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872Y1 -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 Google Patents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872Y1
KR200454872Y1 KR2020080017515U KR20080017515U KR200454872Y1 KR 200454872 Y1 KR200454872 Y1 KR 200454872Y1 KR 2020080017515 U KR2020080017515 U KR 2020080017515U KR 20080017515 U KR20080017515 U KR 20080017515U KR 200454872 Y1 KR200454872 Y1 KR 200454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caffolding
pipe
lower storag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097U (ko
Inventor
전진국
정승학
안근헌
정통길
Original Assignee
정승학
전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학, 전진국 filed Critical 정승학
Priority to KR2020080017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87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0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8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1/152Platforms made of metal or with metal-supporting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4Storage and transport racks for scaffold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비계 구조물에 사용되는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를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발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은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를 보관하는 하부 보관함과, 하부 보관함의 상부에서 하부 보관함과 체결되는 상부 보관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부 보관함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파이프들이 끼움 결합하여 보관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파이프용 클립과, 복수 개의 비계용 클램프를 수납할 수 있는 클램프 보관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여러 개의 파이프, 비계용 클램프 등을 하나의 세트로 운반하고 보관할 수 있어 분실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관리하기에 편리하다.
비계, 발판, 파이프, 보관함, 클램프

Description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Pipe Case Combined with a Foothold }
본 고안은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용 비계 구조물에 사용되는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를 보관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발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물, 조선소, 아파트 등의 건설 현장에서 벽면을 수리하거나 용접 및 페인트칠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는 해당 높이에서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가설물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건축 공사시 작업자가 일할 수 있도록 공사장에 시설하는 임시 가설물을 건축용 비계라 한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비계는 임시 가설물의 뼈대로 사용되는 파이프들과, 각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비계용 클램프와, 4개 기둥으로 사용되는 파이프들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작업용 발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업자들은 여러 개의 파이프, 비계용 클램프, 작업용 발판 등을 차량으로 각각 운반한 후, 작업 장소에서 이들을 조립하여 건축용 비계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해체한 후, 차량에 싣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파이프나 비계용 클램프 등이 분실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여러 개의 파이프, 비계용 클램프 및 작업용 발판 등을 공사 장소로 각각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 파이프들은 주로 철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당한 무게가 나가며, 따라서 여러 개의 파이프들을 한 번에 운반하기 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건축용 비계 구조물에 사용되는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의 분실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 등의 운반 및 보관을 손쉽게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용 비계 구조물에 사용되는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를 보관하여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축용 비계 구조물에서 발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를 보관하는 하부 보관함과, 상기 하부 보관함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보관함과 체결되는 상부 보관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보관함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들이 끼움 결합하여 보관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파이프용 클립과, 상기 복수 개의 비계용 클램프를 수납할 수 있는 클램프 보관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양 측면에는 상기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에 각각 걸림 고정되어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걸림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내부에는 상기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에 각각 걸림 고정되어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걸림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걸림부는,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 내에 위치하다가,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을 발판으로 사용할 때 밖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보관함의 하부면 및 상기 상부 보관함의 상부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요홈부 또는 복수 개의 미끄럼 방지홀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일 측면은 경첩 방식 또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타 측면은 잠금 걸이 및 걸림 돌기를 이용한 잠금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보관함, 상부 보관함 및 파이프는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보관함의 내부는, 상기 하부 보관함과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용 클립 및 클램프 보관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여러 개의 파이프, 비계용 클램프 등을 하나의 세트로 운반하고 보관할 수 있어 분실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관리하기에 편리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건축용 비계 파이프 및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은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져 가볍기 때문에, 성인 남자 한 명이라도 충분히 운반할 수 있다.
또한, 건축용 비계 설치 시,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의 보관함을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작업용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발판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 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은 하부 보관함(100)과,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보관함(100)과 체결되는 상부 보관함(2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은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보관함(100)에는 두 종류의 파이프(120-1, 120-2)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파이프용 클립(110)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용 클립(110)은 상기 파이프(120-1, 120-2)의 양 끝에서 상기 파이프(120-1, 120-2)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보관함(100) 내에서 양 말단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용 클립(110)은 더 많은 부분에서 상기 파이프(120-1, 120-2)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보관함(100)내에서 여러 부분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파이프(120-1, 120-2)들은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120-1, 120-2)들을 마그네슘으로 형성하는 경우,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철이나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비중이 작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120-1, 120-2)들을 보관하여 운반하기에 편리하다.
상기 파이프(120-1, 120-2)의 경우, 길이가 긴 제1 파이프(120-1)와 길이가 짧은 제2 파이프(120-2)가 있을 수 있는데, 상기 길이가 짧은 제2 파이프(120-2)를 수납하고 남은 공간에는 비계용 클램프(130)를 보관하게 된다. 상기 비계용 클램프(130)는 각 파이프(120-1, 120-2)들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하여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게 한다.
즉, 상기 하부 보관함(100)에는 상기 길이가 짧은 제2 파이프(120-2)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파이프용 클립(110)이 해당 위치에 형성되고, 남은 공간에는 상기 비계용 클램프(13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클램프 보관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 보관부(140)는 복수 개의 비계용 클램프(13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격벽(14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비계용 클램프(130)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격벽(145)의 간격을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길이 방향으로 보강부(150)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부(150)는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이 건축용 비계 구조물 상에서 발판으로 사용될 때,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하부에는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홈 부(160)들이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하부에는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홀(미도시)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홈부(160)와 미끄럼 방지홀(미도시)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양 측면에는 파이프 걸림홈(170)들이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걸림홈(170)은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이 건축용 비계 구조물 상에서 발판으로 사용될 때,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는 파이프(120-1, 120-2)에 올려지기 위한 홈으로서, 상기 파이프(12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상부 보관함(200)과 결합하기 위한 제1 연결부(18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180)는 상기 상부 보관함(200)의 제2 연결부(210)와 함께 경첩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보관함(200)은 상기 제1 연결부(180) 및 제2 연결부(210)를 축으로 회전하여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180) 및 제2 연결부(210)는 끼움 결합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양한 결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타 측면에는 상기 상부 보관함(200)과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 돌기(191)들이 형성되고, 또한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을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195)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보관함(200)은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보관함(100)과 체결되어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을 이루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보관함(2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하부 보관함(100)과 연결되기 위한 제2 연결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부(210)는 상기 제1 연결부(180)와 함께 경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210)는 상기 제1 연결부(180)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보관함(200)의 타 측면에는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걸림 돌기(191)와 체결되는 잠금걸이(220)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을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보관함(200)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홈부(230)들이 상기 상부 보관함(2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보관함(200)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홀(미도시)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홈부(230)와 미끄럼 방지홀(미도시)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보관함(200)의 양 측면에는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이 건축용 비계 구조물 상에서 발판으로 사용될 때,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는 파 이프(120-1, 120-2)에 올려지기 위한 파이프 걸림홈(2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관함(200)의 내부에는 중앙에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미도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보관함(200)의 내부는 상기 하부 보관함(100)과 같이 파이프를 끼움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는 파이프용 클립(110) 및 비계용 클램프를 보관할 수 있는 클램프 보관함(140) 등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파이프(120-1, 120-2)와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120-1, 120-2)와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들을 가볍고 튼튼한 마그네슘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120-1, 120-2)들을 수납한 상태라 하더라도,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은 건장한 성인이 충분히 들고 운반할 수 있는 무게(약 15 ~ 20 킬로그램)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을 이용하면, 차량에서 작업 장소까지 각 파이프들을 한 사람이 한번에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으므로, 여러 명이 달라붙어 파이프를 운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여러 개의 파이프, 비계용 클램프 등을 하나의 세트로 운반하고 보관할 수 있어 분실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관리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건축용 비계 설치 시,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의 보관함을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작업용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발판을 가지고 다니지 않 아도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이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하부 보관함(100)의 제1 연결부(180)와 상부 보관함(200)의 제2 연결부(210)가 경첩의 형태로 연결 및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 보관함(200)은 상기 제1 연결부(180) 및 제2 연결부(210)를 축으로 회전하여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부 보관함(100)에 보관된 파이프(120-1, 120-2)와 비계용 클램프(130)를 이용하여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보관함(200)을 상기 제1 연결부(180) 및 제2 연결부(210)를 축으로 회전시켜 연 후,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을 상기 파이프(120-1, 120-2)에 함께 걸려지게 하여 상기 건축용 비계 구조물 상에서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 결합 형태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제1 연결부(180)에는 상부 보관함(200)의 제2 연결부(210)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홈(18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부(210)는 상기 삽입홈(183)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부(180)에 끼워지게 되고, 그 후 상기 제2 연결부(210)의 체결홀(211) 및 상기 제1 연결부(180)의 체결홀(181)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 수단(182)을 이용하여 하 부 보관함(100)과 상부 보관함(200)을 결합시킨다.
이 경우, 상기 하부 보관함(100)과 상부 보관함(200)은 건축용 비계 구조물 상에서 발판으로 사용할 때, 서로 별개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a의 경우와 같이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이 경첩의 형태로 연결된 경우는,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이 함께 연결되어 발판으로 사용되지만, 도 2b의 경우와 같이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이 끼움 결합의 형태로 연결된 경우는,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이 별개로 분리되어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중 하부 보관함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하부 보관함을 명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부 보관함도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보관함(100)에는 복수 개의 파이프용 클립(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파이프용 클립(110)에 파이프(120)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하부면에는 작업자가 발판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홈부(160)가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하부 보관함(100)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길이 방향으로 보강부(150)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부(150)는 상기 하부 보관함(100)의 폭 에 따라 여러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파이프용 클립(110)은 개방부(113)가 상기 파이프(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120)가 상기 개방부(113)를 통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이 건축용 비계 구조물에서 발판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파이프(120-1, 120-2)들이 비계용 클램프(130)를 통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은 그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파이프 걸림홈(170, 240)이 상기 길이가 짧은 파이프(120-2)에 각각 걸림 고정되어 작업자를 지지해주는 발판으로 사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요홈부(160, 230)가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어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를 위해 미끄럼 방지홀(미도시)들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파이프(120-1, 120-2),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은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그네슘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건축용 비계 구조물 및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한 발판으로 사용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슘은 철이나 알루미늄보다 가볍기 때문에 운반하는데 많은 힘과 노력을 들일 필요가 없다.
한편, 건축용 비계 구조물에서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을 발판으로 사용할 때,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의 양 측면에 각각 파이프 걸림홈(170, 240)을 형성한 후, 상기 파이프 걸림홈(170, 240)이 상기 길이가 짧은 파이프(120-2)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 이외에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을 상기 파이프(120-2)에 거치시킬 수도 있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 내에 파이프 걸림부(175)를 형성하고,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을 건축용 비계 구조물 상에서 발판으로 사용할 때, 상기 파이프 걸림부(175)를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 밖으로 빼낸 후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는 파이프(120-2)에 걸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파이프 걸림부(175)는 힌지부(177)를 통해 평상시에는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 내에 위치하다가, 발판으로 사용될 때 상기 하부 보관함(100) 및 상부 보관함(200)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이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중 하부 보관함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이 건축용 비계 구조물에서 발판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의 파이프 걸림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부 보관함 110 : 파이프용 클립
120 : 파이프 130 : 비계용 클램프
140 : 클램프 보관함 145 : 격벽
150 : 보강부 160 : 요홈부
170 : 파이프 걸림홈 180 : 제1 연결부
191 : 걸림 돌기 195 : 손잡이
200 : 상부 보관함 210 : 제2 연결부
220 : 잠금걸이 230 : 요홈부
240 : 파이프 걸림홈

Claims (12)

  1.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를 보관하는 하부 보관함; 및
    상기 하부 보관함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보관함과 체결되는 상부 보관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보관함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들이 끼움 결합하여 보관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파이프용 클립과, 상기 복수 개의 비계용 클램프를 수납할 수 있는 클램프 보관함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양 측면에는 상기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에 각각 걸림 고정되어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걸림홈이 형성되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2. 삭제
  3.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 및 비계용 클램프를 보관하는 하부 보관함;
    상기 하부 보관함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보관함과 체결되는 상부 보관함; 및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건축용 비계 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에 각각 걸림 고정되어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보관함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들이 끼움 결합하여 보관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파이프용 클립과, 상기 복수 개의 비계용 클램프를 수납할 수 있는 클램프 보관함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걸림부는,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 내에 위치하다가,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을 발판으로 사용할 때 밖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는 길이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파이프이며,
    상기 클램프 보관함은, 상기 하부 보관함 내부에서, 상기 길이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파이프 중 보다 작은 길이의 파이프를 보관하고 남은 공간에 형성되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가 더 형성되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관함의 하부면 및 상기 상부 보관함의 상부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홈부 더 형성되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관함의 하부면 및 상기 상부 보관함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미끄럼 방지홀들이 더 형성되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일 측면은 경첩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타 측면은 잠금 걸이 및 걸림 돌기를 이용한 잠금 방식으로 체결되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일 측면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보관함 및 상부 보관함의 타 측면은 잠금 걸이 및 걸림 돌기를 이용한 잠금 방식으로 체결되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관함, 상부 보관함 및 파이프는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관함의 내부는,
    상기 하부 보관함과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용 클립 및 클램프 보관함이 더 형성되는,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KR2020080017515U 2008-12-31 2008-12-31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KR200454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515U KR200454872Y1 (ko) 2008-12-31 2008-12-31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515U KR200454872Y1 (ko) 2008-12-31 2008-12-31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97U KR20100007097U (ko) 2010-07-08
KR200454872Y1 true KR200454872Y1 (ko) 2011-08-02

Family

ID=4445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515U KR200454872Y1 (ko) 2008-12-31 2008-12-31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8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9303A1 (en) * 2015-08-08 2017-06-08 Robert Baca Scaffolding pane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25Y1 (ko) * 2006-07-05 2006-10-09 김종선 비계용 발판 구조
KR200433357Y1 (ko) * 2006-09-28 2006-12-11 한전기공주식회사 작업용 장비 보관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25Y1 (ko) * 2006-07-05 2006-10-09 김종선 비계용 발판 구조
KR200433357Y1 (ko) * 2006-09-28 2006-12-11 한전기공주식회사 작업용 장비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97U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477A (en) Collapsible scaffold bracket
JP2010077776A (ja) 仮設補強部材付き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並びにユニット建物の構築工法
US20190390471A1 (en) Rough-in Box for Creating Penetrations in Poured Concrete Flooring and Method of Use
KR200454872Y1 (ko) 발판겸 파이프 보관함
US20200299980A1 (en) Rough-in Box for Creating Penetrations in Poured Concrete Flooring and Method of Use
JP3379813B2 (ja) 吊り足場
JP4456545B2 (ja) バラストタンク補修等用仮設足場装置
CN204728688U (zh) 一种建筑用组合模板
KR102062451B1 (ko)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EP1733107B1 (en) Standing formwork hatches
JP6098966B1 (ja) 大引配置具セット、大引配置具キット及び大引配置工法
JP3069398U (ja) マンホ―ル用梯子
KR200355789Y1 (ko) 건축현장용 폐기물 수거통
JP4456546B2 (ja) バラストタンク補修等用仮設足場装置
JP5677110B2 (ja) 低温液体貯槽の構築方法
JPH0714235Y2 (ja) バルク貨物の収容可能なドライコンテナ
JP2019173337A (ja) 設備機器の設置構造
JP2834060B2 (ja) 建設用折畳み屋根盤
JP5992800B2 (ja) 床付き布わく
KR100717970B1 (ko) 공동주택용 빨래걸이 기능을 구비한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JP2005127079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仮設足場
CN209289239U (zh) 一种简易的圆盘钢筋堆放架
JPS6030760A (ja) 工事用可搬式歩廊
JP2536802Y2 (ja) 建設用雨避盤
KR0119715Y1 (ko) 외부 측벽용 접철식 브라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