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914B1 - 자동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914B1
KR101904914B1 KR1020180045512A KR20180045512A KR101904914B1 KR 101904914 B1 KR101904914 B1 KR 101904914B1 KR 1020180045512 A KR1020180045512 A KR 1020180045512A KR 20180045512 A KR20180045512 A KR 20180045512A KR 101904914 B1 KR101904914 B1 KR 10190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ructure
unit
fixing
support fram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엠
Priority to KR102018004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5Conta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7Current direc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은, 복수의 수평 프레임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외향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며 상하 방향으로 2조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도금물을 상기 고정수단을 향해 누르는 누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캐리어 유닛의 직선 이동시에도 피도금물이 흔들리거나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도금장치{AUTOMATIC PLAT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도금물에 대한 도금작업을 위한 일련의 작업공정을 자동화하여 최소 인원의 작업자가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도금물에 대한 이송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도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금속 원자재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품이나 조립품들은 도금공정을 거쳐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 속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거나, 표면상태를 개선하게 된다.
즉, 도금장치란 금속재료의 표면을 다른 종류의 금속 또는 합금의 얇은 막으로 피복하는 것으로,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도금조 내에 버스바(bus bar)와 같은 피도금물을 침지한 후 피도금물을 또 다른 도금조에 반복적으로 침지시킴으로서, 피도금물에 대한 도막을 형성한다.
상기 도금장치는 도금조 내에 전기를 통전시키는 전기 도금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전기 도금장치는 각 단계별 배치되는 도금조를 따라 배치되는 이송레일을 구비한 베이스 구조물과, 상기 이송레일에 착탈결합되며 수평이동하는 이송용 캐리어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용 캐리어에 버스바와 같은 피도금물이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이송용 캐리어를 각 단계별 배치되는 도금조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도금장치는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각 단계별 도금조에 대한 이송을 작업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이송시킴으로 전체 도금공정 싸이클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각 단계별 도금조 마다 작업자가 배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도금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이며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동 도금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에 따르면, 캐리어에 설치된 결합고정부에 결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부에 버스바와 같은 피도금물을 끼운 상태에서 단순히 회전조작부로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캐리어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캐리어에 매달린 피도금물에 흔들림 및 슬립(slip)이 발생하였으며, 피도금물이 상기 캐리어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피도금물의 도금 불량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고 낙하한 피도금물에 의해 주변 구조물의 손상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피도금물이 캐리어에 설치될 때 피도금물이 캐리어의 금속 부분에 부딪히게 되므로 피도금물의 테두리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 손상되어 불량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캐리어가 하강하면서 통전하는 관계로 단자 사이의 충격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전극 사이의 파손이 발생하고 통전율이 크게 저하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캐리어가 1피치씩 이동한 후 캐리어가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 도금조에서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주변 구조물을 손상시키거나 회전하는 방향전환 유닛과 간섭이 이루어져 구조물의 변형 등을 야기함으로써 기계 전체가 정지하는 것에 의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07915 호(2016.3.30) - 선행문헌 2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1779호(2016.02.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작업시 피도금물의 흔들림이나 이탈됨이 없이, 보다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피도금물이 손상되지 않는 자동 도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의 하강에 따라 전극의 단자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에도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도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가 1피치씩 이동한 후 이웃하는 캐리어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도금조 내에서의 피도금물의 흔들림이 없도록 하고 방향전환 유닛 등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없도록 하여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도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는,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은,
복수의 수평 프레임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외향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며 상하 방향으로 2조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도금물을 상기 고정수단을 향해 누르는 누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외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스크류 로드;
상기 스크류 로드의 나선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조임 너트; 및,
상기 조임 너트와 피도금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조임 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피도금물을 누르는 누름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 로드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누름편은 상기 스크류 로드의 상부에 얹어지되, 상기 복수의 스크류 로드의 측부가 동시에 끼워지도록 하부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편은 절곡된 단면 형상의 금속 플레이트와,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안쪽에 설치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4각 단면의 접촉부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접촉부가 먼저 상기 피도금물에 접촉하도록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지나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복수의 피도금물의 후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합성수지 소재의 받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내향부에는 누름 통전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는 상기 누름 통전편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눌림 통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눌림 통전부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눌림 접촉편; 및,
상기 지지부와 눌림 접촉편 사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구조물 또는 레일연결부재에는 이웃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레일연결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압력 실린더; 및,
상기 압력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이웃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부의 수직 프레임을 동시에 누르는 고정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피도금물을 수용하는 결합홈부를 형성하는 결합고정부와,
상기 결합고정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조작부로 구성되되,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결합홈부는 상하단의 폭이 중앙의 폭보다 큰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수단을 향해 누르는 누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캐리어 유닛의 직선 이동시에도 피도금물이 흔들리거나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수단에는 복수의 피도금물의 후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합성수지 소재의 받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어, 복수의 피도금물을 상기 고정수단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설치할 때, 피도금물이 알루미늄 등 금속재로 이루어진 결합홈부의 바닥에 닿지 않고 상기 받침부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시 피도금물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결합고정부와 접촉할 때의 충격에 의해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플레임부가 피도금물의 도금을 위해 하강하면, 누름 통전편이 눌림 접촉편을 누르게 되며, 상기 눌림 접촉편이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대항하면서 상기 지지부를 향해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누름 통전편이 눌림 통전부에 충격적으로 접촉하는 경우가 없게 되어 재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해 완전한 접촉을 유도하여 온전한 음극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통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용 캐리어 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결합홈부의 상하단 폭이 중앙의 폭보다 큰 곡면을 형성되어 있으므로, 캐리어 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버스 바와 같은 피도금물을 고정수단에 착탈할 때, 상기 피도금물이 결합홈부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피도금물과 결합홈부의 도입부에서의 긁힘이나 스크래치 등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캐리어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캐리어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캐리어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6에서 누름 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누름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금속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b)는 접촉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서 누름 통전편 눌림 통전부의 설치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눌림 통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고정부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프레임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도금장치는 전면부와 후면부 쪽으로 각각의 단계별 도금조(P)가 배치되는 베이스 구조물(100)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210)를 연결 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200)와,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300)과, 상기 레일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세장형의 버스 바와 같은 피도금물(P1)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400)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400)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500)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유닛(400)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전환 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은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조립식 구조물이다.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단계별 도금조(P)가 형성되어 있는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금조(P)는 내부에 저장되는 다양한 수용액에 전기를 흘려 피도금물(P1)에 대한 도금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개수는 수 개에서 수십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조(P)를 이용한 전기도금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210)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레일부재(210)는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재(210)는 후술할 캐리어 유닛(400)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 상하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구성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전면부와 후면부에 대하여 1개의 단일 구성 또는 2개 이상의 다수의 구성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는 레일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는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대하여 각각 이격 배치되는 레일부재(210)를 상호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은 상기 레일연결부재(200)를 승강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레일연결부재(200)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레일부재(210)를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은 상기 레일부재(210)에 설치되는 캐리어 유닛(400)을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피도금물(P1)이 도금조(P)에 대하여 침지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은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후 방향을 따라 중앙에 1조 설치되어도 되나 2개 이상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제품사양이 달라 무게 중심이 편중된 경우에도 안정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앙에 1조만 설치되는 경우 다품종을 적재하게 되면 무게 중심이 중앙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승강 이동시 흔들림 등 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은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체 길이에 따른 레일연결부재(200)의 하중을 고려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 내에 다수 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캐리어 유닛(400)은 상기 레일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전기도금을 위한 피도금물(P1)을 고정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레일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유닛(400)은 복수의 수평 프레임(413)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414)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부(410),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의 외향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며 상하 방향으로 2조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수단(420),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가 레일부재(2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롤러(4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에 설치되며 상기 피도금물을 상기 고정수단(420)을 향해 누르는 누름 유닛(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름 유닛(440)에 의해 상기 피도금물(P1)이 고정수단(420)을 향해 눌려지므로 캐리어 유닛(400)의 직선 이동시에도 피도금물(P1)이 흔들리거나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없게 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는 격자 형태의 사각 틀 형상을 가지는 구조물로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다수 개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420)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의 외향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피도금물(P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4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20)은 피도금물(P1)을 수용하는 결합홈부(421a)를 형성하는 결합고정부(421)와, 상기 결합고정부(42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조작부(42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420)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의 상하방향으로 2조 이상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20)을 2개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피도금물(P1)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을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 유닛(400)의 이송 동작 및 승하강 동작 시 상기 피도금물(P1)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 프레임부(410)의 이웃하는 고정수단(420)의 높이를 교대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체결수단의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조작부(423)는 상기 결합고정부(42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조작부(4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도금물(P1)의 단면 두께 방향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도금물을 눌러서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조작부(423)는 결합고정부(421)의 외측면 중심부에 1개의 구성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거나, 외측면의 상하방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구성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고정부(421)의 내측면 일측에는 탄성 가압편(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결합홈부(421a)에 수용된 피도금물(P1)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피도금물(P1)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20)은,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40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결합홈부(421a)의 상하단 폭이 중앙의 폭보다 큰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 유닛(400)을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버스 바와 같은 피도금물(P1)을 고정수단(420)에 착탈할 때, 상기 피도금물(P1)이 결합홈부(421a)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피도금물과 결합홈부(421a)의 도입부에서의 긁힘이나 스크래치 등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430)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가 레일부재(210)를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430)는 상기 레일부재(210)를 사이에 두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롤러(431)와, 상기 제1 롤러(431)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레일부재(210)를 사이에 두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롤러(43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430)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에 고정되는 지지대(46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롤러(430)는 절연체로 성형 제작하여 전기도금작업 시 전류가 상기 레일부재(210) 및 베이스 구조물(100)로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 유닛(440)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의 외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스크류 로드(441), 상기 스크류 로드(441)의 나선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4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조임 너트(442) 및, 상기 조임 너트(442)와 피도금물(P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441)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조임 너트(442)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피도금물(P1)을 누르는 누름편(4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로드(441)와 지지 프레임부(410) 사이는 너트(44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에는 용접 등에 의해 나사결합부(445)가 고정되며 상기 나사결합부(445)에는 상기 스크류 로드(441)가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 로드(441)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의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누름편(443)은 상기 스크류 로드(441)의 상부에 얹어지되, 상기 복수의 스크류 로드(441)의 측부가 동시에 끼워지도록 하부에는 복수의 끼움홈(44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편(443)을 상기 조임 너트(442)와 피도금물(P1)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끼움홈(443a)을 통해 스크류 로드(441) 위에 걸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조임 너트(442)를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편(443)이 피도금물(P1)을 눌러서 그 자리에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누름편(443)은 절곡된 단면의 금속 플레이트(443b)와, 상기 금속 플레이트(443c)의 안쪽에 설치되는 합성수지 소재(예컨대, PP)의 4각 단면의 접촉부(443c)로 이루어져 있으며,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접촉부(443c)가 먼저 상기 피도금물(P1)에 접촉하도록 금속 플레이트(443b)를 약간 더 지나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443c)에서 상기 피도금물(P1)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걸림홈(443d)이 형성되어 상기 피도금물(P1)의 위치를 정확하게 눌러줄 수 있고 좌우 방향의 슬립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20)에는 상기 복수의 피도금물(P1)의 후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합성수지 소재(예컨대, PP)의 받침부(425)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피도금물(P1)을 상기 고정수단(420)에 형성된 결합홈부(421a)에 설치할 때, 피도금물(P1)이 결합홈부(421a)의 바닥에 닿지 않고 상기 받침부(425)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시 피도금물(P1)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결합고정부(421)와 접촉할 때의 충격에 의해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425)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막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리어 유닛(400)을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은 베이스 구조물(100) 전면부 및 후면부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그 개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의 가압용 돌출부(542)가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를 측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를 1피치씩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500)에 의한 상기 캐리어 유닛(400)의 이동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본 출원인의 공개특허 제10-2016-0011779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 또는 레일연결부재(200)에는 캐리어 유닛(400)의 이송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부(410)를 동시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800)가 설치되어 있어 캐리어 유닛(400)이 이동하지 않을 경우 이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 고정부(800)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 또는 레일연결부재(200)에 고정 설치되는 압력 실린더(810) 및, 상기 압력 실린더(810)에 연결되어 상기 이웃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부(410)의 수직 프레임(414)을 동시에 누르는 고정 누름편(8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시에는 상기 압력 실린더(810)의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고정 누름편(820)이 상기 수직 프레임(414)으로부터 분리되고, 정지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고정 누름편(820)이 상기 이웃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부(410)의 수직 프레임(414)을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 누름편(820)의 측면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414)의 일부가 삽입되는 걸림홈(821)이 형성되어 이송방향으로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리어 유닛(400)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안내하는 매개체 구성이다.
즉,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도금공정을 마친 캐리어 유닛(400)을 반대편 도금공정 쪽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장치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은 모터와 같은 회전구동부(미도시)에 의해 180°일방향 회전한다.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의 회전 작용은 상기 승강이동유닛(300)의 하강동작 이후 진행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부(410)의 내향부에는 누름 통전편(7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에는 상기 누름 통전편(710)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눌림 통전부(72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 플레임부(410)가 피도금물(P1)의 도금을 위해 하강하면, 상기 누름 통전편(710)이 상기 눌림 통전부(720)와 접촉하여 음극 전원이 공급된다.
즉, 상기 누름 통전편(710)은 동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눌림 통전부(720)와 접촉하여 음극 전원이 도금조에 공급되므로, 별도로 공급되는 DC 양극 전원과 함께 도금조 내에서 피도금물(P1)의 도금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눌림 통전부(720)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100)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721), 상기 지지부(721)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눌림 접촉편(722) 및, 상기 지지부(721)와 눌림 접촉편(722) 사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7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임부(410)가 피도금물(P1)의 도금을 위해 하강하면, 상기 누름 통전편(710)이 눌림 접촉편(722)을 누르게 되며, 상기 눌림 접촉편(722)이 스프링(723)에 탄성적으로 대항하면서 상기 지지부(721)를 향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 통전편(710)이 눌림 통전부(720)에 충격적으로 접촉하는 경우가 없게 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프링(723)에 의해 완전한 접촉을 유도하여 온전한 음극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통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자동 도금장치의 전체적인 작용은 이하와 같다.
먼저, 레일연결부재(200)가 상승한 상태에서 방향전환 유닛(600)에 배치된 전면부의 캐리어 유닛(400)이 동력전달수단(500)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방향전환 유닛(600)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후면부의 캐리어 유닛(400)이 동력전달수단(500)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에 장착된다.
이 경우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도금조(P)를 거치도록 모든 캐리어 유닛(400)이 1피치(이웃하는 도금조 사이의 거리)만큼만 이동한다.
다음, 상기 레일연결부재(200)가 승강이동유닛(300)에 의해 하강 이동하여 도금 또는 세척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도금조에서 동시에 도금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레일연결부재(200), 즉 캐리어 유닛(400)이 하강해 있는 동안 후면부의 동력전달수단(500)에 포함되는 가압용 돌출부(542)가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부의 동력전달수단(500)에 포함되는 가압용 돌출부(542)는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방향전환 유닛(600이 180도 회전하여 후면부에 설치된 캐리어 유닛(400)을 전면부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레일연결부재(200)가 승강이동유닛(300)에 의해 상승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전면부와 후면부의 캐리어 유닛(400)을 안내하는 레일부재(210)가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에 설치된 연장레일부(미도시)와 일치하고, 이 상태에서 방향전환 유닛(600)에 배치된 전면부의 캐리어 유닛(400)이 동력전달수단(500)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방향전환 유닛(600)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후면부의 캐리어 유닛(400)이 동력전달수단(500)에 의해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향전환 유닛(600)에 장착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피도금물(P1)이 도금조를 하나씩 거치면서 최종도금에 이르게 된다.
피도금물(P1)이 세장형의 버스 바이고, 그 양단부가 도금되는 경우 베이스 구조물(1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서 버스 바의 위아래를 교환 설치하면 피도금물(P1)이 전면부와 후면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완전한 도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베이스 구조물
200... 레일연결부재
210... 레일부재
300... 승강이동유닛
400... 캐리어 유닛
410... 지지 프레임부
420... 고정수단
425... 받침부
430... 가이드롤러
440... 누름유닛
500... 동력전달수단
600... 방향전환 유닛
710... 누름 통전편
720... 눌림 통전부
800... 프레임 고정부

Claims (8)

  1.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은,
    복수의 수평 프레임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외향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며 상하 방향으로 2조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도금물을 상기 고정수단을 향해 누르는 누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누름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외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스크류 로드;
    상기 스크류 로드의 나선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조임 너트; 및,
    상기 조임 너트와 피도금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조임 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피도금물을 누르는 누름편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로드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누름편은 상기 스크류 로드의 상부에 얹어지되, 상기 복수의 스크류 로드의 측부가 동시에 끼워지도록 하부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은 절곡된 단면 형상의 금속 플레이트와,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안쪽에 설치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4각 단면의 접촉부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접촉부가 먼저 상기 피도금물에 접촉하도록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지나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5.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은,
    복수의 수평 프레임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외향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며 상하 방향으로 2조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도금물을 상기 고정수단을 향해 누르는 누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복수의 피도금물의 후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합성수지 소재의 받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6.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은,
    복수의 수평 프레임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외향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며 상하 방향으로 2조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도금물을 상기 고정수단을 향해 누르는 누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내향부에는 누름 통전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는 상기 누름 통전편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눌림 통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눌림 통전부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눌림 접촉편; 및,
    상기 지지부와 눌림 접촉편 사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7.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은,
    복수의 수평 프레임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외향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며 상하 방향으로 2조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도금물을 상기 고정수단을 향해 누르는 누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구조물 또는 레일연결부재에는 이웃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부를 동시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레일연결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압력 실린더; 및,
    상기 압력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이웃하는 2개의 지지 프레임부의 수직 프레임을 동시에 누르는 고정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8.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부재를 연결고정하는 레일연결부재;
    상기 베이스 구조물에 대하여 상기 레일연결부재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
    상기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도금물을 고정지지하는 다수의 이송용 캐리어 유닛;
    상기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을 직선 이동가능하게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유닛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방향전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은,
    복수의 수평 프레임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구성되는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외향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피도금물을 고정시키며 상하 방향으로 2조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도금물을 상기 고정수단을 향해 누르는 누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피도금물을 수용하는 결합홈부를 형성하는 결합고정부와,
    상기 결합고정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회전조작부로 구성되되,
    상기 이송용 캐리어 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결합홈부는 상하단의 폭이 중앙의 폭보다 큰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금장치.
KR1020180045512A 2018-04-19 2018-04-19 자동 도금장치 KR10190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12A KR101904914B1 (ko) 2018-04-19 2018-04-19 자동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512A KR101904914B1 (ko) 2018-04-19 2018-04-19 자동 도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914B1 true KR101904914B1 (ko) 2018-10-05

Family

ID=6387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512A KR101904914B1 (ko) 2018-04-19 2018-04-19 자동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9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8134A (zh) * 2019-03-28 2019-05-21 张家港市铭斯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背盖镀膜用生产线
KR102034465B1 (ko) * 2019-07-26 2019-10-21 이희범 도금 장치
KR102428851B1 (ko) 2022-05-18 2022-08-04 손규태 부스바의 전기도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8134A (zh) * 2019-03-28 2019-05-21 张家港市铭斯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塑料背盖镀膜用生产线
KR102034465B1 (ko) * 2019-07-26 2019-10-21 이희범 도금 장치
KR102428851B1 (ko) 2022-05-18 2022-08-04 손규태 부스바의 전기도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914B1 (ko) 자동 도금장치
TWI477658B (zh) Surface treatment devices and workpiece to maintain a rule
JP4714738B2 (ja) 直進マニプレータ、処理ライン及び加工部品処理方法
JP5833355B2 (ja) 表面処理装置
JP5865958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JP4602616B2 (ja) 金属の電解精錬用または電解採取用の電極搬送装置
KR20160011779A (ko) 자동 도금장치
KR20100001852A (ko) 기판세정장치
CN113097116A (zh) 晶圆转移装置和半导体工艺设备
KR200423732Y1 (ko) 판재 연속이송 장치
CN213378294U (zh) 等离子清洗机
TW201923158A (zh) 表面處理裝置
CN213701066U (zh) 托料治具循环机构
JP6687592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KR20170122547A (ko)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건조장치
JP2016029219A (ja) 表面処理装置
JP6342538B2 (ja) 表面処理装置
CN211056188U (zh) 一种应用于电泳生产线的输送装置
CN114919929B (zh) 一种自动化挂勾送料组装设备
CN217807364U (zh) 一种同步搬运机构
US6565722B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multilayered immersion coating
CN216582777U (zh) 一种型材周转架
KR101607915B1 (ko) 피도금물 이송용 캐리어
CN219135411U (zh) 一种双层提升机
CN210945829U (zh) 一种电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