치
KR100848476B1 (ko) * 2008-01-28 2008-07-28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장치 및 방법
KR200459636Y1 (ko) * 2010-01-28 2012-04-04 (주) 선우 케이블 트레이 자동용접 장치
KR101167718B1 (ko) * 2010-09-27 2012-07-20 주식회사 신영 지그 이송장치
KR20140042955A (ko) * 2012-09-28 2014-04-08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 장치
KR101763809B1 (ko) * 2015-11-27 2017-08-01 주식회사 정도산업 용접 포지셔너
KR101700655B1 (ko) * 2016-05-12 2017-01-31 최종성 용접 로봇을 이용한 마스크 프레임 자동 용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4138B2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加工設備
US5111988A (en) Flexible automated body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7178227B2 (en) Workpiece presenter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US6899377B2 (en) Vehicle body
US20050189399A1 (en) Flexible body workstation for assembling workpieces
CN103192273A (zh) 一种汽车前门生产线
JP2010099755A (ja) 生産装置
US8713799B2 (en) Vehicle body assembly and sequencing method
KR102287301B1 (ko) 회전형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JPS60223717A (ja) 半製品処理装置
CN111774746B (zh) 一种侧围焊接柔性生产线
US4577284A (en) Adaptive robot batch assembly system
CN103934604A (zh) 车辆中控台安装支架的自动焊接装置及方法
CN111673333A (zh) 一种自动旋转工装及采用其的加工系统、焊接方法
KR20160011779A (ko) 자동 도금장치
US200201001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ssembly of automotive components
US20040055129A1 (en) Method of engineering a flexible process line
JP3945550B2 (ja) 溶接装置
CN213163801U (zh) 一种自动旋转工装及采用其的加工系统
US104441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r calibrating a manufactured part in a wet environment
RU2221683C1 (ru) Робот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сварки подсборок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CN209811466U (zh) 调角器的焊接系统
CN210449946U (zh) 一种晶圆测试机
JPH01310762A (ja) 防錆ワックス塗装装置
US20040055147A1 (en) Process line for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