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807Y1 - 블로우 성형금형 - Google Patents

블로우 성형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807Y1
KR200453807Y1 KR2020110002417U KR20110002417U KR200453807Y1 KR 200453807 Y1 KR200453807 Y1 KR 200453807Y1 KR 2020110002417 U KR2020110002417 U KR 2020110002417U KR 20110002417 U KR20110002417 U KR 20110002417U KR 200453807 Y1 KR200453807 Y1 KR 200453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molding
blow molding
horizontally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호
안동수
Original Assignee
삼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2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8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50Moulds having cutting or defla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46Sc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로우 성형금형에 관한 것으로, 좌우 한 쌍으로 분할된 수직의 블로우 성형금형의 내측에 압출기의 압출다이를 통해 압출되는 패리슨(Parison)을 성형용기 형상으로 형성하는 성형용기 성형부와; 이 성형부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으로 성형용기 스크랩 수지가 밀려 올라오지 않도록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위치되어 성형용기 스크랩 수지를 차단하는 스크랩 버어 방지바를 포함하는 블로우 성형금형에 있어서, 스크랩 버어 방지바를 수직의 좌측 블로우 성형금형의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각각 1개를 수평으로 돌출설치하고, 수직의 우측 블로우 성형금형의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각각 1개를 수평으로 돌출설치하되, 좌측 2개와 우측 2개의 돌출된 스크랩 버어 방지바가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좌측과 우측 블로우 성형금형이 수평으로 닫힐 때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는 각각의 돌출된 스크랩 버어 방지바가 접촉되어 서로 밀어 하강하면서 닫히도록 각각의 스크랩 버어 방지바의 후단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좌우 블로우 성형금형의 스크랩이 형성되는 성형부의 바닥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오목부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로우 성형금형{Metal mold for blow molding}
본 고안은 성형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하여 중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 용기 또는 화장품 용기 등을 성형하는 블로우 성형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로우 성형은 중공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공정으로서, 압출 블로우 성형, 사출 블로우 성형 및 사출 스트레치 블로우 성형으로 나누어진다.
압출 블로우 성형은 중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 용기 또는 화장품 용기 등을 만드는 성형방식으로서 압출기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가 압출기 끝에 설치된 압출다이를 통하여 압출기에서 수직으로 속이 빈 중공 파이프 모양의 패리슨(Parison)으로 압출되어 하강되면 좌우 한 쌍으로 분할된 수직의 블로우 성형금형이 서로 마주보는 수평방향으로 작동하여 패리슨이 성형금형 내부로 넣어져 닫힌 다음에 블로우 핀으로 공기가 패리슨의 내부로 주입되어 패리슨이 성형금형 형상으로 부풀어져 중공을 갖는 성형용기로 제조되어 냉각되면 성형금형이 수평으로 열려 성형용기가 성형금형에서 떨어져 인출되는 방식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압출 블로우 성형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1(스크랩 가압부재가 구비된 성형용기의 성형금형)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성형시 블로우 성형금형에 의해 패리슨이 성형용기로 성형되면서 성형용기 바닥부에 편평한 형상의 성형용기 스크랩이 형성되는데, 이때, 스크랩 수지가 편평하게 찌그러짐과 동시에 성형부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으로 밀려 올라오게 되면서 성형된 성형용기 바닥부 바로 위의 양측면에 스크랩으로 인해 형성되는 버어(burr)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구성은 특허문헌 1의 도 3과 4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성형부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으로 스크랩 수지가 밀려 올라오지 않도록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위치되어 차단하는 2개의 가압부재와, 이 2개의 가압부재가 설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가압부재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실린더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로 구성되는데, 이 가압부재를 가진 슬라이딩 부재는 좌우 한 쌍으로 분할된 수직의 블로우 성형금형의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하나의 블로우 성형금형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기술구성에 의해 성형시 성형부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으로 올라오는 스크랩 수지가 가압부재에 의해 차단되어 성형용기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에 스크랩으로 인한 버어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로 된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가압부재가 슬라이딩되어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위치되는 것은, 좌우 한 쌍으로 분할된 수직의 블로우 성형금형이 닫힘과 동시에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가압부재가 슬라이딩 수평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때,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하나의 블로우 성형금형에 설치된 가압부재가 반대편 블로우 성형금형에 항상 부딪히게 되면서 충격이 가해지게 됨에 따라 종종 가압부재가 부러짐으로써 금형손상 및 버어의 발생으로 인한 성형용기의 품질불량의 문제점이 있다.
둘째, 슬라이딩 부재가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됨에 따라 공압 또는 유압장치의 구비에 따른 금형제작비용이 상승되고, 좌우 블로우 성형금형이 수평으로 닫히면서 가압부재가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동시동작으로 수평 돌출되어 위치되게 제어되어야 하는데, 실제 이러한 동시동작 제어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음에 따라 특허문헌 1의 버어의 형성을 차단한다는 효과와는 달리 성형용기 바닥부에 스크랩이 형성되면서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에 버어가 발생함으로써 성형용기의 외관불량의 문제점이 있다.
셋째, 특허문헌 1의 도 4에 도시된 바처럼, 가압부재가 성형되는 성형용기의 바닥부 중심의 일측에만 위치되기 때문에 타측으로 스크랩 수지가 밀리면서 버어(burr)가 발생하게 되어 성형용기의 외관불량의 문제점이 있다.
넷째, 특허문헌 1의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가압부재가 성형부의 하단면과 밀착접촉되어 위치되게 구성됨에 따라 가압부재가 슬라이딩 수평돌출되면서 성형부의 하단면과 마찰됨으로써 성형부의 하단면이 손상됨과 아울러서 성형된 성형용기 바닥면도 손상이 가해져 바닥면의 품질이 일정치 않게 됨에 따라 금형손상 및 성형용기의 품질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20-0409749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금형의 내구성 향상 및 성형용기의 품질향상을 이룩할 수 있는 블로우 성형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좌우 한 쌍으로 분할된 수직의 블로우 성형금형의 내측에 압출기의 압출다이를 통해 압출되는 패리슨(Parison)을 성형용기 형상으로 형성하는 성형용기 성형부와; 이 성형부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으로 성형용기 스크랩 수지가 밀려 올라오지 않도록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위치되어 성형용기 스크랩 수지를 차단하는 스크랩 버어 방지바를 포함하는 블로우 성형금형에 있어서, 스크랩 버어 방지바를 수직의 좌측 블로우 성형금형의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각각 1개를 수평으로 돌출설치하고, 수직의 우측 블로우 성형금형의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각각 1개를 수평으로 돌출설치하되, 좌측 2개와 우측 2개의 돌출된 스크랩 버어 방지바가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좌측과 우측 블로우 성형금형이 수평으로 닫힐 때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는 각각의 돌출된 스크랩 버어 방지바가 접촉되어 서로 밀어 하강하면서 닫히도록 각각의 스크랩 버어 방지바의 후단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좌우 블로우 성형금형의 스크랩이 형성되는 성형부의 바닥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오목부를 각각 형성한 블로우 성형금형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블로우 성형금형에 있어서, 스크랩 버어 방지바를 성형부의 하단면과 이격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구성처럼 블로우 성형금형이 열리고 닫힐 때 스크랩 버어 방지바가 스프링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면서 자동적으로 돌출 하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크랩 버어 방지바가 충격에 의해 부러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성형용기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고, 유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로 된 슬라이딩 부재가 필요 없으므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좌우 블로우 성형금형에 스크랩 버어 방지바를 설치하고, 성형부의 바닥 하단부(스크랩 형성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며, 스크랩 버어 방지바가 성형부 하단면과 접촉되지 않게 이격시킴으로써 성형용기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에 버어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어 성형용기의 외관불량의 문제가 해결됨과 동시에 금형의 내구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열린상태의 일측 블로우 성형금형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열려진 좌/우측 블로우 성형금형의 스크랩 버어 방지바의 기술구성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도 2의 닫혀진 좌/우측 블로우 성형금형의 스크랩 버어 방지바의 기술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구성을 상술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블로우 성형금형은 서로 마주보면서 열려지고 닫혀지는 좌우 한쌍으로 분할된 수직의 블로우 성형금형으로 구성되는데, 성형용기 성형부와 스크랩 버어 방지바를 포함한다. 성형용기 성형부는 분할된 성형금형이 닫혔을 때 압출기의 압출다이를 통해 압출되는 패리슨(parison)을 성형용기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성형금형 내측에 형성되고, 스크랩 버어 방지바는 성형부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으로 스크랩 수지가 밀려 올라오지 않도록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위치되어 스크랩 수지를 차단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블로우 성형금형에 있어서, 본 고안의 특징은 도 2처럼 스크랩 버어 방지바(11)를 수직의 좌측 블로우 성형금형(10)의 성형부(13)의 하단면 양측에 각각 1개를 성형금형의 내측 수직면에서 수평으로 돌출설치하고, 수직의 우측 블로우 성형금형(20)의 성형부(23)의 하단면 양측에 각각 1개를 성형금형의 내측 수직면에서 수평으로 돌출설치하되, 좌측 2개와 우측 2개의 돌출된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게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처럼 종래의 특허문헌 1과 달리 성형부(13)(23)의 하단면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와 3처럼 좌측 블로우 성형금형(10)과 우측 블로우 성형금형(20)이 수평으로 닫힐 때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는 각각의 돌출된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서로 접촉되어 밀어 하강하면서 닫히도록 각각의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의 후단에 스프링(14)(24)을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이 스프링(14)(24)은 도 3처럼 블로우 성형금형이 닫히면 압축되고, 도 2처럼 블로우 성형금형이 열리면 인장되어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를 돌출시킨다.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에 의해 도 2처럼 좌/우측 블로우 성형금형(10)(20)이 열려져서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수평으로 돌출되어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압출기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가 압출기의 압출다이를 통하여 압출기에서 수직으로 속이 빈 중공 파이프 모양의 패리슨(Parison)으로 압출되어 하강되면 도 3처럼 좌/우측 블로우 성형금형(10)(20)이 서로 마주보면서 이동하여 패리슨을 성형부(13)(23) 내로 감싸면서 닫히게 된다.
이때, 좌/우측 블로우 성형금형(10)(20)이 닫힘과 동시에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고 있던 좌/우측의 돌출된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서로 접촉되면서 서로 밀려 후진하강되는데, 스프링(14)(24)이 접촉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압축되어 후진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스프링(14)(24)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면서 작동됨에 따라 종래 첫째 문제점인 가압부재에 해당하는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충격에 의해 부러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종래 둘째 문제점인 유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로 된 슬라이딩 부재가 필요 없으므로 금형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종래처럼 성형금형이 닫힘과 동시에 가압부재에 해당하는 본 고안의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를 돌출제어할 필요없이 성형금형이 닫히면서 자동적으로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성형부의 하단면 일측과 타측에서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위치되므로 양측에서 스크랩 수지가 성형부(13)(23)의 바닥부 양측으로 밀려 올라오지 못하게 됨으로써 성형용기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에 버어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어 종래 셋째 문제점인 성형용기의 외관불량의 문제도 동시에 해결되게 된다.
한편, 도 2와 3에서처럼 좌우 블로우 성형금형(10)(20)의 스크랩이 형성되는 성형부(13)(23)의 바닥 하단부(스크랩 형성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오목부(12)(22)가 각각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좌우 한 쌍의 블로우 성형금형에 의해 패리슨(parison)이 성형용기로 성형되면서 성형용기 바닥부에 편평한 형상의 성형용기 스크랩이 형성될 때, 스크랩 수지가 편평하게 찌그러짐과 동시에 성형부(13)(23)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지만, 이 밀려 올라오는 스크랩 수지가 밀려 올라가지 않고 본 고안의 오목부(12)(22)에 채워지게 되어 본 고안의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도 1처럼 종래의 특허문헌 1의 가압부재와 달리 성형부(13)(23)의 하단면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격된 틈을 통해 스크랩 수지가 밀려 올라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버어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종래 넷째 문제점인 성형부의 하단면과 가압부재에 해당하는 스크랩 버어 방지바의 마찰로 인한 금형손상 및 품질불량이 해결되어 금형내구성 향상 및 품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처럼 본 고안은 블로우 성형금형이 열리고 닫힐 때 스크랩 버어 방지바가 스프링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면서 자동적으로 돌출 하강하도록 구성하고, 성형부의 바닥 하단부(스크랩 형성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며, 스크랩 버어 방지바가 성형부 하단면과 접촉되지 않게 이격시킴으로써 금형의 내구성 향상 및 성형용기의 품질향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0 : 좌측 블로우 성형금형 11,12 : 스크랩 버어 방지바
12,22 : 오목부 13,23 : 성형부
14,24 : 스프링 20 : 우측 블로우 성형금형

Claims (2)

  1. 좌우 한 쌍으로 분할된 수직의 블로우 성형금형의 내측에 압출기의 압출다이를 통해 압출되는 패리슨(Parison)을 성형용기 형상으로 형성하는 성형용기 성형부와; 이 성형부 바닥부의 바로 위의 양측면으로 성형용기 스크랩 수지가 밀려 올라오지 않도록 성형부의 하단면 양측에 위치되어 성형용기 스크랩 수지를 차단하는 스크랩 버어 방지바를 포함하는 블로우 성형금형에 있어서,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를 수직의 좌측 블로우 성형금형(10)의 성형부(13)의 하단면 양측에 각각 1개를 수평으로 돌출설치하고, 수직의 우측 블로우 성형금형(20)의 성형부(23)의 하단면 양측에 각각 1개를 수평으로 돌출설치하되, 좌측 2개와 우측 2개의 돌출된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좌측과 우측 블로우 성형금형(10)(20)이 수평으로 닫힐 때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수평으로 마주보는 각각의 돌출된 스크랩 버어 방지바(11)(21)가 서로 접촉되어 서로 밀어 하강하면서 닫히도록 각각의 스크랩 버어 방지바의 후단에 스프링(14)(24)을 설치하고, 좌우 블로우 성형금형의 스크랩이 형성되는 성형부의 바닥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오목부(12)(22)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크랩 버어 방지바를 성형부(13)(23)의 하단면과 이격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 성형금형.
KR2020110002417U 2011-03-23 2011-03-23 블로우 성형금형 KR200453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417U KR200453807Y1 (ko) 2011-03-23 2011-03-23 블로우 성형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417U KR200453807Y1 (ko) 2011-03-23 2011-03-23 블로우 성형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807Y1 true KR200453807Y1 (ko) 2011-05-26

Family

ID=4448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417U KR200453807Y1 (ko) 2011-03-23 2011-03-23 블로우 성형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80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740A (ja) * 1992-09-10 1994-04-05 Ritsuchieru:Kk ブロー成形機の金型
JPH06210713A (ja) * 1993-01-19 1994-08-02 Ube Ind Ltd ブロー成形機のバリ除去装置
JPH09262902A (ja) * 1996-03-29 1997-10-07 Kao Corp ブロー成型用金型
KR20040009749A (ko) * 2002-07-25 2004-01-31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9749Y1 (ko) 2005-12-14 2006-02-24 (주)우성플라테크 스크랩 가압부재가 구비된 성형용기의 성형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740A (ja) * 1992-09-10 1994-04-05 Ritsuchieru:Kk ブロー成形機の金型
JPH06210713A (ja) * 1993-01-19 1994-08-02 Ube Ind Ltd ブロー成形機のバリ除去装置
JPH09262902A (ja) * 1996-03-29 1997-10-07 Kao Corp ブロー成型用金型
KR20040009749A (ko) * 2002-07-25 2004-01-31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9749Y1 (ko) 2005-12-14 2006-02-24 (주)우성플라테크 스크랩 가압부재가 구비된 성형용기의 성형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137B2 (en) Method for producing plastic lens
US8529244B2 (en) Injection mold
CN105500639A (zh) 一种可实现多方向抽芯的机构和抽芯方法
CN205692806U (zh) 用于多排连续充填mgp模封半导体的去胶机
CN213353364U (zh) 一种具有油缸顶出机构的塑料模具
KR200453807Y1 (ko) 블로우 성형금형
KR101600500B1 (ko) 사이드 게이트의 자동절단 및 성형물의 취출을 위한 사출 금형장치
CN204183814U (zh) 注塑成型模具
CN205326174U (zh) 一种可实现多方向抽芯的机构
CN111497159A (zh) 一种肘杆外翻式锁模机构及注塑机
CN214360976U (zh) 玻璃制品吹制模具的自动开合装置
CN106863715B (zh) 一种双色模具
CN215396622U (zh) 显示屏胶框注塑模具
CN104309081A (zh) 一种注塑成型机
CN210047016U (zh) 一种注塑模具三级行位出模结构
JP4806043B2 (ja) 射出成形金型
KR20150090608A (ko) 런너의 자동 분리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KR101456999B1 (ko) 웰드라인 없이 성형제품의 일면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 제어방법
JP2006248055A (ja) 射出成形金型の2段突き出し機構
CN206999503U (zh) 一种空调外机架护具的注塑模具
CN105437478A (zh) 笔记本电池外壳的精密模具
CN205969750U (zh) 一种碎纸机壳体注塑模具
CN213412764U (zh) 一种注塑设备物料成型注塑模具
KR20140082309A (ko) 사출 금형
CN219133055U (zh) 塑料盖板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