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816Y1 - 골프 샤프트 - Google Patents

골프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816Y1
KR200456816Y1 KR2020090000646U KR20090000646U KR200456816Y1 KR 200456816 Y1 KR200456816 Y1 KR 200456816Y1 KR 2020090000646 U KR2020090000646 U KR 2020090000646U KR 20090000646 U KR20090000646 U KR 20090000646U KR 200456816 Y1 KR200456816 Y1 KR 200456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rip
intermediate portion
coupling portion
golf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607U (ko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주)델타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델타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델타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090000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81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0Non-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2Clubs made of composite, plastics or rubber materials, with integral head and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드릴에 의해 형성되는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마련된 골프공을 타격하는 클럽헤드가 결합되는 헤드결합부와; 타단에 마련된 플레이어가 파지하는 그립이 결합되는 그립결합부와; 상기 헤드결합부와 상기 그립결합부 사이에 직경이 다른 단에 의해 구획되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결합부 및 상기 헤드결합부는 상기 클럽헤드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직경이 줄어들며, 상기 중간부는 상기 그립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드결합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제1중간부와 제2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결합부, 상기 제1중간부 및 상기 제2중간부의 각 직경은 동일하고, 상기 제1중간부와 접하는 상기 그립결합부와 상기 제1중간부와 제2중간부의 내경의 비가 1 : 0.88 : 0.78 이며, 공차 범위는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비거리 향상, 파워를 배가시킬 수 있다.
Figure R2020090000646
골프 샤프트, 클럽헤드, 단, 중간부

Description

골프 샤프트{GOLF SHAFT}
본 고안은, 골프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샤프트의 구조를 개선한 골프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 그 클럽샤프트에는 클럽헤드와 골프공의 충돌에 따른 하중 또는 충격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클럽샤프트에는 여러 응력이 발생한다. 이 중에서 골프 샤프트의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클럽헤드의 타격점과 골프 샤프트의 파지점이 골프 샤프트의 길이만큼 이격됨에 따라 발생하는 굽힘 응력과, 클럽헤드의 타격점과 골프 샤프트 연결부가 이격됨에 따라 발생하는 비틀림 응력이다. 또한,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의 충격은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고 골프 샤프트에서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골프 샤프트의 강성이 너무 낮으면 타격 시 변형이 과도하게 되어 골프공의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없고, 탄성이 너무 낮거나 강성이 너무 높으면 사용자의 신체에 충격이 과도하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골프 샤프트는 적정한 강성 및 탄성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현재 골프 샤프트에는 스틸합금,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제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제 골프 샤프트와, 탄소섬유 원단을 에폭시수지 등으로 보강하여 이루어진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금속제 골프 샤프트는 가장 먼저 대중화되어 계속적인 특성 개선을 통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금속제 골프 샤프트는 하중에 대한 강도가 등방성으로 나타나고 인장하중이나 압축하중 및 전단하중에 대하여 고른 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금속제 골프 샤프트는 제작 시에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설계 및 제작이 간단하고 굽힘 강도 및 비틀림 강도가 높으면서 고른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금속제 골프 샤프트는 비중이 그래파이트제에 비해 높지만 인장강도가 그래파이트제에 비해 떨어지므로 중량대비 강도에 있어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반면에,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는 섬유결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의 하중에 대해 취약한 특성으로 인해 그 구조설계 및 제조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는 섬유결의 배치방향 및 적층방법에 따라 적합한 강도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고 금속제 골프 샤프트에 비해 비중이 훨씬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금속제 골프 샤프트에 비해 중량 대비 내구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는 맨드릴에 여러 겹으로 적층되어 감는 구조를 가져 금속제 골프 샤프트에 비해 비틀림 강도가 약하다. 또한,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는 에폭시수지에 의해 경화되어 금속제 골프 샤프트에 비해 취성이 강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부러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여기서, 클럽헤드에서의 타격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고 골프공의 비거리가 향상될 수 있는 그래파이트 클럽샤프트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정되고 향상된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골프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윙 스피드가 탁월한 골프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품질이 균일한 골프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맨드릴에 의해 형성되는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에 있어서, 일단에 마련된 골프공을 타격하는 클럽헤드가 결합되는 헤드결합부와; 타단에 마련된 플레이어가 파지하는 그립이 결합되는 그립결합부와; 상기 헤드결합부와 상기 그립결합부 사이에 직경이 다른 단에 의해 구획되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결합부 및 상기 헤드결합부는 상기 클럽헤드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직경이 줄어들며, 상기 중간부는 상기 그립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드결합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제1중간부와 제2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결합부, 상기 제1중간부 및 상기 제2중간부의 각 직경은 동일하고, 상기 제1중간부와 접하는 상기 그립결합부와 상기 제1중간부와 제2중간부의 내경의 비가 1 : 0.88 : 0.78 이며, 공차 범위는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그립결합부, 상기 제1중간부 및 상기 제2중간부의 두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골프 샤프트는 드라이버 골프클럽에 사용되며, 상기 그립결합부와 상기 제1중간부와 상기 제2중간부의 길이의 비(골프 샤프트의 총 길이를 "1"로 본 경우)는 0.36 : 0.17 : 0.17 이며, 공차 범위는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정되고 향상된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골프 샤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윙 스피드가 탁월한 골프 샤프트를 제공할 수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품질이 균일한 골프 샤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샤프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골프 샤프트의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샤프트의 작동 과정을 스윙궤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골프클럽은 골프 샤프트와 클럽헤드를 포함한 하나의 골프클럽을 의미하기도 하며 여러 개의 골프클럽을 포함하는 골프클럽 세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서의 골프클럽은 드라이버만을, 또는 아이언 세트를, 혹은 골프클럽 풀세트에 소요되는 드라이버(우드), 아이언, 퍼터 등을 모두 포함한 의미일 수 있다. 이하에서 골프클럽은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골프클럽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10)은, 골프공을 타격하는 클럽헤드(20)와, 골프 샤프트(100)를 포함한다.
클럽헤드(20)는 골프 샤프트(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면이 형성된다. 클럽헤드(20)는 다양한 종류의 금속합금 또는 나무로 된 재질로 만들어진다. 클럽헤드(20)는 골프 샤프트(100)의 헤드결합부(110)와 접착제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골프 샤프트(100)는, 헤드결합부(110)와, 그립결합부(120)와, 중간부(130)를 포함한다.
골프 샤프트(100)는 금속제 골프 샤프트와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의 두 가지 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여기서, 그래파이트는 탄소섬유 또는 각종 보강용 필름 등의 공지된 재료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샤프트(100)는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100)는 맨드릴(미도시)이라고 불리는 환봉 형상의 금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맨드릴은 골프 샤프트(100)에 단(140)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립결합부(120)는 사용자가 골프 샤프트(100)를 잡을 수 있도록 골프 샤프트(100)의 상단에 마련된다. 그립결합부(120)에는 사용자가 골프 샤프트(10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양한 재질로 마련된 그립(123)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립결합부(120)는 헤드결합부(110)에 비해 둘레 내지 직경이 크다. 그립결합부(120)의 직경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적어지나, 두께는 일정하다.
헤드결합부(110)는 골프 샤프트(100)의 하단에 마련되어 클럽헤드(20)와 결합된다. 헤드결합부(110)는 그립결합부(120)에 비해 둘레 내지 직경이 작다. 헤드결합부(110)의 직경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적어진다.
중간부(130)는 그립결합부(120)와 헤드결합부(110)를 연결하며, 단(140)을 포함한다.
중간부(130)에는 둘레 내지 외경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복수의 단(140)이 형성되어 있다. 단(140)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세 개의 단(140)에 의해 중간부(130)가 두 개로 나누어진 드라이브용 골프 샤프트(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140)은 그립결합부(120)에서 헤드결합부(110)로 가면서 중간부(130)의 둘레 내지 직경이 급격하게 변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단(140)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단식 내지 둥근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130)는 단(140)에 의해 구획되며, 그립결합부(120)와 접하는 제1단(143)과 제2단(145)에 사이에 배치된 제1중간부(150)와, 제2단(145)과 헤드결합부와 접하는 제3단(140) 사이에 배치된 제2중간부(160)를 포함한다.
중간부(130)에서 적층된 그래파이트 등의 두께는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중간부(150)와 인접된 그립결합부(120)와 , 제1중간부(150)와, 제2중간 부(160)의 멘드릴에 의해 형성된 내경의 비가 1 : 0.88 : 0.78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경의 비의 공차범위는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드라이버용 골프 샤프트(100)에서 그립결합부(120)의 내경 치수(도 2의 "DI1-1"부분)가 13.5mm이고, 제1중간부(150)의 내경 치수(도 2의 "DI1"부분)가 12mm이고, 제2중간부(160)의 내경 치수(도 2의 "DI2"부분)가 10.5mm이다.
제1중간부(150)와 인접된 그립결합부(120)와 , 제1중간부(150)와, 제2중간부(160)의 멘드릴에 의해 형성된 내경의 비가 1 : 0.88 : 0.78 보다 큰 경우에는 단(140)의 내경 차이가 너무 적어 본 고안에 따른 효과를 얻기 어렵다. 또한, 제1중간부(150)와 인접된 그립결합부(120)와 , 제1중간부(150)와, 제2중간부(160)의 멘드릴에 의해 형성된 내경의 비가 1 : 0.88 : 0.78 보다 작은 경우에는 클럽헤드(20)가 결합되는 헤드결합부(110)의 직경이 너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골프 샤프트(100)의 길이를 "1"로 한 경우, 그립결합부(120)와 제1중간부(150)와 제2중간부(160)의 길이의 비는 0.36 : 0.17 : 0.17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길이의 비에 대한 공차범위는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드라이버용 골프 샤프트(100)에서 전체 길이가 1170mm인 경우, 그립결합부(120)의 길이(도 2의 "L0"부분)가 420mm이고, 제1중간부(150)의 길이(도 2의 "L1"부분)가 200mm이고, 제2중간부(160)의 길이(도 2의 "L2"부분)가 2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립결합부(120)의 길이가 중간부(130)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
또한, 그립결합부(120)와 중간부(130)의 두께는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클럽(10)이 드라이버인 경우를 예를 들면, 그립결합부(120)와 중간부(130)의 두 께는 동일하게 0.75mm 내지 1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골프클럽(10)이 아이언인 경우 예를 들면, 그립결합부(120)와 중간부(130)의 두께는 동일하게 1mm 내지 1.2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140)에 의해 구획된 중간부(130)의 기능은 단(140)의 형상과 수량, 적층되는 원소재의 두께, 적층되는 섬유질방향 및 적층되는 겹수 또는 재질, 드라이버, 아이언 등과 같은 골프클럽(1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그 기능이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고 복합적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중간부(150)는 타격 시 안정감을 부여하며, 제2중간부(160)는 골프공의 비거리 향상시키고, 힘을 배가시키는 기능과 타격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140) 및 중간부(130)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골프 샤프트(100)가 중간부(130)에 단(140)이 형성되고 직경이 동일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휘어지는 경우에는 단(140)에서 휘어지는 성질이 강하므로 종래의 직경이 균일하게 작아지는 골프 샤프트(100)에 비해 골프클럽(10)이 부착된 끝단을 기준으로 보면 잘 휘어진다. 또한, 휘어져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 복원력 또한 단(140)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래의 일직선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 종래의 골프 샤프트(100)에 비해 빠르다.
골프클럽(10)으로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해 스윙을 하는 과정에서 클럽헤드(20) 등의 무게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힘의 불균형 내지 충격이 사용자 또는 골프공에 전달된다. 스윙을 하는 과정에서 가속되면서 발생되는 힘의 불균형 내지 충 격도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스윙궤도 상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발생되는 충격 또한 골프클럽(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스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작에서 발생되는 스윙 스피드를 골프 샤프트(100)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속도를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에, 스윙 스피드가 빠른 플레이어는 빠른 대로 느린 플레이어는 느린 대로 사용자의 동작에서 형성된 스윙 스피드를 균질화시켜 안정한 스윙을 사용자가 구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일관된 샷을 구사하며 타구 방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골프클럽(10)을 스윙하는 과정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에 느끼는 타격감(손맛)이 우수하여 안정적이고 유쾌한 샷을 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윙하는 과정에서 각 단(140)에서 휨이 발생하여 골프공과 클럽헤드(20)가 접촉하는 시간이 많아져 골프공의 비거리가 향상될 수 있다. 골프공을 쳐주는 힘(kick)이 단(140)을 지나면서 배가되어 비거리가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간부(130)에 형성된 단(140)은 인체의 관절과 같은 역할을 하여 충격흡수, 스윙스피드 안정화 및 파워를 배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간부(130)에 형성된 단(14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중간부(130)를 골프클럽(10)을 백스윙 위치에서 어드레스 위치로 스윙하면, 일반적으로 직경이 균일하게 줄어드는 골프클럽(10)에 비해, 각 단(140)에서 어드레스 위치로 복원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이에, 플레이어의 스윙 스피드가 향상될 수 있어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골프클럽(10)의 스윙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플레이어가 백스윙의 톱 상태에서 어드레스 위치로 다운스윙하는 스윙궤도의 일부분을 도시한 그림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실선에 표시된골프 샤프트(100)는 일직선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강하므로 점선으로 표시된 종래의 골프 샤프트에 비해 빠른 스윙 스피드를 갖는다.
다음, 도 4와 같이 골프 샤프트(100)가 톱 위치에서 다운 스윙 궤도를 따라 골프클럽(10)이 골프공을 타격하는 어드레스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실선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샤프트(100)는 점선과 같은 종래 기술에 비해 좀 더 오래 골프공을 타격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샤프트(100)는 휘는 정도가 각 단(140)에서 발생되어 종래기술보다 더 휘어지므로 더 오래 동안 클럽헤드(20)가 골프공과 접촉되어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클럽헤드(20)가 골프공을 타격한 뒤에 팔로우 스로(follow throw)하는 스윙궤도의 일부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샤프트(100)는 각 단(140)에서 휘는 정도가 상이하며 헤드결합부(110)에서 휘는 정도가 심하여 전체적으로 종래 기술보다 더 많이 휜다. 즉, 도 5의 실선으로 표시된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샤프트(100)는 종래 기술보다 더 휜다. 이에, 클럽헤드(20)가 골프공을 타격한 뒤에 팔로우 스로하는 스윙 스피드가 빨라져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골프 샤프트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샤프트의 스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골프클럽 20 : 클럽헤드
100 : 골프 샤프트 110 : 헤드결합부
120 : 그립결합부 123 : 그립
130 : 중간부 140 : 단
143 : 제1단 145 : 제2단
147 : 제3단 150 : 제1중간부
160 : 제2중간부

Claims (4)

  1. 맨드릴에 의해 형성되는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에 있어서,
    일단에 마련된 골프공을 타격하는 클럽헤드가 결합되는 헤드결합부와;
    타단에 마련된 플레이어가 파지하는 그립이 결합되는 그립결합부와;
    상기 헤드결합부와 상기 그립결합부 사이에 직경이 다른 단에 의해 구획되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결합부 및 상기 헤드결합부는 상기 클럽헤드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하여 직경이 줄어들며,
    상기 중간부는 상기 그립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드결합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제1중간부와 제2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결합부, 상기 제1중간부 및 상기 제2중간부의 각 직경은 동일하고,
    상기 제1중간부와 접하는 상기 그립결합부와 상기 제1중간부와 제2중간부의 내경의 비가 1 : 0.88 : 0.78 이며, 공차 범위는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결합부, 상기 제1중간부 및 상기 제2중간부의 두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샤프트는 드라이버 골프클럽에 사용되며,
    상기 그립결합부와 상기 제1중간부와 상기 제2중간부의 길이의 비(골프 샤프트의 총 길이를 "1"로 본 경우)는 0.36 : 0.17 : 0.17 이며, 공차 범위는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파이트 골프 샤프트.
KR2020090000646U 2009-01-19 2009-01-19 골프 샤프트 KR200456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646U KR200456816Y1 (ko) 2009-01-19 2009-01-19 골프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646U KR200456816Y1 (ko) 2009-01-19 2009-01-19 골프 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07U KR20100007607U (ko) 2010-07-28
KR200456816Y1 true KR200456816Y1 (ko) 2011-11-21

Family

ID=4445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646U KR200456816Y1 (ko) 2009-01-19 2009-01-19 골프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81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264U (ko) 1974-07-03 1976-01-21
US20070087855A1 (en) 2005-10-14 2007-04-19 Barrera Joseph D Collapsible Golf Club
KR100832689B1 (ko) * 2007-04-05 2008-05-29 (주)델타인더스트리 골프클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264U (ko) 1974-07-03 1976-01-21
US20070087855A1 (en) 2005-10-14 2007-04-19 Barrera Joseph D Collapsible Golf Club
KR100832689B1 (ko) * 2007-04-05 2008-05-29 (주)델타인더스트리 골프클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07U (ko)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5101B2 (ja) ゴルフクラブ用のシャフトセット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クラブセット
US20050049081A1 (en) Golf club head having internal fins for resisting structural deformation and mechanical shockwave migration
US8414417B2 (en) Golf club shaft and golf club therewith
JP5302799B2 (ja)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及びゴルフクラブ
US7972223B2 (en) Golf club
JP4672489B2 (ja) ゴルフクラブ
US9463362B2 (en) Golf club and shaft
JP3053859U (ja) 特大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
JP4713529B2 (ja)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及びゴルフクラブ
JP4283836B2 (ja)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及びゴルフクラブ
JP2007135811A (ja) ゴルフクラブ
KR200456816Y1 (ko) 골프 샤프트
JP6798897B2 (ja) ゴルフクラブ
JP5499630B2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2005230054A (ja) ゴルフクラブ
JP2006334305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KR101169995B1 (ko) 3 관절 그라파이트 골프 클럽 샤프트
KR101437005B1 (ko) 절구통형 골프 샤프트 및 이를 갖는 골프 클럽
JP6098655B2 (ja) ゴルフクラブ
JP4071320B2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2014061107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JP6936142B2 (ja) パタークラブ
JP2007252574A (ja) ゴルフクラブ用シャフト
KR100972146B1 (ko) 이방성 골프 샤프트
JP2001120697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