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388B1 -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388B1
KR102513388B1 KR1020150116627A KR20150116627A KR102513388B1 KR 102513388 B1 KR102513388 B1 KR 102513388B1 KR 1020150116627 A KR1020150116627 A KR 1020150116627A KR 20150116627 A KR20150116627 A KR 20150116627A KR 102513388 B1 KR102513388 B1 KR 102513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rea
link
disposed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239A (ko
Inventor
장훈
강규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6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3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변 혹은 하변 베젤(Bezel) 영역의 폭을 줄여 표시 영역을 극대화한 평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는, 기판, 표시 영역, 비 표시 영역, 패드 연결 영역 그리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기판 상에서 영상 표시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정의되어 있다. 비 표시 영역은, 기판 상에서 표시 영역 주변에 정의된다. 또한, 비 표시 영역은, 패드 영역 및 링크 영역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은, 기판의 일측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링크 영역은, 패드 영역에서 표시 영역으로 제1 거리 연장된다. 패드 연결 영역은, 패드 영역 전체와 적어도 링크 영역의 일부와 중첩하여 배치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패드 연결 영역과 중첩하도록 기판과 대향하여 부착된다.

Description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Having Narrow Bezel}
본 발명은 상변 혹은 하변 베젤(Bezel) 영역의 폭을 줄여 표시 영역을 극대화한 평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평판 표시 장치에서 상변 및/또는 하변에 연결되는 구동 연결부의 영역을 최소화하여 상/하 베젤(Bezel) 영역의 폭을 줄인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피가 큰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하는, 얇고 가벼우며 대면적이 가능한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FPD)로 급속히 발전해 왔다.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그리고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D)와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게이트 배선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와 데이터 배선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회로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를 실장한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를 표시패널에 부착하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TAB 방식으로 형성한 평판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L)의 상단부 일측변에는 TAB 방식으로 표시패널(DPL)의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데이터 구동부(DIC)가 배치된다. 즉,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혹은, TCP: Tape Carrier Package)(TP)에 데이터 구동부(DIC)가 실장되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의 일측변이 표시패널(DPL)의 상단부 일측변에 배치된 패드부와 연결된다. 또한, 표시패널(DPL)의 좌측 일측변에는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구동부(GIP)가 기판 상에 직접 배치된다. 데이터 구동부(DIC)와 게이트 구동부(GIP)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TCON)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PIC)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장착되고, 데이터 구동부(DIC)를 실장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의 타측변에 인쇄회로기판(PCB)의 패드부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패널(DPL)은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화소 영역 내에 할당된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의 경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에서 발현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도 1에서 게이트 구동부(GIP)가 형성된 측변의 비 표시 영역(NA)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가 부착되는 상변의 비 표시 영역(NA)들이 베젤 영역에 해당한다. 도 1에서는 좌측에만 게이트 구동부(GIP)가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보통은 우측에도 게이트 구동부(GIP)가 배치되어, 좌측 및 우측의 베젤 영역이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변에만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가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 하변에만 또는 상변과 하변 모두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평판 표시장치는, 게이트 구동부는 표시 패널(DPL)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좌측 및/또는 우측 변의 베젤 영역을 최소화 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 및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부가 연결되는 상변 및/또는 하변의 베젤 영역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협 베젤을 이룩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제안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부착되는 패드 영역을 링크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함으로써, 기판의 상변 및/또는 하변의 베젤 영역을 최소화한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는, 기판, 표시 영역, 비 표시 영역, 패드 연결 영역 그리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기판 상에서 영상 표시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으로 정의되어 있다. 비 표시 영역은, 기판 상에서 표시 영역 주변에 정의된다. 또한, 비 표시 영역은, 패드 영역 및 링크 영역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은, 기판의 일측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링크 영역은, 패드 영역에서 표시 영역으로 제1 거리 연장된다. 패드 연결 영역은, 패드 영역 전체와 적어도 링크 영역의 일부와 중첩하여 배치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패드 연결 영역과 중첩하도록 기판과 대향하여 부착된다.
일례로, 패드 전극, 링크 배선, 패드 단자 그리고 테이프 캐리어 패드 단자를 더 포함한다. 패드 전극은, 패드 영역에 배치된다. 링크 배선은, 링크 영역에 배치되며, 패드 전극의 일측 끝단에서 표시 영역으로 연장된다. 패드 단자는, 패드 전극과 면 접촉하고 링크 배선과 중첩하며, 패드 연결 영역 내에 배치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드 단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배치되며, 도전성 페이스트를 매개로 패드 단자와 연결된다.
일례로, 테이프 캐리어 패드 단자는 패드 단자와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대향하여 중첩 배치된다.
일례로, 절연막 및 패드 콘택홀을 더 포함한다. 절연막은, 패드 전극과 링크 배선을 덮는다. 패드 콘택홀은, 절연막에서 패드 전극 대부분을 노출한다. 패드 단자는, 절연막 위에 배치되며 패드 콘택홀을 통해 패드 전극과 면 접촉하고,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링크 배선과 중첩하여 배치된다.
일례로, 절연막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된 절연층을 포함한다.
일례로, 패드 단자는, 패드 전극에서 연장된 링크 배선 일부 및 링크 배선과 이웃하는 제2 링크 배선들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여 배치된다.
일례로, 멀티플렉스 영역을 더 포함한다. 멀티플렉스 영역은, 링크 영역에서 표시 영역으로 제2 거리 연장된다.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상변 및/또는 하변 베젤 영역을 최소화한 평판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상변 및/또는 하변에 부착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링크 영역과 중첩하도록 패드 영역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상변 또는 하변의 베젤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좌, 우측의 베젤 영역뿐 아니라 상, 하측 베젤 영역도 극소화한 평판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TAB 방식으로 형성한 평판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부착된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절취선 I-I'으로 자른, 상변 베젤 영역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부착된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절취선 II-II'으로 자른, 상변 베젤 영역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 예>
이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부착된 표시 패널(DPL)의 기판(SUB)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절취선 I-I'으로 자른, 상변 베젤 영역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기판(SUB) 표면은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AA)과 표시 영역의 상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 영역(AA) 내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치된다. 비 표시 영역(NA)은 화상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표시 영역(AA)으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드 연결 영역(COF), 링크 영역(LINK) 및 멀티플렉스 영역(MUX) 등이 배치된다. 비 표시 영역(NA)은 베젤 영역(BZ)으로 정의된다.
패드 연결 영역(COF)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와 연결하기 위한 패드 단자(DPT)와 패드 전극(DP)이 배치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가 표시 패널(DPL)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캐리어 배선(TPL)과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는 테이프 캐리어 배선(TPL)의 끝단에 배치되며, 패드 단자(DPT)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는 패드 연결 영역(COF)과 도전성 페이스트(CA)에 의해 접착된다. 도전성 페이스트(CA) 내부에는 도전볼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 도전볼에 의해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와 패드 단자(DPT)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의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와 패드 단자(DPT)가 온전한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접촉 면적을 가져야 한다. 접촉 면적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고 대향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와 패드 단자(DPT)의 폭과 길이로 결정된다. 이하, 편의상 패드 단자(DPT)의 폭과 길이로만 설명한다.
점차 고밀도 표시장치의 요구가 늘어나므로, 패드 단자(DPT)의 폭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따라서,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패드 단자(DPT)의 길이가 충분하여야 한다. 표시 장치 밀도 사양과 패턴 기술을 고려할 때, 패드 단자(DPT)의 길이는 최소 1,000㎛를 가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패드 영역(COF)은 최소 1,100㎛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
링크 영역(LINK)은, 패드 단자(DPT)에서 인가받은 신호를 표시 영역(AA)으로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들(LN, LN+1, LN+2, LN+3, ...)이 배치된다. 링크 배선들은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 물질 혹은 소스-드레인 전극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패드 연결 영역(COF) 전체의 폭과 표시 영역(AA)의 폭보다 훨씬 좁게 형성되므로,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은 부패꼴 모양으로 확산되어 배치된다. 링크 배선(LN, LN+1, LN+2, LN+3, ...)이 효과적으로 배치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 링크 영역(LINK)은 적어도 1,400㎛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멀티플렉스(MUX) 영역에는, 링크 영역(LINK)을 경유하여 받은 신호를 표시 영역(AA)으로 분배하기 위한 여러 소자들이 배치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될 수 있다. 멀티플렉스(MUX) 영역은 적어도 700㎛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표시 패널(DPL)에서 표시 영역(AA)이 최대한의 크기를 갖는 것이 사용 측면 및 제품 설계 측면 모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베젤 영역을 최소화한 협 베젤 구조가 많이 요구되고 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현재까지 개발된 미세 패턴 기술 등을 모두 적용하더라도, 표시 패널(DPL)의 상단 비 표시 영역인 상단 베젤(BZ)의 길이는 3,200㎛ 정도로 확보함으로써 협 베젤 구조를 이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베젤 영역(BZ)의 단면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기판(SUB) 위에 패드 전극(DP),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 멀티플렉스(MUX)가 배치되어 있다. 멀티플렉스(MUX)는 표시 영역(AA)에서 연결된 배선과 연결되어 있다.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은 멀티플렉스(MUX)에서 연결된 배선 구조를 갖는다. 패드 전극(DP)은 각 링크 배선(LN, LN+1, LN+2, LN+3, ...)의 끝단에 배치된다.
패드 전극(DP),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 멀티플렉스(MUX) 및 표시 영역(AA)의 상부 표면에는 절연막(IN)이 덮고 있다. 패드 전극(DP)은 절연막(IN)을 관통하는 패드 콘택홀(DPH)에 의해 대부분이 노출되어 있다. 절연막(IN) 위에는 패드 단자(DPT)가 형성되어 있다. 패드 단자(DPT)는 패드 콘택홀(DPH)을 통해 패드 전극(DP)과 면 접촉을 한다.
이상과 같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를 연결하기 위한 패드 연결 영역(COF)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링크 영역(LINK) 및 멀티플렉스 영역(MUX) 모두를 베젤 영역(BZ) 내에 포함하였다. 그 결과, 3,200㎛ 길이만으로 베젤 영역(BZ)을 정의한 협 베젤 구조를 이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보다도 더 협 베젤 영역을 갖는 구조가 필요하다. 제1 실시 예에서는, 패드 영역(PAD)과 패드 연결 영역(COF)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는 구조이다. 이하, 제2 실시 예에서는, 패드 연결 영역(COF)을 패드 영역(PAD)뿐 아니라, 링크 영역(LINK)의 일부와도 중첩하도록 배치하여, 베젤 영역(BZ)을 더 줄인 협 베젤 구조를 제공한다.
<제2 실시 예>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부착된 표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절취선 II-II'으로 자른, 상변 베젤 영역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기판(SUB)은 그 표면에 정의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AA)과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AA)는 기판(SUB)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비 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의 상변, 하변, 좌측변 및/또는 우측변 중 적어도 어느 한변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 영역(AA) 내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비 표시 영역(NA)은 화상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표시 영역(AA)으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드 영역(PAD), 링크 영역(LINK) 및 멀티플렉스 영역(MUX)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패드 영역(PAD) 전체와 링크 영역(LINK)의 일부가 패드 연결 영역(COF)으로 정의된다. 비 표시 영역(NA)은 베젤 영역(BZ)으로 정의된다.
패드 영역(PAD)에는 패드 전극(DT)이 배치된다. 패드 전극(DT)은 패드 단자(DPT)와 최소한의 접촉성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패드 단자(DPT)로부터 전달받는 전기적 신호의 전압에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촉 저항이 증가하지 않는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적어도 패드 전극(DT)의 길이는 400㎛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 영역(LINK)은, 패드 전극(DT)을 통해 인가받은 신호를 표시 영역(AA)으로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들(LN, LN+1, LN+2, LN+3, ...)이 배치된다. 링크 배선들은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 물질 혹은 소스-드레인 전극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의 전체 폭과 표시 영역(AA)의 폭이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은 부패꼴 모양으로 확산되어 배치된다. 링크 배선(LN, LN+1, LN+2, LN+3, ...)이 효과적으로 배치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 링크 영역(LINK)은 적어도 1,400㎛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멀티플렉스(MUX) 영역에는, 링크 영역(LINK)을 경유하여 받은 신호를 표시 영역(AA)으로 분배하기 위한 여러 소자들이 배치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될 수 있다. 현재의 기술로 멀티플렉스(MUX) 영역은 적어도 700㎛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특징은, 패드 연결 영역(COF)이 패드 영역(PAD)과 링크 영역(LINK)에 걸쳐 배치된다는 데 있다. 예를 들어, 패드 영역(PAD) 전체와 링크 영역(LINK)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걸쳐 패드 연결 영역(COF)가 배치된다.
패드 연결 영역(COF)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와 연결하기 위한 패드 단자(DPT)가 배치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가 표시 패널(DPL)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캐리어 배선(TPL)과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는 테이프 캐리어 배선(TPL)의 끝단에 배치되며, 패드 단자(DPT)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는 패드 연결 영역(COF)과 도전성 페이스트(CA)에 의해 접착된다. 도전성 페이스트(CA) 내부에는 도전볼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 도전볼에 의해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와 패드 단자(DPT)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의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와 패드 단자(DPT)가 온전한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접촉 면적을 가져야 한다. 접촉 면적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고 대향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드(TPT)와 패드 단자(DPT)의 폭과 길이로 결정된다. 이하, 편의상 패드 단자(DPT)의 폭과 길이로만 설명한다.
점차 고밀도 표시장치의 요구가 늘어나므로, 패드 단자(DPT)의 폭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따라서,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패드 단자(DPT)의 길이가 충분하여야 한다. 현재의 표시 장치 밀도 사양과 패턴 기술을 고려할 때, 패드 단자(DPT)의 길이를 최소 1,100㎛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패드 단자(DPT)가 패드 전극(DT) 전체 및 링크 배선들(LN, LN+1, LN+2, LN+3, ...)의 적어도 어느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패드 연결 영역(COF)의 길이는 충분한 길이인 1,100㎛를 확보한 상태에서도, 패드 영역(PAD)이 패드 연결 영역(COF)보다 작은 크기를 가짐으로써, 베젤 영역(BZ)의 길이는 2,500㎛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베젤 영역(BZ)의 단면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기판(SUB) 위에 패드 전극(DP),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 멀티플렉스(MUX)가 배치되어 있다. 멀티플렉스(MUX)는 표시 영역(AA)에서 연결된 배선과 연결되어 있다.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은 멀티플렉스(MUX)에서 연결된 배선 구조를 갖는다. 패드 전극(DP)은 각 링크 배선(LN, LN+1, LN+2, LN+3, ...)의 끝단에 배치된다.
패드 전극(DP),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 멀티플렉스(MUX) 및 표시 영역(AA)의 상부 표면에는 절연막(IN)이 덮고 있다. 패드 전극(DP)은 절연막(IN)을 관통하는 패드 콘택홀(DPH)에 의해 대부분이 노출되어 있다. 절연막(IN) 위에는 패드 단자(DPT)가 형성되어 있다. 패드 단자(DPT)는 패드 콘택홀(DPH)을 통해 패드 전극(DP)과 면 접촉을 한다. 특히, 패드 단자(DPT)는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절연막(IN) 위에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패드 전극(DP)은 패드 단자(DPT)와 접촉 저항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인 400㎛로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패드 단자(DPT)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의 패드 단자(TPT)와 충분한 면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1,100㎛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패드 단자(DPT)가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패드 단자(DPT)는 링크 배선(LN, LN+1, LN+2, LN+3, ...)들이 일부와 중첩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패드 단자(DPT)는 어느 한 링크 배선(LN)의 끝 단에 배치된 패드 전극(DT)와 연결된다. 따라서, 패드 단자(DPT)가 링크 배선(LN)과 중첩되어도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패드 단자(DPT)가 이웃하는 다른 링크 배선(LN+1, LN+2, LN+3)들 중 어느 하나와 중첩할 경우, 기생 용량이 발생하여 신호 전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막(IN)을 유전율이 낮은 유기 절연물질을 사용하거나,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이 적층된 다중층의 구조를 사용할 경우, 기생 용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칼라 필터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위에 직접 형성하는 구조에서는 패드 단자(DPT)가 절연막(IN)과 칼라 필터 위에 적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구조에서는 패드 단자(DPT)를 이웃하는 링크 배선(LN+1, LN+2, LN+3)들과 중첩하도록 배치하여도 신호 전달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링크 영역(LINK)을 1,000㎛ 이내의 길이 영역 내부로 더 좁혀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패드 단자(DPT)를 링크 영역(LINK) 및 멀티플렉스 영역(MUX)과 중첩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패드 단자(DPT)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P)와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베젤 영역을 더 줄인 협 베젤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SUB: 기판 DPL: 표시 패널
DP: 패드 전극 DPT: 패드 단자
DPH: 패드 콘택홀 IN: 절연막
AA: 표시 영역 NA: 비 표시 영역
BZ: 베젤 영역 COF: 패드 연결 영역
LINK: 링크 영역 MUX: 멀티플렉스(영역)
PAD: 패드 영역

Claims (7)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정의된 표시 영역;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 주변에 정의되며, 상기 기판의 일측변에 인접하여 배치된 패드 영역 및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으로 제1 거리 연장된 링크 영역을 포함하는 비 표시 영역;
    상기 패드 영역 전체와 중첩하고, 적어도 상기 링크 영역의 일부와 중첩하여 배치된 패드 연결 영역;
    상기 패드 연결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기판과 대향하여 부착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상기 패드 영역에 배치된 패드 전극;
    상기 링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패드 전극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표시 영역으로 연장된 링크 배선;
    상기 패드 전극과 면 접촉하고 상기 링크 배선과 중첩하며, 상기 패드 연결 영역 내에 배치된 패드 단자; 그리고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배치되며, 도전성 페이스트를 매개로 상기 패드 단자와 연결된 테이프 캐리어 패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단자는,
    상기 패드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표시 영역 쪽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일측변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패드 전극에서 연장된 상기 링크 배선 일부 및 상기 링크 배선과 이웃하는 제2 링크 배선들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여 배치되며,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드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의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판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드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와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대향하여 중첩 배치된 평판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전극과 상기 링크 배선을 덮는 절연막; 그리고
    상기 절연막에서 상기 패드 전극을 노출하는 패드 콘택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드 단자는 상기 절연막 위에 배치되며 상기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패드 전극과 면 접촉하고, 상기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링크 배선과 중첩하여 배치된 평판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층이 적층된 평판 표시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으로 제2 거리 연장된 멀티플렉스 영역을 더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
KR1020150116627A 2015-08-19 2015-08-19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10251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627A KR102513388B1 (ko) 2015-08-19 2015-08-19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627A KR102513388B1 (ko) 2015-08-19 2015-08-19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39A KR20170023239A (ko) 2017-03-03
KR102513388B1 true KR102513388B1 (ko) 2023-03-23

Family

ID=5841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627A KR102513388B1 (ko) 2015-08-19 2015-08-19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4986B (zh) * 2018-02-09 2020-1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102605586B1 (ko) * 2018-07-11 2023-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2729A1 (en) 2004-07-16 2006-01-19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oration Substrate for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the same
US20090096975A1 (en) 2007-10-16 2009-04-16 Kwon Jang-U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80B1 (ko) * 2003-08-20 2006-08-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96937B1 (ko) * 2007-07-06 2014-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41441B1 (ko) * 2011-10-06 2019-0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KR101966866B1 (ko) * 2013-07-29 2019-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2729A1 (en) 2004-07-16 2006-01-19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oration Substrate for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the same
US20090096975A1 (en) 2007-10-16 2009-04-16 Kwon Jang-U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39A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260383A1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etection electrodes applicable for a touch sensor
CN107039495B (zh) 有机发光显示面板和有机发光显示装置
JP4354451B2 (ja) 平板表示素子および平板表示素子の製造方法
EP266065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245304B1 (ko) 커버형 전원 공급이 적용된 표시장치
EP3009884B1 (en) Flat panel display with narrow bezel area
KR101701021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139741A (ja) 等抵抗配線液晶表示装置
JP6427360B2 (ja) 表示装置
US11653449B2 (en) Flexible circuit film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30301150A1 (en) Display device
CN112835232B (zh) 具有延伸至非显示区域的信号线的显示装置
KR102050384B1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패널
KR102513388B1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US11410596B2 (en) Display device preventing a flow of static electricity
KR20210085642A (ko) 표시장치
KR20210027703A (ko) 표시 장치
KR102008324B1 (ko) 가요성 표시장치
KR20170081058A (ko) 패드와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80899A (ko) 표시장치
KR2014011700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29474A (ko) 표시 장치
KR102247134B1 (ko) 협지 연결 단자를 갖는 협 베젤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KR102521759B1 (ko) 액정표시장치
US20240284729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rray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