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807Y1 -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807Y1
KR200163807Y1 KR2019990013865U KR19990013865U KR200163807Y1 KR 200163807 Y1 KR200163807 Y1 KR 200163807Y1 KR 2019990013865 U KR2019990013865 U KR 2019990013865U KR 19990013865 U KR19990013865 U KR 19990013865U KR 200163807 Y1 KR200163807 Y1 KR 200163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cutting
stripping
coa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환
Original Assignee
신성전자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전자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전자기업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8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97Removing armouring from cable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전선 자동절단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전자제품내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전원부와 연결시켜 주기 위해 일단의 피복은 벗겨주고 타단의 피복은 작업자가 납땜작업시 간단히 벗겨줄 수 있게 하여 주는 적정 길이의 전선 토막들을 제공하기 위한 피복의 용해·탈피 및 전선을 절단하는 가공 작업을 두가닥의 전선을 동시에 이동시켜 가공하므로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게 한 것으로서, 기체(10)에 2개의 권취드럼(12')(12')을 설치하여 두가닥의 전선(13)(13')을 동시에 격리 이동시켜 용해기(30)의 용해편(32)(32')을 이용하여 피복을 일정간격으로 용해시키고, 각각의 용해된 절개부(13a)(13b)들의 중간을 절단탈피기(40)의 절단도(42)(42')들로 절단하여 각 전단의 피복을 이탈시켜 주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Apparatus for cutting and stripping the covering of electric compound number wires}
본 고안은 복수의 전선 자동절단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21046호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등록 고안은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일단은 피복을 소정폭으로 벗겨서 동선이 노출되게 하여 주며, 타단의 피복은 배선을 위한 납땜 작업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벗겨줄 수 있게 하는 가공작업들이 단일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일관되게 연속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가공시간 및 인력이 대폭 감소되고 가공원가도 크게 절감되는 등의 효과를 얻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고안은, 전선의 피복을 용해·탈피·절단하는 가공 작업들이 한가닥의 전선이 공급되면서 수행되기 때문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생산성이 2배로 향상되는 복수의 전선 자동절단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두가닥의 전선을 동시에 공급하여 피복을 동시에 용해·탈피·절단가공하는 자동 절단 탈피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장치는 일렬로 설치된 2개의 권취드럼에 감겨져 있는 두가닥의 전선을 미리 세팅된 거리만큼씩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직진 이동시켜 주는 이동기와, 이동된 각 전선의 피복만을 일정간격으로 녹여 한쌍의 근접되는 절개부를 각기 형성시켜 주는 용해기와, 이 용해기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들 사이의 중간부분을 각기 절단하고 각 후단의 피복을 벗겨주게 되는 절단 탈피기들을 구비하고 있다.
권취드럼은 기대에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한쌍이 축착 설치되며, 이들 드럼에 각기 감겨진 전선들은 각 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들에 의해, 작업속도에 대응하여 미리 세팅된 일정한 속도로 풀어지게 된다.
이동기는 기대와 이를 전·후진 직진 이동시켜주는 레버와 프레임에 축착설치되어 전선을 잡고 놓아주게 되는 한쌍의 파지간들로 구성되며, 권취드럼으로부터 풀어지는 각각의 전선을 잡아당겨 필요한 거리만큼 간헐적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용해기는, 히터가 장착된 각기 한쌍의 용해편들과 이들 용해편이 착설되고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와 이 기대를 전·후진시켜 주는 실린더들로 구성되며, 이동기에 의해 동시 이동되는 각 전선의 피복을 일정간격으로 녹여주게 된다.
절단 탈피기는, 절단도와 탈피편들 및 이들이 일정간격으로 착설되며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와 이들 기대를 전·후진 시켜 주는 가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용해기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각각의 절개부들 사이의 중간부위를 절단도가 교차되면서 절단하게 되고, 탈피편과 이동기의 파지간들은 각각의 피복 후단부를 전선으로부터 이탈시켜 벗겨주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용해·절단 탈피기들은 일반적인 자동제어기에 의해 그 작동이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되게 제어된다.
따라서,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가공작업과 절단의 피복을 벗겨주는 탈피 가공작업 및 피복을 용이하게 벗겨줄 수 있게 절개부를 형성하여 주는 가공 작업들이 연속적으로 일관되게 선등록 고안보다 2배로 자동수행되며, 이에 따라 단시간에 전선토막들을 규격에 맞게 다량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절단 탈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평면도,
도 3a은 동 실시예중 용해기의 발췌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용해판의 발췌 확대사시도,
도 3c는 동 용해판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a∼b는 동 용해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c는 동 용해기에 의해 피복이 용해된 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중 절단 탈피기의 발췌사시도,
도 6a∼b는 동 절단 탈피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a∼b는 본 고안 실시예중 파지간의 동작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
도 8a∼e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용해·절단·탈피 과정을 단계별로 보인 사시도,
도 8f는 가공 완료된 전선토막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체 12', 12' : 권취드럼 13, 13' : 전선
20 : 이동기 24, 24', : 파지간
30 : 용해기 32, 32' : 용해판
40 : 절단탈피기 42, 42' : 절단도 43, 43' : 탈피편
60, 60' : 안내원판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전선 자동절단 탈피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가닥 전선(13)(13')을 각각 일정한 속도로 풀어 공급하는 권취드럼기(12)와, 기대(10) 상부를 횡단하게 고정 착설된 안내대(11)에 결합 설치되어 간헐적으로 전·후진되면서 상기 권취드럼기로부터 풀려지는 상기 각 전선을 잡아당겨 미리 세팅된 거리만큼씩 동시에 직진 이동시켜 주게 되는 이동기(20)와, 상기 전선의 각 피복을 일정간격으로 동시에 용해시켜 주는 용해기(30)와, 이 용해기에 의해 용해된 부분의 중간을 동시에 각각 절단하여 필요한 길이의 전선토막 2개를 얻게함과 동시에 피복의 일단을 벗겨주는 절단 탈피기(40)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권취드럼기는 기대(10)의 전단에 취부된 기판(12a)과, 전선(13)(13')이 각기 감겨져 있으며 프레임(12a)에 병렬로 설치된 각각의 모터(M1)(M2)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드럼(12')(12')들과, 이들 권취드럼에 감겨 있는 전선들이 일정한 속도로 풀어지도록 기판(12a)에 부설된 제어기(12b)로 구성된다.
한편, 기판(12a)의 전단부에는 각 하단부는 힌지고정되고, 각 상부에 안내롤러(122')(122')가 구비된 안내부(121')(121')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부재(121')(121')들은 권취드럼(12')(12')으로부터 풀려진 전선(13)(13')들이 각기 축착된 안내롤러(122')(122')에 의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게 연결부재(125')(125')에 의해 기판(12a)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착설된 지지부재(124)에 연결된다. 또한 안내부재(121')(121')의 각 상단부는 각각의 연결부재(127)에 의해 기판(12a)의 양측단에 제공된 각각의 지지부재(126)와 연결된다.
이동기(20)는, 안내대(11)에 결합설치되는 기대(21)와, 이 기대를 전·후진 시켜주는 가동레버(22)와, 기대(21)를 횡으로 관통하게 설치되는 주축(23)과, 이 주축에 축결합되게 기대(21)에 착설되는 한쌍의 파지간(24)(24')들로 구성된다.
기대(21)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이면에 형성된 결합홈(211)을 안내대(11)에 결합하고, 그 후측에 지지판(212)을 착설하여 안내대(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 설치된다.
가동레버(22)의 후단은, 기체(10)의 지지대(14)에 축착하고 전단은 견인간(25)으로 기대(21)와 연결한다.
즉, 견인간(25)의 일단부(251)는 가동레버(22)의 전단 상면에 회전자재토록 축착되는 회동편(221)에 횡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된 관통구에 관통·결합한 다음, 이 관통구와 수평으로 직교되게 뚫은 나사공에 고정나사(26)를 체결하여 착설하고, 후단부(252)는 기대(21)의 전면에 축착함으로써 가동레버(22)와 기대(21)가 견인간(25)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견인간(25)의 일단부(251)가 회동편(221)을 관통하게 되는 정도의 조절에 의해 기대(21)의 전·후진 이동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며, 그 이동 간격의 조정은 도 8f에서와 같이 가공할 전선토막(130)의 길이에 비례하게 되고, 이때 조정된 길이는 가동레버(22)의 후단부 상면에 전단이 축착된 길이표시레버(27)의 전단 표시침(271)의 이동에 의해 기체(10) 상면에 착설된 눈금대(28)에 표시된다.
또한, 가동레버(22)는 기체(10)내에 설치된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크랭크아암(15)에 의해 동작된다.
주축(23)은 단면이 4각형상으로 되며, 기대(21)를 관통하여 그 전단은 안내대(11)의 전단에 착설된 축수부(231)에, 후단은 안내대(11)의 후단에 착설된 축수부(231')에 각각 결합된다.
한편, 주축(23)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기대(21) 및 축수부(231)(231')들과 결합되는 각 결합부위에 각각 회전링(232)들을 개재시켜 축 결합한다.
또, 주축(23)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기대(21) 및 축수부(231)(231')들과 결합되는 각 결합부위에 각각 회전링(232)들을 개재시켜 축 결합한다.
또, 주축(23)은 그 후단을 전동레버(232)의 전단에 하단이 축착된 연동레버(234)의 상단에 축착하여 이들 레버의 연결 작동에 의해 정·역 회동되게 하며, 전동레버(233)는 기체(10)내에 설치된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동되게 축착 설치된 가동레버(235)의 외단에 축착 연결된다.
파지간(24)(24')들은 일반적인 로봇 핸드와 같이 다관절로 되며, 각기 그 상부관절(도시하지 않음)들의 상단을 주축(23)에 각각 축착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되게 한다.
따라서, 주축(23)의 정·역 회전방향에 따라 파지간(24)(24')들의 간격이 오므러들거나 벌어지게 되므로 전선(13)(13')을 잡거나 놓아주게 된다.
용해기(30)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체(10)의 후방위치에 전선(13)(13')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31)(31')들과, 이들 기대에 각각 착설되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각기 한쌍의 용해판(32)(32')들과 기대(31)(31')를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시켜 주는 가동수단인 실린더(33)(33')들로 구성된다.
기대(31)(31')들은, 서로 마주하는 고정대(34)(34')들의 사이를 가로지르게 그 양쪽에 착설된 안내봉(35)(35')에 결합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동시에 전·후진하게 되며, 용해판(32)(32')들은 각각 기대(31)(31')들의 전면 양쪽에 지지판(36)(36')들과 다수개의 격편(37)들에 의해 소정간격으로 유지하게 착설된다.
따라서, 각 용해판(32)(32')들의 간격은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격판(37)들의 갯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 용해판(32)(32')들의 각 일단부 중간에는 반원형상의 요홈(321)(321')들이 상하로 한쌍씩 형성되며, 이들 요홈의 반경은 각기 전선(13)(13')의 피복(131)에 의해 내장된 동선(132)의 굵기에 비례한다.
실린더(33)(33')들은 각각 고정대(34)(34')의 후면에 착설되며, 그 로드(331)(331')의 전단이 고정대(34)(34')를 관통하여 기대(31)(31')의 후면에 축착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33)(33')들이 정구동되면 기대(31)(31')가 동시에 마주 전진되어 각 용해판(32)(32')들의 전단이 서로 접촉되면서 요홈(321)(321')들이 합쳐져 원형이 되는데, 이때 용해판(32)(32')들은 히터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있게 되므로, 요홈(321)(321')들에 의해 전선(13)의 피복(131)이 용해판(32)(32')들의 위치에 따라 빙둘러 용해되기 때문에 피복(131)에는 일정간격으로 절개부(13a)(13b)가 형성되며, 실린더(33)(33')가 역구동되면 용해판(32)(32')은 서로 격리된다.
절단 탈피기(40)는,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해기(30)의 전방위치에 전선(13)(13')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기대(41)(41')들과, 이들 기대의 전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착설되는 절단도(42)(42')들과 기대(41)(41')들을 동시에 마주 전·후진 시켜 주는 가동수단들로 구성된다.
절단도(42)(42')와 탈피편(43)(43')들은, 각기 기대(41)(41')들의 상부 전면 양쪽의 지지부(411)(411')사이에 개재하는 다수개의 격편(412)들에 의해 그 착설위치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대(41)(41')들이 서로 마주 전진하게 되면 절단도(42)(42')들의 날부(421)(421')가 서로 교차되면서, 이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전선(13)(13')의 절개부(13a)(13b)들 사이의 잔류피복(131') 중간 부위를 절단하여 주게 되며, 동시에 탈피편(43)(43')들은 그 전단이 일정간격으로 격리된 위치에서 마주하게 정지되면서 각기 잔류 피복부(131')의 후단 절개면을 걸어주게 된다(도 6b 참조).
이때 파지간(24)(24')들은, 절개부(13b)의 후측에 위치하면서 그 부분의 전선(13)을 잡고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파지간(24)(24')이 전진되면 탈피편(43)(43')들에 걸어져 있는 잔류 피복(131')의 후단부(131b)는 전선(13)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이 전선의 단부는 탈피되어 동선(132)의 단부가 노출된다(도 8d 참조).
기대(41)(41')들의 가동수단은, 기체(10)내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일반적인 동력 전달부재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동시에 서로 역방향으로 직진 전·후진되는 가동랙(44)(44')들과, 이들에 각각 맞물리게 축착된 피니언(45)(45')들과 이들 피니언과 각각 맞물리게 기대(41)(41')들의 각 후면에 연장설치된 연동랙(46)(46')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가동랙(44)(44')들과 피니언(45)(45')들의 동작에 의해 연동랙(46)(46')들이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되면 기대(41)(41')들이 마주 전진되고, 연동랙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후진되면 기대(41)(41')들은 후진된다.
한편, 절단탈피기(40)의 일측에는 계수기(50)가 설치되며, 이 계수기의 계수레버(51)와 가동랙(44)의 단부 사이에는 견인스프링(52)을 연결시켜 가동랙(44)이 1회 전·후진 될 때마다 레버(51)가 동작되어 계수기(50)에 숫자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일정길이로 가공된 전선토막(130)들의 갯수를 즉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체(10)에는 전선(13)(13')의 이동안내롤러(16)(16')들이 각각 복수로 축착 설치되고, 안내롤러(16)의 후측과 절단탈피기(40)의 후측에는 복수개의 안내공(61)(61')들의 각각 뚫어 설치된 전선(13)(13')의 안내원판(60)(60')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권취드럼(12)(12')에서 풀어져 이동되는 전선(13)(13')들은 먼저 안내원판(60)의 복수 안내공(61)들을 각각 분리 통과하여 안내롤러(16)(16')들을 거쳐 안내원판(60')들의 복수안내공(61')도 각각 분리 통과하여 이동됨으로써, 전선(13)(13')들은 상하로 격리되어 용해기(30)와 절단탈피기(40)를 나란히 통과하게 안내된다.
도 8a∼e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자동절단 탈피장치의 작동에 따라 가공되는 전선토막(130)의 가공 공정을 보인 것으로서, 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체(10)의 작동 초기에는 용해기(30)의 기대(31)(31')들과, 절단탈피기(40)의 기대(41)(41')들은 모두 후진되어 있게 되므로, 기대(31)(31')에 각각 착설된 한쌍의 용해판(32)(32')들과 프레임(41)들의 절단도(42)(42')들은 각기 격리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드럼(12)에 각기 감겨있는 전선(13)(13')들을 각각 풀어서, 각 단부가 안내원판(60)의 안내공(61)들과 각 안내롤러(16)(16')들을 거쳐 용해기(30)의 서로 격리되어 있는 용해판(32)(32')들 사이의 중간부와 안내원판(60')의 안내공(61')들과 절단 탈피기(40)의 서로 격리되어 있는 절단도(42)(42')들 사이의 중간부를 상하로 격리되어 나란히 통과하게 하여 준다(도 4 및 도 6a 참조).
다음에는 이동기(20)를 동작시켜 주면 되는데, 그 동작은 기체(10)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역구동에 의해 크랭크 아암(15)이 가동레버(22)의 일단부를 후진 방향측으로 당겨 회동시켜 주게 되며, 이에 따라 견인간(25)이 기대(21)를 밀어서 기체(10)의 후방측으로 후진시켜 준다.
이때, 그 후진되는 간격은 파지간(24)(24')들이 안내원판(60')의 전방과 기대(41)(41')들이 측방 사이 위치에 도달하는 정도가 되며 이렇게 되면, 이동기(20)의 후진작동은 정지되고, 다음에는 전동레버(233)가 주축(23)을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대략 45도 회전시켜 주므로 단면이 4각형상으로 된 이 주축에 상부관절의 상단이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하게 결속되어 있는 파지간(24)(24')들의 간격이 오므러들어 이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전선(13)(13')들을 잡아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해기(30)와 절단탈피기(40)가 각기 동작되어 용해기(30)는 전선(13)(13')들의 각 피복(131)을 일정간격으로 용해시켜 주고, 절단탈피기(40)는 전선(13)(13')들을 각각 일정길이의 토막으로 되게 절단하여 주는데, 그 작동은 다음과 같다.
용해기(30)의 작동은, 먼저 실린더(33)(33')들이 정구동되면 그 로드(331)(331')들의 전진으로 기대(31)(31')가 서로 마주하게 전진되어, 그 전면에 착설된 용해판(32)(32')들의 전단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도 3c 참조).
이렇게 되면, 용해판(32)(32')들은 내장된 히터에 의해 적정온도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전단이 서로 접촉되는 과정에서 이들 사이를 통과되는 전선(13)(13')들의 각 피복(131)을 녹여주게 된다. 이때, 피복(131)을 녹여주게 되는 부분은 반원호상의 요홈(321)(321')들이 되며, 이들 요홈의 반경은 동선(132)의 굵기에 비례하기 때문에 용해판(32)(32')들의 전단이 서로 접촉되면, 요홈 위치에 해당되는 피복(131)은 빙둘러 용해된다(도 4c 참조).
따라서, 용해된 절개부(13a)(13b)들 사이에는 잔류피복(131')이 일정폭으로 각기 남아 있게 되며, 이후 실린더(33)(33')들의 역구동으로 그 로드(331)(331')들이 각각 후진되면 기대(31)(31')와 함께 용해판(32)(32')들이 원위치로 후진되므로 각 피복(131)의 용해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절단탈피기(40)의 작동은 먼저 기체(10)내에 설치된 구동모터가 정구동되면 동력전달 부재들의 작용에 의해 가동랙(44)(44')들이 각기 후진방향으로 직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피니언(45)은 반시계방향으로, 피니언(45')은 시계방향으로 각기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들 피니언에 각각 맞물려 있는 연동랙(46)(46')들이 각기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41)(41')들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그 전면에 착설된 절단도(42)(42')들의 날부(421)(421')가 서로 교차하면서 이들 위치를 통과하는 전선(13)(13')들의 잔류피복(131') 중간부분을 각각 절단하여 주게 되며, 탈피편(43)(43')들의 전단은 잔류피복(131')의 전단 절개면을 걸어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절단탈피기(40)의 구동모터가 정지되므로 기대(41)(41')들은 더 이상 전진되지 않게 된다(도 6b 참조).
이때, 파지간(24)(24')들은 전선(13)(13')들의 절개부(13a) 후측 부분을 잡고 있으며, 절단된 전선토막(130)들은 수집판(17)위로 낙하 수집된다.
다음에는, 이동기(20) 구동모터의 정구동에 의해 크랭크아암(15)이 가동레버(22)를 동작시켜 기대(21)을 조금더 전진시켜 주게 된 후 정지되므로, 기대(21)의 전진 간격만큼 파지간(24)(24')들이 전선(13)을 잡고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잔류피복(131')의 중간단부(131b)의 후단 절개면이 탈피편(43)(43')들에 의해 각각 걸어져 있기 때문에 후단부(131b)는 전선(13)(13')들의 각 단부로부터 이탈된다(도 8d 참조).
이에 따라, 전선(13)(13')들의 일단부는 탈피되어 동선(132)의 전단이 노출되며, 이탈된 후단부(131b)는 기체(10) 하부로 낙하 수집된다.
이와 같은 탈피작업이 완료되면, 이번에는 절단탈피기(40)의 구동모터가 역구동되어 가동랙(44)(44')과 피니언(45)(45') 및 연동랙(46)(46')들을 역동작시켜 주게 되므로, 기대(41)(41')들이 동시에 후진되어 절단도(42)(42') 및 탈피편(43)(43')들이 각각 서로 격리됨으로써 절단 탈피가공 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되면, 이번에는 이동기(20) 구동모터의 정구동으로 크랭크아암(15)이 가동레버(22)의 전단을 기체(10)의 전방측으로 밀어 회동시켜 주므로, 이 가동레버에 의해 견인간(25)이 기대(21)를 끌어 당겨 전진시켜 주게 되고, 이에 따라 파지간(24)(24')들에 의해 잡혀 있는 전선(13)(13')들은 전진방향으로 당겨져 직진 이동된다.
이때 그 이동 위치가 미리 세팅된 범위, 즉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해기(30)의 용해판(32)(32')들에 의해 용해된 피복(131)의 절개부(13a)(13b)들 사이의 잔류피복(131') 중간 부위가 절단도(42)(42')들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구동모터가 정지되어 기대(21)도 정지된다(도 6 및 도 8a 참조).
다음에는, 전동레버(233)가 역동작되어 주축(23)을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정도 역회전시켜 준 다음 정지되며, 이에 따라 파지간(24)(24')들은 서로의 간격이 벌어져 잡고 있던 전선(13)(13')을 놓아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이동기(20)의 구동모터가 다시 역구동되어 기대(21)을 후진시켜 파지간(24)(24')들이 안내원판(60) 전방과 기대(41)(41')들의 측방 사이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켜 준 다음 정지되고, 이후 전동레버(233)가 주축(23)을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45도 정도 정회전시켜 파지간(24)(24')들의 간격을 오므려 주므로 이들이 전선(13)(13')들의 절개부(13b) 후측부분을 잡아주게 한 다음 정지됨으로써, 전선(13)(13')들의 잔류피복(131') 부위는 다음 절단 탈피가공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이때 용해기(30)의 용해판(32)(32')들 사이에는 피복(131)의 용해되지 않은 부분이 놓이게 됨으로써, 다음 용해가공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도 4a 참조).
이와 같이 되면, 다시 피복(131)을 용해시켜 주고 전선(13)(13')들을 절단하며 그 전단의 피복을 벗겨주는 작업이 순서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가공작업의 연속으로 필요한 전선토막(130)을 1회동작시 2개씩 자동으로 얻게 된다.
한편, 이렇게 가공되는 전선토막(130)들은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전단은 잔류피복(131)의 후단부(131b)가 벗겨져 동선(132)의 전단이 노출되고, 후단에는 잔류피복(131')의 타단부(131a)가 그대로 결합되어 있게 되는데, 이렇게 가공하는 것은 전선토막(130)들을 전기·전자제품의 생산라인으로 공급하기 전에 동선(132)의 노출된 전단에는 부품의 단자와 결속되는 접속단자(13')를 결착하기 위한 것이며, 잔류피복(131')의 일단부(131a)를 그대로 두는 것은 생산라인에서 동선을 전원공급부에 납땜하기 전에 이 일단부를 미리 이탈시켜 동선(132)의 후단도 노출되어 있게하여 주면, 동선은 다수의 가는 선들을 꼬아서되는 것이므로 전선토막(130)을 가공하여 생산라인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노출된 동선(132)의 후단이 풀어지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각선 단부의 훼손 및 단선 또는 납땜 작업의 불편이나 접속불량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전선 자동절단 탈피장치는, 필요한 길이의 전선토막을 얻기 위한 피복의 용해·탈피·전선의 절단 가공작업들이 단일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일관되게 연속 수행하되, 두가닥의 전선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 고안보다 작업 생산성이 2배로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공시간 및 인력이 더욱 대폭적으로 감소됨은 물론, 가공원가도 크게 절감되는 등의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1)

  1. 기체(10)의 일측에 격리설치되는 권취드럼(12')(12')들과, 이들 권취드럼(12')(12')으로부터 인출되는 두가닥의 전선이 각각 격리 이동되게 안내하는 안내원판(60)(60')들과, 상기 두가닥의 전선피복을 일정간격으로 동시에 용해시켜 주는 용해판(32)(32')들이 구비된 용해기(30)와, 이 용해기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피복이 용해된 부분 사이에 잔류하는 피복부분의 중간을 절단하여주는 절단도(42)(42')와 이 절단도에 의해 절단된 잔류피복부분들 중 후측 피복부분의 후단면을 걸어주는 탈피편(43)(43')들을 구비한 절단탈피기(40)와, 상기 두가닥의 전선을 동시에 파지하여 이동시켜 주는 한쌍의 파지간(24)(24')을 구비한 이동기(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선 자동절단 탈피장치.
KR2019990013865U 1999-04-29 1999-07-14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KR2001638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162 1999-04-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162 Division 1999-04-29 1999-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807Y1 true KR200163807Y1 (ko) 2000-02-15

Family

ID=1957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865U KR200163807Y1 (ko) 1999-04-29 1999-07-14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80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119B1 (ko) 2007-05-31 2008-04-29 (주)티에이치엔 와이어링의 홀딩장치
KR101843747B1 (ko) 2017-10-31 2018-03-30 주영식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KR102234031B1 (ko) * 2020-09-21 2021-03-29 이선희 전선절단장치
KR102234032B1 (ko) * 2020-09-21 2021-03-29 이선희 전선이송장치
KR102371917B1 (ko) * 2021-07-13 2022-03-08 유한회사 숲이엔지 배전 선로와 태양광 발전 선로용 전선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가공 선로
CN117086238A (zh) * 2023-10-18 2023-11-21 徐州中鑫辰电子有限公司 一种线束整理切断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119B1 (ko) 2007-05-31 2008-04-29 (주)티에이치엔 와이어링의 홀딩장치
KR101843747B1 (ko) 2017-10-31 2018-03-30 주영식 전선부품 자동 제조장치
KR102234031B1 (ko) * 2020-09-21 2021-03-29 이선희 전선절단장치
KR102234032B1 (ko) * 2020-09-21 2021-03-29 이선희 전선이송장치
KR102371917B1 (ko) * 2021-07-13 2022-03-08 유한회사 숲이엔지 배전 선로와 태양광 발전 선로용 전선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가공 선로
KR20230011203A (ko) * 2021-07-13 2023-01-20 유한회사 숲이엔지 배전 선로와 태양광 발전 선로용 전선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가공 선로
KR102642308B1 (ko) 2021-07-13 2024-03-04 주식회사 진우기술개발 배전 선로와 태양광 발전 선로용 전선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가공 선로
CN117086238A (zh) * 2023-10-18 2023-11-21 徐州中鑫辰电子有限公司 一种线束整理切断装置
CN117086238B (zh) * 2023-10-18 2024-01-26 徐州中鑫辰电子有限公司 一种线束整理切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4571B2 (ja) 絶縁被覆除去装置
US6910256B2 (en) Continuous cable processing apparatus
JPH04265607A (ja) 電線を切断して外装を剥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257873B2 (ja) 電線ストリップ装置
EP0499753A2 (en) Multiple blade set strip apparatus for cable and wire
JPH07123326B2 (ja) 電線接続処理ロボット装置における電線被覆剥ぎ取り装置
CN103996958A (zh) 一种自动搓线剥皮浸锡机
JP3327599B2 (ja) グラスファイバーケーブル用絶縁被覆除去装置
KR200163807Y1 (ko) 복수의 전선 자동 절단 탈피장치
CN111755994B (zh) 一种线芯绝缘皮剥落设备
KR100826117B1 (ko) 트위스트 와이어 테이핑장치
CN118412790B (zh) 一种供电电缆故障用剥线装置
CN118025871B (zh) 一种飞达机构、电路板生产设备及换卷方法
CN111760919A (zh) 一种线缆拉丝结构及线缆拉丝方法
CN111487721A (zh) 一种铠装光缆剥皮装置及铠装光缆开剥方法
US5226224A (en) Method of removing sheath from electric wire in intermediate region
CN113933936A (zh) 全自动化光纤连接器批量剥纤装置及自动剥纤装置及纤尾处理组件
KR0121046Y1 (ko) 전선의 자동절단 탈피장치
EP1174970A1 (en) "Apparatus for cutting, sheat-removing and stripping insulated cables"
JP2614919B2 (ja) 多心光ファイバの端末加工機
JPH066922A (ja) 被覆電線の剥皮方法
CN112366614A (zh) 一种电线剥皮机
JP2002272068A (ja) レーベル転位導体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H0326487B2 (ko)
KR102368076B1 (ko) 폐전선 연속 탈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