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773Y1 -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773Y1
KR200451773Y1 KR2020100008669U KR20100008669U KR200451773Y1 KR 200451773 Y1 KR200451773 Y1 KR 200451773Y1 KR 2020100008669 U KR2020100008669 U KR 2020100008669U KR 20100008669 U KR20100008669 U KR 20100008669U KR 200451773 Y1 KR200451773 Y1 KR 200451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unit
moving object
ligh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삼
허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삼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삼,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filed Critical 김종삼
Priority to KR2020100008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7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주차장 내에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물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지하주차장 내에 사각지역을 포함한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와 영상촬영부의 영상신호로 이동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내장된 알고리즘의 수행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스위칭되어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LED상시등, LED유도등 및 LED주차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칭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스위칭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전압/전류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영상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LED조명등의 적용으로 전력 소모가 적어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차량이나 보행자 등의 이동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LED조명등이 점등되어 지하주차장 이용에 편의를 향상시키며,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면 주차 유도와 동시에 주차 가능한 영역을 알려주어 주차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보행자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LED조명등의 조도 조절과 감시카메라의 촬영 및 저장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하주차장의 조명 제어 효과와 보안 및 방범 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 Lighting of Underground Parking Lot}
본 고안은 지하주차장의 조명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조명을 이동물체의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켜 소모 전력을 절감하고 지하주차장 조명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자동차를 주차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설비를 갖춘 장소이다. 주차란 자동차가 승객을 기다리거나, 화물의 하역작업, 그 밖의 사유로 계속적으로 정차하는 것, 또는 당해 운전자가 그 차로부터 떠나서 즉시 운전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주차장법에 의하면 주차장은 다음과 같은 세 종류가 있다. 첫째, 노상에 마련된 주차장으로 주차장 정비지구 내의 도로 노면에 일정한 구역을 정하고 설치하는 주차용 시설로서, 일반 공공용으로 이용된다. 둘째, 노외에 마련된 주차장은 도로의 노면 이외에 설치하는 주차시설로서 일반 공공용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셋째, 부설된 주차장으로 건축물, 골프연습장, 기타 주차수요를 유발하는 시설에 붙여 설치된 주차장으로 주로 백화점이나 빌딩의 지하 등에 있다. 자가용차의 주차는 개인 차고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나,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으로 심한 주차난을 겪고 있다. 자가용 차고가 없는 자동차가 많은 데다, 또 상점가나 오피스가 등에서도 주차장이나 차고가 적기 때문에 노상주차가 많은 실정이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증가에 따른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도로교통의 정체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빌딩이나 아파트 등 인구밀집지역은 노상보다는 지하에 주차장을 마련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지하주차장은 노상에 마련된 주차장보다 대지의 활용도가 높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환경오염이 다소 덜한 편이다. 그러나 지하주차장은 주간이나 야간에도 보행자나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적절한 조명을 필요로 한다. 지하주차장의 조명은 보행자나 차량의 출입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 조도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지하주차장은 보안 및 방범에 취약하여 각종 범죄의 발생률이 높은 실정이다. 보안 및 방범을 위하여 지하주차장에 방범용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지만,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조명이 일정 조도 이하이거나 아예 조명이 설치되지 않은 구역 등에서는 방범용 카메라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시설인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조명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지하주차장에서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과 차량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유도하고, 지하주차장의 보안 및 방범을 강화하고 지하주차장의 이용에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하주차장 내에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물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지하주차장 내에 사각지역을 포함한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와 영상촬영부의 영상신호로 이동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내장된 알고리즘의 수행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스위칭되어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LED상시등, LED유도등 및 LED주차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칭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스위칭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전압/전류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영상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은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하여, LED조명등의 적용으로 전력 소모가 적어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차량이나 보행자 등의 이동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LED조명등이 점등되어 지하주차장 이용에 편의를 향상시키며,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면 주차 유도와 동시에 주차 가능한 영역을 알려주어 주차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보행자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LED조명등의 조도 조절과 감시카메라의 촬영 및 저장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하주차장의 조명 제어 효과와 보안 및 방범 효과를 극대화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주차장의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LED조명등이 차량이나 사람 등의 이동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되도록 하여 지하주차장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하주차장에는 차량이 출입하는 출입구와 사람이 출입하는 출입구가 구비되어 있다. 차량이 출입하는 출입구는 출입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입구와 출구가 별도로 나누어져 설치된다. 그리고 사람이 출입하는 출입구는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엘리베이터 등이 포함된다.
본 고안의 지하주차장에는 LED(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이 설치된다. LED조명등은 지하주차장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된다. 도 1에서, LED조명등은 지하주차장 내부를 조명하기 위하여 항상 점등되는 LED상시등(32)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LED상시등(32)은 지하주차장 내부의 사물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일정 조도 이상의 기본적인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출입구를 향하여 출입하는 보행자나 차량을 유도하기 위한 LED유도등(30)이 설치된다. LED유도등(30)은 차량이나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물체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의 LED유도등(30)이 동시에 점등 및 소등되어 이동물체의 이동에 일정 조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동물체의 중심에 해당하는 LED유도등(30)은 설정된 가장 밝은 조도로 점등되고, 주변의 LED유도등(30)은 설정된 일정 조도 이하로 점등되도록 하여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LED주차등(34)은 지하주차장의 주차 위치의 일정 영역을 조명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LED주차등(34)은 주차 영역의 상부의 천장이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LED주차등(34)을 점멸시켜 원거리에서도 주차가 가능한 위치의 주차 영역을 보다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LED주차등(34)은 다양한 색상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가 가능한 영역의 시인성을 극대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센서부(10)는 주차장 내에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물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8)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부(10)는 이동물체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11),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12), 주차가 가능한 위치의 주차 영역을 감지하는 주차영역센서(13), 그리고 상기 LED상시등(32), LED유도등(30) 및 LED주차등(34)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4)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11)는 이동물체, 특히 보행자나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 중에서 적외선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조도센서(14)는 LED상시등(32), LED유도등(30) 및 LED주차등(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등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것이다.
영상촬영부(16)는 지하주차장 내에 사각지역을 포함한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보안이나 방범을 위한 감시카메라를 포함한다. 즉 영상촬영부(16)는 지하주차장에서 차량 출입구와 보행자 출입구 및 차량과 보행자가 이동하는 영역에서 모든 움직임을 촬영할 뿐만 아니라, 사각지역, 즉 코너나 기둥에 가려지는 영역 등에 설치된다. 영상촬영부(16)는 고정된 카메라이거나 회전(pan), 줌(zoom), 기울기(tilt) 등이 가능한 카메라가 포함된다.
제어부(18)는 상기 센서부(10)의 감지신호와 영상촬영부(16)의 영상신호로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내장된 알고리즘의 수행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제어부(18)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적용된다. 제어부(18)는 컨트롤박스 등에 내장되고, 경비실이나 중앙상황실 등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부(18)는 이동물체와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30)의 점등과 동시에 해당 LED유도등(30)으로부터 인접한 LED유도등을 동시에 점등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8)는 이동물체와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30)으로부터 인접한 LED유도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8)는 영상촬영부(16)에서 입력된 영상신호 중에서 센서부(10)에서 이동물체의 감지 이전의 영상과 이동물체의 감지 이후의 영상을 비교하여 이동물체의 크기, 속도, 색상, 방향을 비교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는 LED상시등(32) 및 LED주차등(34)을 LED유도등(30)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LED상시등(32), LED주차등(34) 및 LED유도등(30)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출력부(20)는 제어부(18)의 제어로 영상촬영부(16)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영상출력부(20)는 영상촬영부(16)의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출력한다. 저장장치(24)는 영상출력부(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 저장하는 것으로, 저장장치(24)는 하드디스크나 플래시메모리, ROM, RAM, EEPROM 등 다양한 종류의 대용량의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모니터(22)는 영상출력부(2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영상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영상촬영부(16)의 감시카메라의 모든 영상을 멀티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스위칭부(28)는 상기 제어부(18)의 제어신호로 스위칭되어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LED상시등(32), LED유도등(30) 및 LED주차등(34)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이다. 전압/전류제어부(26)는 제어부(18)의 제어신호로 스위칭부(28)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다. 전압/전류제어부(26)는 입력된 교류전원(AC)을 제어부(18)의 제어신호로 일정 크기의 직류전원(DC)로 변환한 다음에 일정 크기의 전압 및 전류를 스위칭부(28)를 통해 LED유도등(30), LED상시등(32) 및 LED주차등(34)에 인가시키는 것이다.
전원공급부(36)는 상기 센서부(10), 영상촬영부(16), 제어부(18), 영상출력부(20), 모니터(22), 저장장치(24), 스위칭부(28) 및 전압/전류제어부(26) 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교류전원을 직접 인가하거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인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전원공급부(36)는 비상용 배터리나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의 제어부(18)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적인 알고리즘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지하주차장 내에는 통상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LED상시등(32)이 점등되어 있다(S10). LED상시등(32)은 주간이나 야간에 따라 외부의 밝기에 대응하는 조도로 점등된다.
지하주차장의 출입구, 즉 차량 출입구나 보행자 출입구에 설치된 센서부(10)에서 이동물체를 감지한다(S11). 즉 차량 출입구에서 차량이 진입하거나 보행자 출입구에 보행자가 나타났을 때에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센서부(10)의 적외선센서(11)나 모션센서(12)는 출현한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8)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8)는 센서부(1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로 이동물체가 차량인지 보행자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8)는 센서부(10)를 통해 감지된 이동물체가 차량인 경우에 감지된 차량과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30)이 점등되도록 스위칭부(28)를 제어한다(S12). 그리고 센서부(10)는 차량의 움직임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계속 감지가 이루어진다. 제어부(18)는 조도센서(14)로부터 상기 점등된 LED유도등(30)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조도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13). 제어부(18)는 조도센서(14)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설정된 조도 이하이면 LED유도등(30)으로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정상 조도가 되도록 전압/전류제어부(26)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S17). 그리고 제어부(18)는 해당하는 LED유도등(30)의 조도가 설정 조도 이하일 경우에 전압/전류제어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8). 이때, 제어부(18)의 설정된 회수만큼 전압/전류제어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8). 그러나 제어부(18)의 제어에도 불구하고 LED유도등(30)이 설정된 일정 조도 이상이 되지 않으면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19). 경고신호는 모니터를 통하거나 별도로 설치된 스피커 등을 통해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LED유도등(30)의 점등과 동시에 이동물체, 즉 차량의 움직임을 따라 영상촬영부(16)의 카메라가 이동물체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S14). 카메라는 차량을 따라 이동하여도 좋지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카메라가 이동 차량을 계속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18)는 센서부(10)의 감지에 의하여 영상촬영부(16)의 해당하는 카메라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8)는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차량과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30)이 점등되도록 하여 차량의 이동과 주차를 유도한다(S15). 그리고 제어부(18)는 이동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물체와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30)의 밝기를 인접한 LED유도등(30)보다 밝은 조도로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8)는 이동물체가 차량인 경우에는 주차가 가능한 영역에 설치된 LED주차등(34)을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S16). 즉 제어부(18)는 차량이 지하주차장에 진입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영역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는 제어부(18)가 주차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지를 지속적으로 감지 및 판단하여 주차가 가능한 영역을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시인성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의 LED조명등이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주차 영역에 주차를 완료한 후에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하여 보행자 출입구, 즉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할 때에 센서부(10)의 감지신호로 해당하는 LED유도등(30)이 점등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단계(S11)에서, 감지된 이동물체가 보행자인 경우에는 보행자의 이동방향으로 LED유도등(30)이 점등되도록 한다(S20). 제어부(18)는 센서부(10)를 통해 감지된 이동물체가 보행자인 경우에 감지된 보행자와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30)이 점등되도록 스위칭부(28)를 제어한다. 그리고 센서부(10)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계속 감지가 이루어진다. 제어부(18)는 조도센서(14)로부터 상기 점등된 LED유도등(30)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조도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21). 제어부(18)는 조도센서(14)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설정된 조도 이하이면 LED유도등(30)으로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정상 조도가 되도록 전압/전류제어부(26)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S17). 그리고 제어부(18)는 해당하는 LED유도등(30)의 조도가 설정 조도 이하일 경우에 전압/전류제어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8). 이때, 제어부(18)의 설정된 회수만큼 전압/전류제어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8). 그러나 제어부(18)의 제어에도 불구하고 LED유도등(30)이 설정된 일정 조도 이상이 되지 않으면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19). 경고신호는 모니터를 통하거나 별도로 설치된 스피커 등을 통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LED유도등(30)의 점등과 동시에 이동물체, 즉 보행자의 움직임을 따라 영상촬영부(16)의 카메라가 이동물체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S22). 카메라는 보행자를 따라 이동하여도 좋지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카메라가 이동하는 보행자를 계속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18)는 센서부(10)의 감지에 의하여 영상촬영부(16)의 해당하는 카메라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부(18)는 보행자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차량과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30)이 점등되도록 하여 보행자의 이동을 유도한다(S23).
제어부(18)는 이동물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물체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LED유도등(30)이 가장 밝은 조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주변을 갈수록 낮은 조도가 되도록하며, 일정 시간동안 이동물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소등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8)의 제어로 지하주차장에 진출입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시카메라로 촬영하고 저장하도록 하여 지하주차장에서 치안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방범 및 보안을 겸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과 보행자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일정 조도 이상으로 LED유도등의 점등과 주변을 밝혀 주어 보다 향상된 시인성을 제공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센서부 11: 적외선센서
12: 모션센서 13: 주차영역센서
14: 조도센서 16: 영상촬영부
18: 제어부 20: 영상출력부
22: 모니터 24: 저장장치
26: 전압/전류제어부 28: 스위칭부
30: LED유도등 32: LED상시등
34: LED주차등 36: 전원공급부

Claims (10)

  1. 지하주차장 내에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물체나 주차영역, 광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지하주차장 내에 사각지역을 포함한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와 영상촬영부의 영상신호로 이동물체의 움직임에 따른 내장된 알고리즘의 수행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스위칭되어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LED상시등, LED유도등 및 LED주차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칭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스위칭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전압/전류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영상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이동물체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 주차영역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LED상시등, LED유도등 및 LED주차등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영상촬영부에서 입력된 영상신호 중에서 센서부에서 이동물체의 감지 이전의 영상과 이동물체의 감지 이후의 영상을 비교하여 이동물체의 크기, 속도, 색상, 방향을 비교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동물체와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의 점등과 동시에 해당 LED유도등으로부터 인접한 LED유도등을 동시에 점등시키는 제어신호와; 이동물체와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으로부터 인접한 LED유도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신호와; LED상시등 및 LED주차등을 LED유도등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와; LED상시등, LED주차등 및 LED유도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신호와; 이동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물체와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의 밝기를 인접한 LED유도등보다 밝은 조도로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지하주차장 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LED상시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센서부에서 이동물체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이동물체와 가장 근접한 LED유도등이 점등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점등된 LED유도등의 조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조도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설정된 조도 이하이면 LED유도등으로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정상 조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LED유도등의 점등과 동시에 이동물체의 움직임을 따라 영상촬영부의 카메라가 이동물체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작동하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하는 LED유도등의 조도가 설정 조도 이하일 경우에 전압 및 전류의 제어를 일정 회수로 제어하여도 설정 조도 이상이 되지 않으면 경고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동물체가 차량인 경우에는 주차가 가능한 영역에 설치된 LED주차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00008669U 2010-08-20 2010-08-20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 KR200451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669U KR200451773Y1 (ko) 2010-08-20 2010-08-20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669U KR200451773Y1 (ko) 2010-08-20 2010-08-20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773Y1 true KR200451773Y1 (ko) 2011-01-12

Family

ID=4424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669U KR200451773Y1 (ko) 2010-08-20 2010-08-20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773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38B1 (ko) * 2011-05-27 2011-11-28 권용덕 도플러 센서를 이용한 절전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32058A1 (ko) * 2011-08-26 2013-03-07 (주)오픈테크놀러지 지능형 주차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52671B1 (ko) 2011-04-29 2013-04-09 주식회사 디아이랩 차량 촬상 시스템 및 그를 위한 광량 제어 방법
KR101271894B1 (ko) * 2012-07-04 2013-06-05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led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36457B1 (ko) * 2011-12-30 2013-12-04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반도체를 이용한 주차장 조명시스템
KR101360855B1 (ko) * 2012-03-26 2014-02-07 효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 장치
KR101442750B1 (ko) 2014-02-06 2014-10-06 오비스텍 주식회사 주차관리시스템
KR200486658Y1 (ko) * 2016-12-01 2018-06-18 김철호 에너지절감형 지하주차장용 엘이디 램프
KR101876207B1 (ko) * 2018-01-30 2018-07-09 (주)이산조명 Led 조명기구의 제어장치
CN108513417A (zh) * 2018-05-29 2018-09-07 孙艳玲 一种低能耗地下停车场照明系统及控制方法
KR102019915B1 (ko) 2019-03-04 2019-09-11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무선통신 센서모듈을 이용한 그룹 조명제어 시스템
KR102029402B1 (ko) 2019-03-04 2019-10-07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그룹 조명 시스템의 점등신호 송수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195A (ko) * 1999-04-24 2000-11-15 이충봉 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2289377A (ja) * 2001-03-28 2002-10-0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7005104A (ja) * 2005-06-23 2007-01-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装置
KR100958497B1 (ko) * 2009-09-07 2010-05-1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검출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195A (ko) * 1999-04-24 2000-11-15 이충봉 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2289377A (ja) * 2001-03-28 2002-10-0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7005104A (ja) * 2005-06-23 2007-01-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装置
KR100958497B1 (ko) * 2009-09-07 2010-05-1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검출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671B1 (ko) 2011-04-29 2013-04-09 주식회사 디아이랩 차량 촬상 시스템 및 그를 위한 광량 제어 방법
KR101087938B1 (ko) * 2011-05-27 2011-11-28 권용덕 도플러 센서를 이용한 절전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32058A1 (ko) * 2011-08-26 2013-03-07 (주)오픈테크놀러지 지능형 주차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36457B1 (ko) * 2011-12-30 2013-12-04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반도체를 이용한 주차장 조명시스템
KR101360855B1 (ko) * 2012-03-26 2014-02-07 효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지하 주차장용 led 전등기구 점등 제어 장치
KR101271894B1 (ko) * 2012-07-04 2013-06-05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led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42750B1 (ko) 2014-02-06 2014-10-06 오비스텍 주식회사 주차관리시스템
KR200486658Y1 (ko) * 2016-12-01 2018-06-18 김철호 에너지절감형 지하주차장용 엘이디 램프
KR101876207B1 (ko) * 2018-01-30 2018-07-09 (주)이산조명 Led 조명기구의 제어장치
CN108513417A (zh) * 2018-05-29 2018-09-07 孙艳玲 一种低能耗地下停车场照明系统及控制方法
CN108513417B (zh) * 2018-05-29 2024-03-01 深圳金桔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低能耗地下停车场照明系统及控制方法
KR102019915B1 (ko) 2019-03-04 2019-09-11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무선통신 센서모듈을 이용한 그룹 조명제어 시스템
KR102029402B1 (ko) 2019-03-04 2019-10-07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그룹 조명 시스템의 점등신호 송수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773Y1 (ko) 지하주차장 조명 제어장치
KR101237200B1 (ko)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7009987B2 (ja) 自動運転システム及び自動運転方法
US20060197683A1 (en) Automated traffic control system
KR101276385B1 (ko) 보행자 무단 횡단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사용방법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KR101054541B1 (ko) 횡단보도의 신호 조명 컨트롤 장치
KR100962309B1 (ko) 횡단보도용 신호등 어셈블리
KR102484348B1 (ko) 교통약자 횡단보도 구역 보행자 위치 추적 스마트폴시스템
KR20130016660A (ko) 카메라센서의 모션 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조명 램프의 점멸 혹은 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가로등
JP2008059846A (ja) 照明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JP3201743U (ja) 街中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れ用の街路灯
KR20200073477A (ko) 횡단보도 안전 조명 시스템
KR101250868B1 (ko)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US9839087B2 (en) Lighting system
KR101168132B1 (ko) 우측통행 유인수단을 갖는 횡단보도 캐노피
KR20100086709A (ko) 지하주차장의 조명관리 장치
KR20180082788A (ko) 도로의 점멸신호 안전관리 시스템
KR101479178B1 (ko)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cctv용 지능형 카메라장치
KR20200027654A (ko) 압전 블록을 이용한 보행 신호등 구동 제어 시스템
KR100982356B1 (ko) 주차장 조명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97001B1 (ko) 차량 사고 방지를 위한 횡단 보도용 가로등
KR20210143028A (ko)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1964744B1 (ko) 가시광선 조명과 적외선 조명 일체형 cctv 카메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