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046Y1 -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046Y1
KR0121046Y1 KR2019940027605U KR19940027605U KR0121046Y1 KR 0121046 Y1 KR0121046 Y1 KR 0121046Y1 KR 2019940027605 U KR2019940027605 U KR 2019940027605U KR 19940027605 U KR19940027605 U KR 19940027605U KR 0121046 Y1 KR0121046 Y1 KR 0121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ire
cutting
electric wire
b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707U (ko
Inventor
이선환
Original Assignee
이선환
신성전자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환, 신성전자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선환
Priority to KR2019940027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046Y1/ko
Publication of KR960015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0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7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전기 전자 제품 내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전원부와 연결시켜 주기 위해 일단의 피복은 벗겨주고 타단의 피복은 작업자가 납땜 작업시 간단히 벗겨줄 수 있게 하여 주는 소정 길이의 전선토막들을 제공하기 위한 피복에 절개부 가공, 전선의 절단, 피복일단의 탈피가공들을 단일 장치에 의해 일관되게 연속 수행되게 하므로 단시간에 대량 가공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기체(10)상에 전선(13)을 간헐적으로 직진 이동시켜 주는 이동기(20)와, 이 이동기에 의해 이동되는 전선(13)의 피복(131)을 소정 간격으로 용해시켜 절개부(13a)(13b)를 형성하여 주는 용해기(30)와, 전개부(13a)(13b)들 사이의 중간을 절단하여 주며 일단의 피복을 벗겨주는 절단 탈피기(40)들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동 작동상태 평면도.
제3도(a)는 본 고안 실시예중 용해기의 발췌 사시도.
(b)는 동 용해판의 발췌 확대 사시도.
(c)는 동 동작 상태도.
제4도 (a)(b)는 동 용해기의 작동 상태 평면도.
(c)는 동 용해기에 의한 전선 피복의 용해된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 실시예중 절단 탈피기의 발췌 사시도 .
제6도는 동 작동 상태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 실시예중 파지간의 동작 상태 발췌도.
제8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절단 탈피 가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체 20 : 이동기
21 : 기대 22 : 가동레버
24,24' : 파지간 221 : 회동편
25 : 견인간 26 : 고정나사
30 : 용해기 31,31' : 기대
32,32' : 용해판 33,33' : 실린더
36,36' : 지지판 37 : 격판
321 : 요홈 40 : 절단탈피기
41,41' : 기대 42,42' : 절단도
43,43' : 탈피편 44,44' : 가동랙
45,45' : 피니언 46,46' : 연동랙
본 고안은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일단은 피복을 소정폭으로 벗겨서 동선이 노출되게 하여 주며, 타단의 피복은 배선을 위한 납땜 작업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벗겨줄 수 있게 하여 주는 가공 작업들이 단일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일관되게 연속 수행되도록 한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는 여러 종류의 부품들이 설치되며 이들 부품은 각기 전선을 통해 전원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므로, 전원부와 각 부품 사이에는 전기공급을 위한 소정길이의 전선토막들이 배선되는데, 이들 전선토막은 부품의 설치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각각 다르게 됨은 물론, 동일 기기를 대량 생산할 때에는 길이가 각기 다른 전선토막들이 그 종류별로 다량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들 전선토막은 기기의 생산라인에서 작업자가 보다 신속 용이하게 배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기 위해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선(13)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얻게되는 전선토막(13')의 일단은 피복(131)을 벗겨서 노출된 동선(132)의 단부에 부품의 단자 결속하는 접속단자(13)를 결착하고, 다른 일단은 동선을 전원부에 납땜할 때 작업자가 피복(131)의 단부를 간단히 벗겨줄 수 있도록 가공하여 공급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렇게 가공된 전선토막(13')들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선(13)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피복(131)의 일단부(131b)는 벗겨서 노출된 동선(132)의 단부에 접속단자(13)를 결착하여 주며, 다른 일단부(131a)는 납땜 작업시에 작업자가 즉석에서 간단히 벗겨줄 수 있게 피복(131)의 단부측에 빙둘러 절개부(13a)를 가공하여 주고, 특히 피복이 폴리에스테르 섬유(Polyester fiber)로 직조된 것인 경우에는 절개부의 절단면들이 풀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해 각 절단면을 가열 융착시켜 주는 가공 작업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가공작업들이 각기 별도의 가공장치들에 의해 개별적인 공정을 거쳐 수행되게 하였기 때문에 전체가공시간과 작업인력이 많이 소요 되었고, 또 단위시간당 가공량이 적게되어 가공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 가공작업이 일관되게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규격에 미달되는 불량 전선 토막이 다수 발생되는 등 가공작업에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함과 동시에 전체가공 작업이 단일 장치에 의해 일관되게 연속 수행되도록 하는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선단에는 접속단자를 결착할 수 있게 피복을 벗겨주며 후단은 납땜작업시 작업자가 피복의 단부를 간단히 벗겨줄 수 있게 절개부를 형성하는 가공작업들을 자동으로 일관되게 연속 수행하는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장치는 권취드럼에 감겨져 있는 전선을 잡아당겨서 미리 세팅된 거리만큼씩 길이 방향으로 직진 이동시켜 주는 이동기와, 피복만을 일정간격으로 녹여 한쌍의 근접되는 절개부를 형성시켜 주는 용해기와, 이 용해기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들 사이의 중간을 절단하고 일단의 피복을 벗겨주게 되는 절단 탈피기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기는, 기대와 이를 전 후진 직진 이동시켜주는 레버와 기대에 축착 설치되어 전선을 잡고 놓아주게 되는 한쌍의 파지간들로 구성되며, 권취드럼에 감겨있는 전선을 잡아당겨 필요한 거리만큼 간헐적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용해기는, 히터가 장착된 각기 한쌍의 용해편들과 이들 용해편이 착설되고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와 이들 기대를 전 후진 시켜 주는 실린더들로 구성되며, 이동기에 의해 이동되는 전선의 피복을 일정간격으로 녹여주게 된다.
절단 탈피기는, 절단도와 탈피편들 및 이들이 소정간격으로 착설되며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와 이들 기대를 전 후진 시켜 주는 가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용해기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절개부들 사이의 중간부위를 절단도가 교차되면서 절단하게 되고, 탈피편과 이동기의 파지간들은 피복의 후단부를 전선으로부터 이탈 시켜 벗겨주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 용해 절단 탈피기들은 일반적인 자동제어기에 의해 그 작동이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되게 제어된다.
따라서,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가공작업과 일단의 피복을 벗겨주는 탈피가공작업 및 피복을 용이하게 벗겨줄 수 있게 절개부를 형성하여 주는 가공 작업들이 연속적으로 일관되게 자동수행되며, 이에 따라 단시간에 전선토막들을 규격에 맞게 다량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 한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는, 제1도 및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체(10)상부를 횡단하게 고정 착설된 안내대(11)에 결합 설치되어 간헐적으로 전 후진 되면서 권취드럼(12)에 감겨져 있는 전선(13)을 잡아당겨 미리 세팅된 거리만큼씩 직진 이동시켜 주게 되는 이동기(20)와, 전선(13)의 피복을 소정간격으로 용해시켜 주는 용해기(30)와, 이 용해기에 의해 용해된 부분의 중간을 절단하여 필요한 길이의 전선토막을 얻게함과 동시에 피복의 일단을 벗겨주게 되는 절단 탈피기(40)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기(20)는, 안내대(11)에 결합설치되는 기대(21)와, 이 기대를 전 후진 시켜주는 가동레버(22)와, 기대(21)를 횡으로 관통하게 설치되는 주축(23)과, 이 주축에 축결합되게 기대(21)에 착설되는 한쌍의 파지간(24)(24')들로 구성된다.
기대(21)는,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이면에 형성된 결합홈(211)을 안내대(11)에 결합하고, 그 후측에 지지판(212)을 착설하여 안내대(11)로부터 이탈 되지 않게 결합 설치된다.
가동레버(22)의 후단은, 기체(10)의 지지대(14)에 축착하고 선단은 견인간(25)으로 기대(21)와 연결한다.
즉, 견인간(25)의 선단부(251)는 레버(22)의 선단 상면에 회전자재토록 축착되는 회동편(221)에 횡방향으로 관통되게 뚫어 설치된 관통구를 관통하게 결합한 다음, 이 관통구와 교차되게 뚫은 나사공에 고정나사(26)를 체결하여 착설하고, 후단부(252)는 기대(21)의 전면에 축착함으로써 가동레버(22)와 기대(21)가 견인간(25)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견인간(25)의 선단부(251)가 회동편(221)을 관통하게 되는 정도의 조절에 의해 기대(21)의 전 후진 이동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며, 그 이동 간격의 조정은 가공할 전선토막(13')의 길이에 비례하게 되고, 이때 조정되는 길이는 레버(22)의 후단부 상면에 일단이 축착된 길이표시 레버(27)의 선단 표시침(271)의 이동에 의해 기체(10) 상면에 착설된 눈금대(28)에 표시된다.
또한, 레버(22)는 기체(10)내에 설치된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크랭크아암(15)에 의해 동작된다.
주축(23)은 단면이 4각형상으로 되며, 기대(21)를 관통하여 그 선단은 안내대(11)의 선단에 착설된 축수부(231)에 후단은 안내대(11)의 후단에 착설된 축수부(231')에 각각 결합된다.
한편, 주축(23)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기대(21) 및 축수부(231)(231')들과 결합되는 각 결합부위에 각각 회전링(232)들을 개재시켜 축 결합한다.
또, 주축(23)은 그 후단을 전동레버(233)의 선단에 하단이 축착된 연동레버(234)의 상단에 축착하여 이들 레버의 연결 작동에 의해 정 역 회동되게 하며, 전동레버(233)는 기체(10)내에 설치된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동되게 축착 설치된 가동레버(235)의 외단에 축착 연결된다.
파지간(24)(24')들은 일반적인 로봇 핸드와 같이 다관절로 되며, 각기 그 상부관절(도시하지 않음)들의 상단을 주축(23)에 각각 축착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되게 한다.
따라서, 주축(23)의 정 역 회전방향에 따라 파지간(24)(24')들의 간격이 오므러 들게 되거나 벌어지게 되므로 전선(13)을 잡거나 놓아주게 된다.
용해기(30)는 제1도 및 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채(10)의 후방위치에 전선(13)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31)(31')들과, 이들 기대에 각각 착설되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각기 한쌍의 용해판(32)(32')들과 기대(31)(31')를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전 후진 이동시켜 가동수단인 실린더(33)(33')를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전 후진 이동시켜 가동수단인 실린더(33)(33')들로 구성된다.
기대(31)(31')들은, 서로 마주하는 고정대(34)(34')들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그 양쪽에 착설된 안내봉(35)(35')에 결합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동시에 전 후 진하게 된다.
용해판(32)(32')들은, 각각 기대(31)(31')들의 전면 양쪽에 지지판(36)(36')들과 다수개의 격편(37)들에 의해 소정간격을 유지하게 착설된다.
즉 용해판(32)(32')들의 외면에는 지지판(36)(36')들이, 내면 사이에는 다수개의 격판(37)들이 개재되게 결착한다.
따라서, 각 용해판(32)(32')들의 간격은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격판(37)들의 개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해판(32)(32')들의 각 선단부 중간에는 반원형상의 요홈(321)(321')들이 형성된다.
이들 요홈의 반경은, 각기 전선(13)의 피복(131)에 의해 내장된 동선(132)의 굵기에 비례한다.
실린더(33)(33')들은, 각각 고정대(34)(34')의 후면에 착설되며 그 로드(331)(331')의 선단이 고정대(34)(34')를 관통하여 기대(31)(31')의 후면에 축착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33)(33')들이 정구동되면 기대(31)(31')가 동시에 마주 전진되어 각 용해판(32)(32')들의 선단이 서로 접촉되면서 요홈(321)(321')들이 합쳐져 원형이 되는데, 이때 용해판(32)(32')들은 히터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있게 되므로 요홈(321)(321')들에 의해 전선(13)의 피복(131)에는 소정간격으로 절개부(13a)(13b)가 형성되며, 이후 실린더(33)(33')가 역구공되면 용해판(32)(32')은 서로 격리된다.
절단 탈피기(40)는, 제1도 및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해기(30)의 전방위치에 전선(13)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41)(41')들과, 이들 기대의 전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착설되는 절단도(42)(42')들과, 이들 절단도의 후방 위치에 서로 마주하게 착설되는 탈피편(43)(43')들과, 기대(41)(41')들을 동시에 마주 전 후진 시켜 주는 가동수단들로 구성된다.
절단도(42)(42')와 탈피편(43)(43')들은, 각기 기대(41)(41')들의 상부 전면 양쪽의 지지부(411)(411')사이에 개재하는 다수개의 격편(412)들에 의해 그 착설 위치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대(41)(41')들이 서로 마주 전진하게 되면 절단도(42)(42')들의 날부(421)(421')가 서로 교차되면서, 이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전선(13)의 피복(131)중 절개부(13a)(13b)들 사이의 잔류 피복(131') 중간 부위를 절단하여 주게 되며, 동시에 탈피편(43)(43')들은 그 선단이 일정 간격으로 격리된 위치에서 마주하게 정지되면서 각기 잔류 피복부(131')의 후단 절개면을 걸어주게 된다.(제6도 참조)
이때, 파지간(24)(24')들은, 절개부(13b)의 후측에 위치하면서 그 부분의 전선(13)을 잡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지간(24)(24')이 전진되면 탈피편(43)(43')들에 의해 멀어져 있는 잔류 피복(131')의 후단부(131b)는 전선(13)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이 전선의 단부는 탈피되어 동선(132)의 단부가 노출된다(제8도 (라) 참조).
기대(41)(41')들의 가동수단은, 기체(10) 내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일반적인 동력전달 부재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동시에 서로 역방향으로 직진 전 후진 되는 가동랙(44)(44'), 들과 이들에 각각 맞물리게 축착된 피니언(45)(45')들과, 이들 피니언과 각각 맞물리게 기대(41)(41')들의 각 후면에 연장설치된 연동랙(46)(46')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동랙(44)(44')들과 피니언(45)(45')들의 동작에 의해 연동랙(46)(46')들이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되면 기대(41)(41')들이 전진되고 연동랙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후진되면 기대(41)(41')들은 후진된다.
한편, 절단탈피기(40)의 일측에는 계수기(50)가 설치되며, 이 계수기의 계수 레버(51)와 가동랙(44)의 단부 사이에는 견인스프링(52)을 연결시켜 구동랙(44)이 1회 전 후진 될 때마다 레버(51)가 동작되어 계수기(50)에 숫자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소정길이로 가공된 전선토막(13')들의 개수를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체(10)의 후방위치에는 전선(13)의 이동안내롤러(16)(16')들이 축착 설치되고 그 후측과 절단탈피기(40)의 후측에는 주면에 빙둘러 수개의 안내공(61)(61')들의 뚫어 설치된 전선(13)의 안내원판(60)(60')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권취드럼(12)에서 풀어져 이동되는 전선(13)은 안내원판(60)의 유통공(61)들중 하나의 유통을 통과하여 안내롤러(16)(16')들을 거쳐 안내원판(60')들을 거쳐 안내원판(60')의 유통공(61')들중 하나의 유통공을 통과하여 이동되게 하므로 전선(13)은 용해기(30)와 절단탈피기(40)의 중간 위치를 통과하게 안내된다.
제8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자동절단 탈피장치의 작동에 따라 가공되는 전선토막(13')의 가공 공정을 보인 것으로서 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체(10)의 작동 초기에는 용해기(30)의 기대(31)(31')들과, 절단탈피기(40)의 기대(41)(41')들은 모두 후진되어 있게 되므로 기대(31)(31')에 각각 착설된 한쌍의 용해판(32)(32')들과 기대(41)(41')들의 절단도(42)(42')들은 각기 격리되어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드럼(12)에 감겨있는 전선(13)의 일부를 풀어서 그 단부가 안내원판(60)의 안내공(61)과 각 안내롤러(16)(16')들을 거쳐 용해기(30)의 서로 격리되어있는 용해판(32)(32')들 사이의 중간부위와 안내원판(60')의 안내공(61')과 절단탈피기(40)의 서로 격리되어 있는 절단도(42)(42')들 사이의 중간부위를 통과하게 하여 준다.(제4도 및 제6도(a) 참조).
다음에는 이동기(20)를 동작시켜 주면 되는데, 그 동작은 기체(10)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역구동에 의해 크랭크 아암(15)이 가동레버(22)의 선단부를 후 방향측으로 당겨 회동시켜 주게 되며, 이에 따라 견인간(25)이 기대(21)를 밀어서 기체(10)의 후방측으로 후진시켜 주게 된다.
이때, 그 후진되는 간격은 파지간(24)(24')들이 안내원판(60')의 전방과 기대(41)(41')들의 측방 사이의 위치에 도달하는 정도가 된다.
이렇게 되면, 이동기(20)의 후진작동은 정지되며 다음에는 전동레버(233)가주축 (23)을 제7도(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대략 45도 회전시켜 주게 되므로 단면이 4각형상으로 된 이 주축에 상부관절의 상단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되게 결착되어 있는 파지간(24)(24')들의 간격이 오므러들게 되어 이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전선(13)을 잡아주게 된다(제2도(a)참조)
이렇게 된 다음에는, 용해기(30)와 절단탈피기(40)가 각기 동작되어 용해기(30)는 전선(13)의 피복(131)을 소정간격으로 용해시켜 주게되고, 절단탈피기(40)는 전선(13)을 소정길이의 토막으로 되게 절단하여 주게 되는데, 그 작동은 다음과 같다.
용해기(30)의 작동은, 먼저 실린더(33)(33')들이 정구동되면 그 로드(331)(331')들의 전진으로 기대(31)(31')가 서로 마주하게 전진되어 그 전면에 착설된 용해판(32)(32')들의 선단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제3도(c)참조).
이렇게 되면, 용해판(32)(32')들은 내장된 히터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선단이 서로 접촉되는 과정에 이들 사이를 통과되는 전선(13)의 피복(131)을 녹여주게 된다.
이때, 피복(131)을 녹여주게 되는 부분은 반원호상의 요홈(321)(321')이 되며, 이들 요홈의 반경은 동선(132)의 굵기에 비례하게 됨에 따라 용해판(32)(32')들의 선단이 완전히 접촉되면 요홈 위치에 해당되는 피복(131)은 각 한쌍으로 된 용해판(32)(32')들 각각의 간격으로 빙둘러 용해된다(제4도(c)참조).
따라서, 용해된 절개부(13a)(13b)들 사이에는 잔류피복(131')이 소정폭으로 남아 있게 된다.
이후, 실린더(33)(33')들의 역구동으로 그 로드(331)(331')들이 각각 후진되면 기대(31)(31')와 함께 용해판(32)(32')들로 원위치로 후진되므로 피복(131)의 용해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절단탈피기(40)의 작동은 먼저 기체(10)내에 설치된 구동모터가 정구동되면 동력전달 부재들의 작용에 의해 가동랙(44)(44')들이 각기 후진방향으로 직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피니언(45)은 반시계방향으로, 피니언(45')은 시계방향으로 각기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들 피니언에 각각 맞물려 있는 연동랙(46)(46')들이 각기 연결되어 있는 기대(41)(41')들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그 전면에 착설된 절단도(42)(42')들의 날부(421)(421')가 서로 교차되면서 이들 위치를 통과하는 전선(13)의 잔류피복(131')의 선단 절개면을 걸어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절단탈피기(40)의 구동모터는 정지되므로 기대(41)(41')들은 더 이상 전진되지 않게 된다(제6도(b)참조).
이때, 파지간(24)(24')들은 전선(13)의 절개부(13a) 후측 부분을 잡고 있으며, 절단된 전선토막(13')은 수집판으로 낙하되어 수집된다(제1도 참조).
다음에는, 이동기(20) 구동모터의 정구동에 의해 크랭크아암(15)이 가동레버(22)를 동작시켜 기대(21)를 조금더 전진시켜 주게 된 후 정지되므로 기대(21)의 전진 간격만큼 파지간(24)(24')들이 전선(13)을 잡고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잔류피복(131')중 후단부(131b)는 전선(13)의 단부로부터 이탈된다(제8도(d)참조).
이에 따라, 전선(13)의 일부는 탈피되어 동선(132)의 일단이 노출되며, 이탈된 후단부(131b)는 기체(10) 하부로 낙하 수집된다.
이와 같은 탈피작업이 완료되면, 이번에는 절단탈피기(40)의 구동모터가 역 구동되어 가동랙(44)(44')과 피니언(45)(45') 및 연동랙(46)(46')들을 역동작시켜 주게 되므로 기대(41)(41')들이 동시에 후진되어 절단도(42)(42') 및 탈피편(43)(43')들이 각각 서로 격리됨으로써 절단 탈피가공 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되면, 이번에는 이동기(20)의 구동모터가 정구동으로 크랭크아암(15)이 가동레버(22)의 선단을 기체(10)의 전방측으로 밀어 회동시켜 주게 되므로 이 가동레버에 의해 견인간(25)의 선단을 기체(10)의 전방축으로 밀어 회동시켜 주게 되므로 이 가동레버에 의해 견인간(25)이 기대(21)를 꿀어 당겨 전진시켜 주게 되고, 이에 따라 파지간(24)(24')들에 의해 잡혀 있는 전선(13)은 전진방향으로 당겨져 직진 이동된다.
이때 그 이동 위치가 미리 세팅된 범위,. 즉 제6도(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해기(30)의 용해판(32)(32')들에 의해 용해된 피복(131)의 절개부(13a)(13b)들 사이의 잔류피복(131') 중간 부위가 절단도(42)(42')들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구동모터가 정지되어 기대(21)도 정지된다(제6도 및 제8도(a)참조)
다음에는, 전동레버(233)가 역동작되어 주축(23)을 제7도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45도 정도 역 회전시켜 준 다음 정지되며, 이에 따라 파지간(24)(24')들은 서로의 간격이 벌어져 잡고 있던 전선(13)을 놓아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이동기(20)의 구동모터가 다시 역구동되어 기대(21)를 후진시켜 파지간(24)(24')들이 안내원판(60) 전방과 기대(41)(41')들의 측방 사이의 소정위치까지 이동시켜 준 다음 정지되고, 이후 전동레버(233)가 주축(23)을 제7도 (b)에서 보는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45도 정도 정회전시켜 파지간(24)(24')들의 간격을 오므려 주므로 이들이 전선(13)의 절개부(13b) 후측부분을 잡아주게 한 다음 정지됨으로써 전선(13)의 잔류피복(131') 부위는 다음 절단 탈피가공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이때 용해기(30)의 용해판(32)(32')들 사이에는 피복(131)의 용해되지 않은 부분이 놓이게 됨으로써 다음 용해가공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제4도(a)참조).
이와 같이 되면, 다시 피복(131)을 용해시켜 주고 전선(13)을 절단하며 그 일단의 피복을 벗겨 주는 작업이 순서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가공작업의 연속으로 필요한 전선토막(13')을 자동으로 얻게 되는 본 고안장치는, 단시간에 규격품들을 다량으로 가공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렇게 가공되는 전선토막(13')들은 제8도(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잔류피복(131)의 후단부(131b)가 벗겨져 동선(132)의 일단이 노출되고, 다른 일단에는 잔류피복(131')의 선단부(131a)가 그대로 결합되어 있게 되는데, 이렇게 가공하는 것은 전선토막(13')들을 전기 전자제품의 생산라인으로 공급하기 전에 동선(132)의 노출된 일단에는 부품의 단자와 결속되는 접속단자(13)를 결착하기 위한 것이며, 잔류피복(131')의 선단부(131a)를 그대로 두는 것은 생산라인에서 동선을 전원공급부에 납땜하기 전에 이 선단부를 미리 이탈시켜 동선(132)의 타단도 노출되어 있게하여 주면 이 동선은 다수의 가는 선들을 꼬아서되는 것이므로 전선토막(131')을 가공하여 생산라인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노출된 동선(132)의 타단이 풀어지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각선의 단부가 훼손 및 단선되거나 납땜 작업의 불편, 또는 접속 불량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는, 필요한 길이의 전선토막을 얻기 위한 피복의 용해 탈피 전선의 절단 가공작업들이 단일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일관되게 연속 수행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다량 가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공되는 전선토막의 길이나 용해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들의 간격, 절단위치등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각기 다른 여러종류의 전선토막들을 단일 장치로 가공할 수 있게 되는 특징도 있다.
이에 따라 가공시간 및 인력이 대폭 감소됨은 물론 가공원가도 크게 절감되는 등의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8)

  1. 기체(10)상에 설치되는 기대(21)와, 이 기대를 간헐적으로 전 후진 시켜주는 가동레버(22)와, 상기 기대(21)에 축착 설치되는 전선의 파지간(24)(24')들을 갖춘 이동기(20)와, 전선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게 기체(10)의 후방위치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31)(31')들과, 이들 기대의 전면 양쪽에 소정간격을 유지하게 각각 착설되어 전선의 피복을 소정간격으로 녹여주는 용해판(32)(32')들과, 상기 기대(31)(31')들을 동시에 마주 전 후진 시켜주는 가동수단을 갖춘 용해기(30)와, 전선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게 기체(10)의 용해기(30) 전방위치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41)(41')들과 이들 기대의 전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각각 착설되는 전선의 절단도(42)(42')들과, 이들 절단도의 후방 위치에 서로 마주하게 착설되는 탈피편(43)(43')들과, 상기 기대(41)(41')들을 동시에 마주 전 후진 시켜주는 가동수단을 갖춘 절단 탈피기(40)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대(21)와 가동레버(22)는, 후단은 기대(21)의 전면에 축착하고 선단부는 가동레버(22)의 선단 상면에 축착된 회동편(221)을 관통하게 뚫은 관통구에 결합하는 견인간(25)과, 상기 관통구와 교차되게 뚫은 나사공에 체결하는 견인간의 고정나사(26)들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용해판(32)(32')들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개의 격판(37)들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유지되게 지지판(36)(36')들로 기대(31)(31')의 전면에 각기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해판(32)(32')의 전면 중간부위에는 전선에 내장된 동선의 직경에 비례하게 요홈(32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용해기(30)의 기대(31)(31')들의 가동수단은, 실린더(33)(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절단 탈피기(40)의 절단도(42)(42')들은, 기대(41)(41')가 완전히 전진되면 각 날부가 서로 교차되게 착설되며, 탈피편(43)(43')들은 선단이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게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절단 탈피기(40)의 기대(41)(41')들 가동수단은 구동모터에의해 서로 마주 전 후진 되게설치된 가동랙(44)(44')들과, 기대(41)(41')의 후면에 각각 부설된 연동랙(46)(46')들과, 가동랙(44)과 연동랙(46) 사이에 이들 랙과 동시에 맞물리게 축착된 피니언(45)과, 가동랙(44')과 연동랙(46') 사이에 이들 랙과 동시에 맞물리게 축착된 피니언(45')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자동 절단 탈피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절단도(42)(42')들과 탈피편(43)(43')들의 각 착설 위치와 서로의 간격은 이들 사이에 각각 개재하는 격편(412)들에 의해 조정 가능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KR2019940027605U 1994-10-22 1994-10-22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KR0121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605U KR0121046Y1 (ko) 1994-10-22 1994-10-22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605U KR0121046Y1 (ko) 1994-10-22 1994-10-22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707U KR960015707U (ko) 1996-05-17
KR0121046Y1 true KR0121046Y1 (ko) 1998-10-01

Family

ID=1939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605U KR0121046Y1 (ko) 1994-10-22 1994-10-22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0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024B1 (ko) * 2021-04-20 2022-02-14 배윤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전선의 가공장치 및 가공전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024B1 (ko) * 2021-04-20 2022-02-14 배윤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전선의 가공장치 및 가공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707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4571B2 (ja) 絶縁被覆除去装置
US7178434B2 (en) Orbiting blade coaxial cable cutter/stripper
CN110707501B (zh) 一种带接线端子的线束生产工艺
EP0766106B1 (en) Stripper for fiber ribbon
KR0121046Y1 (ko)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KR100826117B1 (ko) 트위스트 와이어 테이핑장치
KR200163807Y1 (ko)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US5226224A (en) Method of removing sheath from electric wire in intermediate region
US70137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stripping covering layers from a filamentary core including both rotary and reciprocating cutting blades
US20050279463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labels to an operator without delay
DE3902697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manteln von isolierten Leitungen, insbesondere abgeschirmten Koaxialleitungen
EP0244123B1 (en) Cable supporting apparatus
KR200445797Y1 (ko) 전선정렬용 지그
EP1174970A1 (en) "Apparatus for cutting, sheat-removing and stripping insulated cables"
FR2526238A1 (fr) Machine combinee pour la coupe programmee de fils electriques isoles et non isoles, le denudage des extremites et l'emmanchement et le sertissage de cosses et de protections isolantes
JP2614919B2 (ja) 多心光ファイバの端末加工機
JP3253457B2 (ja) 電線中剥き装置
JPS59171410A (ja) 電線製造機における電線交換装置
JPH07245168A (ja) 電線連結方法および電線連結装置
JPH0136316Y2 (ko)
US20230318269A1 (en) Automatic cutting machine
JPS5928128B2 (ja) 被覆線切断・被覆剥取機における線材案内装置
JPH03297085A (ja) 電線の加工処理装置
JPH03710Y2 (ko)
JP3321582B2 (ja) 光ファイバの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