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779A - 자동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779A
KR20160011779A KR1020140092758A KR20140092758A KR20160011779A KR 20160011779 A KR20160011779 A KR 20160011779A KR 1020140092758 A KR1020140092758 A KR 1020140092758A KR 20140092758 A KR20140092758 A KR 20140092758A KR 20160011779 A KR20160011779 A KR 2016001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base structure
carrier
press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복용
손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금속
주식회사 제이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금속, 주식회사 제이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금속
Priority to KR102014009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779A/ko
Publication of KR2016001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한 캐리어 유닛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하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피도금물의 도금작업을 위한 일련의 모든 작업공정을 최소 인원의 작업자가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자동화를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이라, 피도금물을 보다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제품 불량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도금장치{AUTOMATIC PLAT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도금물에 대한 도금작업을 위한 일련의 작업공정을 자동화하여 최소 인원의 작업자가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도금물에 대한 이송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금속 원자재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품이나 조립품들은 도금공정을 거쳐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 속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거나, 표면상태를 개선하게 된다.
즉, 도금장치란 금속재료의 표면을 다른 종류의 금속 또는 합금의 얇은 막으로 피복하는 것으로,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도금조 내에 피도금물을 침지한 후 피도금물을 또 다른 도금조에 반복적으로 침지시킴으로서, 피도금물에 대한 도막을 형성한다.
상기 도금장치는 도금조 내에 전기를 통전시키는 전기 도금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전기 도금장치는 각 단계별 배치되는 도금조를 따라 배치되는 이송레일을 구비한 베이스 구조물과, 상기 이송레일에 착탈결합되며 수평이동하는 이송용 캐리어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용 캐리어에 피도금물이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이송용 캐리어를 각 단계별 배치되는 도금조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도금장치는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각 단계별 도금조에 대한 이송을 작업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이송시킴으로 전체 도금공정 싸이클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각 단계별 도금조 마다 작업자가 배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도금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이며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동 도금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레일부(10)와,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 캐리어(20)와, 상기 캐리어(2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과, 상기 캐리어(20)를 승하강시키는 연결케이블(3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는 피도금물이 캐리어(20)에 메달린 상태로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이때 이동과정에서 상기 캐리어(20)에 메달린 피도금물은 흔들림이 발생하여 도금조(P)에 투입이 원활하지 않아 작업자가 이를 고정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피도금물을 메달아 놓은 상태로 도금공정을 진행할 경우 피도금물 간에 서로 부딪히는 충격으로 인해 제품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캐리어(20)에는 캐리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구동수단을 설치해야하므로 그에 따른 설비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95790호(2012.10.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피도금물에 대한 도금작업을 위한 일련의 작업공정을 자동화하여 최소 인원의 작업자가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도금물에 대한 이송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도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는,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한 캐리어 유닛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하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 유닛은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재와 대응하는 연장레일부가 설치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프레임에는 상기 캐리어 유닛이 유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유동방지용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전환 유닛의 회전 작용은 상기 승강이동유닛의 하강 동작 이후 진행되며, 상기 레일부재와 연장레일부는 상호 간의 착탈결합을 위한 경사결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벨트풀리와, 상기 벨트풀리 아래쪽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벨트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벨트풀리의 길이방향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가압력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력전달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캐리어 유닛에 대하여 미는 힘을 전달하는 가압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 유닛에는 상기 가압용 돌출부와 접촉하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압력전달부재는 상기 승강이동유닛의 하강 동작 이후 상기 방향전환 유닛을 향하여 전진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압력전달부재와 대향하는 후방에 배치되는 가압력전달부재는 상기 승강이동유닛의 하강 동작 이후 상기 방향전환 유닛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 유닛은 수의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가 레일부재 또는 연장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레일부재 또는 연장레일부를 사이에 두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와, 상기 레일부재 또는 연장레일부 상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구름이동 하는 제2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피도금물을 수용하는 결합공간부를 형성하는 결합고정부와, 상기 결합고정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탄성 가압편과, 상기 결합고정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공간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가압편을 이동시키는 회전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되는 레일부재를 따라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캐리어 유닛을 방향전환시키는 방향전환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피도금물의 도금작업을 위한 일련의 모든 작업공정을 최소 인원의 작업자가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자동화를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이라, 피도금물을 보다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제품 불량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재와 연장레일부의 착탈결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캐리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동력전달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방향전환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동방지용 스토퍼의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는 전면부와 후면부 쪽으로 각각의 단계별 도금조(P)가 배치되는 베이스 구조물(100)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210)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200)와,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300)과, 상기 레일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장형의 부스 바와 같은 피도금물(P1)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400)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400)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500)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한 캐리어 유닛(40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하는 방향전환 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은 도금장치의 외관 형태를 구축하는 것으로, 다수의 프레임부재들을 서로 조합한 조립식 구조물이다.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단계별 도금조(P)가 형성되어 있는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금조(P)는 내부에 저장되는 다양한 수용액에 전기를 흘려 피도금물(P1)에 대한 도금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개수는 수 개에서 수십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금조(P)를 이용한 전기도금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210)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부재(210)는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재(210)는 후술할 캐리어 유닛(400)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 상하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구성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대하여 1개의 단일 구성 또는 2개 이상의 다수의 구성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는 레일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재(2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는 후술할 연장레일부(621)와 상하방향으로 상호 간의 착탈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질 수 있도록 경사결합면(211,621a)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는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대하여 각각 이격 배치되는 레일부재(210)를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은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를 승강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레일연결부재(200)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레일부재(210)를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은 상기 레일부재(210)에 설치되는 캐리어 유닛(400)을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피도금물(P1)이 도금조(P)에 대하여 침지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은 유압유로부터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를 승하강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은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체 길이에 따른 레일연결부재(200)의 하중을 고려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 내에 다수 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캐리어 유닛(400)은 상기 레일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전기도금을 위한 피도금물(P1)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리어 유닛(400)은 다수의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20)과, 상기 몸체부(410)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410)가 레일부재(210) 또는 후술할 연장레일부(62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롤러(4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410)는 격자 형태의 사각 틀 형상을 가지는 구조물로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다수 개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410)를 구성하는 사각 프레임의 상단 후면에는 후술할 동력전달수단(500)의 가압용 돌출부(542)와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는 걸림돌출부(4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출부(411)의 구성에 의해 상기 캐리어 유닛(400)이 상기 레일부재(210)를 따라 이동하는 동력의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420)은 상기 몸체부(4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피도금물(P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20)은 피도금물(P1)을 수용하는 결합공간부(421a)를 형성하는 결합고정부(421)와, 상기 결합고정부(42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탄성 가압편(422)과, 상기 결합고정부(421)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공간부(421a)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가압편(422)을 이동시키는 회전조작부(42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420)은 상기 몸체부(4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420)을 2개로 구성하는 이유는, 피도금물(P1)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을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유닛(400)의 이송 동작 및 승하강 동작 시 상기 피도금물(P1)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 가압편(422)은 결합고정부(421)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공간부(421a)에 수용된 피도금물(P1)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피도금물(P1)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전조작부(423)는 상기 결합고정부(42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도금물(P1)의 단면 두께에 따라 상기 탄성 가압편(422)을 직선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조작부(423)는 결합고정부(421)의 외측면 중심부에 1개의 구성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거나, 외측면의 상하방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구성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430)는 상기 몸체부(4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410)가 레일부재(210) 또는 후술할 연장레일부(621)를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430)는 상기 레일부재(210) 또는 연장레일부(621)를 사이에 두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431)와, 상기 레일부재(210) 또는 연장레일부(621) 상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구름이동 하는 제2 롤러(43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430)는 제1 롤러(431)와 제2 롤러(432)가 상호 직각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 롤러(431)와 제2 롤러(432)는 상기 몸체부(410)가 레일부재(210)로부터 이탈을 방지 및 구름 이동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롤러(430)는 절연체로 성형 제작하여 전기도금작업 시 전류가 상기 레일부재(210) 및 베이스 구조물(100)로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410)의 외측면 일측에는 다수의 몸체부(410)가 서로 밀착 접하는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의 접촉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완충부재(41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리어 유닛(400)을 직선 이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베이스 구조물(100) 전면부 및 후면부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그 개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전기 통전되어 정역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510)와, 상기 구동모터(5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벨트풀리(520)와, 상기 벨트풀리(520) 아래쪽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530)와, 상기 벨트풀리(520)와 연결되며 상기 벨트풀리(520)의 길이방향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가압력전달부재(5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력전달부재(540)는 내부에 중공의 관통공(541)을 형성한 직사각형상이며, 그 하단에는 상기 캐리어 유닛(400)에 형성된 걸림 돌출부(411)와 접촉하여 상기 캐리어 유닛(400)을 밀어내는 힘을 전달하는 가압용 돌출부(54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상기 구동모터(510)의 회전동력이 발생하면 상기 구동모터(5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벨트풀리(520)는 직선운동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벨트풀리(520)에 연결된 상기 가압력전달부재(540)도 함께 직선 이동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캐리어 유닛(400)을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회전롤러(530)는 가압력전달부재(540)의 직선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에 위치한 캐리어 유닛(400)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에 정차된 다수의 캐리어 유닛(400)들이 순차적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다음 도금공정을 향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수단(500)은 상기 캐리어 유닛(4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없이 다수의 캐리어 유닛(400)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설비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일측 가압력전달부재(500)의 경우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의 하강 동작 이후 후술할 방향전환 유닛(600) 쪽을 향하여 전진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가압력전달부재(500)와 대향하는 후면부에 배치되는 가압력전달부재(500)는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의 하강 동작 이후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과 멀어지는 후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는,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의 회전작용시 상기 전면부에 위치한 일측 가압력전달부재(500)가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에 적재된 캐리어 유닛(400)을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 쪽으로 밀어서 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을 향하여 전진 이동 상태로 대기하고, 반대로 후방에 배치되는 가압력전달부재(500)는 상기 캐리어 유닛(400)을 방향전환 유닛(600) 쪽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후퇴하여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끝단에 위치한 다른 캐리어 유닛(400)을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 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한 캐리어 유닛(40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 안내하는 매개체 구성이다.
즉,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도금공정을 마친 캐리어 유닛(400)을 반대편 도금공정 쪽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장치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은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610)과, 상기 고정프레임(610)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재(210)와 대응하는 연장레일부(621)가 설치된 회전프레임(620)과, 상기 고정프레임(61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62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6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프레임(620)은 상기 회전구동부(630)에 의해 180°일 방향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620)에는 상기 회전구동부(630)에 의한 회전작용 시 적재된 캐리어 유닛(400)이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캐리어 유닛의 양측면을 막도록 힌지운동 하는 유동방지용 스토퍼(640)가 설치된다(도 10참조).
즉, 캐리어 유닛(400)이 회전프레임(620)에 수용되었을 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방지용 스토퍼(640)가 하강 회전하여 연장레일부(621) 상면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캐리어 유닛(400)의 이동을 막고, 캐리어 유닛(400)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유동방지용 스토퍼(640)가 상승 회전하여 연장레일부(621) 상면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캐리어 유닛(400)이 연장레일부(621)와 레일부재(210)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의 회전 작용은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의 하강동작 이후 진행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레일부재(210)와 연장레일부(621)는 결합경상면(210a,621a)에 의해 상호 착탈결합이 이루어진다.
자동 도금장치의 전체적인 작용은 이하와 같다.
먼저, 레일연결부재(200)가 상승한 상태에서 방향전환 유닛(600)에 배치된 전면부의 캐리어 유닛(400)이 동력전달수단(500)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방향전환 유닛(600)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후면부의 캐리어 유닛(400)이 동력전달수단(500)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에 장착된다.
이 경우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도금조를 거치도록 1피치(이웃하는 도금조 사이의 거리)만큼만 이동한다.
다음, 상기 레일연결부재(200)가 승강이동유닛(300)에 의해 하강 이동하여 도금 또는 세척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도금조에서 동시에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레일연결부재(200), 즉 캐리어 유닛(400)이 하강해 있는 동안 후면부의 동력전달수단(500)에 포함되는 가압용 돌출부(542)가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부의 동력전달수단(500)에 포함되는 가압용 돌출부(542)는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방향전환 유닛(600이 180도 회전하여 후면부에 설치된 캐리어 유닛(400)을 전면부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레일연결부재(200)가 승강이동유닛(300)에 의해 상승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피도금물(P1)이 도금조를 하나씩 거치면서 최종도금에 이르게 된다.
피도금물(P1)이 세장형의 부스 바이고, 그 양단부가 도금되는 경우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서 부스 바의 위아래를 교환 설치하면 피도금물(P1)이 전면부와 후면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완전한 도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되는 레일부재(210)를 따라 캐리어 유닛(400)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500)과, 상기 캐리어 유닛(400)을 방향전환시키는 방향전환 유닛(600)을 구성함으로써, 피도금물(P1)의 도금작업을 위한 일련의 모든 작업공정을 1인의 작업자가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자동화를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이라, 피도금물(P1)을 보다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제품 불량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베이스 구조물
200 : 레일연결부재
210 : 레일부재
300 : 승강이동유닛
400 : 캐리어 유닛
410 : 몸체부
420 : 고정수단
430 : 가이드롤러
500 : 동력전달수단
600 : 방향전환 유닛
621 : 연장레일부

Claims (10)

  1.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위치한 캐리어 유닛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하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유닛은,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재와 대응하는 연장레일부가 설치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에는 상기 캐리어 유닛이 유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유동방지용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유닛의 회전 작용은 상기 승강이동유닛의 하강 동작 이후 진행되며,
    상기 레일부재와 연장레일부는 상호 간의 착탈결합을 위한 경사결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벨트풀리와,
    상기 벨트풀리 아래쪽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벨트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벨트풀리의 길이방향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가압력전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전달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캐리어 유닛에 대하여 미는 힘을 전달하는 가압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 유닛에는 상기 가압용 돌출부와 접촉하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압력전달부재는 상기 승강이동유닛의 하강 동작 이후 상기 방향전환 유닛을 향하여 전진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압력전달부재와 대향하는 후방에 배치되는 가압력전달부재는 상기 승강이동유닛의 하강 동작 이후 상기 방향전환 유닛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은,
    다수의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가 레일부재 또는 연장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레일부재 또는 연장레일부를 사이에 두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와, 상기 레일부재 또는 연장레일부 상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구름이동 하는 제2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피도금물을 수용하는 결합공간부를 형성하는 결합고정부와,
    상기 결합고정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탄성 가압편과,
    상기 결합고정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공간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가압편을 이동시키는 회전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KR1020140092758A 2014-07-22 2014-07-22 자동 도금장치 KR20160011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58A KR20160011779A (ko) 2014-07-22 2014-07-22 자동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58A KR20160011779A (ko) 2014-07-22 2014-07-22 자동 도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779A true KR20160011779A (ko) 2016-02-02

Family

ID=5535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758A KR20160011779A (ko) 2014-07-22 2014-07-22 자동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7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13B1 (ko) * 2019-05-29 2019-08-12 윤현진 멀티 도금조 연결 구조
KR102034465B1 (ko) * 2019-07-26 2019-10-21 이희범 도금 장치
KR102248854B1 (ko) * 2020-11-20 2021-05-06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수직형 연속 도금 설비를 위한 기판이송설비
KR102428851B1 (ko) * 2022-05-18 2022-08-04 손규태 부스바의 전기도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13B1 (ko) * 2019-05-29 2019-08-12 윤현진 멀티 도금조 연결 구조
KR102034465B1 (ko) * 2019-07-26 2019-10-21 이희범 도금 장치
KR102248854B1 (ko) * 2020-11-20 2021-05-06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수직형 연속 도금 설비를 위한 기판이송설비
WO2022107926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수직형 연속 도금 설비를 위한 기판이송설비
CN114829680A (zh) * 2020-11-20 2022-07-29 Kpm技术有限公司 用于垂直型连续镀覆设备的基板移送设备
KR102428851B1 (ko) * 2022-05-18 2022-08-04 손규태 부스바의 전기도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4738B2 (ja) 直進マニプレータ、処理ライン及び加工部品処理方法
JP5833355B2 (ja) 表面処理装置
KR20160011779A (ko) 자동 도금장치
CA2811614A1 (en) Tilting multiplier
JP5865958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US20140314963A1 (en) Plant and method for immersion of bodyworks
KR20170003370U (ko) 자동 도금장치
JP2012097345A (ja) 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薄板状被処理物の搬送装置、及びこの搬送装置のクランプ
KR20160053661A (ko) 틸트 기능을 가진 피도금물 캐리어 이송장치
KR101904914B1 (ko) 자동 도금장치
JP4257897B2 (ja) メッキ装置
CN105525322A (zh) 一种板材输送机构以及电镀设备
KR20100001852A (ko) 기판세정장치
JP4807621B2 (ja) 塗装処理装置及び塗装処理方法
JPH0350061A (ja) フレキシブルレール
KR101736215B1 (ko) 복층 자동 도금시스템
TWI682076B (zh) 表面處理裝置
JP5532476B2 (ja) 塗装システム
JP5560507B2 (ja) 塗装用吹付処理装置
JP6342538B2 (ja) 表面処理装置
JP6687592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KR101195790B1 (ko) 피도금물 거치용 마운트
KR101607915B1 (ko) 피도금물 이송용 캐리어
JP2016029219A (ja) 表面処理装置
KR20130098750A (ko) 스토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