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80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804B1
KR102417804B1 KR1020150094355A KR20150094355A KR102417804B1 KR 102417804 B1 KR102417804 B1 KR 102417804B1 KR 1020150094355 A KR1020150094355 A KR 1020150094355A KR 20150094355 A KR20150094355 A KR 20150094355A KR 102417804 B1 KR102417804 B1 KR 10241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ad
connection electrode
flexible circuit
circui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254A (ko
Inventor
박미선
남성림
최원준
최재웅
공영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8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48
    • H01L27/3258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기판 상에 구비된 패드 및 상기 패드의 일 측면과 연결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전극 내에는 제1 도전볼이 포함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패널 구동부를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발광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패널 구동부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I-I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 기판(10), 상부 기판(20), 연성 회로 필름(40), 및 인쇄 회로 기판(PCB)(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기판(10)과 상부 기판(20)의 조합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과 인쇄 회로 기판(PCB)(50)의 조합이 패널 구동부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 기판(10)에는 다양한 신호 배선(미도시)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신호 배선의 끝단에는 신호 패드(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신호 패드(11)는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과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 패드(11)의 상면에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이 부착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신호 패드(11) 상면이 노출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 기판(10)이 상기 상부 기판(20)보다 더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된 하부 기판(10)의 상면 상에 상기 신호 패드(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50)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신호 패드(11)의 상면에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이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신호 패드(11)의 상면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베젤(Bezel) 영역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젤 영역에 단차가 존재하여 다양한 미감의 디스플레이 장치 구현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베젤 영역을 줄이고 베젤 영역에 단차를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기판 상에 구비된 패드 및 상기 패드의 일 측면과 연결되는 연결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전극 내에는 제1 도전볼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전극이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각각의 측면에서 패드의 일 측면과 연결되고 그에 따라 연성 회로 필름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각각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상기 패드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제2 기판보다 연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베젤 영역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베젤 영역에 단차 발생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전극 내에 제1 도전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도전볼로 인해서 이웃하는 연결 전극 사이에 쇼트가 발생될 염려가 없다.
도 1a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I-I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I-I라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b의 A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b의 B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2b의 B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2b의 B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I-I라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연성 회로 필름(400), 및 인쇄 회로 기판(PCB)(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이 서로 합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과 인쇄 회로 기판(PCB)(500)이 패널 구동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500)은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은 크기가 동일한 4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술한 종래와 같이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이 부착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100)이 상기 제2 기판(200)보다 연장되어 있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이 부착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단과 상기 제2 기판(200)의 일단이 서로 일치한다.
상기 제1 기판(100)이 상기 제2 기판(200)보다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이 상기 제1 기판(100)의 상면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측면, 예로서 아래 측면에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400)과 인쇄 회로 기판(PCB)(500)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하나의 측면, 예로서 좌측 면에 다른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400)과 인쇄 회로 기판(PCB)(500)이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은 서로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단과 상기 제2 기판(200)의 일단이 서로 일치하고, 상기 제1 기판(100)의 타단과 상기 제2 기판(200)의 타단이 서로 일치한다.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 상기 제1 기판(10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판(20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와 컬러 필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이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TN(Twisted Nematic) 모드, IPS(In-Plane Switching)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또는 FS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다양한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구성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 상기 제1 기판(10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양극, 발광층 및 음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판(200)은 밀봉(encapsulation)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00) 상에는 배선(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111)의 끝단에는 패드(11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선(111)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또는 공통 전압 배선 등의 신호 배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정전기 방지 배선 등의 비 신호 배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는 상기 패드(110)가 상기 배선(111)과 동일한 층에서 일체(one body)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111)은 게이트 절연막 위에 구비된 데이터 배선을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110)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 아래에 구비된 데이터 패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구비된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패드가 상기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다.
상기 패드(110)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단과 상기 제2 기판(200)의 일단이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연성 회로 필름(400)이 상기 패드(110)의 상면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패드(110)의 일 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에 연결되는 상기 패드(110)의 일 측면은 넓이가 작기 때문에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과의 연결 특성이 좋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과 상기 패드(110) 사이의 연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패드(110)의 일 측면에는 연결 전극(3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전극(300)은 상기 패드(11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기판(100) 및 상기 제2 기판(200) 각각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패드(110)의 일 측면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전극(300)은 도전성이 우수한 은(Ag)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결 전극(300)에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을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 전극(300)과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 사이에 접착층(3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50)은 그 내부에 도전볼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도전볼을 통해서 상기 연결 전극(300)과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은 상기 제1 기판(100)의 상면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에는 인쇄 회로 기판(500)이 연결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 상에 구동 집적 회로와 같은 칩(chip)이 형성되어 COF(chip on film) 구조를 이룰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 상에는 리드(lead) 배선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 배선은 상기 접착층(350)의 도전볼을 통해서 상기 연결 전극(30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0)은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0) 상에는 타이밍 제어부, 각종 전원 회로, 또는 메모리 소자 등이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전극(300)이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각각의 측면에서 패드(110)와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이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 각각의 측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상기 패드(110)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기판(100)을 상기 제2 기판(200)보다 연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베젤 영역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베젤 영역에 단차 발생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b의 A방향에서 바라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b의 B방향에서 바라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이 씰런트(250)에 의해서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100) 상에는 복수 개의 패드(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패드(110) 각각에는 연결 전극(300)이 연결되어 있다. 즉, 1개의 패드(110)와 1개의 연결 전극(300)이 서로 일대일로 대응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전극(300) 상에는 접착층(3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50)은 상기 제1 기판(100)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200)의 측면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50) 내에는 복수 개의 도전볼(355)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도전볼(355)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전극(300)과 접촉하고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도전볼(355)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의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서로 접착된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내부에 패드(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110)와 연결되는 연결 전극(300)이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전극(300), 및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측면 상에는 접착층(3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50) 내에는 복수 개의 도전볼(355)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50) 상에는 연성 회로 필름(4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50)과 마주하는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의 표면상에는 리드 배선(4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 배선(410)은 상기 도전볼(355)을 통해서 상기 연결 전극(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도전볼(355)의 일 측은 상기 연결 전극(300)과 접촉하고 상기 도전볼(355)의 타측은 상기 리드 배선(410)과 접촉한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 상에는 인쇄 회로 기판(50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110)가 상기 연결 전극(300), 상기 도전볼(355), 및 상기 리드 배선(410)을 통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350)에 포함된 도전볼(355)이 복수 개의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영역에 다수 존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도전볼(355)로 인해서 이웃하는 연결 전극(300)들 사이에 쇼트(short)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접착층(350)을 가압하면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을 상기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200)의 측면에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접착층(350)의 가압시 상기 도전볼(355)이 상기 복수 개의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쇼트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 전극(300)이 형성된 영역과 상기 연결 전극(30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는 단차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접착층(35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도전볼(355)이 상기 연결 전극(30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이웃하는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도전볼(355)의 양이 많아져 상기 쇼트 발생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볼(355)로 인한 이웃하는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쇼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며,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쇼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이는 도 2b의 B방향에서 바라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접착된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내부에 패드(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110)와 연결되는 연결 전극(300)이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전극(300) 내에는 도전볼(355)이 포함되어 있다. 전술한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는 도전볼(355)이 접착층(350)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반면에,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는 도전볼(355)이 연결 전극(300) 내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따르면, 상기 도전볼(355)이 복수 개의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웃하는 연결 전극(300) 사이에 쇼트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측면 상에는 접착층(3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50)에 의해서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측면에 연성 회로 필름(4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350) 내에는 도전볼(355)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웃하는 연결 전극(300)들 사이에 쇼트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50) 상에는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50)과 마주하는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의 표면상에는 리드 배선(4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 배선(410)은 상기 연결 전극(300)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리드 배선(410)과 상기 연결 전극(300)은 서로 직접 접촉하고 있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 상에는 인쇄 회로 기판(50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110)가 상기 연결 전극(300), 및 상기 리드 배선(410)을 통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전극(300) 내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볼(355)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 전극(300)과 상기 리드 배선(410) 사이의 전기적 연결특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도전볼(355)로 인해서 이웃하는 연결 전극(300) 사이에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도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도전볼(355)이 상기 연결 전극(300)에 의해 둘러싸인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도전볼(355)의 일부가 상기 연결 전극(3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도전볼(355)이 상기 리드 배선(410)과 접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이는 도 2b의 B방향에서 바라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도전볼(355)이 접착층(350) 내에 추가로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도전볼(355)은 제1 도전볼(355a), 제2 도전볼(355b), 및 제3 도전볼(355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도전볼(355a)은 전술한 도 5에서와 같이 연결 전극(300) 내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2 도전볼(355b) 및 상기 제3 도전볼(355c)은 전술한 도 4에서와 같이 접착층(350) 내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2 도전볼(355b)은 연결 전극(300)과 리드 배선(41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전극(300)과 상기 리드 배선(4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상기 제2 도전볼(355b)의 일측은 상기 연결 전극(300)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볼(355b)의 타측은 상기 리드 배선(410)과 연결된다.
상기 제3 도전볼(355c)은 복수 개의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3 도전볼(355c)의 개수는 전술한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훨씬 적기 때문에, 상기 제3 도전볼(355c)로 인해서 이웃하는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쇼트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연결 전극(300) 내에 포함된 제1 도전볼(355a)로 인해서 패드(110)와 리드 배선(410) 사이의 전기적 연결특성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접착층(350) 내에 포함되는 제2 도전볼(355b) 및 제3 도전볼(355c)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상기 제3 도전볼(355c)이 복수 개의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하더라도 그 개수가 적기 때문에 이웃하는 연결 전극(300)들 사이의 쇼트가 발생하지는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연결 전극(300)이 형성되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각각의 일단이 일치하면서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이 서로 마주하고 있다.
상기 제1 기판(100) 상에는 패드(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110) 상에 절연층(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층(130)은 상기 패드(110) 상에 형성된 제1 절연층(131) 및 상기 제1 절연층(131) 상에 형성된 제2 절연층(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31)은 게이트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절연층(132)은 평탄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무기 절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평탄화막은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 절연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는 씰런트(25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씰런트(250)에 의해서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이 서로 접착되어 있다. 상기 씰런트(250)는 상기 제1 기판(100) 또는 상기 제2 기판(200)의 일단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즉, 상기 씰런트의 일단은 상기 제1 기판(100) 및 상기 제2 기판(200) 각각의 일단과 일치하지 않고 상기 제1 기판(100) 및 상기 제2 기판(200) 각각의 일단보다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씰런트(250)의 일단에서 연성 회로 필름(400)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기판(200)의 일단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 사이 영역에서 상기 씰런트(25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생기고, 그와 같은 씰런트(250)가 형성되지 않은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사이 영역으로 연결 전극(300)이 침투할 수 있어, 상기 연결 전극(300)이 보다 견고하게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전극(300)은 상기 제1 기판(100)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200)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판(100)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200)의 측면보다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전극(300)은 상기 패드(110)의 일 측면과 접촉한다. 또한, 상기 연결 전극(300) 내에는 도전볼(3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전극(300)의 측면, 상기 제1 기판(100)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200)의 측면에는 접착층(3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350)에 의해서 연성 회로 필름(400)이 상기 제1 기판(100)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200)의 측면에 부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층(350) 내에 도전볼(355b, 355c)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착층(350)의 측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의 측면에는 인쇄 회로 기판(50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 상에 형성된 리드 배선(410)은 상기 연결 전극(300)과 접촉하고 있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는 연결 전극(300)이 패드(110)의 일 측면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 전극(300)과 패드(110) 사이의 전기적 연결특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패드(110)와 연결 전극(300) 사이의 전기적 연결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절연층(130)의 구성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7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판(100) 상에 패드(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110) 상에 절연층(130)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도 7에 따르면, 패드(110)의 일단과 절연층(130)의 일단이 서로 일치하는 반면에, 도 8에 따르면 패드(110)의 일단과 절연층(130)의 일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즉, 도 7의 경우는 상기 패드(110)의 일단과 상기 절연층(130)의 일단 모두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기판(200)의 일단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데, 도 8의 경우 상기 패드(110)의 일단은 상기 제1 기판(100)의 일단 또는 상기 제2 기판(200)의 일단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절연층(130)의 일단은 상기 제1 기판(100) 및 상기 제2 기판(200) 각각의 일단보다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연층(130)의 일단에서 연성 회로 필름(400)까지의 거리가 상기 패드(110)의 일단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400)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패드(110)의 상면이 노출되어 상기 패드(110)의 상면에 연결 전극(300)이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패드(100)의 상면은 상기 제1 기판(100)과 마주하고 있지 않은 표면에 해당한다.
결국, 상기 연결 전극(300)이 상기 패드(110)의 일 측면, 및 상기 패드(110)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연결 전극(300)과 상기 패드(110) 사이의 연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보조 전극(1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8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절연층(131)과 제2 절연층(132) 사이에 보조 전극(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전극(150)은 상기 제1 절연층(131)에 구비된 제1 콘택홀(CH1)을 통해서 패드(11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전극(150)의 일 측면은 연결 전극(3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 전극(15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 내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동일한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보조 전극(150)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지 않는다.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 전극(300)이 상기 패드(110)의 일 측면, 상기 패드(110)의 상면, 및 상기 보조 전극(150)의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연결 전극(300)과 상기 패드(110) 사이의 연결 특성이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보조 전극(1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8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절연층(132) 상에 보조 전극(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전극(150)은 제1 절연층(131) 및 제2 절연층(132)에 구비된 제2 콘택홀(CH2)을 통해서 패드(1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 전극(150)이 상기 제2 절연층(132)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보조 전극(150)의 상면이 연결 전극(30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전극(150)의 일 측면도 상기 연결 전극(3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 전극(15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 내에 구비된 화소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동일한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보조 전극(150)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지 않는다.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 전극(300)이 상기 패드(110)의 일 측면, 상기 패드(110)의 상면, 상기 보조 전극(150)의 상면, 및 상기 보조 전극(150)의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연결 전극(300)과 상기 패드(110) 사이의 연결 특성이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보조 전극(15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8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절연층(131)과 제2 절연층(132) 사이에 제1 보조 전극(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절연층(132) 상에 제2 보조 전극(1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보조 전극(151)은 상기 제1 절연층(131)에 구비된 제1 콘택홀(CH1)을 통해서 패드(1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보조 전극(152)은 상기 제2 절연층(132)에 구비된 제3 콘택홀(CH3)을 통해서 제1 보조 전극(151)과 연결되어 있다. 결국, 상기 제1 보조 전극(151), 제2 보조 전극(152), 및 패드(11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보조 전극(15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 내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동일한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보조 전극(151)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지 않는다. 상기 제2 보조 전극(152)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 내에 구비된 화소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동일한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보조 전극(152) 형성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보조 전극(151)의 일 측면은 연결 전극(30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조 전극(152)의 상면 및 상기 제2 보조 전극(152)의 일 측면은 상기 연결 전극(300)에 연결되어 있다.
도 11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 전극(300)이 상기 패드(110)의 일 측면, 상기 패드(110)의 상면, 상기 제1 보조 전극(151)의 일 측면, 상기 제2 보조 전극(152)의 상면, 및 상기 제2 보조 전극(152)의 일 측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연결 전극(300)과 상기 패드(110) 사이의 연결 특성이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기판 110: 패드
130: 절연층 150: 보조 전극
200: 제2 기판 250: 씰런트
300: 연결 전극 350: 접착층
355: 도전볼 400: 연성 회로 필름
410: 리드 배선 500: 인쇄 회로 기판

Claims (10)

  1.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구비된 패드;
    상기 패드의 일 측면과 연결되는 연결 전극;
    상기 연결 전극과 연결되는 리드 배선이 표면에 구비된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연결 전극과 상기 리드 배선 사이, 및 상기 연결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기판의 일 측면의 부분과 상기 리드 배선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의 부분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전극 내에는 복수의 제1 도전볼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도전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패드와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패드와 상기 리드 배선은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볼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패드에서 상기 리드 배선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연결 경로에는 상기 접착층이 개재되지 않으며,
    상기 패드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패드는 서로 절연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볼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리드 배선과 마주하는 일면을 구비하고, 상기 일면의 일 부분은 상리 리드 배선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일면의 다른 부분은 상기 리드 배선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일면의 다른 부분과 상기 리드 배선 사이에 상기 접착층이 개재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연결 전극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단과 상기 제2 기판의 일단은 서로 일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제1 기판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에 접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은 상기 접착층에 의해서 상기 제1 기판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내에는 제2 도전볼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볼의 일측은 상기 연결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도전볼의 타측은 상기 리드 배선과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상에 구비된 절연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의 일단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까지의 거리가 상기 패드의 일단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연결 전극은 추가적으로 상기 패드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상에 구비된 절연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에 구비된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패드와 연결되는 보조 전극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연결 전극은 추가적으로 상기 보조 전극의 일 측면과 접촉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절연층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전극은 추가적으로 상기 보조 전극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은 씰런트에 의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씰런트의 일단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단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씰런트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 영역에 상기 연결 전극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94355A 2015-07-01 2015-07-0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355A KR102417804B1 (ko) 2015-07-01 2015-07-0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355A KR102417804B1 (ko) 2015-07-01 2015-07-0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254A KR20170005254A (ko) 2017-01-12
KR102417804B1 true KR102417804B1 (ko) 2022-07-06

Family

ID=5781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355A KR102417804B1 (ko) 2015-07-01 2015-07-0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541B1 (ko) * 2017-04-25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0908B1 (ko) 2017-06-12 2022-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83027A (ko) * 2018-01-02 2019-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569936B1 (ko) * 2018-02-06 2023-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28777A (ko) 2019-09-04 2021-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0117A1 (en) 2009-12-15 2011-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002491A1 (en) 2013-07-01 2015-01-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319B1 (ko) * 2006-11-22 2013-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구동회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액정표시장치구동회로가 실장 된 액정표시장치
KR101853454B1 (ko) * 2011-01-21 2018-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40038823A (ko) * 2012-09-21 2014-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0665B1 (ko) * 2013-05-20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0117A1 (en) 2009-12-15 2011-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002491A1 (en) 2013-07-01 2015-01-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254A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6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66381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225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780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43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0959B1 (ko) 연성 인쇄 회로 필름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097946B2 (en) Display panel
CN107065287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10030685A (ko) 플렉시블 기판 및 전기 회로 구조체
US825924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1426888A (zh) 用於封裝半導體裝置之可撓性印刷電路板及其製造方法
KR102655727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50012515A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3736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561796B (zh) 具有延伸至非显示区域的信号线的显示装置
KR20180118186A (ko)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177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13388B1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US9543332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6909004B (zh) 一种黏结垫、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静电保护方法
CN111341744A (zh) 一种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20170263689A1 (en) Display device
CN108112164A (zh) 显示装置
KR102135921B1 (ko)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