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941Y1 -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 Google Patents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941Y1
KR200445941Y1 KR2020090001628U KR20090001628U KR200445941Y1 KR 200445941 Y1 KR200445941 Y1 KR 200445941Y1 KR 2020090001628 U KR2020090001628 U KR 2020090001628U KR 20090001628 U KR20090001628 U KR 20090001628U KR 200445941 Y1 KR200445941 Y1 KR 200445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worker
helmet
control uni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831U (ko
Inventor
배석동
Original Assignee
배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석동 filed Critical 배석동
Priority to KR202009000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94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06Means for transporting or storing helm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12Installations enabling inspection personnel to drive along sewer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자가 직접 매설 관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 관로 점검장비에 관한 것으로, 관로 내부에 유해 가스가 있거나 오수 또는 우수가 흐르더라도 작업자가 관로 내부에 진입하여 안전하고 상세하게 관로 내부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 관로 점검장비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에 있어서, 관로를 흐르는 오수나 우수가 작업자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점검복과, 지상의 작업자와 교신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원활한 호흡을 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고 배출되는 호흡수단이 구비된 헬멧과, 지상에서 관로 내부위의 작업자와 교신되는 내용을 저장하며 관로 내부 작업자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와 헬멧을 연결하며 압축공기, 음성신호, 영상신호, 전원 등을 공급하는 케이블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외부에서 신선한 공기가 계속하여 제공되므로 관로 내부를 점검하는 작업자가 유해 가스로 인한 호흡의 곤란함을 겪지 않고, 관로 내부와 지상의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누며 작업을 진행함은 물론, 지상에서도 관로 내부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세밀한 점검이 가능하게 되며, 관로 내부의 유해가스나 오폐수 등이 관로 내부의 작업자 신체와 접촉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발생이 제거되는 등의 유 용한 효과가 있다.
Figure R2020090001628
매설 관로, 맨홀, 압축공기, 제어부, 송수신

Description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Inspection Equipment of Laying Conduit}
본 고안은 작업자가 직접 매설 관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 관로 점검장비에 관한 것으로, 관로 내부에 유해 가스가 있거나 오수 또는 우수가 흐르더라도 작업자가 관로 내부에 진입하여 안전하고 상세하게 관로 내부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 관로 점검장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수구, 통신구 등과 같이 매설된 관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며 보수 또는 교체 시공하게 되며, 상기 관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관로에 진입하여 점검하거나 또는 카메라가 설치된 자주차를 관로에 진입시키고 지상에서 원격 조정하여 점검하게 된다.
즉, 관로의 내경이 커서 사람이 진입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관로 내부로 진입하여 관로를 점검하며, 관로의 내경이 작아 작업자가 진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틸트기능을 갖는 측시카메라가 설치된 자주차를 관로 내부로 진입시키 고 지상에서 상기 자주차를 원격 조정하여 관로 내부를 점검한다.
그러나 상기 관로 내부에 많은 양의 하수 또는 우수가 흐르는 경우에는 관로 내부에서 자주차의 진행이 어려우며, 작업자도 관로 내부로 진입하기 어려워 점검작업이 곤란하고, 특히 관로 내부에 유해가스가 많은 경우에는 작업자의 진입이 불가능하므로 관로를 점검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관로 내부에 와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를 따라 카메라가 관로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관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관로(100)의 인접된 맨홀(101,102)간을 와이어(103)로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103)가 관로(10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고, 양측 맨홀(101,102)에서 와이어(103)를 당겨 팽팽한 상태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어서 카메라(104)를 와이어(103)에 설치하여 상기 카메라(104)를 관로(100) 내부로 진입시킨 후, 지상에서 제어부(105)를 제어하며 카메라(104)를 이동시켜 관로(100) 내부를 점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검방법은 작업자나 자주차에 의한 관로(100) 내부 점검이 곤란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나, 와이어(103)가 관로(100) 내부 상측에 설치되므로, 상기 카메라(104)가 관로(100)의 상측을 통과하며 점검하게 되어 상기 관로(100)의 하부를 상세하게 점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로(100)에 오수나 우수가 흐르는 경우에는 수면 이하의 부분은 점검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관로 내부에 유해 가스가 있거나 오수 또는 우수가 흐르더라도 작업자가 직접 관로 내부에 진입하여 안전하고 상세하게 관로 내부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 보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에 있어서, 관로를 흐르는 오수나 우수가 작업자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점검복과, 지상의 작업자와 교신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원활한 호흡을 위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고 배출되는 호흡수단이 구비된 헬멧과, 지상에서 관로 내부의 작업자와 교신되는 내용을 저장하며 관로 내부 작업자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와 헬멧을 연결하며 압축공기, 음성신호, 영상신호, 전원 등을 공급하는 케이블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헬멧은 정면에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 투시창과, 상기 투시창의 하측에 형성되며 호흡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와, 일측에 형성되며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에 접속되어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와, 내부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음성을 지상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마 이크와, 내부에 형성되며 지상 작업자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와, 외부 일측에 형성되며 마이크와 스피커에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배선이 연결된 접속구와, 접속구와 연결되며 영상촬영장치와 조명장치가 접속되는 영상접속구가 헬멧의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에어공급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장치와, 지상작업자의 음성을 음성신호 송수신선으로 전달하는 마이크와, 관로 내부 작업자와 지상 작업자의 교신내용을 녹음하는 녹음장치와, 작업자의 음성을 전달하는 스피커와, 영상신호를 표시 녹화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의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줌제어부로 되고, 케이블은 제어부로부터 헬멧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제어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헬멧에 전달하는 에어공급관과, 음성신호를 헬멧과 제어부간에 교신하기 위한 음성신호선과, 헬멧을 통해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제어부로 공급하는 영상신호선 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로 내부에 설치되는 점검보조장치로 지상에 고정 지지되기 위한 수평지지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측에는 안전와이어를 권취하는 핸들이 형성된 권취드럼이 설치되며, 하측에는 상기 안전와이어가 권취되는 로울러가 설치된 점검사다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외부에서 신선한 공기가 계속하여 제공되므로 관로 내부를 점검하는 작업자가 유해 가스로 인한 호흡의 곤란함을 겪지 않고, 관로 내부와 지상의 작 업자가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누며 작업을 진행함은 물론, 지상에서도 관로 내부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세밀한 점검이 가능하게 되며, 관로 내부의 유해가스나 오폐수 등이 관로 내부의 작업자 신체와 접촉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가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발생이 제거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헬멧의 부분 절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매설 관로를 조사 점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상기 관로를 흐르는 오수나 우수가 작업자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갖는 점검복(11)을 구비하고, 관로 내부에서 지상의 작업자와 교신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원활한 호흡을 위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고 배출되는 호흡수단 등이 구비된 헬멧(12)을 형성하며, 지상에서 관로 내부의 작업자와 교신되는 내용을 저장하며 관로 내부 작업자의 작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 및 제어부(20)와 헬멧(12)을 연결하며 압축공기, 음성신호, 영상신호, 전원 등을 공급하는 케이블(27)로 구비된다.
상기 헬멧(12)은 정면에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 투시창(13) 을 형성하고, 상기 투시창(13)의 하측에 호흡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4)를 형성하며, 작업자의 호흡을 위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흡입구(15)를 일측에 형성하고, 관로 내부 작업자와 지상 제어부(20)의 작업자 간의 음성을 상호 교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이크(18)와 스피커(19)를 상기 헬멧(12)의 내부에 형성하며, 외부 일측에 마이크(18)와 스피커(19)에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배선이 연결된 접속구(16)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헬멧(12)의 일측에 접속구(16)와 연결되며 영상촬영장치(32)와 조명장치(33)를 연결하는 케이블(27a)이 접속되는 영상접속구(17)를 형성한다.
아울러 제어부(20)는 헬멧(12)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공급장치(24)를 형성하고, 지상작업자의 음성을 관로 내부 작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22) 및 관로 내부 작업자와 지상 작업자의 교신내용을 녹음하는 녹음장치(25)를 형성하며, 관로 내부의 작업자 음성을 전달 표시하는 스피커(23)를 형성하고, 관로 내부에서 전달된 영상신호를 표시함과 아울러 녹화하는 디스플레이부(21)를 형성하며, 영상촬영장치(32)의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줌제어부(26)를 형성하여 된다.
또한, 관로 내부의 작업자와 지상 제어부(20)를 연결하는 케이블(27)은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헬멧(12)으로 공급하는 전원선(31)과 제어부(2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헬멧(12)에 전달하는 에어공급관(28) 및 헬멧(12)과 제어부(20)간의 음성신호를 교신하기 위한 음성신호선(29), 헬멧(12)을 통해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제어부(20)로 공급하는 영상신호선(30) 등으로 되며, 영상촬영장치(32) 와 조명장치(33)에 연결되며 헬멧(12)의 영상접속구(17)에 접속되는 케이블(27a)은 영상신호선(30a)과 전원선(31a)으로 된다.
아울러 첨부한 도면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은 관로 내부에 설치되는 점검보조장치인 점검사다리(34)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맨홀을 통하여 관로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고, 관로 내부로 진입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상에 고정 지지되는 수평지지대(37)를 일측에 형성하고, 상측에는 안전와이어(46)를 권취하는 핸들(36)이 형성된 권취드럼(35)을 설치하며, 하측에는 상기 안전와이어(46)가 권취되는 로울러(38)를 설치한 점검사다리(3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10)가 구비되는 것이며, 이러한 점검장비(10)를 이용하여 매설 관로를 점검하는 과정은 도 5a 내지 도 5c로 도시한 바와 같다.
점검하고자 하는 관로(39)의 인접된 맨홀(40,41)에 점검보조장치 구성으로 수평지지대(37)를 이용하여 점검사다리(34)를 설치하고, 일측의 맨홀(40)에 설치된 점검사다리(34)의 핸들(36)을 조작하여 권취드럼(35)에 권취된 안전와이어(46)를 풀어 관로(39) 내부로 진입시키고, 상기 안전와이어(46)를 타측의 맨홀(41)에 까지 이르게 한 후, 타측의 맨홀(41)에 설치된 점검사다리(34)의 권취드럼(35)에 권취시킨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a에서와 같이 관로(39) 내부에 오수나 우수가 흐르는 경우에는 안전와이어(46)의 선단에 부표(47)를 설치하고 일측의 맨홀(40)을 통해 관로(39) 내부로 진입시킨 다음, 부표(47)에 의해 타측의 맨홀(41)측으로 흘러가도 록 하고 타측의 맨홀(41)측에서 상기 부표(47)를 인양하고 안전와이어(46)를 회수한다.
그리고 도 5b에서와 같이 안전와이어(46)를 양측 점검사다리(34)의 로울러(38)에 걸리며 권취드럼(35)에 각각 권취되도록 하고, 핸들(36)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와이어(46)가 긴장상태인 텐션이 유지되도록 한다.
사전준비 작업으로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지상에서 작업자가 점검복(11)과 헬멧(12)을 착용한 다음, 제어부(20)에 연결된 케이블(27)의 에어공급관(28)을 헬멧(12)의 흡입구(15)에 접속시키고, 전원선(31)과 음성신호선(29) 및 영상신호선(30)은 접속구(16)에 접속하여 헬멧(12)과 제어부(20)를 연결한다.
아울러 작업자가 소지한 영상촬영장치(32) 및 조명장치(33)에 연결된 케이블(27a)을 헬멧(12)의 영상접속구(17)에 접속하면 관로(39) 점검을 위한 사전 준비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후, 도 5c에서와 같이 고리 등을 이용하여 관로(39) 내부로 진입할 작업자와 안전와이어(46)를 연결 결속한 다음, 일측의 맨홀(40)을 통해 관로(39)로 진입하여 점검 작업을 하며, 관로(39) 내부의 상황을 지상의 제어부(20)를 조작하는 작업자와 음성교신을 통해 의견을 교환하고 작업을 지시하고 지시받게 된다.
즉, 관로(39) 내부의 작업자가 관로(39) 내부 상황을 이야기하면 마이크(18)와 케이블(27)을 통해 제어부(20)의 스피커(23)로 상기 작업자의 음성이 표시되어 지상의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지상의 작업자도 작업에 필요한 사항을 이야기하면 제어부(20)의 마이크(22)와 케이블(27)을 통해 헬멧(12)의 스피커(19)로 음성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상의 작업자 요구에 의하여 관로(39)의 점검이 필요한 부분에 영상촬영장치(32)를 접근시키게 되면 지상의 작업자가 제어부(20)의 줌제어부(26)를 조작하여 필요 부분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되는 것이고, 상기 점검 작업과정에서 주고받는 음성과 영상 등은 제어부(20)의 녹음장치(25)와 디스플레이부(21)에서 녹음 및 녹화 기록된다.
아울러 제어부(20)의 압축공기공급장치(24)에는 계속하여 케이블(27)의 에어공급관(28)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이러한 압축공기는 흡입구(15)를 통해 헬멧(12) 내부로 공급되어 작업자가 항상 신선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고, 호흡된 공기는 배기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관로(39) 내부를 면밀하게 점검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 보수작업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에 의해 관로(39)의 점검이 완료되면 관로(39) 내부의 작업자는 타측의 맨홀(41)을 통해 외부로 나와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각 장비를 해체하여 작업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1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헬멧(12)의 일측에 가연성 가스 감지기(42)와 유독성 가스 감지기(43)를 설치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가연성 가스 감지기(42)나 유독성 가스 감지기(43)에서 유해가스가 검출되면 유해가스 농도를 수치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키며 케이블(27)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장치(45)를 제어부(20)에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는 관로(39) 내부를 점검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가연성 가스나 유독성 가스가 허용 범위 이상 검출 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에 표시되도록 하고, 지상의 작업자가 이를 인식하여 작업자에게 대피 또는 철수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함으로써 관로(39) 점검시 안전사고 발생 우려를 불식시키는 것이다.
즉, 가연성 가스나 유독성 가스를 가연성 가스 감지기(42) 또는 유독성 가스 감지기(43)에서 감지되면 이를 제어부(20)에 표시함과 아울러 안전장치(45)에서 케이블(27)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가연성 가스에 의한 관로(39) 내부의 발화나 폭발 우려를 제거하고, 아울러 표시되는 수치가 허용범위 이상일 경우 지상의 작업자가 관로(39) 내부의 작업자에게 알려 대피 또는 철수 등의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헬멧(12)의 일측에 가연성 가스 또는 유독성 가스 감지시 음향을 발생시키는 경보기(44)를 설치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관로(39) 내부에서 작업자가 제어부(20)의 신호 없이도 유해 정도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매설관로를 점검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헬멧의 부분 절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점검사다리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한 매설관로를 점검하는 작업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점검장비 11: 점검복
12: 헬멧 13: 투시창
14: 배기구 15: 흡입구
16: 접속구 17: 영상접속구
18,22: 마이크 19,23: 스피커
20: 제어부 21: 디스플레이부
24: 압축공기공급장치 25: 녹음장치
26: 줌제어부 27, 27a: 케이블
28: 에어공급관 29: 음성신호선
30, 30a: 영상신호선 31, 31a: 전원선
32: 영상촬영장치 33: 조명장치
34: 점검사다리 35: 권취드럼
36: 핸들 37: 수평지지대
38: 로울러 39: 관로
40,41: 맨홀 42: 가연성가스감지기
43: 유독성가스감지기 44: 경보기
45: 안전장치 46: 안전와이어
47: 부표

Claims (2)

  1. 작업자가 매설 관로를 직접 점검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와 조명장치가 구비된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에 있어서,
    상기 관로를 흐르는 오수나 우수가 작업자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점검복과;
    상기 점검복과 결합되어 방수되는 헬멧으로, 헬멧의 정면에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 투시창과, 상기 투시창의 하측에 형성되며 호흡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와, 헬멧의 후면에 형성되며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에 접속되어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흡입구를 구비한 호흡수단과, 헬멧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음성을 지상 제어부에 전달하고 지상 작업자의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 및 스피커에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배선이 연결되는 접속구를 구비하여 지상의 작업자와 교신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의 접속구와 연결되도록 헬멧의 외부 후면에 형성되며 전술한 영상촬영장치와 조명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영상접속구와, 헬멧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며 관로 내의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감지기와, 상기 가스감지기에 의한 가스 감지 시 음향을 발생시키는 경보기가 구비된 헬멧과;
    관로 외부에서 상기 헬멧의 통신수단을 통해 지상에서 관로 내부의 작업자와 교신되는 내용을 저장하며, 헬멧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장치와, 지상작업자의 음성을 관로 내부 작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와, 관로 내부 작업자와 지상 작업자의 교신내용을 녹음하는 녹음장치와, 작업자의 음성을 전달하는 스피커와, 영상신호를 표시 녹화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촬영장치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줌제어부와, 상기 관로 내부에서 유해가스 검출 시 유해가스 농도를 수치로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키며 케이블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장치가 구성되어 관로 내부 작업자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헬멧을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헬멧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제어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헬멧에 전달하는 에어공급관과, 헬멧과 제어부간의 음성신호를 교신하기 위한 음성신호선과, 헬멧을 통해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제어부로 공급하는 영상신호선이 구비된 케이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설 관로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관로에 출입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지상에 고정 지지되기 위한 수평지지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측에는 안전와이어를 권취하는 핸들이 형성된 권취드럼이 설치되며, 하측에는 상기 안전와이어가 권취되는 로울러가 설치된 점검사다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KR2020090001628U 2009-02-13 2009-02-13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KR200445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28U KR200445941Y1 (ko) 2009-02-13 2009-02-13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28U KR200445941Y1 (ko) 2009-02-13 2009-02-13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686 Division 2007-10-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322U Division KR200447706Y1 (ko) 2009-03-02 2009-03-02 매설 관로의 점검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31U KR20090003831U (ko) 2009-04-23
KR200445941Y1 true KR200445941Y1 (ko) 2009-09-10

Family

ID=4128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628U KR200445941Y1 (ko) 2009-02-13 2009-02-13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9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4635A (zh) * 2021-04-20 2022-10-21 中冶宝钢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电缆同步敷设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KR102406729B1 (ko) * 2021-12-29 2022-06-10 유원컨설턴트 주식회사 관 내부 갱생작업을 위한 환기 및 유해물질 제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84U (ko) * 1998-04-09 1998-08-17 김종기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0290419Y1 (ko) 2002-06-07 2002-09-27 함순복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공기 호흡기
KR20040051071A (ko) * 2002-12-11 2004-06-18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하수관로의 내부 촬영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68574A (ko) * 2004-12-16 2006-06-21 (주)센코 통신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84U (ko) * 1998-04-09 1998-08-17 김종기 소방구조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0290419Y1 (ko) 2002-06-07 2002-09-27 함순복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공기 호흡기
KR20040051071A (ko) * 2002-12-11 2004-06-18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하수관로의 내부 촬영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68574A (ko) * 2004-12-16 2006-06-21 (주)센코 통신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31U (ko)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0900A1 (en) Multi-sensor inspection for identification of pressurized pipe defects that leak
TW201939186A (zh) 無人移動單元以及巡迴點檢系統
JP2001009053A (ja) トンネル用消火栓装置
CN104359922A (zh) 一种用于检测排水管道内部缺陷的综合检测装置
KR102139280B1 (ko) 맨홀 점검 장치
KR200445941Y1 (ko) 매설 관로의 점검장비
JP6718645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及び消火器箱
CN106054370A (zh) 一种管道内窥探测装置
KR102581778B1 (ko) 관로 검사용 반자동 내시경 장치
KR100798931B1 (ko) 옥내 급수관을 위한 반자동형 배관 탐사 장치
KR101522658B1 (ko) 일체형 지중시설물 청소 및 점검장치
KR200447706Y1 (ko) 매설 관로의 점검사다리
JP5330778B2 (ja) 管路内作業装置モニタシステム
JP3164700U (ja) 管路検査装置
US7024314B1 (en) Sewerage pipe inspection vehicle having a gas sensor
CN204932671U (zh) 疏导灭火系统
JP3207366B2 (ja) 架空送電線を活線で点検する点検方法とその装置
CN209078752U (zh) 一种具有生命检测功能的火场消防机器人
CA2905492C (en) Multi-sensor inspection for identification of pressurized pipe defects that leak
JP3196401U (ja) 緊急災害時警報システム
JPS63198853A (ja) 不断水管内調査方法
JP2007100353A (ja) 点検カメラ装置および点検装置
JP7253651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消火栓装置及び消火器箱
JP2002102382A (ja) 消火栓装置のメンテナンス弁
JP6878648B2 (ja) 消火栓装置、消火栓設備、消火器設備及び消火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