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732Y1 - 판재 연속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연속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732Y1
KR200423732Y1 KR2020060013037U KR20060013037U KR200423732Y1 KR 200423732 Y1 KR200423732 Y1 KR 200423732Y1 KR 2020060013037 U KR2020060013037 U KR 2020060013037U KR 20060013037 U KR20060013037 U KR 20060013037U KR 200423732 Y1 KR200423732 Y1 KR 200423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nsfer
support
cylinder
op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유표
정남진
Original Assignee
에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3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7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3Fixed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Landscapes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재 연속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레일이 상부면에 설치되는 기대; 'ㄷ'자 개구홈을 갖는 판 형상으로 그 저면에는 상기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다수의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기대 내에 위치되며,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개구홈을 통과하여 상승 및 하강하는 로드의 말단에는 상기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지지실린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봉을 안내하는 안내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적재된 판재를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봉을 수직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이송실린더; 및 상기 이송실린더를 수평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을 포함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판재, 연속이송, 이송플레이트, 지지실린더, 흡착봉, 이송실린더, 컨베이어

Description

판재 연속이송 장치{Apparatus for Continuously Transferring Pl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 연속이송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플레이트에 판재가 적재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플레이트가 지지실린더 하부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실린더가 상승한 상태에서 흡착봉을 통해 판재를 흡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실린더가 판재를 이송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속이송 장치 110 : 기대
111 : 레일 112 : 제1멈춤판
120 : 이송플레이트 121 : 롤러
122 : 받침대 123 : 개구홈
130 : 지지실린더 131 : 로드
132 : 지지플레이트 133 : 지지봉
140 : 안내플레이트 141 : 제2멈춤판
150 : 흡착봉 160 : 이송실린더
170 : 이송레일 180 : 컨베이어
200,200' : 판재
본 고안은 판재 등의 작업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작업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작업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판재 연속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화된 공장에서는 효율적인 대량생산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작업 대상물인 모재를 가공라인에 투입하여 일련의 가공공정을 거치게 하는데, 이러한 가공공정을 자동화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작업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판재 등의 작업대상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기 위해서 원형의 컨베이어 상에 작업대상물을 적재하여 이송하거나, 동일한 구조의 투입장치를 복수로 구비하여 가공라인에 작업대상물을 교대로 투입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컨베이어 이송 방식이나 복수의 투입장치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 대상물을 적재하는 작업과 작업 대상물을 이송하는 작업이 중단없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업대상물의 스크레치(Scratch), 덴트(Dent) 또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판재 연속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판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한 쌍의 레일이 상부면에 설치되는 기대; 'ㄷ'자 개구홈을 갖는 판 형상으로 그 저면에는 상기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다수의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기대 내에 위치되며,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개구홈을 통과하여 상승 및 하강하는 로드의 말단에는 상기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지지실린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봉을 안내하는 안내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적재된 판재를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봉을 수직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이송실린더; 및 상기 이송실린더를 수평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이송플레이트가 상기 지지실린더 쪽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개구홈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기대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멈춤판이 부착되고,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멈춤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 연속이송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플레이트에 판재가 적재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플레이트가 지지실린더 하부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실린더가 상승한 상태에서 흡착봉을 통해 판재를 흡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실린더가 판재를 이송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판재 연속이송 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 높이를 갖는 기대(110;機臺)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레일(111)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111) 상에는 작업 대상물인 판재(200,200')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이송플레이트(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이송플레이트(120)는 'ㄷ'자 형상의 개구홈(123)을 갖는 판 형상으로,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111)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다수의 롤러(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기대(110) 내에는 지지실린더(130)가 위치되며, 상기 지지실린더(130)로부터 확장 및 수축하 는 로드(131)의 말단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개구홈(123)을 통과하여 상승 및 하강하면서 상기 판재(200,200')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32)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플레이트(120)가 상기 지지실린더(130) 쪽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132)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개구홈(123) 아래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하부에는 안내플레이트(140)가 배치되는데, 상기 안내플레이트(1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봉(133)을 지지 및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수직 상부에는 이송실린더(1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실린더(160)의 말단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에 적재된 판재(200,200')를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봉(150)이 연결되어, 상기 이송실린더(160)에 의해 상기 흡착봉(150)이 수직적으로 상승 및 하강된다.
여기서, 상기 흡착봉(150)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밀착되는 판재(200,200')의 표면과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판재(200,20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이송실린더(160)는 이송레일(170)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레일(170)에 의해 상기 이송실린더(160)가 수평적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송레일(170)은 일반적인 공장의 자동화 라인에 설치되는 이송장치의 일종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 또는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기대(11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일단과 맞닿 으면서 그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멈춤판(112)이 부착되고, 상기 안내플레이트(14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타단과 맞닿으면서 그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멈춤판(141)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에는 상기 판재(200,200')의 위치를 잡아주는 받침대(1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 대상물인 판재(200)를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에 적재한 다음, 상기 이송플레이트(120)를 상기 지지실린더(130)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일단이 상기 제2멈춤판(141)과 맞닿으면서 정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지지실린더(130)의 로드(131)가 확장하게 되고, 상기 로드(131)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132)가 상승하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의 개구홈(123)을 통과하여 상기 판재(200)를 들어올리게 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에 적재된 판재(200)는 상기 이송실린더(160)의 확장에 의해 하강하는 흡착봉(150)에 의해 흡착되고, 상기 흡착봉(150)에 흡착된 판재(200)는 이송실린더(160)와 함께 이송레일(170)에 의해 작업라인으로 연결되는 컨베이어(180) 쪽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흡착봉(150)의 진공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판재(200)를 상기 컨베이어(180)에 내려놓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에는 판재(200)가 없기 때문에 상기 이송플레이트(120)를 원위치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흡착봉(150) 및 이송레일(170) 을 통해 판재(200)의 이송작업이 계속되는 동안에도 상기 이송플레이트(120)에 또 다른 판재(200')를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과정을 되풀이하게 되면 판재(200,200')의 적재작업과 이송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흡착봉(150)을 통해 판재(200,200')를 흡착하여 이송하므로 종래의 컨베이어 방식에 비해 상기 판재(200,200')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레치, 덴트 또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 대상물을 적재하는 작업과 작업 대상물을 이송하는 작업이 중단없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작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이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판재의 스크레치, 덴트 또는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판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한 쌍의 레일이 상부면에 설치되는 기대;
    'ㄷ'자 개구홈을 갖는 판 형상으로 그 저면에는 상기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다수의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기대 내에 위치되며,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개구홈을 통과하여 상승 및 하강하는 로드의 말단에는 상기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지지실린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일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봉을 안내하는 안내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적재된 판재를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봉을 수직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이송실린더; 및
    상기 이송실린더를 수평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연속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가 상기 지지실린더 쪽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개구홈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연속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멈춤판이 부착되고,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2멈춤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연속이송 장치.
KR2020060013037U 2006-05-16 2006-05-16 판재 연속이송 장치 KR200423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037U KR200423732Y1 (ko) 2006-05-16 2006-05-16 판재 연속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037U KR200423732Y1 (ko) 2006-05-16 2006-05-16 판재 연속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732Y1 true KR200423732Y1 (ko) 2006-08-11

Family

ID=4177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037U KR200423732Y1 (ko) 2006-05-16 2006-05-16 판재 연속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7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607B1 (ko) * 2007-01-05 2008-08-22 주식회사 한샘 적재 시스템
KR100862795B1 (ko) 2006-12-12 2008-10-13 주식회사 한샘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KR102178639B1 (ko) 2020-08-26 2020-11-13 주식회사 라온테크 이송판재 연접부 논스톱 테이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795B1 (ko) 2006-12-12 2008-10-13 주식회사 한샘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KR100853607B1 (ko) * 2007-01-05 2008-08-22 주식회사 한샘 적재 시스템
KR102178639B1 (ko) 2020-08-26 2020-11-13 주식회사 라온테크 이송판재 연접부 논스톱 테이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24393U (zh) 一种托盘自动输送机
CN104960326A (zh) 一种全自动玻璃面板印刷机
CN107841726B (zh) 全自动镀膜机
CN113443381B (zh) 自动上料机构及柔性多工位自动上料系统
KR200423732Y1 (ko) 판재 연속이송 장치
CN105858168A (zh) 一种保温装饰板的输送中转装置
CN110844600A (zh) 一种用于平板玻璃加工的多层输送辊道装置
KR101459297B1 (ko) 반전기
KR100962362B1 (ko) 기판세정장치
CN212474888U (zh) 一种板材排布装置
WO1998042478A1 (en) Plate material carrying apparatus
CN112456140A (zh) 用于铝制吹胀均热板的自动送料系统
KR101161637B1 (ko) 튜브클리닝장치
CN204584838U (zh) 板料多工位输送装置
CN211945334U (zh) 一种用于平板玻璃加工的多层输送辊道装置
CN214269317U (zh) 用于铝制吹胀均热板的自动送料系统
CN110918695B (zh) 一种细长杆件双面矫直装置及矫直方法
CN104828595A (zh) 铝板导向装置
JPS6186309A (ja) ワ−ク取出し装置
CN210365766U (zh) 一种升降滚筒定位输送机构
CN211643676U (zh) 一种移载输送装置
CN207404502U (zh) 一种电梯板材码垛装置
CN111017562A (zh) 玻璃板自动转移装置
CN113562445B (zh) 上下料并行式轴承滚子超声液浸检测结构
CN220181901U (zh) 缓存流转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