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428A -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 Google Patents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428A
KR20110088428A KR1020110007655A KR20110007655A KR20110088428A KR 20110088428 A KR20110088428 A KR 20110088428A KR 1020110007655 A KR1020110007655 A KR 1020110007655A KR 20110007655 A KR20110007655 A KR 20110007655A KR 20110088428 A KR20110088428 A KR 2011008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unit
contact portion
film type
type prob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187B1 (ko
Inventor
김헌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디에스
Publication of KR2011008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5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arranged on a flexible frame or fil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타입 프로브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체의 전극이 극 미세피치로 형성된 경우에도 쇼트를 방지하면서 검사신호를 정확하게 인가할 수 있는 필름타입 프로브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타입 프로브유닛은 절연필름상에 패턴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배선의 특정위치가 피검사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되며, 상기 접촉부는 2열 이상으로 형성되는 프로브시트; 및 상기 프로브시트가 저면에 구비되는 바디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배선 중 타열의 접촉부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는 구간은 상기 접촉부가 형성된 면의 이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필름타입 프로브유닛{FILM TYPE PROBE UNIT}
본 발명은 필름타입 프로브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체의 전극이 극 미세피치로 형성된 경우에도 쇼트를 방지하면서 검사신호를 정확하게 인가할 수 있는 필름타입 프로브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표시소자나 반도체 등의 제조공정에서는 수차례의 전기적 검사를 한다.
이 중, 평판표시소자는 TFT기판과 칼라필터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는 셀공정과, 상기 셀에 구동칩을 부착하는 모듈공정과, 상기 모듈에 프레임을 장착하는 세트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구동칩이 실장된 TAB(Tape Automated Bonding) IC를 셀에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모듈공정 전에 셀의 전기적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셀(피검사체)의 패드에 형성된 전극에 TAB IC를 부착하는 공정 전에, 셀의 전극과 TAB IC를 임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검사신호를 인가하여 검사를 수행한 후, 이상이 없는 셀에 대하여 모듈공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적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브유닛이 이용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프로브유닛은 바디블록과, 셀의 전극과 TAB IC의 전극을 연결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TAB IC와,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등을 포함한다.
즉, 종래의 프로브 유닛은 궁극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피검사체의 전극과 TAB IC 사이에 임시적으로 블레이드를 개재하여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검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를 개재하여 접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전기신호의 로스, 즉, 인가된 전기신호가 전극으로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블레이드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이를 미세피치로 배열해야 한다는 제작상의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특허 제720378호를 발명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선된 종래의 프로브 유닛(1)은 바바디블록(10)과, 구동시트(20)와, 연성회로기판(4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시트(20)의 상부 선단에는 체결부재(30)가 접착되며, 상기 구동시트의 하부 선단에 형성된 접촉부를 피검사체의 전극에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40)의 타단에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개선된 종래의 프로브 유닛(1)은 블레이드를 구비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TAB IC(20)가 피검사체의 전극에 직접 접촉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이로 인해 위에서 지적한 문제점은 극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시트(20)는 절연필름(21)상에 패턴배선(23)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배선(23)의 특정위치가 피검사체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23a)가 된다. 연성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4)와, 구동칩(22)이 실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23a)는 피검사체에 형성된 패드(50)의 전극(51a)에 1:1 접촉하는 것은 당연하다. 미설명부호 52a는 피검사체의 패드에 형성된 리드선이다.
그러나 갈수록 피검사체의 패드에 전극이 극 미세피치로 형성되는 추세이다. 극 미세피치로 형성된 전극을 갖는 피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한 프로브유닛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체의 전극이 극 미세피치로 형성된 경우에도 쇼트를 방지하면서 검사신호를 정확하게 인가할 수 있는 필름타입 프로브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름타입 프로브유닛은 절연필름상에 패턴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배선의 특정위치가 피검사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되며, 상기 접촉부는 2열 이상으로 형성되는 프로브시트; 및 상기 프로브시트가 저면에 구비되는 바디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배선 중 타열의 접촉부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는 구간은 상기 접촉부가 형성된 면의 이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는 면의 이면에 형성된 패턴배선은 상기 절연필름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각 열은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검사체와의 접촉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패턴배선의 다른 구간보다 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브시트의 일면에는 상기 피검사체를 구동하는 구동칩이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칩은 상기 피검사체의 완제품에 부착되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IC에 실장되는 구동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검사체의 전극이 극 미세피치로 형성된 경우에도 쇼트를 방지하면서 검사신호를 정확하게 인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타입 프로브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바디블록과 프로브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블록은 도 1의 프로브블록과 마찬가지로 저면에 프로브시트가 부착된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프로브시트의 선단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브시트(420)는 절연필름(421)에 패턴배선(422,423)이 형성되는데, 상기 패턴배선(422,423)의 특정위치가 피검사체의 패드(도 3의 50참조)에 접촉하는 접촉부(422a,423a)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배선(422,423)의 끝단이 접촉부(422a,423a)가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접촉부(422a,423a)를 제외하고 패턴배선(422,423)은 절연되어 있다. 또한 접촉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422a,423a)는 패턴배선(422,423)의 다른 영역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시트(420)에 TAB IC에 실장되는 구동칩이 실장될 수도 있고, 또는 구동칩이 실장된 TAB IC가 프로브시트의 후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패드에 형성된 전극이 극 미세피치(2열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임)로 형성되어 있는 피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하여 프로브시트(420)의 접촉부(422a,423a)도 극 미세피치로 형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프로브시트(420)의 접촉부(422a,423a)를 2열로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접촉부(422a,423a)는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어 제1열접촉부(423a)에 연결되는 패턴배선(423)이 제2열접촉부(422a)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프로브시트(420)는 접촉부가 3열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시트(420)의 접촉부(422a,423a)가 2열로 형성된 경우, 제1열접촉부(423a)가 형성되는 패턴배선(423)들은 제2열접촉부(422a)들 사이 공간을 지나게 된다. 이 경우, 쇼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를 위해 패턴배선(423)의 일부구간(423b,제2열접촉부(422a)들 사이 공간을 지나는 구간)을 제2열접촉부(422a)가 형성된 면의 이면에 형성한 것이다.
즉, 제1열접촉부(423a)가 형성되는 패턴배선(423)은 절연필름(421)의 일면에 형성된 구간(423c)과 절연필름의 이면에 형성된 구간(423b)으로 구분되며, 이들 구간은 절연필름에 형성된 홀(111,11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420: 프로브시트 421: 절연필름
422,423: 패턴배선 422a,423a: 접촉부
111,112: 홀

Claims (6)

  1. 절연필름상에 패턴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배선의 특정위치가 피검사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되며, 상기 접촉부는 2열 이상으로 형성되는 프로브시트; 및
    상기 프로브시트가 저면에 구비되는 바디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배선 중 타열의 접촉부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는 구간은 상기 접촉부가 형성된 면의 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는 면의 이면에 형성된 패턴배선은 상기 절연필름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접촉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각 열은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체와의 접촉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는 상기 패턴배선의 다른 구간보다 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시트의 일면에는 상기 피검사체를 구동하는 구동칩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칩은 상기 피검사체의 완제품에 부착되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IC에 실장되는 구동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KR1020110007655A 2010-01-27 2011-01-26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KR101063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403 2010-01-27
KR20100007403 201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428A true KR20110088428A (ko) 2011-08-03
KR101063187B1 KR101063187B1 (ko) 2011-09-07

Family

ID=4492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655A KR101063187B1 (ko) 2010-01-27 2011-01-26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1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37Y1 (ko) * 2011-10-10 2012-02-27 주식회사 프로이천 패널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블록
KR101338231B1 (ko) * 2012-07-06 2013-12-06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프로브 필름, 그를 포함하는 프로브 유닛 및 프로브 필름의 제조방법
KR101399031B1 (ko) * 2012-03-26 2014-05-27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프로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9352A (ja) 1997-02-27 1998-09-11 Mitsubishi Materials Corp プローブ装置
JPH10206464A (ja) 1997-01-24 1998-08-07 Mitsubishi Materials Corp プロー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37Y1 (ko) * 2011-10-10 2012-02-27 주식회사 프로이천 패널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블록
KR101399031B1 (ko) * 2012-03-26 2014-05-27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프로브 장치
KR101338231B1 (ko) * 2012-07-06 2013-12-06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프로브 필름, 그를 포함하는 프로브 유닛 및 프로브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187B1 (ko)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5707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接続状況検査方法
JP2013182128A (ja) 表示装置
KR101063187B1 (ko)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JP2006276115A (ja) 液晶モジュール
KR102090578B1 (ko) 전자 장치의 기판,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접속부의 저항 측정 방법
KR101039338B1 (ko) 극 미세피치 검사용 프로브유닛
KR101063186B1 (ko) 극 미세피치를 갖는 프로브유닛
KR101177510B1 (ko) Cog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JP2011149938A (ja) フィルムタイプのプローブ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782243B (zh) 一种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1177515B1 (ko) Cog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KR101177514B1 (ko) Cog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KR101177513B1 (ko) Cog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JP5797805B2 (ja) 表示装置
KR101177512B1 (ko) Cog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KR101177511B1 (ko) Cog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KR101063191B1 (ko) Cog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KR200444681Y1 (ko) 프로브유닛
KR101057594B1 (ko) Fpd 검사용 프로브유닛
JP2016086109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の検査方法
KR101158762B1 (ko)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및 그의 제조방법
JP4264310B2 (ja) 基板検査装置
KR101063189B1 (ko) Cog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KR101063184B1 (ko) Cog패널 검사용 프로브유닛
KR100876964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테스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