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927Y1 -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927Y1
KR200455927Y1 KR2020080016343U KR20080016343U KR200455927Y1 KR 200455927 Y1 KR200455927 Y1 KR 200455927Y1 KR 2020080016343 U KR2020080016343 U KR 2020080016343U KR 20080016343 U KR20080016343 U KR 20080016343U KR 200455927 Y1 KR200455927 Y1 KR 200455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ressing
screw rod
plate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163U (ko
Inventor
이경숙
Original Assignee
이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숙 filed Critical 이경숙
Priority to KR2020080016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92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9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 등이 무, 고추, 오이지, 배추, 피클, 과실 등의 절임할 음식물에 충분히 절임될 수 있도록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이 소실되지 않도록 한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임할 음식물을 담는 용기(1)의 뚜껑(2)에 설치되는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있어서, 누름판(20)과; 상기 누름판(20)의 중앙부 다공판(21)을 삽입하여 상기 뚜껑(2)에 결합하여 상기 누름판(20)의 가압 높이를 조절하는 가압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압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뚜껑(2)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하부에 플렌지면(31a)이 수평으로 형성된 나사봉(31)과; 상기 나사봉(31)의 플렌지면(31a) 하부면에 위치하는 누름판(20)의 다공판(21) 중앙에 형성된 홀에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플렌지면(31a)과 나사 결합되는 하부지지부재(32)와; 상기 나사봉(31)의 상단에 형성된 각형부(31b)에 삽입되어 이 나사봉(3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손잡이(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Description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PRESSING DEVICE FOR BEING SALTED FOOD}
본 고안은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 등이 무, 고추, 오이지, 배추, 피클, 과실 등의 절임할 음식물에 충분히 절임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치미를 담그거나 고추를 간장에 절이기 위해서는 보관용기에 동치미 국물 또는 양념된 간장을 넣고 이에 무 또는 고추를 넣은 후 무나 고추가 동치미 국물 또는 간장에 뜨지 않고 충분히 잠기도록 보관용기 내에 무나 고추를 누르도록 무거운 돌을 올려놓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음식물 절임 방법은, 위생적이지 못하였으며, 보관용기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돌을 수집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고, 이를 운반, 보관하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동치미나 고추 절임 또는 그 밖의 기타 음식물을 절일시 생활 용품(예를 들면, 중량의 사기 그릇, 유리 그릇, 컵 등) 중 적절한 것을 사용하여 누름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 등이 무, 고추, 오이지, 배추, 피클, 과실 등의 절임할 음식물에 충분히 절임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는, 절임할 음식물을 담는 용기의 뚜껑에 설치되는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있어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중앙부 다공판을 삽입하여 상기 뚜껑에 결합하여 상기 누름판의 가압 높이를 조절하는 가압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뚜껑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하부에 플렌지면이 수평으로 형성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플렌지면 하부면에 위치하는 누름판의 다공판 중앙에 형성된 홀에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플렌지면과 나사 결합되는 하부지지부재와; 상기 나사봉의 상단에 형성된 각형부에 삽입되어 이 나사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의하면,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을 적은 양으로도 음식물이 절여지게 할 수 있으므로, 재료 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이 소실되지 않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는, 무, 고추, 오이지, 배추, 피클, 과실 등의 절임할 음식물을 담는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뚜껑(2)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는 누름판(20)과, 상기 누름판(20)의 중앙부 다공판(21)을 삽입하여 상기 뚜껑(2)에 결합하여 상기 누름판(20)의 가압 높이를 조절하는 가압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뚜껑(2)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하부의 플렌지면(31a)이 상기 누름판(20)의 중앙부 다공판(21)의 상부면을 누르도록 하는 나사봉(31)과, 상기 나사봉(31)의 플렌지면(31a) 하부면에 위치하는 누름판(20)의 다공판(21) 중앙에 형성된 홀에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플렌지면(31a)과 나사 결합되는 하부지지부재(32)와, 상기 나사봉(31)의 상단에 형성된 각형부(31b)에 삽입되어 이 나사봉(3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손잡이(33)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20)은 중앙의 다공판(21)과, 상기 다공판(21)의 외주면에 하측으로는 오무려지고 상측으로는 상기 다공판(21) 위로 접혀지지 않도록 끼움 결합된 다공을 가진 다수의 날개판(2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다공판(21)의 외주측 상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사각홀(21a)과, 상기 사각홀(21a)에는 상기 다공판(21)의 중심점을 향하는 측에 각각 상향 절곡된 상향돌기(21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날개판(22)은 상기 다공판(21)과 결합되는 측에 상기 다공판(21)의 사각홀(21a)에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사각돌기(22a)와, 상기 사각돌기(22a)의 중앙 각각에는 상기 다공판(21)의 상향돌기(21b)에 끼워지는 돌기홀(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공판(21)과 날개판(22)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21)의 사각홀(21a)에 날개판(22)의 사각돌기(22a)를 삽입한 후, 사각돌기(22a)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홀(22b)에 다공판(21)의 상향돌기(21b)를 삽입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결합하면 날개판(22)은 하측으로 접혀져 상기 용기(1) 내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고, 상측으로는 다공판(21)의 높이 이상으로 접혀지지 않으므로 이 날개판(22)을 펼쳐 용기(1) 내의 음식물을 누르게 된다.
상기 누름판(20)의 다공판(21)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하부지지부재(32)는 상기 나사봉(31)의 플렌지면(31a)과의 사이 간격은 다공판(2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봉(31)을 회전시키더라도 이 누름판(20)은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누름장치의 조립 과정 및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용기(1)로부터 분리된 뚜껑(2)에 하측으로부터 나사봉(31)을 각형부(31b)가 상측에 오도록 하여 삽입(나사결합)하고, 상기 나사봉(31)의 플렌지면(31a)의 하면에 누름판(20)의 다공판(21)의 홀에 하부지지부재(32)의 나사돌기를 끼워 나사봉(31)에 나사 결합하여 누름판(20)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 즉 나사봉(31)의 상단 각형부(31b)가 뚜껑(2)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각형부(31b)에 회전손잡이(33)를 강제 압입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강제로 압입하여 고정하여도 되고 탈착 가능하게 끼워도 된다.
이 상태에서 뚜껑(2)을 음식물이 들어있는 용기(1)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손잡이(33)를 돌리면, 나사봉(31)이 회전하면서 누름판(20)을 하강하여 음식물을 가압(절임)하게 된다.
상기 누름판(20)은 용기(1)의 형상에 따라 다공판(21)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면 원형의 용기(1)에 사용할 수 있고, 용기의 형상이 사각형상이면 다공판(21)의 형상을 사각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내의 음식물의 양에 따라 나사봉(31)과 누름판(20)의 높이를 나사 결합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용기 내의 음식물을 절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음식물을 절임함으로써 음식물의 절임시 재료, 즉 간장, 식초 및 기타 양념을 적은 양으로도 음식물이 절여지게 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이 소실되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용기 2 : 뚜껑
20 : 누름판 21 : 다공판
21a : 사각홀 21b : 상향돌기
21c : 원형 플렌지 22 : 날개판
22a : 사각돌기 22b : 돌기홀
31 : 나사봉 31a : 플렌지면
31b : 각형부 32 : 하부지지부재
33 : 회전손잡이

Claims (2)

  1. 절임할 음식물을 담는 용기(1)의 뚜껑(2)에 설치되는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에 있어서,
    누름판(20)과;
    상기 뚜껑(2)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하부의 플렌지면(31a)이 상기 누름판(20)의 중앙부 다공판(21)의 상부면을 누르도록 하는 나사봉(31)과;
    상기 나사봉(31)의 플렌지면(31a) 하부면에 위치하는 누름판(20)의 다공판(21) 중앙에 형성된 홀에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플렌지면(31a)과 나사 결합되는 하부지지부재(32)와;
    상기 나사봉(31)의 상단에 형성된 각형부(31b)에 삽입되어 이 나사봉(3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손잡이(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2. 삭제
KR2020080016343U 2008-12-09 2008-12-09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KR200455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43U KR200455927Y1 (ko) 2008-12-09 2008-12-09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43U KR200455927Y1 (ko) 2008-12-09 2008-12-09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63U KR20100006163U (ko) 2010-06-17
KR200455927Y1 true KR200455927Y1 (ko) 2011-10-04

Family

ID=4445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343U KR200455927Y1 (ko) 2008-12-09 2008-12-09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076B1 (ko) 2013-06-18 2014-05-28 이은재 저장식품 발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305B1 (ko) * 2012-09-26 2013-10-02 오성준 채소 담금 용기
CN103922026A (zh) * 2014-01-02 2014-07-16 李新波 一种内置保鲜装置的塑料瓶及其应用
KR102121546B1 (ko) * 2018-07-16 2020-06-10 유용길 절임식품 누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62Y1 (ko) * 2001-08-29 2001-12-01 정인근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62Y1 (ko) * 2001-08-29 2001-12-01 정인근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076B1 (ko) 2013-06-18 2014-05-28 이은재 저장식품 발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63U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927Y1 (ko)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CN204378880U (zh) 一种火锅特制锅
CN105077085A (zh) 一种麻辣红薯条的加工工艺
KR200455926Y1 (ko)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EP2504627B1 (en) Food preparation apparatus
US20060162250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fried plantains for filling or topping
CN201683572U (zh) 可沥油汁的食物盛器
KR100530194B1 (ko)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CN201480852U (zh) 一种新型餐盘
CN205169319U (zh) 一种调味品包装
KR200310061Y1 (ko)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CN201938941U (zh) 一种烧烤餐具
US20170251859A1 (en) Two-tier cooking and basting apparatus
CN103393050A (zh) 一种咸菜的制作方法
KR19980055709U (ko) 구이판넬 구조체
KR101171067B1 (ko) 생선조림 솥
CN210226800U (zh) 一种熟食食品加工用烘干装置
KR20180001757U (ko) 양면형 도마
KR100966143B1 (ko) 수분유지 및 보온기능을 갖는 음식받침대
CN201021382Y (zh) 包装盒
KR200446038Y1 (ko) 주방용 도마
CN208404191U (zh) 一种多功能锅
CN107550246B (zh) 一种多功能炒菜锅
CN206603657U (zh) 一种早餐机
CN106035710B (zh) 一种豆腐腌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