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52Y1 -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 Google Patents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52Y1
KR200432952Y1 KR2020060024920U KR20060024920U KR200432952Y1 KR 200432952 Y1 KR200432952 Y1 KR 200432952Y1 KR 2020060024920 U KR2020060024920 U KR 2020060024920U KR 20060024920 U KR20060024920 U KR 20060024920U KR 200432952 Y1 KR200432952 Y1 KR 200432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oard
container
kitchen
pedes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미
Original Assignee
박종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미 filed Critical 박종미
Priority to KR2020060024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이, 무, 감자 등의 둥근 식재료를 얇게 썰 때 도마 밖으로 종종 굴러 떨어지는 식재료를 바로 받침용기에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이처럼 도마에서 떨어지거나 흐르는 식재료 및 김칫국물이나 육즙 등을 별도의 작업 없이도 도마 외부로 용이하게 받아 담을 수 있으며, 또한 도마에서 가공된 식재료 전체를 그대로 용기에 바로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부에 각각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부 평면부의 둘레를 따라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도 평면부가 형성된 주방용 도마와; 상기 주방용 도마와 결합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받침대 또는 받침용기 또는 일반용기로 구성된 주방용 도마 세트가 제공된다.
도마, 받침대, 받침용기, 일반용기

Description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A chopping board set}
도 1의 (a)와 (b)는 도마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의 (a)와 (b)는 받침용기의 평면도 및 수직 단면도
도 3의 (a)는 받침용기에 도마를 올려 사용하는 예의 평면도
도 3의 (b)와 (c)는 도마의 상하면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예의 단면도
도 4의 (a)와 (b)는 받침용기를 개폐하는 용기뚜껑의 단면도와 저면도
도 4의 (c)는 용기뚜껑에 설치된 회동 손잡이의 구조도
도 5는 받침용기와 용기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마의 수납과 휴대를 위한 받침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의 (a)와 (b)는 받침대의 단면도 및 다리를 접은 상태의 저면도
도 8의 (a)와 (b)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도마의 상하면을 이용하는 상태도
도 9의 (a)와 (b)는 일반용기에서 도마를 이용하는 상태의 평면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1aa, 1bb : 평면부 2a, 2b : 경사부
3 : 받침턱 4 : 완충패드
5 : 받침판 6 : 다리
7 : 걸림고리 8 : 손잡이
50 : 도마 60 : 받침용기
70 : 용기뚜껑 80 : 받침대
90 : 일반용기
본 고안은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이, 무, 감자 등의 둥근 식재료를 얇게 썰 때 도마 밖으로 굴러 나가는 경우를 대비하여 바로 받침용기에 용이하게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주방용 도마와, 도마로부터 흘러내리는 김치국물이나 육즙 등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담을 수 있고 가공된 식재료를 바로 담을 수 있도록 받침대와 받침용기로 구성된 주방용 도마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방용 도마는 둥근 식재료를 썰 때 동글동글 썰린 식재료가 도마 밖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에 별달리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이나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물기가 많은 식재료로부터 흘러나온 국물이나 육즙 등의 액체가 도마 위에 머물러 있지 못하고 흘러내림으로써 주변을 더럽히게 되는데, 이것을 감수하지 않으려면 그와 같은 식재료를 썰고 있는 도중에 그때그때 도마에서 물기를 제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물기 제거 작업은 특 별한 어려움을 수반하는 것이 보통이어서 도마 위에서의 작업이 늘 불안하고 조심스러웠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은 도마의 크기를 크게 만드는 것으로 해결된다거나 심지어 도마의 둘레에 홈을 만드는 형태로도 해결될 수 있는 일은 아니었다.
본 도마 세트의 구조는 위와 같은 종래 도마의 문제점을 쉽게 해결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즉, 주방용 도마는 특히 오이, 당근, 감자 등 둥근 모양의 야채를 얇게 썰 경우, 해당 식재료가 얇게 썰어지는 순간에 종종 도마 밖으로 굴러 나가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본 고안은 이에 대처하여 그러한 식재료가 받침용기에 바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도마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도마와 받침용기가 세트 구조를 이룸으로써 물기가 많은 김치나 육류 등을 썰 때 도마에서 흘러내리는 국물이나 육즙 등이 받침용기에 바로 받을 수도 있도록 하는 도마 세트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도마 세트는 주방이 아닌 곳이나 야외에서 도마를 사용할 경우 적당히 도마를 놓고 작업할 높이가 되지 않아 불편했던 점도 해소해주는 동시에, 김치를 담그거나 하는 등의 일로 많은 양의 야채를 다루어야 할 때 별도의 그릇을 옆에 준비해두거나 대단히 큰 도마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도마에서 썬 식재료를 즉시즉시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커다란 용기 속에 도마를 놓고 작업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한 도마 세트의 제공에도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도마(50) 및 다양한 기능을 가진 보조 도구가 상기 도마(50)와 결합되어 다양한 용도와 편리성을 제공하는 주방용 도마 세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보조 도구는 도마(5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대(80)와, 상기 도마(50)를 얹어 사용하거나 식재료의 용기로도 사용되는 동시에 상기 도마(50)와 받침대(80)로 구성된 세트를 수납할 수도 있는 받침용기(60) 등을 말한다.
도마(50)는 양면의 사용이 가능하고, 상부면과 하부면을 필요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다른 구조를 가진다. 즉 상하부에 각각 평면부(1a)(1c)가 형성되고, 상부 평면부(1a)의 둘레를 따라 경사부(2a)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a)의 외측 가장자리에도 평면부(1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부에 경사부(2a)가 형성되어 식재료가 경사부(2a)를 따라 받침용기(60) 등의 다양한 용기로 쉽게 담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넓은 평면부(1c)가 필요한 경우에는 하부가 위쪽을 향하도록 뒤집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마(50)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고, 이 직사각형의 긴 변의 길이와 같은 변의 길이를 가지는 정사각형 형태의 받침용기(60)가 기본 세트로 구성된다.
상기 도마(50)의 좌우 짧은 면을 받침용기(60)에 걸쳐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받침용기(60)의 개구부 주연부에 받침턱(3)이 형성되며, 이 받침턱(3)에는 도마(50)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미끄럼 방지의 완충패드(4)가 다수개 부착된다.
상기의 받침턱(3)은 받침용기(60)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마주보는 개구부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용기(60)의 받침턱(3)이 없는 다른 두 면은 도마(50)에서 굴러 떨어지는 식재료가 받침용기(60) 안으로 바로 낙하할 수 있도록 도마(50)와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는 형태가 된다.
물기가 많은 식재료를 써는 경우에도 도마(50)의 경사부(2a)가 있는 상부를 사용하면 도마(50)에서 흐르는 액체가 사면 어느 곳으로든 받침용기(60)로 바로 떨어져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마(50)를 받침용기(60)에 걸쳐놓고 사용하지 않고, 다른 커다란 용기인 일반용기(90) 안에서도 사용할 수도 있도록 받침대(80)의 상부에 얹어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를 위하여 받침대(80)의 상부 받침판(5)에는 상기 도마(50)의 상하부 어느 쪽을 얹어도 미끄러지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미끄럼 방지의 완충패드(4)가 부착되고, 또한 상기 도마(50)와 받침대(80)가 다른 커다란 용기인 일반용기(90) 안에서 일정한 작업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5)의 하부에 다수개의 다리(6)가 설치되고, 다리(6)의 밑면에는 받침대(80)가 일반용기(90) 등의 다양한 용기의 안에서 안정되게 고정시켜 주는 미끄럼 방지의 완충패드(4)가 부착된다. 단, 상기 받침대(80)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위하여 다리(6)는 접이식의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받침대(80)는 다른 커다란 일반용기(90) 안에서 도마(50)를 얹어 사용하거나, 주방의 작업대가 아닌 곳에서 도마(50)를 사용할 때 일정한 높이를 충족시키도록 고안된 기본 기능 외에도, 그와 같은 기능으로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식탁 위의 장식용 물건을 올려 놓는 용 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미니 탁자나 기타 다양한 받침접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주방용 도마(50)와; 상기의 도마(50)가 얹히는 받침대(80)를 수용하여 보관하거나 가공된 식재료를 담기 위하여, 받침용기(6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용기뚜껑(70)을 포함하여 주방용 도마 세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특히 야외에서 도마(50)를 수납하고 사용하며, 식재료를 담는 용기로의 활용도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실시예의 세트로 구성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의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마(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경사부(2a)가 형성되어 있어, 썰어진 식재료를 다른 용기로 옮겨 담거나 도마(50)에서 흐르는 액체를 다른 용기에 받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즉, 썰어진 식재료는 칼이나 손 등으로 밀려져 진행하다가 경사부(2a)에 의해 쉽게 측하방의 다른 용기로 낙하된다. 이 경우는 도 3의 (a)와 (c)의 경우와 같이 도마(50)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다.
물론 도 3의 (b)와 같이 도마(50)의 하부에 형성된 넓은 평면부(1c)를 상측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사용하는 식재료의 종류나 가공의 방법 등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의 도마(50)와 받침용기(60)가 세트로 구성된 경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는 받침용기(60)가 식재료를 편리하게 수용하는 용기의 기능과, 도마(50)의 수납과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즉, 요 리시 도마(50)의 양측변을 받침용기(60)의 받침턱(3)에 재치하여 사용하고, 도마(50)의 긴변측의 받침용기(60) 공간부로 식재료가 떨어져 담기는 구조가 된다.
또한 받침용기(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뚜껑(70)이 더 부가되어 휴대 및 수납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즉 용기뚜껑(70)에는 받침용기(60)의 받침턱(3)에 걸리는 걸림고리(7)가 다수개 설치되어, 용기뚜껑(70)과 받침용기(60)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용기뚜껑(70)에는 손잡이(8)가 설치되어 휴대와 수납이 용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용기(60)의 깊이를 받침대(80)의 다리(6)을 접었을 때의 높이만큼 얕게하여 수납과 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80)에 도마(50)를 얹어 사용하거나, 도 9와 같이 받침용기(60) 또는 일반용기(90)의 가운데에 도마(50)가 올려진 받침대(80)를 넣은 다음, 요리를 위해 식재료를 가공하면 썰어진 식재료가 굴러 내리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받침용기(60) 또는 일반용기(90)가 바로 받아내게 되어, 식재료의 손실이 없고, 이동 및 보관할 시에는 용기뚜껑(70)을 닫아 사용하면 된다.
상기의 받침대(80)는 가장자리에 평면부(1bb)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bb)의 내측으로 경사부(2b)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b)의 내측 저면부에 평면부(1aa)가 형성된 받침판(5)과, 상기 받침판(5)의 하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다리(6)로 구성된다. 그리고 평면부(1bb)에는 다수개의 완충패드(4)가 부착되 어 있다.
상기의 완충패드(4)는 도마(50)의 사용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소음 등을 방지하고 받침대(80)와의 미끄러짐 없이 밀착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도 8의 (a)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는 도마(50)의 하측 넓은 평면부(1c)가 받침판(5)의 평면부(1bb)가 완충패드(4)를 매개로 접촉된 구조이고, 도 8의 (b)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는 도마(50)의 경사부(2a)와 받침판(5)의 경사부(2b)가 접촉되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받침대(80)의 하부에는 접이식의 다리(6)가 설치되어 높게 또는 낮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의 필요성과 환경에 따라 받침용기(60) 또는 받침대(80)에 도마(50)를 얹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썰어진 식재료가 굴러 떨어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받아내게 되어 식재료의 손실이 없고 이에 따른 번거로운 부수 작업을 줄여주어 도마(50)의 편리성과 효용성이 높아지고, 동시에 다른 용도로의 활용 가능성도 함께 갖고 있는 점에서도 효용 가치가 높으며, 또한 장기적인 보관이나 야외로 이동할 시에는 받침용기(60)에 용기뚜껑(70)을 닫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Claims (4)

  1. 상하부에 각각 평면부(1a)(1c)가 형성되고, 상부 평면부(1a)의 둘레를 따라 경사부(2a)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a)의 외측 가장자리에도 평면부(1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마.
  2. 제 1항에 의한 주방용 도마(50)와; 가장자리에 평면부(1bb)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bb)의 내측으로 경사부(2b)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b)의 내측 저면부에 평면부(1aa)가 형성된 받침판(5)과, 상기 받침판(5)의 하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다리(6)로 형성된 받침대(80);로 구성되고, 받침판(5)의 상부에 도마(50)가 얹혀져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마 세트.
  3. 제 1항에 의한 주방용 도마(50)와; 가장자리에 평면부(1bb)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bb)의 내측으로 경사부(2b)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2b)의 내측 저면부에 평면부(1aa)가 형성된 받침판(5)과, 상기 받침판(5)의 하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다리(6)로 형성된 받침대(80);와 상기 도마(50)가 얹히는 받침턱(3)이 상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마(50)와 받침대(8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개폐되는 용기뚜껑(70)이 구비된 받침용기(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마 세트.
  4. 제 1항에 의한 주방용 도마(50)와; 상기 도마(50)가 얹히는 받침턱(3)이 상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마(50)와 받침대(8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받침용기(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마 세트.
KR2020060024920U 2006-09-15 2006-09-15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KR200432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20U KR200432952Y1 (ko) 2006-09-15 2006-09-15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20U KR200432952Y1 (ko) 2006-09-15 2006-09-15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52Y1 true KR200432952Y1 (ko) 2006-12-07

Family

ID=4178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920U KR200432952Y1 (ko) 2006-09-15 2006-09-15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5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8825A2 (en) * 2007-10-10 2009-04-16 Cihan Robert W Tray systems
KR200446730Y1 (ko) * 2009-03-12 2009-11-24 한승길 주방용 도마
KR200473831Y1 (ko) * 2012-11-16 2014-07-31 이충구 휴대용 조리기구
USD978635S1 (en) 2021-10-26 2023-02-21 Alexander Argo Cutting boar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8825A2 (en) * 2007-10-10 2009-04-16 Cihan Robert W Tray systems
WO2009048825A3 (en) * 2007-10-10 2009-07-02 Robert W Cihan Tray systems
KR200446730Y1 (ko) * 2009-03-12 2009-11-24 한승길 주방용 도마
KR200473831Y1 (ko) * 2012-11-16 2014-07-31 이충구 휴대용 조리기구
USD978635S1 (en) 2021-10-26 2023-02-21 Alexander Argo Cutting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675B1 (en) Cuttingboard
US7469848B2 (en) Grater
US5423451A (en) Bowl and cutting board combination
US9386886B2 (en)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US7442118B2 (en) Apparatus designed for the fileting of fish
US7530558B2 (en) Cutting board assembly having drawer with variable volume containment space
US20090243175A1 (en) Frame having peeler and grater in cutting board support platform
US11304566B2 (en) Cutting board with recessed tray
US7134653B1 (en) Portable reversible cutting board having removable cover and tool
US8857802B1 (en) Melon cutting boards
US20170027314A1 (en) Grill Caddy
US8998022B2 (en) Food storage insert
KR200432952Y1 (ko)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US20070108686A1 (en) Cutting board assembly
US6805246B1 (en) Kitchen-cooking caddy
US20140091508A1 (en) Integrated folding cutlery retaining and cutting board apparatus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GB2505914A (en) Chopping board with aperture on a raised support
US20160183733A1 (en) Cutting board with collapsible hood
KR200489773Y1 (ko) 양면형 도마
RU177681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строгания замороженных продуктов
KR200300214Y1 (ko) 주방용 도마
JP2005342523A (ja) まな板を上部でスライドできるバット状の容器
KR200444483Y1 (ko) 음식물 주머니가 구비된 도마
CN210748909U (zh) 厨房用品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