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334Y1 -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 Google Patents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334Y1
KR200453334Y1 KR2020100006558U KR20100006558U KR200453334Y1 KR 200453334 Y1 KR200453334 Y1 KR 200453334Y1 KR 2020100006558 U KR2020100006558 U KR 2020100006558U KR 20100006558 U KR20100006558 U KR 20100006558U KR 200453334 Y1 KR200453334 Y1 KR 200453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sink
top plate
upper plate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석
송재헌
Original Assignee
(주) 명지에프앤비
송재헌
박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명지에프앤비, 송재헌, 박금석 filed Critical (주) 명지에프앤비
Priority to KR2020100006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3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8Tops specially designed for working 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싱크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개수대 및 상면에 관통 형성되며 가스레인지가 설치되는 설치공 중 적어도 하나와, 전면에 관통 형성된 출입공을 가지는 상판 본체; 상판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 및 상판 본체의 전면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출입공을 통하여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판 본체에 결합되는 조리대겸용 식탁; 및 상판 본체에 결합되며, 상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판 본체의 하방 및 지지체의 전방 사이에는, 휠체어나 전동차의 일부 또는 휠체어나 전동차에 앉은 사람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Top board unit of a sink and sink having it}
본 고안은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엌에 설치되어 조리할 재료를 다듬거나 씻거나, 조리하거나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개수대와 작업대가 형성된 싱크대 상판과, 각종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부엌 가구이다. 이러한 싱크대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싱크대(100')는 복수의 수납장(30')과, 수납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상판(10') 및 제2상판(15')을 포함한다. 제1상판(10') 및 제2상판(15')은 각각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1상판(10')에는 개수대(111')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2상판(15')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각종 조리 작업이 이루어진다. 제1상판(10') 및 제2상판(15')은 한 쌍의 수납장(30')의 상면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하나의 수납장(30')은 다른 수납장들(30') 보다 낮게 형성되며, 이 수납장(30')에는 가스레인지(40')가 놓여진다. 그리고, 싱크대(100')의 전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싱크대는 장애인이나 노인이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휠체어나 장애인 전동차에 앉아서 생활하는 장애인이나 노인이 싱크대에 접근하면, 장애인이나 노인의 다리가 싱크대(100')의 전면에 먼저 닿게 되어 그 상체를 싱크대(100')에 밀착할 수 없게 되므로, 조리 등의 각종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1상판(10') 및 제2상판(15')이 각각 한 쌍의 수납장(30')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제작이 복잡하다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가스레인지(40')가 놓여지는 수납장(30')이 별도로 더 필요하게 되어 부엌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애인이나 노인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제작도 용이한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상판 조립체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개수대 및 상기 상면에 관통 형성되며 가스레인지가 설치되는 설치공 중 적어도 하나와, 전면에 관통 형성된 출입공을 가지는 상판 본체; 및 상기 상판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 및 상기 상판 본체의 전면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상기 출입공을 통하여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 본체에 결합되는 조리대겸용 식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 본체의 전면에는 콘센트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개수대 및 상기 상면에 관통 형성되며 가스레인지가 설치되는 설치공 중 적어도 하나와, 전면에 관통 형성된 출입공을 가지는 상판 본체; 상기 상판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 및 상기 상판 본체의 전면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상기 출입공을 통하여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 본체에 결합되는 조리대겸용 식탁; 및 상기 상판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 본체의 하방 및 상기 지지체의 전방 사이에는, 휠체어나 전동차의 일부 또는 휠체어나 전동차에 앉은 사람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싱크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므로, 장애인이나 노인 등의 좌식 생활자라 하더라도 별 불편함 없이 싱크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판 본체의 전면에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좌식 생활자가 불편함 없이 각종 주방용 전기용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리대겸용 식탁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부엌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판 본체에 가스레인지 설치공 및 개수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납장의 상부에 결합하기만 하면 싱크대 제작이 완료된다. 따라서 싱크대 제작이 종래에 비해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싱크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100)는 상판 본체(10)와, 조리대겸용 식탁(20)과, 지지체(30)를 구비한다.
상판 본체(10)는 전체적으로 상면(11), 저면(12) 및 상면 및 저면을 연결하는 4개의 측면(13)을 포함하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판 본체(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판 본체(10)는 금속 소재,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다. 상판 본체(10)에는 개수대(111), 설치공(112) 및 출입공(131)이 형성된다.
개수대(111)는 상판 본체(10)의 상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개수대(111)는 설거지나 식재료를 다듬는 공간을 말한다. 개수대(111)의 바닥에는 배수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된다.
설치공(112)은 상판 본체의 상면(11)에 관통 형성된다. 설치공(112)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설치공(112)은 가스레인지(4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가스레인지(40)는 설치공(112)의 주변에 접촉 지지되는 접촉지지판(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냄비(50)가 가스레인지(40)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출입공(131)은 상판 본체의 전면(13)에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판 본체의 전면은 4개의 측면 중의 하나로서 도 4에 도시된 측면(13)을 지시한다. 출입공(131)은 조리대겸용 식탁이 출입하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상판 본체의 전면(13)에는 하나 이상의 콘센트(132)가 설치된다. 콘센트(132)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엌에서 전기밥솥, 전기후라이팬 및 전기믹서 등의 주방용품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콘센트(132)에는 부엌 벽면의 콘센트와 연결된 전선(미도시)이 연결된다.
조리대겸용 식탁(20)은 금속 소재 또는 합성수지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조리대겸용 식탁(20)은 출입공(131)을 통해 상판 본체(10)의 내부에 수납되기도 하며 상판 본체의 전면(13)에 대해 돌출되기도 한다. 즉, 조리대겸용 식탁(20)은 도 4에 도시된 수납위치 및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돌출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리대겸용 식탁(20)의 직선이동은 공지의 가이드구조, 예를 들어 조리대겸용 식탁에 형성된 가이드돌출부(미도시) 및 상판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부(미도시)의 구조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러한 가이드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리대겸용 식탁(20)은 사용 전에는 수납위치에 배치되며, 사용을 위해서는 돌출위치에 배치된다. 조리대겸용 식탁(20)은 식탁으로 사용 가능하며, 각종 부엌용품이나 식자재를 올려 놓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지지체(30)는 상판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엌 바닥면에 설치된다. 지지체(30)는 상판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그 형태나 기능에 무관하나,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수납장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싱크대(100)에는 장애인이나 노인 등 좌식 생활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삽입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삽입공간(35)은 상판 본체(10)의 하방 및 지지체(30)의 전방에 형성된다. 삽입공간(35)에는 휠체어나 장애인 전동차의 일부분, 예를 들어 팔걸이나 바퀴 일부분이 삽입된다. 특히, 삽입공간(35)은 휠체어의 팔걸이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삽입공간(35)이 형성되면, 휠체어나 장애인 전동차에 앉은 장애인이나 노인의 다리부분이 삽입공간(35)에 배치될 수 있게 되므로, 장애인이나 노인의 상체가 상판 본체의 전면(13)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판 본체(10)의 구석구석까지 접근이 가능하게 되어 개수대(111)에서의 작업이나 가스레인지(40)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싱크대(100)에 있어서는, 싱크대에 삽입공간(35)이 형성되므로, 장애인이나 노인 등과 같이 휠체어나 장애인 전동차에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 생활자라 하더라도 별 불편함 없이 싱크대 상판 본체(10) 구석구석까지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좌식 생활자의 상체가 상판 본체(10)에 밀착 가능하여, 개수대(111)에서의 세척이나 설거지 등의 작업이나 가스레인지(40)의 사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판 본체(10)의 전면(13)에 콘센트(13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좌식 생활자가 불편함 없이 각종 주방용 전기용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콘센트는 부엌 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싱크대에는 별도의 콘센트가 구비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판 본체(10)에, 그것도 상판 본체의 전면(13)에 콘센트(132)가 설치되면, 휠체어 생활을 하는 장애인으로서는 부엌 벽면의 콘센트가 아니라 상판 본체의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주방용 전기용품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리대겸용 식탁(20)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부엌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판 본체(10)에 가스레인지 설치공(112) 및 개수대(1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복수의 상판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판 본체(10)를 지지체(30), 즉 수납장의 상부에 결합하기만 하면 싱크대 제작이 완료되므로 싱크대(100) 제작이 종래에 비해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상판 본체 11...상면
12...저면 13...측면
20...조리대겸용 식탁 30...지지체
40...가스레인지 41...접촉지지판
100...싱크대 111...개수대
112...설치공 131...출입공
132...콘센트

Claims (3)

  1.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개수대와, 상기 상면에 관통 형성되며 가스레인지가 설치되는 설치공과, 전면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설치공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출입공을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상의 상판 본체;
    상기 상판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 및 상기 상판 본체의 전면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상기 출입공을 통하여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 본체에 결합되는 조리대겸용 식탁; 및
    상기 상판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콘센트;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공에는 상기 가스레인지의 일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상판 본체의 상면 중 상기 설치공 주위의 부분은 상기 가스레인지의 접촉지지판과 접촉하며,
    상기 개수대는 상기 개수대의 저면이 상기 상판 본체의 전면에 가려져서 상기 상판 본체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상판 조립체.
  2. 삭제
  3.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개수대와, 상기 상면에 관통 형성되며 가스레인지가 설치되는 설치공과, 전면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설치공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출입공을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상의 상판 본체;
    상기 상판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 및 상기 상판 본체의 전면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서 상기 출입공을 통하여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 본체에 결합되는 조리대겸용 식탁;
    상기 상판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콘센트; 및
    상기 상판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 본체를 지지하며,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공에는 상기 가스레인지의 일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상판 본체의 상면 중 상기 설치공 주위의 부분은 상기 가스레인지의 접촉지지판과 접촉하며,
    상기 개수대는 상기 개수대의 저면이 상기 상판 본체의 전면에 가려져서 상기 상판 본체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판 본체의 하방 및 상기 지지체의 전방 사이에는, 휠체어나 전동차의 일부 또는 휠체어나 전동차에 앉은 사람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KR2020100006558U 2010-06-22 2010-06-22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200453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558U KR200453334Y1 (ko) 2010-06-22 2010-06-22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558U KR200453334Y1 (ko) 2010-06-22 2010-06-22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334Y1 true KR200453334Y1 (ko) 2011-04-27

Family

ID=4424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558U KR200453334Y1 (ko) 2010-06-22 2010-06-22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345A (ko) * 2019-02-25 2020-09-02 소응섭 벽면 고정식 상판과 인출식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991Y1 (ko) * 2001-03-02 2001-09-28 홍승호 좌식용 부엌 가구
KR200274216Y1 (ko) * 2002-01-22 2002-05-06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주방가구용 조리대
JP2005176920A (ja) * 2003-12-16 2005-07-07 Seiichi Mori ユニットケア用配膳車及びこれを用いたユニットケア方法
KR200429205Y1 (ko) * 2006-08-04 2006-10-18 정대하 그을림 방지 받침대가 설치된 싱크대 상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991Y1 (ko) * 2001-03-02 2001-09-28 홍승호 좌식용 부엌 가구
KR200274216Y1 (ko) * 2002-01-22 2002-05-06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주방가구용 조리대
JP2005176920A (ja) * 2003-12-16 2005-07-07 Seiichi Mori ユニットケア用配膳車及びこれを用いたユニットケア方法
KR200429205Y1 (ko) * 2006-08-04 2006-10-18 정대하 그을림 방지 받침대가 설치된 싱크대 상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345A (ko) * 2019-02-25 2020-09-02 소응섭 벽면 고정식 상판과 인출식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
KR102220131B1 (ko) 2019-02-25 2021-02-25 소응섭 벽면 고정식 상판과 인출식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334Y1 (ko) 싱크대 상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JP2023179663A (ja) 食卓付き調理台及び集合住宅の間取り構造
AU2003258633A1 (en) Dishwasher,particularly for fitted kitchens
JP497478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CN205144490U (zh) 洗碗机
KR20060098799A (ko) 조리기기 겸용 식기세척기
KR20070008789A (ko) 도마 걸이대
JP2007229022A (ja) 間仕切りカウンター
JP2019050842A (ja) 対面式調理台
JP2009142423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ー
JP2001008753A (ja) 厨房家具用キャビネット
CN214905054U (zh) 一种带有水槽的烹饪中心
JP2019193689A (ja) 厨房台
JP2020078404A (ja) カウンターユニット
JP2017164460A (ja) 洗面化粧ユニット
JPH05130919A (ja) アイランドキツチン
JP2548675Y2 (ja) 流し台
JP7437917B2 (ja) 洗面台及び洗面台の施工方法
JP5147310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3050003U (ja) キッチンテーブル
JP5110936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200304950Y1 (ko) 서랍식 수납구조의 적용이 가능한 싱크대
JP2017140352A (ja) 対面式厨房装置
KR101001036B1 (ko) 식기세척기
KR101250762B1 (ko)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