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06Y1 - 연성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연성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06Y1
KR200458106Y1 KR2020110005910U KR20110005910U KR200458106Y1 KR 200458106 Y1 KR200458106 Y1 KR 200458106Y1 KR 2020110005910 U KR2020110005910 U KR 2020110005910U KR 20110005910 U KR20110005910 U KR 20110005910U KR 200458106 Y1 KR200458106 Y1 KR 200458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round
line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수
박종현
이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to KR2020110005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패널을 테스트하는 프로브블록에 결합된 필름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개시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복수의 신호라인들, 복수의 전원라인들, 접지층 및 절연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라인들 각각은 하부측에 형성되는 하부 신호라인과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하부 신호라인과 상기 상부 신호라인을 통하여 상기 필름의 구동아이씨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접지라인들 각각은 하부측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라인과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라인을 포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하부 접지라인과 상기 상부 접지라인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층은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 및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접지층과 상기 신호라인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본 고안은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을 테스트하는 프로브블록에 결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패널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브블록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브블록은 상기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상기 패널로 전달하는 구동아이씨가 실장된 필름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의 전극라인들은 직접 또는 프로브를 통하여 상기 테스트할 패널의 전극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테스트를 수행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구동아이씨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상기 구동아이씨 또는 패널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필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구동아이씨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성기 전원전압을 전달하기 위하여 전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전원라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라인들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신호에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도 그 영향을 받아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전원신호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 상기 전원신호의 왜곡에 의하여 상기 제어신호는 큰 왜곡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신호의 크기가 상기 전원신호의 크기의 1/10인 경우, 상기 전원신호의 왜곡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신호에서는 1/10 크기의 왜곡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크기의 왜곡(예를 들어, 전원신호의 왜곡 크기의 1/2 크기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지층을 형성하여 전원신호에 왜곡이 발생하여도 구동아이씨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테스트하는 프로브블록에 결합된 필름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신호라인들, 복수의 전원라인들, 접지층 및 절연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라인들 각각은 하부측에 형성되는 하부 신호라인과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하부 신호라인과 상기 상부 신호라인을 통하여 상기 필름의 구동아이씨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접지라인들 각각은 하부측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라인과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라인을 포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하부 접지라인과 상기 상부 접지라인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층은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 및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접지층과 상기 신호라인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접지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비아홀(via-hole)을 통하여 상기 상부 접지라인 및 상기 접지층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지층은 상기 상부 접지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신호라인은 비아홀(via-hole)을 통하여 상기 상부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아홀은 상기 절연층에 의하여 상기 접지층과 전기적으로 절연도리 수 있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패널 또는 상기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아이씨에 전원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전원라인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전원신호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구동아이씨에 전달되는 저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일 수 있다.
상기 신호라인들은 한 쌍의 신호라인들이 상기 저전압 차분 신호 쌍을 전달하고, 상기 접지라인들 각각은 상기 신호라인 쌍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과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절연시키는 하부 필름 및 상기 상부 신호라인들, 상기 상부 접지라인들 및 상기 접지층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절연시키는 상부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아이씨가 결합된 필름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필름은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과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에서 상기 구동아이씨가 결합된 필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필름은 상기 상부 신호라인들과 상기 상부 접지라인들에서 상기 구동아이씨가 결합된 필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나머지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구동아이씨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라인들의 상부에 접지층을 형성함으로써, 테스트할 패널 또는 구동아이씨에 인가되는 전원신호에 왜곡이 발생하여도 상기 제어신호는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접지층에 의하여 외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프로브블록을 이용하여 패널을 테스트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전원신호와 제어신호의 파형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신호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지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지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지라인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프로브블록을 이용하여 패널(150)을 테스트하는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전원신호(PW)와 제어신호(MLVDS)의 파형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브블록은 본체(110),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필름(120) 및 필름(120)과 인쇄회로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120)에는 패널(15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패널(150)로 전달하는 구동아이씨(125)가 실장될 수 있다. 필름(120)은 복수의 전극라인들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극라인들의 제 1 단은 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라인들의 제 2 단은 패널(150)의 전극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130)은 인쇄회로기판(140)과 필름(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동아이씨(12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구동아이씨(125) 또는 패널(15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130)은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상기 전원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전원라인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저전압 차분 신호(LVDS :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신호(MLVDS)의 크기는 전원신호(PW)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어신호(MLVDS)의 크기가 전원신호(PW)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함으로써, 전원신호(PW)에 왜곡이 발생하더라도 제어신호(MLVDS)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필름(120)의 전극라인들이 패널(150)의 전극라인들에 접촉하여 패널(150)을 테스트하는 필름형 프로브블록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이 필름형 프로브블록의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은 프로브를 이용하여 필름(120)과 패널(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른 형태의 프로브블록(예를 들어, 니들 타입의 프로브블록, 블레이드 타입의 프로브블록 등)의 필름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라인(MLVDS)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접지라인(GND)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연성인쇄회로기판(130)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패널(150)을 테스트하는 프로브블록에 결합되어 구동아이씨(125)가 실장되어 있는 필름(120)과 인쇄회로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연성인쇄회로기판(130)의 우측이 인쇄회로기판(140)과 연결되고 연성인쇄회로기판(130)의 좌측이 필름(120)과 연결된다고 가정한다. 다만, 본 고안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성인쇄회로기판(140)의 좌측이 인쇄회로기판(140)과 연결되고 연성인쇄회로기판(130)의 우측이 필름(120)과 연결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복수의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 복수의 접지라인들(GND0, GND1, GND2, GND3) 및 복수의 전원라인들(PW_1, ... , PW_7), 접지층(310), 절연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신호라인들, 상기 접지라인들 및 상기 전원라인들의 개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다양한 개수의 신호라인들, 접지라인들 및 전원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은 필름(120)의 구동아이씨(125)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인쇄회로기판(140)으로부터 필름(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신호라인(410)과 하부측에 형성되는 하부 신호라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신호라인(410)과 하부 신호라인(420)은 비아홀(33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부 신호라인(410)과 하부 신호라인(420)이 반드시 비아홀(33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접지라인들(GND0, GND1, GND2, GND3)은 접지전압이 인가되며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저전압 차분 신호이고 상기 신호라인들 중 한 쌍의 신호라인들(예를 들어, MLVDS_10, MLVDS_11)이 저전압 차분 신호 쌍을 전달하는 경우, 상기 접지라인들 각각은 상기 신호라인 쌍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은 2개의 상기 신호라인들이 형성되고 1개의 상기 접지라인이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개수의 상기 신호라인 사이에 상기 접지라인이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접지라인들(GND0, GND1, GND2, GND3)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라인(510)과 하부측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라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지라인(510)과 하부 접지라인(520)은 비아홀(32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부 접지라인(510)과 하부 접지라인(520)이 반드시 비아홀(32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원라인들(PW_1, ... , PW_7)은 패널(150) 또는 패널(15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아이씨(125)에 전원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전원라인들(PW_1, ... , PW_7)은 비아홀을 통하여 상부측에 형성된 전원라인들과 하부측에 형성된 전원라인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원라인들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하부신호라인들(420)과 하부 접지라인들(520)을 상부에는 접지층(31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지층(310)은 접지라인들(GND0, GND1, GND2, GND3)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접지라인(510)과 접지층(3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접지층(310)과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은 절연층(43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즉, 하부 신호라인(420), 비아홀(330) 및 상부 신호라인(410)과 접지층(310) 사이에 절연층(430)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은 상부 필름(440)과 하부 필름(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필름(440)은 상기 상부 신호라인들, 상기 상부 접지라인들 및 접지층(3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절연시키면서 상기 상부 신호라인들, 상기 상부 접지라인들 및 접지층(3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부 필름(440)은 상기 상부 신호라인들과 상기 상부 접지라인들에서 상기 구동아이씨가 결합된 필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부 신호라인(410)과 상부 접지라인(510) 중 인쇄회로기판(140)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부 필름(44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하부 필름(450)은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 및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절연시키면서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 및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하부 필름(450)은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과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에서 상기 구동아이씨가 결합된 필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하부 신호라인(420)과 하부 접지라인(520) 중 필름(120)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하부 필름(45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접지라인(GND)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는 상부 접지라인(710)과 접지층(3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 접지라인(720)과 접지층(310)이 비아홀(62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부 접지라인(720)과 접지층(301)이 비아홀(62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300)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한 설명으로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대체한다. 도 3 내지 도 7에서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의 단면도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접지라인(GND)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하부 접지라인(720)과 상부 접지라인(710)은 비아홀(83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 접지라인(720)과 접지층(310)은 비아홀(82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접지라인(710)과 접지층(310)은 절연체(430)에 의하여 절연될 수 있다. 다만, 상부 접지라인(710)과 접지층(310)이 반드시 절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300)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한 설명으로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대체한다. 도 3 내지 도 9에서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의 단면도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300, 300', 300")은 신호라인들(MLVDS_10, MLVDS_11, MLVDS_20, ... , MLVDS_31)의 상부에 접지층(310)을 형성함으로써, 전원라인들(PW_1, ... , PW_7)을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전원신호에 왜곡이 발생하여도 접지층(310)에서 상기 전원신호의 영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전원신호의 왜곡 발생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예를 들어, 상기 저전압 차분 신호)의 왜곡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패널을 테스트하는 프로브블록에 결합된 필름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하부측에 형성되는 하부 신호라인과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하부 신호라인과 상기 상부 신호라인을 통하여 상기 필름의 구동아이씨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
    상기 패널 또는 상기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아이씨에 전원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전원라인들;
    하부측에 형성되는 하부 접지라인과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접지라인을 포함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하부 접지라인과 상기 상부 접지라인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사이 또는 상기 신호라인과 상기 전원라인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지라인들; 및
    상기 전원라인들을 제외한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 및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층; 및
    상기 접지층과 상기 신호라인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전원신호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구동아이씨에 전달되는 저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지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비아홀(via-hole)을 통하여 상기 상부 접지라인 및 상기 접지층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층은,
    상기 상부 접지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신호라인은,
    비아홀(via-hole)을 통하여 상기 상부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아홀은,
    상기 절연층에 의하여 상기 접지층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들은,
    한 쌍의 신호라인들이 한 쌍의 상기 저전압 차분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접지라인들 각각은,
    상기 신호라인 쌍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과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절연시키는 하부 필름; 및
    상기 상부 신호라인들, 상기 상부 접지라인들 및 상기 접지층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절연시키는 상부 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아이씨가 결합된 필름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필름은,
    상기 하부 신호라인들과 상기 하부 접지라인들에서 상기 구동아이씨가 결합된 필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필름은,
    상기 상부 신호라인들과 상기 상부 접지라인들에서 상기 구동아이씨가 결합된 필름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나머지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KR2020110005910U 2011-06-29 2011-06-29 연성인쇄회로기판 KR200458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10U KR200458106Y1 (ko) 2011-06-29 2011-06-29 연성인쇄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10U KR200458106Y1 (ko) 2011-06-29 2011-06-29 연성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106Y1 true KR200458106Y1 (ko) 2012-01-19

Family

ID=4584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910U KR200458106Y1 (ko) 2011-06-29 2011-06-29 연성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0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357A (ja) * 1993-12-28 1995-08-04 Kel Corp 2層構造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05123520A (ja) * 2003-10-20 2005-05-12 Nec Corp プリント配線板
JP2006041193A (ja) * 2004-07-27 2006-02-09 Sharp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板、電子機器、ならびに配線配置方法
KR20080038592A (ko) * 2006-10-30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357A (ja) * 1993-12-28 1995-08-04 Kel Corp 2層構造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05123520A (ja) * 2003-10-20 2005-05-12 Nec Corp プリント配線板
JP2006041193A (ja) * 2004-07-27 2006-02-09 Sharp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板、電子機器、ならびに配線配置方法
KR20080038592A (ko) * 2006-10-30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9701B (zh) 整合式高速测试模块
EP2133739B1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757630B2 (ja) プローブカード
KR20140131813A (ko) 분산 배치된 비아 플러그들을 포함하는 칩 온 필름 패키지
CN101651133B (zh) 降低电磁干扰的膜上芯片布线方法与结构
TWI605736B (zh) Loss-resistance structure of a high-frequency signal connection pad of a plug-in assembly
KR1024178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00929A (ko)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TWM466446U (zh) 電性連接組件
KR200458106Y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KR10198982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US20160143141A1 (en) Multilayer circuit board
US7994871B2 (en) Chip on film trace routing method for electrical magnetic interference reduction
JP2016066946A (ja) 信号伝送用ケーブル
CN102401846B (zh) 多电源电路板及其应用探针卡
CN105636338A (zh) 柔性电路板走线结构及移动终端
KR102397119B1 (ko) 초음파 어레이를 위한 리던던트 접속점을 갖춘 플렉시블 회로
KR20160067571A (ko) 인쇄회로기판
JP5567287B2 (ja) 半導体集積チップ
TW201436658A (zh) 用於差動遠端串擾減少之裝置
US935140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6988614B2 (ja) 差動伝送線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ータ伝送装置
KR102262277B1 (ko) 인터페이스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필름 조립체
JP2009300234A (ja) プローブカード
CN105430897B (zh) 电路板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