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797Y1 - 전선정렬용 지그 - Google Patents
전선정렬용 지그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5797Y1 KR200445797Y1 KR2020080011095U KR20080011095U KR200445797Y1 KR 200445797 Y1 KR200445797 Y1 KR 200445797Y1 KR 2020080011095 U KR2020080011095 U KR 2020080011095U KR 20080011095 U KR20080011095 U KR 20080011095U KR 200445797 Y1 KR200445797 Y1 KR 2004457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wires
- cutting
- outlet end
- center li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사용하는 전선정렬용 지그로서, 연속하여 공급되는 전선을 요구되는 길이로 가공하며, 절단부위의 피복을 일부 제거하는 연속작업용 기계인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연속하여 공급되는 전선의 이음부가 그 두께 때문에 장치 내를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고 불량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동시에 공급되는 두 가닥의 전선의 간격을 가공에 필요한 적정 간격으로 수렴시킨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사용하는 전선정렬용 지그로서, 연속하여 공급되는 전선을 요구되는 길이로 가공하며, 절단부위의 피복을 일부 제거하는 연속작업용 기계인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연속하여 공급되는 전선의 이음부가 그 두께 때문에 장치 내를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고 불량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동시에 공급되는 두 가닥의 전선의 간격을 가공에 필요한 적정간격으로 수렴시킨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 장치의 예로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21046-0000)으로 보호되는 바와 같이,
전기부품 간 또는 전기부품과 전원부를 연결시켜기 위한 일정한 길이로 전선을 절단하면서 연속가공하는 장치로서, 전선의 일단의 피복은 벗겨주고 타단의 피복은 접합작업시 쉽게 벗길 수 있도록 절개부를 형성하도록, 연속가공한다.
이러한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도 5, 6 참조)는
기체(10)상에 설치되는 기대(21)와,
이 기대를 간헐적으로 전 후진 시켜주는 가동레버(22)와,
상기 기대(21)에 축착 설치되는 전선의 파지간(24, 24′)들을 갖춘 이동기(20)와(도 11, 12 참조),
전선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게 기체(10)의 후방위치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31, 31′)들(도 7, 8 참조)과,
이들 기대의 전면 양쪽에 소정간격을 유지하게 각각 착설되어 전선의 피복을 소정간격으로 녹여주는 용해판(32, 32′)들(도 7, 8 참조)과,
상기 기대(31, 31′)들을 동시에 마주 전 후진 시켜주는 가동수단을 갖춘 용해기(30)(도 7, 8 참조)와,
전선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게 기체(10)의 용해기(30) 전방위치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41, 41′)들(도 9, 10 참조)과,
이들 기대의 전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각각 착설되는 전선의 절단도(42, 42′)들(도 9, 10 참조)과,
이들 절단도의 후방위치에 서로 마주하게 착설되는 탈피편(43, 43′)들(도 9, 10 참조)과,
상기 기대(41, 41′)들을 동시에 마주 전 후진 시켜주는 가동수단을 갖춘 절단 탈피기(40)(도 5, 6, 9, 참조)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장치는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선단에는 접속단자를 결착할 수 있게 피복을 벗겨주며 후단은 접합작업시 작업자가 피복의 단부를 간단히 벗겨줄 수 있게 절개부를 형성하는 가공작업을 자동으로 일관되게 연속 수행하며,
권취드럼(12)에 감겨있는 전선(13)을 잡아당겨서 미리 세팅된 거리만큼씩 길이 방향으로 직진 이동시켜주는 이동기(20)와,
피복만을 일정간격으로 녹여 한 쌍의 근접되는 절개부를 형성시켜 주는 용해기와(30),
이 용해기(30)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들 사이의 중간을 절단하고 일단의 피복을 벗겨주게 되는 절단 탈피기(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기(20)는, 기대(21)와 이를 전후진, 직진 이동시켜주는 가동레버(22)와 상기 기대(21)에 축착 설치되어 전선(13)을 잡고 놓아주게 되는 한 쌍의 파지간(24, 24′)들로 구성되며, 상기 권취드럼(12)에 감겨있는 전선(13)을 잡아당겨 필요한 거리만큼 간헐적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상기 기대(21)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이면에 형성된 결합홈(211)을 안내대(11)에 결합하고, 그 후측에 지지판(212)을 착설하여 안내대(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용해기(30)는, 히터가 장착된 각기 한쌍의 용해판(32, 32')들과 이들 용해판(32, 32')이 착설되고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31, 31′)와 이들 기대(31, 31')를 전 후진 시켜주는 실린더(33, 33′)들로 구성되며, 이동기(20)에 의해 이동되는 전선의 피복을 일정간격으로 녹여주게 된다(도 7, 8 참조).
상기 절단탈피기(40)는, 절단도(42, 42′)와 탈피편(43, 43′)들 및 이들이 소정간격으로 착설되며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21)와 이들 기대를 전 후진시켜주는 가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용해기(30)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절개부들 사이의 중간부위를 절단도(42, 42′)가 교차되면서 절단하게 되고, 탈피편(43, 43′)과 이동기(20)의 파지간(24, 24′)들은 피복의 후단부를 전선으로부터 이탈시켜 벗겨주게 된다(도 9, 10 참조).
한편, 상기 이동, 용해, 절단, 탈피기들은 일반적인 자동제어기에 의해 그 작동이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되게 된다.
이러한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있어서, 기대(21)와 가동레버(22)는, 후단은 기대(21)의 전면에 축착하고 선단부는 가동레버(22)의 선단 상면에 축착된 회동편(221)을 관통하게 뚫은 관통구에 결합하는 견인간(25)과, 상기 관통구와 교차하게 뚫은 나사공에 체결하는 견인간의 고정나사들로 연결될 수 있다(도 5, 6 참조).
또한, 이러한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있어서, 용해판(32, 32′)들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개의 격판(37)들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유지되게 지지판(36, 36′)들로 기대(31, 31′)의 전면에 각각 착설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이러한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있어서, 용해판(32, 32′)의 전면 중간부위에는 전선에 내장된 동선의 직경에 비례하게 요홈(321)이 설치될 수 있다(도 7c 참조).
또한, 이러한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있어서, 용해기(30)의 기대(31, 31′)들의 가동수단은, 실린더(33, 33′)일 수 있다(도 7, 8 참조).
또한, 이러한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있어서, 절단 탈피기(40)의 절단도(42, 42′)들은, 기대(41, 41′)가 완전히 전진되면 각 날부가 서로 교차하게 착설되며, 탈피편(43, 43′)들은 선단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게 착설될 수 있다(도 9, 10 참조).
또한, 이러한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있어서, 절단 탈피기(40)의 기대(41, 41′)들의 가동수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서로 마주 전 후진 되게 설치된 가동랙(44, 44′)들과, 기대(41, 41′)의 후면에 각각 부설된 연동랙(46, 46′)들과, 가동랙(44)과 연동랙(46) 사이에 이들 랙과 동시에 맞물리게 축착된 피니언(45)과, 가동랙(44′)과 연동랙(46′) 사이에 이들 랙과 동시에 맞물리게 축착된 피니언(45′)들로 구성될 수 있다(도 9, 10 참조).
또한, 이러한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있어서, 절단도(42, 42′)들과 탈피편(43, 43′)들의 각 착설 위치와 서로의 간격은 이들 사이에 각각 개재하는 격편(412)들에 의해 조정 가능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러한 장치의 작동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지간(24, 24′)이 전진되면 탈피편(43, 43′)들에 의해 멀어져 있는 잔류 피복(131′)의 후단부(131b)는 전선(13)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이 전선의 단부는 탈피되어 동선(132)의 단부가 노출된다. 이동기(20) 구동모터의 정구동에 의해 크랭크아암(15)이 가동레버(22)를 동작시켜 기대(21)를 조금더 전진시켜 주게 된 후 정지되므로 기대(21)의 전진 간격만큼 파지간(24, 24′)들이 전선(13)을 잡고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잔류피복(131′)중 후단부(131b)는 전선(13)의 단부로부터 이탈하게 된다(도 12d참조).
이동위치가 미리 세팅된 범위, 즉 제6도(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해기(30)의 용해판(32, 32′)들에 의해 용해된 피복(131)의 절개부(13a, 13b)들 사이의 잔류피복(131′) 중간 부위가 절단도(42, 42′)들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구동모터가 정지되어 기대(21)도 정지된다(도 10 및 도 12a참조).
가공되는 전선토막(13′)들은 도 1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잔류피복(131)의 후단부(131b)가 벗겨져 동선(132)의 일단이 노출되고, 다른 일단에는 잔류피복(131′)의 선단부(131a)가 그대로 결합되어 있게 되는데, 이렇게 가공하는 것은 전선토막(13′)을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으로 공급하기 전에 동선(132)의 노출된 일단에는 부품의 단자와 결속되는 접속단자(13″)를 결착하기 위한 것이며, 잔류피복부(131′)의 선단부(131a)를 그대로 두는 것은, 생산라인에서 동선을 전원공급부에 접합하기 전에 이 선단부를 미리 이탈시켜 동선(132)의 타단도 노출되어 있게 하면, 다수의 가는 선을 꼬아서 만드는 이 동선이 생산라인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노출된 동선(132)의 타단이 풀리게 되므로 이에 따라 발생하는 단부의 훼손, 단선, 접속불량, 접합작업의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선이 연속하여 공급되고 요구되는 길이로 잘려지며 절단부위의 피복을 일부 제거하는 연속작업용 장치인 종래의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에 있어서, 긴 길이의 전선이 계속 공급되어야 연속작업이 진행될 수 있지만, 전선의 길이는 유한하므로, 이러한 전선을 연결하여 피복이 약간 두꺼워진 이음부가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이음부는 전선의 저항 등의 특성이 달라지는 원인이 되므로 이러한 부분을 포함하는 상품이 만들어 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음부의 직경이 다소 굵어지는 점에 착안하여 직경이 규정치보다 굵은 이음부가 장비에 진입하는 경우 장치의 작동이 중단된다.그러나, 해당 이음부를 절단해 낸 다음, 절단된 전선을 장비 밖으로 끌어내어 해체하고 나서, 다시 새롭게 장치로 진입하는 전선의 한쪽 단이 장비를 완전히 통과한 상태로 만든 후, 장비를 재가동하였으므로 다시 전선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세팅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었다.
이러한 문제에 더하여, 공급되는 전선이 두 가닥인 경우, 이동 경로상에서 가열에 의한 피복부 절단, 압착에 의한 와이어 절단 및 절단된 피복를 약간 잡아당겨 전선의 통전부를 노출시키는 인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각각의 부분적 장치들이 요구하는 두 전선 간의 간격이 다르므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전선간의 간격과 위치를 변경 또는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두 가지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전선 정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규정치보다 두꺼운 전선의 이음부가 장비 내에서 걸리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도록 지그의 구멍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상기 이음부를 포함하는 전선을 정상적으로 절단 탈피처리하고, 차후 단자연결 등의 작업시에 그 전선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이음부를 포함하는 전선을 절단하고 탈피한 후 폐기함으로써 발생하는 손실과 대비하여, 장치의 작동이 중단되어 발생하게 되는 훨씬 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또한, 두 개의 전선을 사용하는 경우의 정렬을 위하여 상기 전선이 지그를 통과하는 전선관통부의 두 개의 입구단을 서로 마주보며 수렴하게 하여, 투입되는 전선이 적정간격을 확보한 후 지그의 출구단을 통해 나가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선정렬용 지그는, 전선의 이음부의 진입을 막게 되면 장치의 작동이 중단되고 해당 이음부를 절단해 낸 다음 절단된 전선을 장비 밖으로 해체하고 나서, 다시 새롭게 장치로 진입하는 전선의 한쪽 단이 장비를 완전히 통과한 상태로 만든 후 장비를 재가동하였던 종전과는 달리 전선을 재공급할 수 있도록 세팅하는데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고,
공급되는 전선이 두 가닥인 경우, 이동 경로상에서 각각의 부분적 장치들이 요구하는 전선 간의 위치를 정렬시킴으로써 작업 안정성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ㅎ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개요도.
도2는 본 고안의 설치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
도6은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7 (a)는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 중 용해기의 발췌사시도.
(b)는 용해판의 발췌사시 확대도.
(c)는 용해판의 동작 상태도.
도8 (a)(b)는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 중 용해기의 작동상태평면도.
(c)는 동 용해기에 의한 전선 피복의 용해된 상태도.
도9는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 중 절단탈피기의 발췌사시도.
도10은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 중 절단탈피기의 동작상태평면도.
도11은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 중 절단탈피기의 파지간의 동작 상태 발췌도.
도12는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에 의한 전선의 절단탈피가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선정렬용 지그
2 : 전선관통부
3 : 입구단
3′, 3″: 통공
3a, 3b : 중심선
4 : 출구단
4a, 4b : 중심선
5 : 고정부
5a : 장공
6 : (전선관통부)중심선
7 : 전선
7a, 7b, 7c : 교차점
8 : 이음부
9 : 너트
10 : 기체
13 : 전선
13′: 전선토막
13″: 접속단자
131 : 피복
131′: 잔류피복부
131a, 131b : 피복의 단부
132 : 동선
13a, 13b : 절개부
20 : 이동기
21 : 기대
22 : 가동레버
24, 24′: 파지간
221 : 회동편
25 : 견인간
26 : 고정나사
30 : 용해기
31. 31′: 기대
32, 32′: 용해판
33, 33′: 실린더
331, 331′: 로드
35, 35′: 안내봉
36, 36′: 지지판
37 : 격판
321 : 요홈
40 : 절단 탈피기
41, 41′: 기대
411, 411′: 지지부
412 : 격편
42, 42′: 절단도
421, 421′: 날부
43, 43′: 탈피편
44, 44′: 가동랙
45, 45′: 피니언
46, 46′: 연동랙
60, 60′: 안내원판
61, 61′: 안내공
62 : 나사축(볼트)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의 전선정렬용 지그(1)는,
전선(7)의 자동절단 및 탈피장치에 사용되는 지그(1)에 있어서
상기 전선(7)이 지나는 통로로서, 그 직경이 전선(7)의 이음부(8)의 직경보다 큰 적어도 두 개의 통공(3′, 3″)을 포함하는 전선관통부(2)와,
상기 전선관통부(2)의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에 대한 위치결정과 고정을 위한 장공(5a)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선관통부(2)의 상단에 상기 전선관통부(2)와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깝게 형성되는 고정부(5)를 포함한다(도 1, 2 참조).
이러한 전선정렬용 지그(1)의 고정부(5)는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에서 사용되는 수 개의 안내공(61′)이 뚫려 있는 안내원판(60′)이 일단에 고정된 나사축(62) 상에 너트(9)를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나사축(62)이 상기고정부(5)의 장공(5a)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부(5)의 전후면에 너트(9)를 밀접되게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지그(1)와 안내원판(60′)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장공(5a) 내에 설치된 나사축(62)의 수직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면 상기 전선정렬용 지그(1)의 상하위치도 함께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도 2 참조).
이러한 전선정렬용 지그(1)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공(3′,3″)의 직경은 이음부(8)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선의 이음부(8)가 안내원판(60′)의 안내공(61′)의 크기보다 클 경우 안내공(61′)을 통과하지 못하고 전선의 공급이 중단되어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도 5 참조)의 운전이 정지되므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선관통부(2)의 입구단(3)과 출구단(4)의 직경은 전선(7)의 이음부(8)의 직경보다 커야 한다. 예를 들어, 전선(7)의 직경이 약 2mm인 경우 전선관통부(2)의 입구단(3)과 출구단(4)의 직경은 이에 1.5배에 해당하는 3mm 정도가 적당하다.또한, 이렇게 전선정렬용 지그(1)를 사용하는 경우 안내원판(60′)의 안내공(61′)은 적어도 두 가닥의 전선(7)의 이음부(8)가 동시에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하므로, 전선정렬용 지그(1)의 출구단(4)에서 정해진 전선(7)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 이상의 직경을 가진 안내공(61')이 사용되도록 세팅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전선정렬용 지그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통부(2)가 원형의 출구단(4)과 입구단(3)을 가지며,
상기 출구단(4)의 구멍의 중심선(4a, 4b)은 상기 장공(5a)과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입구단(3)의 구멍의 중심선(3a, 3b)은 상기 출구단(4)의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출구단(4)과 입구단(3)으로부터, 출구단의 중심선(4a, 4b)과 입구단의 중심선(3a, 3b)의 교차점(7a, 7b)까지, 상기 출구단(4)과 입구단(3)의 각각 중심선을 따라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교차점(7a, 7b)에서 관통될 수 있다.이러한 교차점(7a, 7b)은 중심선(3a, 3b, 4a, 4b)을 따라 상기 출구단(4)과 입구단(3)으로부터 각각 상기 교차점(7a, 7b) 방향으로 가공되는 통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두 가닥의 전선(7)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전선의 자동절단 및 탈피장치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으며, 장치 내에서 수행될 다음 작업의 필요에 의하여 그 간격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전선정렬용 지그(1)의 입구단(3)으로 들어가는 두 전선(7)의 간격보다 출구단(4)을 통과한 두 전선(7)의 간격이 자연스럽게 좁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단(3)으로 진입하는 두 가닥의 전선(7)이 삽입되는 전선 통과용 구멍 두 개가 중심선(6)의 연장선을 향하여 비스듬히 바라보며 접근하도록 가공되어 각 전선(7) 간의 간격을 천천히 좁히도록 하고, 두 전선(7)이 목적하는 간격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중심선(6)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출구단(4)으로 나가도록 전선관통부(2) 안에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선정렬용 지그(1)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통부(2)의 각각의 입구단(3)의 기울어진 통로가 교차점(7c)에 접근할수록 서로 마주보며 가까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관통부(2)의 입구단(3)으로부터 교차점(7c)까지 서로 마주보며 비스듬히 뚫린 구멍이 서로 근접하거나 교차하고, 교차한 지점부터 출구단(4)까지 두 가닥의 전선(7)이 각각의 통로나 하나의 통로(7c 부터 4까지의 통로)를 따라 통과할 수 있다(도 4 참조).
Claims (4)
-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에 사용되는 지그에 있어서,전선이 지나는 통로로서, 직경이 전선의 이음부의 직경보다 큰 적어도 두 개의 통공을 포함하는 전선관통부와;상기 전선관통부의 전선자동절단 및 탈피장치에 대한 위치결정과 고정을 위한 결합용 장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선관통부와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깝게 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전선정렬용 지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선관통부가 원형의 출구단과 입구단을 가지며,상기 출구단의 구멍의 중심선은 수평을 유지하며,상기 입구단의 구멍의 중심선은 상기 출구단의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며,상기 출구단과 입구단으로부터, 출구단의 중심선과 입구단의 중심선의 교차점까지, 상기 출구단과 입구단의 각각 중심선을 따라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교차점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렬용 지그.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선관통부의 각각의 입구단으로부터의 기울어진 통로가 출구단으로부터의 각각의 통로와 만나는 교차점에 접근할수록 상기 기울어진 통로가 서로 마주보며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렬용 지그.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선관통부의 두 개의 입구단으로부터의 기울어진 통로가 출구단으로부터의 하나의 통로와 하나의 교차점에 만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렬용 지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1095U KR200445797Y1 (ko) | 2008-08-20 | 2008-08-20 | 전선정렬용 지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1095U KR200445797Y1 (ko) | 2008-08-20 | 2008-08-20 | 전선정렬용 지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5797Y1 true KR200445797Y1 (ko) | 2009-09-04 |
Family
ID=4365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1095U KR200445797Y1 (ko) | 2008-08-20 | 2008-08-20 | 전선정렬용 지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579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1024B1 (ko) * | 2021-04-20 | 2022-02-14 | 배윤성 |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전선의 가공장치 및 가공전선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292B1 (ko) * | 2006-01-31 | 2007-06-27 | 경신공업 주식회사 | 와이어링 하네스의 커넥터용 지그 |
KR100780319B1 (ko) * | 2006-09-06 | 2007-11-29 | 이종수 | 전선보호캡 재단용 지그 |
-
2008
- 2008-08-20 KR KR2020080011095U patent/KR2004457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292B1 (ko) * | 2006-01-31 | 2007-06-27 | 경신공업 주식회사 | 와이어링 하네스의 커넥터용 지그 |
KR100780319B1 (ko) * | 2006-09-06 | 2007-11-29 | 이종수 | 전선보호캡 재단용 지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1024B1 (ko) * | 2021-04-20 | 2022-02-14 | 배윤성 |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전선의 가공장치 및 가공전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3804B1 (ko) |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 |
DE3838706C2 (de)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abelbaum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 |
DE3143717C2 (ko) | ||
DE102007045279B4 (de)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belbäumen | |
DE102009003117B4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Kabels mit einem elektrischen Anschlusselement | |
CN107824925A (zh) | 一种led灯板串联连接的自动加工系统 | |
US9655295B2 (en) | Attachment for feede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feeder installation | |
EP0703646B1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drahten von Anschlussstellen von Komponenten elektrischer Geräte | |
KR200445797Y1 (ko) | 전선정렬용 지그 | |
CN113964621B (zh) | 一种冰箱传感器线束的生产方法 | |
DE2506060A1 (de) | Simultan-anschlussystem | |
DE69301694T2 (de) | Verfahren und Ausrüstung für den automatischen Übergang des zugeführten Drahtes in einer Funkenerosionsmaschine | |
JPH1056716A (ja) | 中間皮剥ぎユニット | |
CN104167654A (zh) |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双面芯线剥皮机 | |
DE4020338A1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kabelbaums | |
KR200163807Y1 (ko) |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 |
DE19750690C2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Verdrahten von Anschlußstellen von Komponenten elektrischer Geräte | |
DE19756750C1 (de) | Vorrichtung zum Verdrahten von Anschlußstellen von Komponenten elektrischer Geräte oder Anlagen | |
JPH0765652A (ja) |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装置 | |
KR0121046Y1 (ko) |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 |
DE4221828C1 (en) | Automatic fixing of contacts onto ends of electrical wires - using chain belt feed of wire loops with stations on both sides to supply crimp and solder contacts | |
DE3528203C1 (en) |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terminal contacts to electrical conductors | |
JP2000175328A (ja) | 被覆電線の皮剥装置 | |
KR20080041358A (ko) | 전선의 피복 두께 및 길이를 조절하여 탈피하는 방법 및구조 | |
JPH07245168A (ja) | 電線連結方法および電線連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