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929A -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929A
KR20180100929A KR1020170027459A KR20170027459A KR20180100929A KR 20180100929 A KR20180100929 A KR 20180100929A KR 1020170027459 A KR1020170027459 A KR 1020170027459A KR 20170027459 A KR20170027459 A KR 20170027459A KR 20180100929 A KR20180100929 A KR 20180100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tterns
integrated circuit
contact pads
cutt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276B1 (ko
Inventor
민경직
신주영
황지현
윤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7002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276B1/ko
Priority to PCT/KR2018/001934 priority patent/WO2018159951A1/ko
Priority to CN202210978008.XA priority patent/CN115315069A/zh
Priority to US16/489,889 priority patent/US10991646B2/en
Priority to CN201880014940.2A priority patent/CN110393041A/zh
Publication of KR2018010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38Geometry or layou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2Additional lead-in metallisation on a device or substrate, e.g. additional pads or pad portions, lines in the scribe line, sacrific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5Flexi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8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electrical inspection or tes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2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same plane, e.g. auxiliary printed circuit insert mounted in a main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온-필름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을 개시하며, 패널 컨택 패드들에 연결되는 연결 패턴들 중 제1 연결 패턴으로 선택된 연결 패턴을 커팅 라인에 접하지 않고 제품부 내로 제한함으로써 제1 연결 패턴으로 선택된 연결 패턴이 커팅 라인의 커팅 단면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습기의 침투에 의하여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칩-온-필름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며, 드라이버는 소스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로 구분될 수 있다.
통상 타이밍 컨트롤러는 전원회로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며, 드라이버는 연성 회로 기판에 칩-온-필름(Chip-on-Film) 구조로 실장된다.
인쇄회로기판과 연성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 및 연성 회로 기판과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전기적 접속은 대개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ng Film)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소스 드라이버는 대개 장방형으로 제작되며 하나의 장변(이하, “입력 사이드”라 함)에 타이밍 컨트롤러와 통신을 위한 패드들과 입력 전압을 제공받기 위한 패드들이 구성되고 나머지 장변(이하, “출력 사이드”라 함)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소스 신호들과 출력 전압을 제공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들의 특성을 센싱한 센싱 신호들을 제공받기 위한 패드들이 구성된다.
칩-온-필름 방식으로 소스 드라이버를 실장하는 연성 회로 기판은 소스 드라이버가 배치되는 집적 회로 영역 내에 소스 드라이버의 패드들과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컨택 패드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사이드의 패드들에 대응하여 연성 회로 기판의 집적 회로 영역 내에 형성된 컨택 패드들을 집적 회로 컨택 패드라 한다.
연성 회로 기판에는 컨택 패드들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패널 컨택 패드들 및 소스 드라이버의 검사를 위한 검사 패드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과 패널 컨택 패드들 각각은 연성 회로 기판 상의 라우팅을 위한 연결 패턴들로 연결되고, 패널 컨택 패드들과 검사 패드들 각각은 연성 회로 기판 상의 라우팅을 위한 연장 패턴들로 연결된다.
연성 회로 기판 상의 상기한 연결 패턴들 및 연장 패턴들은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며 상부의 수지 재질의 커버 필름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한 패턴들과 패드들이 형성된 연성 회로 기판 상에는 소스 드라이버가 실장되며, 소스 드라이버가 실장된 연성 회로 기판은 검사된다.
검사가 완료된 연성 회로 기판은 제품화하기 위하여 연장 패턴들의 일부와 검사 패드들이 형성된 검사 접속부를 커팅한다.
상기한 커팅에 의해 연성 회로 기판의 커팅 단면에는 연장 패턴들의 단면이 노출된다.
연장 패턴들은 전원, 소스 신호 및 센싱 신호들을 라우팅하는 연결 패턴들에 각각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연장 패턴들의 단면이 커팅 단면에 노출되는 경우, 연장 패턴들과 커버 필름 간의 계면을 통하여 습기가 침투될 수 있다. 습기는 연장 패턴들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손상된 연장 패턴들은 연결 패턴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전원, 소스 신호 및 센싱 신호들 중 센싱 신호는 연결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상당히 민감하다. 그러므로, 중요 신호인 센싱 신호들을 전달하는 연결 패턴에 연결된 연장 패턴이 습기의 침투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 연결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가 유발될 수 있다. 센싱 신호가 연결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의해 왜곡되는 경우, 소스 드라이버의 동작 및 디스플레이 동작에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스 드라이버를 실장하는 연성 회로 기판의 경우, 습기의 침투에 의한 연결 패턴의 전기적 특성 변화가 방지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싱 신호와 같이 전기적 특성 변화에 민감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패턴이 습기 침투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은, 커팅 라인을 기준으로 제품부와 검사 접속부로 영역이 구분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제품부 내에 정의되는 집적 회로 영역의 일변에 배열되며, 집적 회로와 전기적인 컨택을 위하여 형성되는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 상기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과 상기 커팅 라인 사이에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인 컨택을 위하여 형성되는 패널 컨택 패드들; 상기 검사 접속부에 형성되는 검사 패드들; 상기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과 상기 패널 컨택 패드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들; 및 상기 연결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연결 패턴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1 연결 패턴으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연결 패턴들에 연장되면서 상기 검사 패드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장 패턴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은, 커팅 라인을 갖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의 집적 회로 영역의 일변에 배열되며, 집적 회로와 전기적인 컨택을 위하여 형성되는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 상기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과 상기 커팅 라인 사이에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인 컨택을 위하여 형성되는 패널 컨택 패드들; 및 상기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과 상기 패널 컨택 패드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패턴들은 상기 커팅 라인에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품부 내에 제한되도록 형성된 제1 연결 패턴을 적어도 하나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은 센싱 신호와 같은 중요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패턴이 습기 침투에 의하여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스 드라이버의 동작 및 디스플레이 동작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커팅 라인(40)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소스 드라이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칩-온-필름 구조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의 디자인을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커팅 라인(40)을 기준으로 제품부(PR)와 검사 접속부(TR)로 영역이 구분되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은 장방형으로 제작된 것을 예시하며, 릴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품부(PR)에는 칩-온-필름 구조로 소스 드라이버(도시되지 않음)가 실장될 집적 회로 영역(20)이 정의된다. 집적 회로 영역(20)은 서로 마주하는 장변을 갖는 장방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의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은 베이스 필름(10) 상에 패드들과 패턴들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커버 필름(12)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 필름(10)은 유연한 재질의 절연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대개의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을 이용한다. 그리고, 패드들과 패턴들은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부의 커버 필름(12)은 수지 재질을 이용하며 코팅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성된 연성 회로 기판 상의 패드들과 패턴들은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 패널 컨택 패드들(24), 검사 패드들(34), 연결 패턴들(30) 및 연장 패턴들(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연결 패턴들(30)과 연장 패턴들(32)은 커버 필름(12)에 의하여 커버되고,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 패널 컨택 패드들(24) 및 검사 패드들(34)은 커버 필름(12)에 커버되지 않고 노출된다.
커팅 라인(40)에 의해 구분되는 제품부(PR)에는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 연결 패턴들(30), 패널 컨택 패드들(24) 및 연장 패턴들(32)의 일부 영역이 포함된다.
그리고, 커팅 라인(40)에 의해 구분되는 검사 접속부(TR)에는 연장 패턴들(32)의 나머지 영역 및 검사 패드들(34)이 형성된다.
집적 회로 영역(20)에는 칩-온-필름 구조로 실장되는 소스 드라이버의 입력 사이드의 패드들과 출력 사이드의 패드들에 대응하는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소스 드라이버의 입력 사이드의 패드들에 대응하는 집적 회로 컨택 패드의 도시는 생략하고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사이드의 패드들에 대응하여 집적 회로 영역(20) 내에 형성된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을 예시한다.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은 집적 회로 영역(20)의 일 장변에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은 소스 드라이버의 출력 사이드의 패드들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집적 회로 영역(20) 내에 위치한다.
패널 컨택 패드들(24)은 집적 회로 영역(20)의 외부에 형성되며,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과 커팅 라인(40) 사이에 배열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인 컨택을 위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널 컨택 패드들(24)은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과 평행하면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연결 패턴들(30)은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과 패널 컨택 패드들(24)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연결 패턴들(30)은 동일한 선폭을 가지면서 서로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 패턴들(30)의 일단의 상부에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22)이 전기적으로 컨택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연결 패턴들(30)의 타단의 상부에 패널 컨택 패드들(24)이 전기적으로 컨택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커팅 라인(40)에 의해 구분되는 검사 접속부(TR)에는 검사 패드들(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 패턴들(32)이 연결 패턴들(30)과 검사 패드들(34)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품부(PR)에 형성된 연결 패턴들(30)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연결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연장 패턴들(32)은 제1 연결 패턴으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연결 패턴들(30)과 검사 패드들(34)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 중, 검사 패드들(34)은 테스트 장비나 테스트 카드에 구성되는 검사 바늘(또는 핀)이 물리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검사 접속부(TR)의 다양한 위치에 분산 배치되며, 각 위치 별로 다양한 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검사 패드들(34)은 행과 열을 갖는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커팅 라인(40)과 멀어질수록 검사 패드들(34)의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패턴들(32)은 다양한 위치 및 면적을 갖는 검사 패드들(34)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꺽어진 라우팅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연결 패턴들(30) 및 패널 컨택 패드들(24)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2는 도 1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연결 패턴들(30)은 베이스 필름(10)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연결 패턴들(30)의 상부에 패널 컨택 패드들(24)이 형성된다.
연결 패턴들(30)과 패널 컨택 패드들(24)은 서로 같거나 다른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습식 식각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상화될 수 있다.
연결 패턴들(30)과 패널 컨택 패드들(24)이 형성화된 후, 커버 필름(12)이 연결 패턴들(30)과 베이스 필름(10)을 커버하도록 코팅된다.
한편, 연장 패턴들(32)은 연결 패턴들(30)과 각각 일체로 연장되며 연결 패턴들(30) 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장 패턴들(32)이 베이스 필름(10)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연장 패턴들(32)의 상부는 커버 필름(12)으로 커버된다. 도 3은 커팅 라인(40)의 단면도이다.
연결 패턴들(30)은 커팅 라인(40)에 접하지 않으면서 제품부(PR) 내에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즉, 전체 연결 패턴들(30)은 커팅 라인(40)으로 커팅한 후 도 3의 커팅 단면에 노출되지 않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연결 패턴들(30) 중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의 특성 정보를 센싱한 센싱 신호와 같은 중요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패턴은 상기한 제1 연결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연결 패턴들(30)은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것들, 소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들 및 센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센싱 신호를 전달하는 모든 연결 패턴들(30)을 제1 연결 패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센싱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패턴들(30)을 제외한 나머지 연결 패턴들(30)의 커팅 라인(40)을 향하는 단부에 연장 패턴들(32)이 일체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싱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패턴들(30)의 커팅 라인(40)을 향하는 단부에는 연장 패턴(32)이 형성되지 않는다.
연장 패턴들(32)은 커팅 라인(40)을 통하여 검사 패드들(34)에 각각 연결된다.
그러므로, 도 3과 같이, 커팅 라인(40)으로 베이스 필름(10)을 커팅한 경우, 센싱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패턴들(30)은 커팅 단면에 노출되지 않고, 소스 신호나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패턴들(30)에 형성된 연장 패턴들(32)의 단면이 커팅 단면에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센싱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패턴들(30)에 연장 패턴들(32)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연장 패턴들(32)을 통하여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센싱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패턴들(30)의 전기적 특성이 습기의 침투에 의해 변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스 드라이버의 동작 및 디스플레이 동작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Claims (10)

  1. 커팅 라인을 기준으로 제품부와 검사 접속부로 영역이 구분되는 베이스 필름;
    상기 제품부 내에 정의되는 집적 회로 영역의 일변에 배열되며, 집적 회로와 전기적인 컨택을 위하여 형성되는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
    상기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과 상기 커팅 라인 사이에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인 컨택을 위하여 형성되는 패널 컨택 패드들;
    상기 검사 접속부에 형성되는 검사 패드들;
    상기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과 상기 패널 컨택 패드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들; 및
    상기 연결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연결 패턴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1 연결 패턴으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연결 패턴들에 연장되면서 상기 검사 패드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장 패턴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패턴들은 상기 연결 패턴들과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패턴들 보다 좁은 폭을 갖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커팅 라인에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품부 내에 제한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커팅 라인으로 커팅한 후 커팅 단면에 노출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화소의 특성 정보를 센싱한 센싱 신호를 전달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6. 커팅 라인을 갖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의 집적 회로 영역의 일변에 배열되며, 집적 회로와 전기적인 컨택을 위하여 형성되는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
    상기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과 상기 커팅 라인 사이에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인 컨택을 위하여 형성되는 패널 컨택 패드들; 및
    상기 집적 회로 컨택 패드들과 상기 패널 컨택 패드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패턴들은 상기 커팅 라인에 접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품부 내에 제한되도록 형성된 제1 연결 패턴을 적어도 하나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연결 패턴들에 각각 일체로 연장되면서 상기 커팅 라인에 접하는 연장 패턴들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패턴들은 상기 연결 패턴들 보다 좁은 폭을 갖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상기 커팅 라인의 단면에 노출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은 화소의 특성 정보를 센싱한 센싱 신호를 전달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KR1020170027459A 2017-03-03 2017-03-03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KR102383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59A KR102383276B1 (ko) 2017-03-03 2017-03-03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PCT/KR2018/001934 WO2018159951A1 (ko) 2017-03-03 2018-02-14 디스플레이용 연성회로기판
CN202210978008.XA CN115315069A (zh) 2017-03-03 2018-02-14 用于显示器的柔性电路板
US16/489,889 US10991646B2 (en) 2017-03-03 2018-02-14 Flexible circuit board for display
CN201880014940.2A CN110393041A (zh) 2017-03-03 2018-02-14 用于显示器的柔性电路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59A KR102383276B1 (ko) 2017-03-03 2017-03-03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29A true KR20180100929A (ko) 2018-09-12
KR102383276B1 KR102383276B1 (ko) 2022-04-05

Family

ID=6337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459A KR102383276B1 (ko) 2017-03-03 2017-03-03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91646B2 (ko)
KR (1) KR102383276B1 (ko)
CN (2) CN115315069A (ko)
WO (1) WO20181599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980A (ko) 2019-01-14 2020-07-22 스템코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연성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패키지
KR20210019041A (ko) 2021-02-08 2021-02-19 스템코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연성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444A (ko) * 2019-09-25 2021-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22163611A (ja) * 2021-04-14 2022-10-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検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85B1 (ko) * 2001-06-12 200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1114332A (ja) * 2009-11-30 2011-06-09 Hitachi Cable Film Device Ltd 半導体装置用配線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KR20170006461A (ko) * 2015-07-08 2017-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67B1 (ko) 2002-09-16 2009-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초박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4291209B2 (ja) * 2004-05-20 2009-07-08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1471321B (zh) * 2007-12-29 2010-08-18 南茂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封装芯片的承载带及芯片封装结构
TW201220455A (en) * 2010-11-10 2012-05-16 Raydium Semiconductor Corp Semiconductor device
KR101992273B1 (ko) 2012-10-22 2019-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101951956B1 (ko) * 2012-11-13 2019-02-26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패키지용 연성회로기판
KR101992665B1 (ko) 2012-12-26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40133106A (ko) * 2013-05-09 2014-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상이한 배선 패턴부들을 포함한 칩 온 필름,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48483B1 (ko) 2013-12-31 2020-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KR101726262B1 (ko) * 2015-01-02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키지 기판용 필름, 이를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71358B1 (ko) 2015-01-23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사용하는 패키지 모듈
KR102245005B1 (ko) 2015-01-30 2021-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모기판의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85B1 (ko) * 2001-06-12 200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1114332A (ja) * 2009-11-30 2011-06-09 Hitachi Cable Film Device Ltd 半導体装置用配線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KR20170006461A (ko) * 2015-07-08 2017-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980A (ko) 2019-01-14 2020-07-22 스템코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연성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패키지
KR20210019041A (ko) 2021-02-08 2021-02-19 스템코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연성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패키지
KR20230071106A (ko) 2021-02-08 2023-05-23 스템코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연성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93041A (zh) 2019-10-29
US20200027824A1 (en) 2020-01-23
WO2018159951A1 (ko) 2018-09-07
CN115315069A (zh) 2022-11-08
US10991646B2 (en) 2021-04-27
KR102383276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276B1 (ko)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US11315454B2 (en) Display device
KR102477983B1 (ko) 표시 장치
US20100012356A1 (en) Printed wiring board having recognition mark
WO2015100998A1 (zh) 阵列基板及显示装置
US20140062520A1 (en) Display device and mother substrate
US1025794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circuit chip provided with an external electrical connection network
KR20200043580A (ko) 표시 장치
KR102090578B1 (ko) 전자 장치의 기판,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접속부의 저항 측정 방법
CN106782243B (zh)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567206B (zh) 双面导通构造加工方法、线性电路板加工方法及线光源
KR102057653B1 (ko) 테스트 소자, 이를 갖는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한 면저항 측정 방법
SE513288C2 (sv) Bredbandig mikrostrip-vågledarövergång
KR102492968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JP5797805B2 (ja) 表示装置
JP5145332B2 (ja) プローブカード
KR20110088428A (ko)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KR101693001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보드 및 그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보드 어셈블리
KR20180083520A (ko) 디스플레이용 연성 회로 기판
US9521750B2 (en) Printed circuit board of probe card
KR20150089564A (ko) 인쇄회로기판
CN218103631U (zh) 电路板拼板及pcb单板
CN115019656B (zh) 显示面板母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16118413A (ja) トランジスタ基板
US20230044473A1 (en) Double-sided flexible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