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946Y1 - 차광막 - Google Patents

차광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946Y1
KR200446946Y1 KR20090008237U KR20090008237U KR200446946Y1 KR 200446946 Y1 KR200446946 Y1 KR 200446946Y1 KR 20090008237 U KR20090008237 U KR 20090008237U KR 20090008237 U KR20090008237 U KR 20090008237U KR 200446946 Y1 KR200446946 Y1 KR 200446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light shielding
bracket
ligh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8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한석
이원실
김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로드
군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로드, 군산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로드
Priority to KR20090008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향 차량의 전조등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야를 고려하여 차광판의 고정부가 경사지게 배열된 연결판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브라켓에 의해 차광판이 중앙분리대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대향 차량으로부터의 현광(顯光)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광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대향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광하는 차광판; 차도의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와 상기 차광판을 결합하는 브라켓; 및 상기 차광판과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차광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판의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한쌍의 삽입공과, 상기 한쌍의 삽입공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광, 브라켓, 연결판, 경사, 삽입공, 장공, 평행, 이격, 반사지, 홈

Description

차광막{LIGHT BLOCKING DEVICE}
본 고안은 차광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향 차량의 전조등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야를 고려하여 차광판의 고정부가 경사지게 배열된 연결판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브라켓에 의해 차광판이 중앙분리대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대향 차량으로부터의 현광(顯 光)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광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운전자의 부주의로도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야간에는 반대편 차선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전조등 불빛으로 인해 마주 오는 차량의 운전자가 눈부심으로 시야 확보가 순간적으로 어려워 사고의 위험성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분리대 상단부에 전조등 불빛을 차단하는 차광막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차광막은 차광판과, 그 차광판을 중앙분리대와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브라켓과 결합수단에 의해 중앙분리대 상단부에 순차적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광막은, 대향 차량의 전조등을 마주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고려하지 않고 차광판과 브라켓을 결합수단, 예컨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대에 설치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차광되거나 또는 오히려 운전자의 운전 시야를 좁히고 대향 차로에 대한 전망을 저해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대향 차량의 전조등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야를 고려하여 차광판의 고정부가 경사지게 배열된 연결판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브라켓에 의해 차광판이 중앙분리대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대향 차량으로부터의 현광(顯光)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광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은 대향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광하는 차광판; 차도의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와 상기 차광판을 결합하는 브라켓; 및 상기 차광판과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판은 상기 차광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판의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한쌍의 삽입공과, 상기 한쌍의 삽입공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장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판은 상기 차광판 내부에서 일단이 몰딩 성형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차광판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한쌍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한쌍의 고정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과, 한쪽 모서리에 형성된 경사진 절취부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장공과 상기 브래켓의 장공이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중앙분리대의 폭에 맞춰 체결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차광판의 하부 중심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판의 상부 또는 측면에는 상기 전조등 불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지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판의 양측면에는 오목한 홈들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향 차량의 전조등으로 인한 운전자의 시야를 고려하여 차광판의 고정부가 경사지게 배열된 연결판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브라켓에 의해 차광판이 중앙분리대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차광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판의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이 차광판의 내부에서 몰딩 성형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된 한쌍의 고정부가 한쌍의 삽입공에 삽입된 채 브라켓에 의해 중앙분리대와 결합됨으로써, 차량 충돌시 중앙분리대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판의 장공과 브라켓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이 결합수단에 의해 함께 체결됨에 따라 중앙분리대의 폭에 맞게 차광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판의 하부 중심에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바람의 방향을 받는 차광막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판의 상부 또는 측면에 반사지를 부착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어 시인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판의 양측면에 오목한 홈들이 형성됨으로써, 차량진행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광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연결판과 브라켓의 분리와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은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 등에서 대향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중앙분리대(미도시)에 설치되며, 이러한 차광막은 차광판(1), 브라켓(2), 그리고 연결판(3)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차광판(1)은 야간 주행시 대향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광하는 것으로, 차광판(1)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판(1)의 재질을 플라스틱 재질로 한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향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광하는 재질이라면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차광판(1)은 견고성을 높이기 위하여 보강홈(미도시)을 갖도록 사출 성형된다. 보강홈은 차광판(1)의 전면 표면에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이 고려될 수 있다.
차광판(1)은 한쌍의 고정부(11), 지지부(12), 반사지(13) 및 홈들(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쌍의 고정부(11)는 차광판(1)의 내부에서 일단이 몰딩 성형되고, 타단이 차광판(1)의 외부로 노출된다. 한쌍의 고정부(11)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한쌍의 고정부(11) 사이에 지지부(12)가 위치하며, 지지부(12)는 차광판(1)과 일체로 이루어져 차광판(1)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12)는 차광판(1)의 하부 중심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2)의 형상은 삼각형의 형상을 갖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지(13)는 차광판(1)의 상단 중심에 부착되어 중앙분리대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광판(1)의 상단 중심 외에도 차광판(1)의 측면, 즉 우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한쌍의 측면 반사지(13a, 13b)가 부착된되어, 중앙분리대의 위치를 식별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차광판(1)의 하부에는 주름부(15)가 형성되어, 차광판(1)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주름부(15)는 충돌에 의한 안전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홈들(14)은 차광판(1)의 양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홈들(14)은 차량 주행시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광판(1)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차광판(1)은 브라켓(2)에 의해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이러한 브라켓(2)은 도 4의 (a)에 연결판(3)과 분리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21)과, 한쪽 모서리가 절취된 절취부(22), 그리고 제 1 및 제 2 결합수단(23, 24)를 포함한다. 도 4의 브라켓(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분리대와 결합을 위한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22)는 연결판(3)과 체결시 연결판(3)의 한쌍의 삽입공(31)과 평행하게 위치함에 따라, 브라켓(2)에 의해 연결판(3)과 결합된 차광판(1)의 차광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 1 결합수단(23)은 체결공에 삽입되는 제 1 볼트(23a)와, 제 1 볼트(23a)와 체결되어 중앙분리대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제 1 너트(23b)로 이루어지고, 제 2 결합수단(24)은 브라켓(2)의 장공들(21)과 후술하는 연결판(3)의 한쌍의 장공(32)에 각각 삽입되는 제 2 볼트(24a)와, 제 2 볼트(24a)와 체결되어 차광판(1) 및 연결판(3)을 브라켓(2)에 고정시키는 제 2 너트(24b)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24d는 와셔이다.
이때, 브라켓(2)의 장공들(21)과 연결판(3)의 한쌍의 장공(32)이 제 2 결합수단(24)에 의해 체결시 중앙분리대의 폭에 맞춰 체결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중앙분리대의 폭이 좁거나 넓더라도 차광판(1)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결합수단(23, 24)을 볼트와 너트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판(3)은 차광판(1)과 브라켓(2)을 연결하며, 연결판(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삽입공(31)과, 한쌍의 장공(32)을 포함한다.
한쌍의 삽입공(31)은 길이방향으로 수직인 중심축선(C)에 대해 직각인 수평선과 5도 내지 15도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10도의 차광각도를 갖도록 한쌍의 삽입공(31)이 연결판(3)에 배열된다. 더 설명하면 하나의 삽입공의 중심에서 다른 하나의 삽입공의 중심을 잇는 선이 중심축선(C)에 지각인 수평선에 대해 10도인 차광각도를 갖도록 각각 배열된다.
이와 같은 차광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배열된 한쌍의 삽입공(31)과 서로 평행하게 한쌍의 장공(32)이 배열된다. 한쌍의 장공(32)은 한쌍의 삽입공(3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광막은 전술된 연결판(3)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된 차광판(1)을 브라켓(2)에 의해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차광판(1)은 한쌍의 고정부(11)가 연결판(3)에 중심축선(C)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한쌍의 삽입공(31)에 삽입되고, 예컨대 제 3 너트(111)에 의해 브라켓(2)에 고정적으로 체결된다. 미설명부호 112는 와셔이다.
그리고, 한쌍의 삽입공(31)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장공(32)과 브라켓(2)의 장공(21)에 제 2 볼트(24a)가 삽입되고, 제 2 너트(24b)에 의해 차광판(1)과 연결판(3)을 브라켓(2)에 고정적으로 체결시킨다.
다음, 차광판(1)은 제 1 결합수단(23)에 의해 중앙분리대에 고정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향 차량의 전조등과 운전자의 시야를 고려하여 차광각도로 기울어지게 차광막이 중앙분리대 상단에 설치되어 차광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광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연결판과 브라켓의 분리와 결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광판 11 : 한쌍의 고정부
12 : 지지부 13 : 반사지
13a, 13b : 측면 반사지 14 : 홈들
15 : 주름부 2 : 브라켓
21 : 장공 22 : 절취부
23 : 제 1 결합수단 23a : 제 1 볼트
23b : 제 1 너트 24 : 제 2 결합수단
24a : 제 2 볼트 24b : 제 2 너트
3 : 연결판 31 : 한쌍의 삽입공
32 : 한쌍의 장공

Claims (7)

  1. 대향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차광하는 차광판;
    차도의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와 상기 차광판을 결합하는 브라켓; 및
    상기 차광판과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판은, 상기 차광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판의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한쌍의 삽입공과, 상기 한쌍의 삽입공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은, 상기 차광판 내부에서 일단이 몰딩 성형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차광판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한쌍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한쌍의 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과, 한쪽 모서리에 형성된 경사진 절취부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장공과 상기 브라켓의 장공이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중앙분리대의 폭에 맞춰 체결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차광판의 하부 중심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의 상부 또는 측면에는 상기 전조등 불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의 양측면에는 오목한 홈들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KR20090008237U 2009-06-26 2009-06-26 차광막 KR200446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8237U KR200446946Y1 (ko) 2009-06-26 2009-06-26 차광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8237U KR200446946Y1 (ko) 2009-06-26 2009-06-26 차광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946Y1 true KR200446946Y1 (ko) 2009-12-11

Family

ID=4595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8237U KR200446946Y1 (ko) 2009-06-26 2009-06-26 차광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4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898A (en) 1976-07-24 1978-02-07 Masamitsu Wada Rushhout notice marking device
KR200361176Y1 (ko) * 2004-06-21 2004-09-07 태산금속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방현판 결합구조
KR200371172Y1 (ko) * 2004-10-07 2004-12-23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200378948Y1 (ko) * 2004-12-24 2005-03-17 신도산업 주식회사 가변조립식 차광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898A (en) 1976-07-24 1978-02-07 Masamitsu Wada Rushhout notice marking device
KR200361176Y1 (ko) * 2004-06-21 2004-09-07 태산금속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방현판 결합구조
KR200371172Y1 (ko) * 2004-10-07 2004-12-23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200378948Y1 (ko) * 2004-12-24 2005-03-17 신도산업 주식회사 가변조립식 차광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946Y1 (ko) 차광막
JP4652209B2 (ja) 防護柵
KR101703944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설치구조
KR200371172Y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20120001254U (ko) 야광반사 시트를 이용한 차량용 삼각대
KR200298063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072831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구조
KR101106707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구조
KR200331643Y1 (ko) 재귀반사 각도조절용 도로표지판
JP4448803B2 (ja) 防護柵
KR100288656B1 (ko) 가드레일 부착용 갈매기표지
KR102181157B1 (ko) 중앙분리대 차광막
KR100718293B1 (ko) 안전반사지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차광펜스
KR200293138Y1 (ko) 도로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JP3078900U (ja) 道路用遮光板
JP5625795B2 (ja) 車両用カバー部材の取付構造
KR200425376Y1 (ko) 통풍형 중앙분리대의 차광판
KR200268756Y1 (ko) 반사판이부착된도로난간지주
KR200378948Y1 (ko) 가변조립식 차광막
KR0132953Y1 (ko)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부 헤드 램프 반사장치
JP2005098066A (ja) 道路用防眩板
JP3086419B2 (ja) 防眩パネル
KR200263075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100582020B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차광장치
JP4249678B2 (ja) 道路用防眩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