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262Y1 -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262Y1
KR200255262Y1 KR2020010026226U KR20010026226U KR200255262Y1 KR 200255262 Y1 KR200255262 Y1 KR 200255262Y1 KR 2020010026226 U KR2020010026226 U KR 2020010026226U KR 20010026226 U KR20010026226 U KR 20010026226U KR 200255262 Y1 KR200255262 Y1 KR 200255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food
ratchet gear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근
Original Assignee
정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근 filed Critical 정인근
Priority to KR2020010026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262Y1/ko

Link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숙성식품의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에 담긴 김치류나 장류(간장, 고추장, 된장 등), 젓갈류 등과 같은 숙성식품의 내용물을 가압판으로 균등하게 압착하여 국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보관함으로써 외부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변질을 막는 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숙성식품(35)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숙성식품(35)을 저장하도록 설치되어 그 내주면에 래칫기어홈(2)이 서로 지름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용기본체(1)와; 작동구(10-1)를 통해 탄성 돌출된 걸고리뭉치(17)를 상기 래칫기어홈(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시키어 상기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가압하되, 작동손잡이(13)를 잡아당기어 상하작동링크(14)와 회전작동링크(15)를 회동시키면 작동선(16)에 의해 상기 걸고리뭉치(17)가 상기 래칫기어홈(2)과 분리되어 상기 용기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압판(10)과; 상기 용기본체(1)의 상부에 장착되어 밀폐하는 뚜껑(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숙성식품(35)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숙성식품(35)을 저장하도록 설치되어 그 내주면에 한쌍의 안내홈(3)과래칫기어홈(2-1)이 서로 지름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용기본체(1-1)와; 작동구(10-1)를 통해 탄성 돌출된 걸고리뭉치(17)를 상기 래칫기어홈(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시키어 상기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가압하되, 고정손잡이(11)를 잡고서 회전시키면 상기 걸고리뭉치(17)가 상기 래칫기어홈(2-1)과 분리되면서 안내홈(3)에 자연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압판(10)과;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부에 장착되어 밀폐하는 뚜껑(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숙성식품의 보관용기{CONTAINER FOR STORAGING THE RIPENING FOOD}
본 고안은 숙성식품의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류나장류(간장, 고추장, 된장 등), 젓갈류 등과 같은 숙성식품의 내용물이 국물에 잠기도록 보관함으로써 외부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변질을 막는 숙성식품의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류나 장류(간장, 고추장, 된장 등), 젓갈류 등과 같은 숙성식품은 공기와 접촉할 경우 화학적 반응에 의해 변질되어 신선한 맛을 느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전에는 숙성식품을 용기에 담아 보관시 돌 등을 집어 넣어 숙성식품의 내용물이 국물에 잠기도록 누르게 되고, 국물속에 잠기는 숙성식품의 내용물은 외부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그 신선한 맛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전방법은 숙성식품의 내용물을 꺼낼 때마다 돌 등을 들어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고, 여름에는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종전방법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보관용기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31)에 숙성식품(35)을 담은 후, 가압판(30)을 숙성식품 위에 덮은 다음 뚜껑(32)을 닫게 되면 가압바(33)가 탄성적으로 가압판을 누르게 된다.
이때, 가압판(30)이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누르면 국물이 통공(34)을 통해 넘치면서 가압판(30)의 상부를 덮게 되고, 이에 따라 숙성식품의 내용물이 국물에 의해 외부공기와 차단이 이루어져 신선감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보관용기는 가압바(33)에 의해 가압판(30)이 편심되게 눌러지게 되어 가압판이 한쪽으로 기우러진 상태로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누르게 되고, 이로인해 가압판에 의해 충분히 눌러지지 않은 숙성식품의 일부 내용물이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쉽게 신선감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압바(33)에 회전탄성을 제공하는 비틀림스프링(36)은 장기간 사용시 그 탄성력이 이완되고, 이로 인해 가압바가 가압판(30)을 충분한 압력으로 눌러주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보관용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본체에 담긴 김치류나 장류(간장, 고추장, 된장 등), 젓갈류 등과 같은 숙성식품의 내용물을 가압판으로 균등하게 압착하여 국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보관함으로써 외부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변질을 막는 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숙성식품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숙성식품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숙성식품의 보관용기중 가압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6 및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숙성식품의 보관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용기본체 2,2-1: 래칫기어홈 3: 안내홈 10: 가압판 10-1: 작동구 11: 고정손잡이 12: 압축스프링 13: 작동손잡이 14: 상하작동링크 15: 회전작동링크 16: 작동선 17: 걸고리뭉치 18: 비틀림스프링 19: 중심축 20,21: 통공 25: 뚜껑 30: 가압판 31: 용기본체 32: 뚜껑 33: 가압바 34: 통공 35: 숙성식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숙성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숙성식품을 저장하도록 설치되어 그 내주면에 래칫기어홈이 서로 지름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작동구를 통해 탄성 돌출된 걸고리뭉치를 상기 래칫기어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시키어 상기 숙성식품의 내용물을 가압하되, 작동손잡이를 잡아당기어 상하작동링크와 회전작동링크를 회동시키면 작동선에 의해 상기 걸고리뭉치가 상기 래칫기어홈과 분리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숙성식품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숙성식품을 저장하도록 설치되어 그 내주면에 한쌍의 안내홈과 래칫기어홈이 서로 지름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작동구를 통해 탄성 돌출된 걸고리뭉치를 상기 래칫기어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시키어 상기 숙성식품의 내용물을 가압하되, 고정손잡이를 잡고서 회전시키면 상기 걸고리뭉치가 상기 래칫기어홈과 분리되면서 안내홈에 자연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숙성식품의 보관용기중 가압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숙성식품의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6 및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숙성식품의 보관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용기본체(1)와 가압판(10) 그리고 뚜껑(20)은 합성수지재 또는 스텐레스재로 제조되어 숙성식품(35)에 의한 부식 즉, 녹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숙성식품(35)이 담겨 보관되는 용기본체(1)는 그 내주면에 축길이방향의 래칫기어홈(2)이 서로 지름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래칫기어홈(2)은 가압판(10)의 작동구(10-1)로 돌출되는 걸고리뭉치(17)의 상방향이동을 제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에 담겨진 숙성식품(35)을 압착하는 가압판(10)은 작동손잡이(13)와 상하작동링크(14)가 압축스프링(12)에 의해 항상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고리뭉치(17)가 비틀림스프링(18)에 의해 회전되어 작동구(10-1)를 통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고리뭉치(17)를 래칫기어홈(2)에 삽입된 상태로 가압판(10)을 용기본체(1)의 내주면에 밀어 넣으면 걸고리뭉치가 래칫기어홈(2)에 물린 상태로 하강하게 되어 가압판은 하강중에도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가압판(10)은 걸고리뭉치(17)의 상향이동이 래칫기어홈(2)에 의해 제동되어 있어 충분한 압력으로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압판(10)에 의해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이 가압됨에 따라 발생되는 국물은 가압판의 상하부측에 마련된 다수의 통공(21,20)을 통해 배출되어 가압판의 상부를 덮게 된다.
그리고,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꺼내고자할 경우, 먼저 가압판(10)을 용기본체(1)로부터 꺼내야 하는데, 이때 고정손잡이(11)를 잡고서 작동손잡이(13)를 잡아 당기면 상하작동링크(14)가 상승되면서 회전작동링크(15)가 중심축(19)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한쌍의 회전작동링크(15)가 회동되면서 작동선(16)을 내측으로 잡아당기면 걸고리뭉치(17)를 비틀림스프링(18)의 탄성력을 이기고 회전되면서 래칫기어(2)와 분리된다.
이처럼, 작동손잡이(13)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가압판(10)을 들어 올리어 용기본체(1)로부터 분리한 후, 용기본체에 담긴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꺼내게 된다.
특히, 가압판(10)에 있어 작동선(16)은 낚시줄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게 되고, 스프링(12,18)이나 중심축(19), 작동링크(14,15)는 합성수지재 또는 스텐레스재로 만들어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뚜껑(25)은 용기본체(1)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용기본체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본체(1-1)에는 그 내주면에 축길이방향의 안내홈(3)과 래칫기어홈(2-1)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가압판(10)의 회전시 걸고리뭉치(17)가 래칫기어홈(2-1)에서 안내홈(3)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안내홈(3)은 삽입된 걸고리뭉치(17)의 자유로운 상하이동을 안내하게 되고, 래칫기어홈(2-1)은 래칫기어(2)와 마찬가지로 걸고리뭉치(17)의 상방향이동을 제동하게 된다.
여기서, 용기본체(1-1)내에 담긴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가압하기 위하여 가압판(10)을 하강시킬 때에는 걸고리뭉치(17)를 각각 래칫기어홈(2-1)에 물린 상태로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꺼내고자할 경우, 먼저 고정손잡이(11)를 잡고서 가압판(10)을 돌리게 되면 걸고리뭉치(17)가 각각 래칫기어홈(2-1)으로부터 빠져나와 안내홈(3)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고정손잡이(11)를 잡고서 그대로 가압판(10)을 들어 올리면 자연 스럽게 걸고리뭉치(17)가 안내홈(3)을 따라 안내되면서 가압판을 용기본체(1)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에 담긴 김치류나 장류(간장, 고추장, 된장 등), 젓갈류 등과 같은 숙성식품의 내용물을 가압판으로 균등하게 압착하여 국물에 충분히 잠기도록 보관하고, 이로써 숙성식품의 내용물이 외부공기에 의한 변질을 막아 그 신선감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숙성식품(35)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숙성식품(35)을 저장하도록 설치되어 그 내주면에 래칫기어홈(2)이 서로 지름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용기본체(1)와;
    작동구(10-1)를 통해 탄성 돌출된 걸고리뭉치(17)를 상기 래칫기어홈(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시키어 상기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가압하되, 작동손잡이(13)를 잡아당기어 상하작동링크(14)와 회전작동링크(15)를 회동시키면 작동선(16)에 의해 상기 걸고리뭉치(17)가 상기 래칫기어홈(2)과 분리되어 상기 용기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압판(10)과;
    상기 용기본체(1)의 상부에 장착되어 밀폐하는 뚜껑(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2. 숙성식품(35)을 보관하는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숙성식품(35)을 저장하도록 설치되어 그 내주면에 한쌍의 안내홈(3)과래칫기어홈(2-1)이 서로 지름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용기본체(1-1)와;
    작동구(10-1)를 통해 탄성 돌출된 걸고리뭉치(17)를 상기 래칫기어홈(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시키어 상기 숙성식품(35)의 내용물을 가압하되, 고정손잡이(11)를 잡고서 회전시키면 상기 걸고리뭉치(17)가 상기 래칫기어홈(2-1)과 분리되면서 안내홈(3)에 자연 삽입되어 상기 용기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압판(10)과;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부에 장착되어 밀폐하는 뚜껑(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KR2020010026226U 2001-08-29 2001-08-29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KR200255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26U KR200255262Y1 (ko) 2001-08-29 2001-08-29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26U KR200255262Y1 (ko) 2001-08-29 2001-08-29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262Y1 true KR200255262Y1 (ko) 2001-12-01

Family

ID=7310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26U KR200255262Y1 (ko) 2001-08-29 2001-08-29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262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5083A1 (en) * 2004-03-04 2005-09-15 Kwang-Ok Min Pusher for food preserve
KR100715622B1 (ko) 2005-10-20 2007-05-09 양영근 오이절임 용기
KR100991042B1 (ko) 2010-07-15 2010-10-29 명문갑 어류 액젓의 제조방법
KR200455927Y1 (ko) * 2008-12-09 2011-10-04 이경숙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KR200455926Y1 (ko) 2008-12-09 2011-10-04 이경숙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KR101174512B1 (ko) * 2005-05-13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김치용기 구조
KR200465164Y1 (ko) * 2012-10-17 2013-02-05 김진란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200473977Y1 (ko) * 2012-07-24 2014-08-25 김영래 동치미 보관함 및 동치미 보관함 수납 및 인출 구조를 가진 냉장고
DE102017100766A1 (de) * 2016-12-22 2018-06-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ransportanordnung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5083A1 (en) * 2004-03-04 2005-09-15 Kwang-Ok Min Pusher for food preserve
KR101174512B1 (ko) * 2005-05-13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김치용기 구조
KR100715622B1 (ko) 2005-10-20 2007-05-09 양영근 오이절임 용기
KR200455927Y1 (ko) * 2008-12-09 2011-10-04 이경숙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KR200455926Y1 (ko) 2008-12-09 2011-10-04 이경숙 음식물 절임용 누름장치
KR100991042B1 (ko) 2010-07-15 2010-10-29 명문갑 어류 액젓의 제조방법
KR200473977Y1 (ko) * 2012-07-24 2014-08-25 김영래 동치미 보관함 및 동치미 보관함 수납 및 인출 구조를 가진 냉장고
KR200465164Y1 (ko) * 2012-10-17 2013-02-05 김진란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DE102017100766A1 (de) * 2016-12-22 2018-06-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ransportanordnung
DE102017100766B4 (de) 2016-12-22 2022-11-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ransportanordnung für Teile mit einem Transportkasten in Form eines Waschkaste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5262Y1 (ko) 숙성식품의 보관용기
US20070227369A1 (en) Food Tumbler
KR100402039B1 (ko) 농산물용 통기 용기
KR101161732B1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US10448775B2 (en) Juice extractor
WO2010041967A1 (en) Portable vacuumable juicer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101389954B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1494753B1 (ko) 다용도용 발효식품저장용기
KR20140062922A (ko) 가정용 발효식품저장용기
KR20070102195A (ko) 김치통용 누름판
CA2441133A1 (en) Reusable vacuum lid
KR19990011658U (ko) 후드형 믹서기
KR200473793Y1 (ko) 원터치형 누름수단과 진공수단을 갖는 김치통
CN219635911U (zh) 一种盛放宠物食品的灌装铝箔盒
JP3177636U (ja) 浅漬け容器
JP3357780B2 (ja) 米の保存方法及び米保存用容器
JP3177635U (ja) 塩麹漬け容器
KR101314305B1 (ko) 채소 담금 용기
CN210408169U (zh) 一种食品料理机
KR200161301Y1 (ko) 진공용기의 뚜껑구조
CN214139714U (zh) 一种覆水层叠保鲜盒
CN217906195U (zh) 一种小型蓝莓果酒酿造的清洗装置
CN201158510Y (zh) 真空保鲜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