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57U - 양면형 도마 - Google Patents

양면형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57U
KR20180001757U KR2020160007055U KR20160007055U KR20180001757U KR 20180001757 U KR20180001757 U KR 20180001757U KR 2020160007055 U KR2020160007055 U KR 2020160007055U KR 20160007055 U KR20160007055 U KR 20160007055U KR 20180001757 U KR20180001757 U KR 201800017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aterial
edge
soup
board
cutt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773Y1 (ko
Inventor
박장열
Original Assignee
박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열 filed Critical 박장열
Priority to KR2020160007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7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면형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식자재에서 흐르는 국물을 수용하기 위해 가장자리측 테두리부로부터 깊이를 갖는 제1함몰부와, 직사각형상으로,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각 둘레부는 이격되고, 상면은 테두리부의 높이를 벗어나지 않는 높이로 상기 제1함몰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돌출되어 상호 평행하는 장변은 높낮이의 경사각을 이루어 식재료를 받쳐 썰기 위한 제1받침부와, 상기 제1함몰부의 네 모퉁이 중 어느 하나의 모퉁이측 바닥면으로부터 테두리부가 위치한 상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국물을 모퉁이 한곳으로 유도하여 국물을 따라내기 위한 슬로프부를 갖는 제1면부; 상기 제1함몰부의 형성에 의해 이면에 평평하게 형성되어 식재료를 받쳐 썰기 위한 제2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의 형성에 의해 이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제2받침부로부터 썰어진 식재료를 담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제2함몰부를 갖는 제2면부; 상기 제1면부 및 제2면부의 가장자리 모퉁이 측에 결합되어 도마가 놓이는 바닥면으로부터 제1면부 및 제2면부를 이격시키고, 바닥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받침구;로 이루어진 것으로, 식재료에 따른 양면 사용이 가능하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용 면의 오염을 방지하며, 식재료로부터 나오는 국물처리가 용이하고, 썰은 식재료를 구분하여 나누어 임시보관이 용이하여 음식 조리시 식재료를 조리순대로 조리용기에 나누어 집어 넣기에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면형 도마{Double-sided cutting board}
본 고안은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을 만들기 위한 각종 채소, 육류 등을 썰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도마를 개선하여 도마의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도마를 안착시키는 바닥면에 대해 도마의 주 사용부위가 닿지 않게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하고, 썰은 식재료를 구분하여 조리용기에 넣기 이전 도마에 임시로 구분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김치, 생선 등과 같은 국물이 있는 식재료를 다듬는 경우, 도마 외부로 국물이 흘러 주변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양면형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마는 칼로 음식의 재료를 썰거나 다질 때에 칼날을 받치는 판으로서, 두꺼운 나무토막이나 널조각, 성형이 쉬운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통상 판 상으로 제작되는 도마는 캠핑 등과 같은 소형 도마부터, 가정용, 나아가 업소용에 맞는 크기로 주문제작 및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량생산으로 성형이 쉽고 가격이 저렴한 사출성형공법으로 제조된 도마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 사용하고 있던 도마의 교체는 칼날이 많이 닿음으로써 닳게 된 흠집 정도에 따라 도마를 교체하게 된다.
수회에 걸친 칼날의 흠집은 대부분 도마에 있어서, 중앙을 기점으로 오목하게 파이는 형태로 닳게 되기 때문에 도마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는 한정된 크기의 도마에서 식재료를 썰고, 썰린 식재료를 가장자리 측으로 밀어 놓는 데에서 상기와 같은 칼날의 흠집은 대체로 도마의 중앙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썰은 식재료를 가장자리 측으로 밀어놓고 또 다른 식재료를 써는 작업에서 도마 외측으로는 식재료가 떨어지는 사례가 있어, 사용자는 떨어진 식재료를 다시 물에 씻어 조리에 이용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도마와 관련된 선행기술 문헌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671호(명칭: 기능성 도마, 등록일자: 2015년 1월 12일, 이하 이를 '종래기술'이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요리시 식자재를 썰을 때 사용되는 도마에 있어서, 김치나 파의 식재료를 올려놓고 썰을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도마평판부와, 상기 도마평판부의 외측으로 구비되면서 이로부터 흘러내리는 국물이나 가공된 식자재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두리턱과, 상기 도마평판부의 모서리부와 상기 테두리턱 사이에 형성되면서 식자재의 국물이 흘러내려 한쪽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상부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요홈과 상기 상부요홈의 일측에 연이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우측요홈, 및 상기 상부요홈의 측면에는 상부요홈 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되어 식자재의 국물이 모아질 수 있도록 하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요홈에는 식자재를 썰어서 종류별로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칸막이돌기가 더 구비되는 기능성 도마이다.
또한, 도마평판부의 이면에는 후면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요홈에는 식자재를 썰을 수 있는 보조도마가 삽입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도마평판부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는 상기 돌기걸이홈을 끼워 상기 보조도마를 상기 도마평판부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측으로 형성된 상기 도마평판부의 일측 모서리부는 식자재의 국물이 상기 오목부측으로 흘러 내려갈수 있도록 경사부가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도마는 식재료를 썰기 위한 도마평판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는 식재료를 도마평판부에 올려놓고 써는 작업시 식재료나 칼에 간섭을 받는 방해요소가 된다.
즉, 도마의 평면을 기준으로 주로 사용하는 용도에서 상기와 같이 국물을 모아 처리할 수 있는 오목부 외에 도마의 활용도가 떨어진다.
또한, 도마의 주요 사용부분이 되는 도마평판부의 사용만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떨어지고, 도마평판부의 반대쪽이 되는 후면요홈에 보조도마를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점은, 도마 세척시 보조도마를 탈거 하거나 보조도마 또한 세척 후에 모두 완전히 건조 후 보조도마를 장착해 두어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번거로움이 뒤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도마의 양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도마를 안착시키는 바닥면에 대해 도마의 주 사용부위가 닿지 않게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하고, 썰은 식재료를 구분하여 조리용기에 넣기 이전 도마에 임시로 구분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김치, 생선 등과 같은 국물이 있는 식재료를 다듬는 경우, 도마 외부로 국물이 흘러 주변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양면형 도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양면형 도마는,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식자재에서 흐르는 국물을 수용하기 위해 가장자리측 테두리부로부터 깊이를 갖는 제1함몰부와, 직사각형상으로,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각 둘레부는 이격되고, 상면은 테두리부의 높이를 벗어나지 않는 높이로 상기 제1함몰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돌출되어 상호 평행하는 장변은 높낮이의 경사각을 이루어 식재료를 받쳐 썰기 위한 제1받침부와, 상기 제1함몰부의 네 모퉁이 중 어느 하나의 모퉁이측 바닥면으로부터 테두리부가 위치한 상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국물을 모퉁이 한곳으로 유도하여 국물을 따라내기 위한 슬로프부를 갖는 제1면부; 상기 제1함몰부의 형성에 의해 이면에 평평하게 형성되어 식재료를 받쳐 썰기 위한 제2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의 형성에 의해 이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제2받침부로부터 썰어진 식재료를 담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제2함몰부를 갖는 제2면부; 상기 제1면부 및 제2면부의 가장자리 모퉁이 측에 결합되어 도마가 놓이는 바닥면으로부터 제1면부 및 제2면부를 이격시키고, 바닥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식재료를 올려놓기 위한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는 식재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면(粗面)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받침부의 경사각은 테두리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3~5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2함몰부에는 썰은 식재료를 구분하여 나누어 담기 위한 격벽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양면 도마는, 식재료에 따른 양면 사용이 가능하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용 면의 오염을 방지하며, 식재료로부터 나오는 국물처리가 용이하고, 썰은 식재료를 구분하여 나누어 임시보관이 용이하여 음식 조리시 식재료를 조리순대로 조리용기에 나누어 집어 넣기에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양면 도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도마를 뒤집어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도마에 받침구가 적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도마의 제1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도마의 제1면부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도마에 담긴 국물을 따라내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도마의 제2면부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도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형의 도마(1)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식자재에서 흐르는 국물을 수용하기 위해 가장자리측 테두리부(11)로부터 깊이를 갖는 제1함몰부(12)와, 직사각형상으로, 상기 테두리부(11)로부터 각 둘레부는 이격되고, 상면은 테두리부(11)의 높이를 벗어나지 않는 높이로 상기 제1함몰부(12)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돌출되어 상호 평행하는 장변은 높낮이의 경사각을 이루어 식재료를 받쳐 썰기 위한 제1받침부(14)와, 상기 제1함몰부(12)의 네 모퉁이 중 어느 하나의 모퉁이측 바닥면으로부터 테두리부(11)가 위치한 상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국물을 모퉁이 한곳으로 유도하여 국물을 따라내기 위한 슬로프부(16)를 갖는 제1면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면부(10)의 반대측은 도마(1)의 제2면부(20)를 형성환 것으로, 이는 상기 제1함몰부(12)의 형성에 의해 이면에 평평하게 형성되어 식재료를 받쳐 썰기 위한 제2받침부(21)와, 상기 제1받침부(14)의 형성에 의해 이면에는 제2함몰부(22)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제2받침부(21)로부터 썰어진 식재료를 담아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면부(10) 및 제2면부(20)의 가장자리 모퉁이 측에는 도마(1)가 놓이는 바닥면(G)으로부터 제1면부(10) 및 제2면부(20)를 이격시키고, 바닥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받침구(30);가 결합된다.
상기 받침구(30)는 마찰력이 강한 우레탄 계열의 연질 합성수지소재로서 성형되며, 바닥에 접촉되는 둥근 머리부 및 둥근 머리부로부터 결합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식재료를 올려놓기 위한 제1받침부(14) 및 제2받침부(21)에는 식재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면(粗面: 14a, 2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받침부(14)의 상면 경사각은 테두리부(11)의 상면을 기준으로 3~5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진 방향은 테두리부(11)로부터 인접하는 제1받침부(14)의 장변에서 제1함몰부(12) 중 넓게 형성된 제1함몰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물기가 많은 김치를 자르거나, 생선류의 손질시 국물이 자연스럽게 흘러 내려가 제1함몰부(12)의 넓은 공간에 모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함몰부(22)에는 썰은 식재료를 구분하여 나누어 담기 위한 격벽(22a)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격벽(22a)의 형성은 식재료를 조리 순으로 조리용기에 나누어 넣기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여러 가지의 식재료를 손질하여 썰어 놓았을 때 다른 용기에 옮겨 담지 않고도 임시로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a는 도마의 테두리부 변에 형성되어 벽걸이용 걸이공을 나타내고, 부호 1b는 상기 도마의 제1면부 및 제2면부에 결합되어 바닥면과 이격되게 하는 받침구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양면 도마의 사용에 따른 편의점을 기술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도마(1)의 사용은 주방 싱크대 위에 세워 보관하거나, 주변의 벽에 걸이공(1a)을 걸어 놓고 사용하게 된다.
대체로 평평한 바닥의 싱크대 위에 걸쳐 사용하거나 식탁 등에 올려 사용하게 되며, 식재료에 따라 도마(1)의 제1면부(10) 및 제2면부(20)를 선택적으로 위로 향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마(1)의 제1면부(10) 사용은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제1받침부(4)의 상면에 김치, 파, 양파, 감자 등의 식재료를 올려놓고 칼을 이용하여 썰어준다.
여기서 상기 제1받침부(14)는 사용자에게 가까운 위치에 오도록 한 상태에서 칼을 이용한 식재료를 썰어 조리에 필요로 하는 크기로 썰어준다.
상기 제1받침부의 상면에 접촉되는 칼날부분은 통상 수평으로 위치되어 식재료를 자를 때에 비해 손목에 무리를 덜 주면서 쉽게 식재료를 썰 수 있게 된다.
이는 제1받침부의 상면에 접하는 칼날의 각도는 자르는 각도가 칼날 앞 부분이 전방을 향하면서 내려 자르기 때문에 자연스런 칼질을 유도하여 식재료의 절단작업이 수월해진다.
참고로, 통상적인 평판형의 도마의 사용에 있어, 칼날을 수평으로 내리면서 칼을 밀거나 당기는 형태의 칼질은, 뼈가 있는 생선, 육류 등과 같이 썰거나 단단한 무우, 당근 등을 썰 때에는 칼을 잡은 파, 양파, 등과 같이 무른 채소를 썰 때 보다 많은 힘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진 제1받침부(14)는 재료가 받쳐진 상태에서 칼날이 썰어 절단시키는 힘을 수평으로 내려 썰때 보다 적게 들게 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재료의 절단은 대부분 왼손은 식재료를 잡고 오른손으로 칼을 쥐고 작업하게 되며, 제1받침부(14)의 상면은 조면(粗面: 14a)이 형성되어 쉽게 식재료가 제1받침부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식재료를 절단할 때 안정된 칼질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절단한 식재료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받침부의 후방에 위치한 제1함몰부(12)로 몰아넣고 또 다른 식재료를 손질할 수 있다.
상기 도마(1)는 바닥면에 대해 제2면부(20)측 모퉁이에 결합된 받침구(30)로 인해 도마가 받쳐지는 바닥면과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제2면부(20)의 주요부분이 되는 제2받침부(21)가 바닥에 직접 닿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국물이 있는 김치류, 생선류, 육류 등을 써는 과정에서 흘러나오는 국물은 제1받침부(14)의 상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3~5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국물은 자연스럽게 제1함몰부(12)의 넓은 공간으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도마(1) 주변을 국물 흐름 없이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제1함몰부(12) 내에 모이는 국물은 도 6에서와 같이, 식재료 절단작업과 식재료를 조리용기 등에 옮기고 난 이후 도마(1)를 들어 모퉁이측으로 기울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함몰부(12)의 모퉁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슬로프부(16)로 국물을 한곳으로 모아 조리용기 혹은 국물처리가 용이한 싱크대측으로 국물을 따라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마(1)의 제2면부(20) 사용은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마(1)를 뒤집어 사용한다.
이는 고추, 마늘, 파 등의 채소 등 잘게 절단하여 조리할 수 있는 식재료를 제2받침부(21)에 올려 칼로 다듬기에 용이하고, 절단한 식재료들은 제2함몰부(22) 내에 격벽(22a)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임시 보관할 수 있다.
이는 식재료를 조리하는 순서에 맞게 보관하여 조리시 각각 담긴 식재료를 구분하여 조리용기에 집어넣기에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제2면부(20)의 사용시에는 제1면부(10)측 모퉁이에 결합된 받침구(30)로 인해 제1면부(10)의 주요부분이 되는 제1받침부(14)가 바닥에 닿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면부(20)의 제2받침부(21) 또한 그 상면에 형성된 조면(粗面: 21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식재료를 칼로 절단하는데 있어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정된 칼질을 유도할 수 있은 동일하다.
상기 제2받침부(21)는 제1받침부(14)와 달리 도마(1)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도 간단하게 썰수 있는 식재료를 올려 다듬거나 썰기에 용이하다. 이러한 식재료에 따라 도마(1)의 제1면부(10), 제2면부(20)의 선택사용은 이용자에게 편의와 도마 양측 활용도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도마 10: 제1면부
11: 테두리부 12: 제1함몰부
14: 제1받침부 16: 슬로프부
20: 제2면부 21: 제2받침부
22: 제2함몰부 22a: 격벽
30: 받침구

Claims (4)

  1. 양면형 도마에 있어서,
    상기 도마는,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식자재에서 흐르는 국물을 수용하기 위해 가장자리측 테두리부로부터 깊이를 갖는 제1함몰부와, 직사각형상으로,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각 둘레부는 이격되고, 상면은 테두리부의 높이를 벗어나지 않는 높이로 상기 제1함몰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고, 돌출되어 상호 평행하는 장변은 높낮이의 경사각을 이루어 식재료를 받쳐 썰기 위한 제1받침부와, 상기 제1함몰부의 네 모퉁이 중 어느 하나의 모퉁이측 바닥면으로부터 테두리부가 위치한 상면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국물을 모퉁이 한곳으로 유도하여 국물을 따라내기 위한 슬로프부를 갖는 제1면부;
    상기 제1함몰부의 형성에 의해 이면에 평평하게 형성되어 식재료를 받쳐 썰기 위한 제2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의 형성에 의해 이면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제2받침부로부터 썰어진 식재료를 담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제2함몰부를 갖는 제2면부;
    상기 제1면부 및 제2면부의 가장자리 모퉁이 측에 결합되어 도마가 놓이는 바닥면으로부터 제1면부 및 제2면부를 이격시키고, 바닥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받침구;를 포함하는 양면형 도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를 올려놓기 위한 제1받침부 및 제2받침부에는 식재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면(粗面)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도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부의 경사각은 테두리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3~5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도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함몰부에는 썰은 식재료를 구분하여 나누어 담기 위한 격벽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도마.
KR2020160007055U 2016-12-05 2016-12-05 양면형 도마 KR200489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55U KR200489773Y1 (ko) 2016-12-05 2016-12-05 양면형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55U KR200489773Y1 (ko) 2016-12-05 2016-12-05 양면형 도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57U true KR20180001757U (ko) 2018-06-14
KR200489773Y1 KR200489773Y1 (ko) 2019-08-05

Family

ID=6259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055U KR200489773Y1 (ko) 2016-12-05 2016-12-05 양면형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817A (ko) 2018-11-15 2020-05-25 신계자 양면 도마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양면 도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022A (ja) * 1995-11-01 1997-05-13 Fumiko Miyajima まな板
KR20090083256A (ko) * 2008-01-29 2009-08-03 (주)실빅스 측면 경사구조를 갖는 다기능성 항균성 양면도마
KR20130085724A (ko) * 2012-01-20 2013-07-30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탈부착이 자유로운 내열성 엘라스토머 커버를 가지는 도마
KR101483671B1 (ko) * 2013-11-07 2015-01-16 이정미 기능성 도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022A (ja) * 1995-11-01 1997-05-13 Fumiko Miyajima まな板
KR20090083256A (ko) * 2008-01-29 2009-08-03 (주)실빅스 측면 경사구조를 갖는 다기능성 항균성 양면도마
KR20130085724A (ko) * 2012-01-20 2013-07-30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탈부착이 자유로운 내열성 엘라스토머 커버를 가지는 도마
KR101483671B1 (ko) * 2013-11-07 2015-01-16 이정미 기능성 도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817A (ko) 2018-11-15 2020-05-25 신계자 양면 도마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양면 도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73Y1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3451A (en) Bowl and cutting board combination
US7322573B1 (en) Apparatus designed for fileting of fish
US3384260A (en) Sectional tray
US9386886B2 (en)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US20070125210A1 (en) Food chopper
US10945563B2 (en) Cutting board tray
US20090243175A1 (en) Frame having peeler and grater in cutting board support platform
US20200315405A1 (en) Cutting board with recessed tray
CA2938117A1 (en) Cutting board assembly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US20050205572A1 (en) Storage container with cutting surface therein
US20210196083A1 (en) Workstation sink
KR20180001757U (ko) 양면형 도마
KR200432952Y1 (ko)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KR200446038Y1 (ko) 주방용 도마
JP2005342523A (ja) まな板を上部でスライドできるバット状の容器
KR102373122B1 (ko) 다용도 도마
KR20200048335A (ko) 만능 편썰기 세트
JP3172247U (ja) まな板
KR200479353Y1 (ko) 식재료 손질을 위한 조리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도마세트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CN217338351U (zh) 新型多功能砧板
KR20140005529U (ko) 도마셋트에 사용되는 위생 도마
US20230397769A1 (en) Nestable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