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312Y1 - 바닥재 재단용 자 - Google Patents

바닥재 재단용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312Y1
KR200455312Y1 KR2020090004324U KR20090004324U KR200455312Y1 KR 200455312 Y1 KR200455312 Y1 KR 200455312Y1 KR 2020090004324 U KR2020090004324 U KR 2020090004324U KR 20090004324 U KR20090004324 U KR 20090004324U KR 200455312 Y1 KR200455312 Y1 KR 200455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late
flooring
main body
upper contro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32U (ko
Inventor
장완재
Original Assignee
장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완재 filed Critical 장완재
Priority to KR2020090004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31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26D5/24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including a meter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바닥재를 손쉽게 재단할 수 있는 바닥재 재단용 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는, 사각형 판으로,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직선형의 가이드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로 방향의 모서리 중에서 일측 모서리를 따라 상기 본체의 아랫 면에 형성되어, 바닥재 위에 놓여져 있는 상기 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부 거치대, 및 상기 본체의 아래쪽 및 위쪽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에 각각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키를 통해 서로 접착되는 하부 조절판과 상부 조절판, 및 상기 상부 조절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경첩에 의해 상기 상부 조절판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거치대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세로 길이를 갖는 오차 조절대를 포함하며, 바닥재의 치수 측정을 위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되는 조절대를 포함한다.
바닥재, 재단, 자

Description

바닥재 재단용 자{Measurement for cutting flooring material}
본 고안은 바닥재 재단용 자에 관한 것이다.
카펫이나 타일, 원목, 장판 등의 바닥재는 사전 지정된 규격에 맞게 생산되는데, 이러한 바닥재가 시공될 수 있는 건물의 바닥은 그 모양 및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바닥재를 시공할 때에는 시공하려는 바닥의 모양대로 바닥재를 재단해야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예를 들어, 크기가 동일한 정사각형의 카펫 여러 장을 서로 겹치지 않게 바닥에 시공한 후, 남은 영역이 바닥재의 크기보다 작다면, 남은 영역의 모양대로 바닥재를 재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줄자 등을 이용하여 남은 영역의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한 다음, 측정된 치수에 맞게 바닥재를 절단해야했는데, 이처럼 바닥재의 치수를 재는 것은 시공자에게 있어 매우 번거로울 작업일 뿐만 아니라, 바닥재 시공 시간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바닥재를 자르려고 할 때, 바닥재를 고정하기가 쉽지 않아 바닥재가 깨끗하게 절단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바닥재를 손쉽게 재단할 수 있으며, 바닥재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는 바닥재 재단용 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는, 사각형 판으로,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직선형의 가이드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로 방향의 모서리 중에서 일측 모서리를 따라 상기 본체의 아랫 면에 형성되어, 바닥재 위에 놓여져 있는 상기 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부 거치대, 및 상기 본체의 아래쪽 및 위쪽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에 각각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키를 통해 서로 접착되는 하부 조절판과 상부 조절판, 및 상기 상부 조절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경첩에 의해 상기 상부 조절판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거치대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세로 길이를 갖는 오차 조절대를 포함하며, 바닥재의 치수 측정을 위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되는 조절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바닥재 재단용 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바닥재의 치수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바닥재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바닥재 재단용 자에 구비된 하부 거치대를 이용하여 바닥재 재단용 자를 바닥재에 고정시키거나 바닥재 재단용 자에 구비된 조절대를 이용하여 바닥재를 바닥재 재단용 자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닥재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재 재단용 자(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1)는 본체(10), 하부 거치대(20), 및 조절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본체(10)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직선형의 가이드 홀(30)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체(10)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 보다 긴 직사각형이며, 3개의 가이드 홀(30)이 형성된 본체(10)가 예시되어 있다. 각 가이드 홀(30)의 폭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홀(32)의 폭이 가장 넓고, 나머지 두 개의 가이드 홀(31, 33)의 폭은 서로 동일하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홀(32)의 폭 보다 좁은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본체(10)의 일측 하단에는 본체(10)의 가로 방향을 따라, 하부 거치대(20)가 위치한다. 하부 거치대(20)의 가로 길이는 본체(10)의 가로 길이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하부 거치대(20)의 세로 길이는 예를 들어, 약 1~2 cm 정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거치대(20)의 윗면과 본체(10)의 하단은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데, 이 때, 하부 거치대(20)와 본체(1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재 재단용 자(1)의 세로 부분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부 거치대(20)의 모서리와 본체(10)의 모서리 사이에는 단차가 없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하부 거치대(20)는 바닥재 위에 바닥재 재단용 자(1)를 올려놓았을 때, 바닥재 재단용 자(1)가 움직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조절대(40)는 본체(10)와 결합된 후,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 홀(30)을 따라 이동되는 부분이다. 조절대(40)는 하부 조절판(42), 상부 조절판(43), 하부 조절판(42) 및 상부 조절판(43)과 접촉되어 조절대(40)가 흔들림 없이 본체(10)의 가이드 홀(3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키(44, 45, 46), 및 오차 조절대(4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조절판(42)은 본체(10)의 아랫 면에 위치하는 조절판을 말하며, 상부 조절판(43)은 본체(10)의 윗면에 위치하는 조절판을 말한다. 하부 조절판(42)의 가로 길이와 및 상부 조절판(43)의 가로 길이는 서로 동일하되, 본체(10)의 가로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 조절판(42)의 양 끝단과 상부 조절판(43)의 양 끝단은 본체(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 조절판(42)의 중앙에는 본체(10)의 아랫 면이 안착되는 안착부(42b)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안착부(42b)의 좌우로는 접착제를 통해 상부 조절판(43)의 하부 조절판 결합부(43a)와 결합되는 상부 조절판 결합부(42a)가 형성된다. 이 때, 안착부(42b)와 상부 조절판 결합부(42a)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는데, 단차의 높이는 본체(10)의 두께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 또는 그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42b)에는 볼트(50) 결합을 위한 홀(42c)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안착부(42b)의 정중앙에 홀(42c)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홀(42c)의 위치가 이에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홀(32)과 대응되는 위치라면 안착부(42b)의 어디든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조절판(43)의 중앙에는 하부 조절판(42)과 마찬가지로, 본체(10)의 윗 면이 안착되는 안착부(43b)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안착부(43b)의 좌우로는 접착제를 통해 하부 조절판(42)의 상부 조절판 결합부(42a)와 결합되는 하부 조절판 결합부(43a)가 형성된다. 이 때, 안착부(43b)와 하부 조절판 결합부(43a)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는데, 단차의 높이는 본체(10)의 두께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 또는 그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조절판(43)의 중앙에도 볼트(50) 결합을 위한 홀(4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홀(43c)은 하부 조절판(42)에 형성된 홀(42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부 조절판(43)은 앞 서 설명한 하부 거치대(20)와는 반대로, 바닥재 재단용 자(1) 위에 바닥재를 올려놓았을 때 바닥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부 조절판(43)의 일측에는 하부 거치대(20)를 마주보도록 오차 조절대(41)가 구비된다. 오차 조절대(41)의 가로 길이는 본체(10)의 가로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오차 조절대(41)의 세로 길이는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거치대(20)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오차 조절대(41)와 상부 조절판(43)은 하나 이상의 경첩(8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오차 조절대(41)가 불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바닥재를 직선으로 재단해야하는 경우에는 오차 조절대(41)를 상부 조절판(43)쪽으로 접어두었다가, 오차 조절대(41)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바닥재를 사선으로 재단해야 하는 경우에는 접혀 있던 오차 조절대(41)를 펴서 사용하기 위함이다. 오차 조절대(41)는 바닥재를 사선으로 재단하려는 경우, 하부 거치대(20)로 인하여 바닥재 재단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오차 조절대(41)를 하부 거치대(20) 쪽으로 펼쳤을 때, 오차 조절대(41)와 상부 조절판(43) 사이에는 틈새 없이 서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차 조절대(41)를 이용하여 바닥재를 사선으로 재단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i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 조절판(42)의 안착부(42b)와 상부 조절판(43)의 안착부(43b) 사이에는 가이드 홀(30)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키(44, 45, 46)가 존재한다. 이 때, 키의 개수는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 홀(30)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 홀(30)의 개수가 2개라면 키도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홀(30)의 개수와 키의 개수가 반드시 일치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홀(30)의 개수보다 적은 수의 키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가이드 홀(30)이 구비된 경우라 하더라도,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홀(32)과,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 홀(33)에 대응하는 2개의 키(45, 46)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각 키들(44, 45, 46)의 아랫면은 접착제를 통해 하부 조절판(42)의 안착부(42b)에 접착되며, 각 키들(44, 45, 46)의 윗면은 접착제를 통해 상부 조절판(43)의 안착부(43b)에 접착된다. 이러한 키들(44, 45, 46)은 바닥재의 치수를 재기 위해 조절대(40)를 이동시킬 때, 조절대(40)의 흔들림을 감소시키(44, 45, 46)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 키들(44, 45, 46)이 하부 조절판(42) 및 상부 조절판(43)과 별도로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각 키들(44, 45, 46)은 하부 조절판(42) 또는 상부 조절판(43)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3개의 키들(44, 45, 46) 중에서 본체(10)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홀(32)에 삽입되는 키(45)에는 볼트(50) 결합을 위한 홀(45c)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홀(45c)의 크기는 하부 조절판(42)의 안착부(42b)에 형성된 홀(42c)의 크기, 및 상부 조절판(43)의 안착부(43b)에 형성된 홀(43c)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키(45)에 형성된 홀(45c)을 통해 볼트(50)를 삽입하면, 볼트(50)와 결합되는 나비 너트(70)를 조여 조절대의 위치를 고정시킬 때, 조절대의 위치를 보다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중앙의 가이드 홀(32)에 삽입되는 키(45)에 볼트(50) 결합을 위한 홀(45c)을 형성하지 않는 대신, 해당 키(45)를 중앙의 가이드 홀(32)과 대응하는 위치 중 하부 조절판(42)의 홀(42c) 및 상부 조절판(43)의 홀(43c)을 제외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볼트(50) 및 나비 너트(70)는 조절대(40)의 위치를 이동 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볼트(50)는 하부 조절판(42)의 안착부(42b)에 형성된 홀(42c), 키(45)에 형성된 홀(45c), 및 상부 조절판(43)의 안착부(43b)에 형성된 홀(43c)을 차례로 통과하며, 나비 너트(70)는 상기 홀들(42c, 45c, 43c)을 차례로 통과한 볼트(50)와 결합한다. 즉, 볼트(70)와 결합한 나비 너트(70)를 조여 조절대(40)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나비 너트(70)를 풀러 조절대(4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볼트(50)와 나비 너트(70) 사이에는, 볼트(50)와 나비 너트(70) 결합에 의해 상부 조절판(43)에 형성된 홀(43c)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6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3)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닥재 재단용 자(3)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1)와는 다르게, 본체(100)에 2개의 가이드 홀(30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조절판(420) 및 상부 조절판(430)의 가로 길이가 본체(100)의 가로 길이 보다 길되, 하부 조절판(420)의 두께 및 상부 조절판(430)의 두께가 균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부 조절판(420) 및 상부 조절판(430)에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신, 하부 조절판(420)과 상부 조절판(430)의 사이의 양 끝단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부 조절판(420) 및 상부 조절판(430)을 연결하기 위한 접착용 바(900)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접착용 바(900)의 두께는 본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두꺼울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 조절판(420) 및 상부 조절판(430)에는 각 가이드 홀(300)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결합을 위한 2개의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 홀(300)에는 두 개의 키(460, 440)가 구비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하나의 홀에 구비되는 두 개의 키(460 또는 440)는 볼트(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1)를 이용하여 바닥재를 재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바닥재 재단용 자(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수개의 정사각형 바닥재를 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1)를 이용하여, 바닥재를 직선으로 재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바닥재가 시공되어 있는 상태가 도 5a와 같다고 하자.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모서리 부분(601)을 시공해야한다면, 모서리 부분(601)에 맞게 바닥재를 재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도 5b와 같이, 바닥재 재단용 자(1)를 이용하여 너비가 균일한 판(또는 여분의 바닥재; 604)의 너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너비가 균일한 판(604) 위에 바닥재 재단용 자(1)를 올려 놓고, 하부 거치대(20)가 판(604)의 일측에 걸리게 한 다음, 조절대(40)를 움직여 하부 조절판(도 2의 도면부호 42 참조)이 판(604)의 타측에 걸리게 한다. 그 다음, 나비 너트(70)를 조여, 조절대(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처럼 판(604)의 너비를 측정할 때, 오차 조절대(41)는 상부 조절판(43) 쪽으로 접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부분(601)과 인접한 바닥재(602)의 위에 하부 거치대(20)가 걸리도록 바닥재 재단용 자(1)를 위치시킨 다음, 도 5d와 같이, 바닥재 재단용 자(1) 위에 재단하려는 바닥재(603)를 올려 놓는다. 이 때, 재단하려는 바닥재(603)는 상부 조절판(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5e와 같이, 재단하려는 바닥재(603) 위에 도 5b에서 사용되었던 너비가 균일한 판(604)을 올려 놓는다. 이 때, 너비가 균일한 판(604)의 일측은 바닥 틀(600)의 내측 모서리와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e와 같은 상태에서 판(604)의 타측을 따라 바닥재(603)를 자르면, 도 5f와 같이, 모서리 부분(601)에 해당하는 모양의 바닥재(603'를 얻을 수 있으며, 그 결과 도 5g와 같이, 재단된 바닥재(603'를 이용하여 모서리 부분(601)을 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6i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1)를 이용하여 바닥재를 사선으로 재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바닥재의 시공 상태가 도 6a와 같다고 하자. 이 경우, 빗금 모양의 바닥재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부분(611)에 바닥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정사각형의 바닥재를 사선으로 재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도 6b와 같이, 바닥재 재단용 자(1)의 우측 꼭지점이 바닥 틀(600)의 내측 모서리에 닿도록 위치시킨다. 그 다음, 도 6c와 같이, 바닥재 재단용 자(1) 위에 너비가 일정한 판(또는 다른 바닥재; 612)을 올려 놓는다. 이 때, 너비가 일정한 판(612)의 일측은 바닥 틀(600)의 내측 모서리에 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오차 조절대(41)를 하부 거치대(20) 쪽으로 편 상태에서 조절대(40)를 움직여, 도 6d와 같이, 오차 조절대(41)의 오른쪽 꼭지점이 너비가 일정한 판(612)의 타측에 맞닿도록 한다. 그 다음, 나비 너트(70)를 조여 조절대(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 다음, 도 6e와 같이, 바닥재 재단용 자(1)를 이동시켜 바닥재에 고정시킨 다음, 오차 조절대(41)를 상부 조절판(43)쪽으로 접는다. 이처럼, 오차 조절대(41)를 상부 조절판(43)쪽으로 접는 이유는 바닥재 위에 걸려 있는 하부 거치대(20)로 인하여 재단 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e와 같이 오차 조절대(41)를 상부 조절판(43) 쪽으로 접은 다음에는, 도 6f와 같이 바닥재 재단용 자(1) 위에 재단하려는 바닥재(613)를 올려 놓는다. 이 때, 재단하려는 바닥재(613)는 상부 조절판(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후, 도 6g와 같이, 재단하려는 바닥재(613) 위에 도 6d에서 사용한 너비가 균일한 판(612)을 올려 놓는다. 이 때, 너비가 균일한 판(612)의 일측은 바닥 틀(600)의 내측 모서리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g와 같은 상태에서 너비가 균일한 판(612)의 타측을 따라 바닥재를 자르면, 도 6h와 같이, 사선으로 재단된 바닥재(613'를 얻을 수 있으며, 재단된 바닥재(613'를 이용하여, 도 6i와 같이 바닥재를 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재 재단용 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바닥재 재단용 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를 사용하여 바닥재를 직선으로 재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재단용 자를 사용하여 바닥재를 사선으로 재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바닥재 재단용 자 10, 100: 본체
20: 하부 거치대 30, 300: 가이드 홀
40: 조절대 41, 410: 오차 조절대
42, 420: 하부 조절판 43, 430: 상부 조절판
44, 45, 46, 440, 460: 키 50, 500: 볼트
60: 링 70, 700: 나비 너트

Claims (6)

  1. 사각형 판으로,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직선형의 가이드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로 방향의 모서리 중에서 일측 모서리를 따라 상기 본체의 아랫 면에 형성되어, 바닥재 위에 놓여져 있는 상기 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부 거치대; 및
    상기 본체의 아래쪽 및 위쪽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에 각각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키를 통해 서로 접착되는 하부 조절판과 상부 조절판, 및 상기 상부 조절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경첩에 의해 상기 상부 조절판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거치대의 세로 길이와 동일한 세로 길이를 갖는 오차 조절대를 포함하며, 바닥재의 치수 측정을 위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되는 조절대를 포함하는, 바닥재 재단용 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절판은 상기 본체의 아랫면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좌우에 형성된 상부 조절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조절판은 상기 본체의 윗면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좌우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조절판의 상기 상부 조절판 결합부와 결합되는 하부 조절판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조절판의 상기 안착부와 상기 하부 조절판의 상기 상부 조절판 결합부의 사이, 및 상기 상부 조절판의 상기 안착부와 상기 상부 조절판의 상기 하부 조절판 결합부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단차가 형성되는, 바닥재 재단용 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조절대는 상기 하부 거치대를 향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조절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바닥재 재단용 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절판 및 상기 상부 조절판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홀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을 통해 삽입된 하나 이상의 볼트는 각각 상기 조절대의 위치를 이동 또는 고정시킬 수 있도록 너트와 결합되는, 바닥재 재단용 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키에는 상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조절판의 홀을 통과한 볼트는 상기 키에 구비된 홀을 거쳐, 상기 상부 조절판의 홀로 삽입되는, 바닥재 재단용 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나비 모양의 너트인, 바닥재 재단용 자.
KR2020090004324U 2009-04-13 2009-04-13 바닥재 재단용 자 KR200455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324U KR200455312Y1 (ko) 2009-04-13 2009-04-13 바닥재 재단용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324U KR200455312Y1 (ko) 2009-04-13 2009-04-13 바닥재 재단용 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32U KR20100010332U (ko) 2010-10-21
KR200455312Y1 true KR200455312Y1 (ko) 2011-08-30

Family

ID=4420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324U KR200455312Y1 (ko) 2009-04-13 2009-04-13 바닥재 재단용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3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5349A (zh) * 2014-09-29 2015-03-04 四川氟迪新能源有限公司 用于快速确定切割尺寸的装置及使用方法
CN106313167A (zh) * 2016-09-30 2017-01-11 铜陵其利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金属化薄膜分切用移动式定位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75A (ja) 1997-07-08 1999-01-26 Einosuke Negishi 斜め貼り用定規
JP3095086U (ja) 2003-01-06 2003-07-18 有限会社装和 デザインカット定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75A (ja) 1997-07-08 1999-01-26 Einosuke Negishi 斜め貼り用定規
JP3095086U (ja) 2003-01-06 2003-07-18 有限会社装和 デザインカット定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32U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1460B2 (en) Tile and support structure
BRPI0407664B1 (pt) &#34;sistema de piso e método de instalação&#34;.
US7673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orner bench in a tiled shower
US8919076B1 (en) Adjustable tile spacer
KR200455312Y1 (ko) 바닥재 재단용 자
JP2013543939A (ja) 二重床構造
JP2007023505A (ja) 床構造体及びテラスデッキ並びに係合具付き根太
CA2599991A1 (en) Spacing tool
JP4977081B2 (ja) 境界用目地装置
JP5937931B2 (ja) パネル取付構造
BRPI0923256B1 (pt) moldura da coroa
JP6233020B2 (ja) ガラスパネル装置
JP5313011B2 (ja) デッキ
JP6866096B2 (ja) 位置決め用具
JP6184135B2 (ja) 袖壁下地体、袖壁下地体を用いた袖壁の固定構造および袖壁下地体を用いた袖壁の施工方法
JP6007124B2 (ja) デッキ
JP2929290B1 (ja) 組立デッキ
JP2017137715A (ja) 床構造体及び床構造体の施工方法
JP2008150825A (ja) ボーダー部構造及びその設置方法
JP2017137716A (ja) 床構造体及び床構造体の施工方法
JPH10280657A (ja) 二重床のボーダー床板
JP2605954B2 (ja) ボーダー部における床構造
JP6779099B2 (ja) 止水パネルの取付構造
JP2017137717A (ja) 床構造体の幕板取付構造及び床構造体の施工方法
JPH0735007Y2 (ja) 二重床における床パネル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