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138Y1 -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 Google Patents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138Y1
KR200442138Y1 KR2020070010779U KR20070010779U KR200442138Y1 KR 200442138 Y1 KR200442138 Y1 KR 200442138Y1 KR 2020070010779 U KR2020070010779 U KR 2020070010779U KR 20070010779 U KR20070010779 U KR 20070010779U KR 200442138 Y1 KR200442138 Y1 KR 200442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bracket
locking
receiving por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2020070010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1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1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와 브라켓간의 결합구조를 착탈이 용이한 록킹 결합방식으로 개선시킨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는 브라켓 본체의 일측면에 액츄에이터와의 결합을 위해 벽체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용부와, 그 수용부의 양측에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단부가 수용부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수용부내로 진입되는 액츄에이터의 플랜지 부위와 접촉되어 가압 지지하는 록킹 돌기부를 갖는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브라켓 본체의 상측에 액츄에이터의 일 부위를 파지할 수 있도록 수용부와 록킹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츄에이터의 진입동작에 의해 록킹 결합되어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BRAKET STRUCTURE FOR FIXING ACTUATOR IN AIR CONDITIONING SYSTEM}
도 1은 종래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와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부위를 절취하여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액츄에이터 12 : 고정공
20 : 브라켓 21 : 브라켓 본체
25 : 수용부 25a : 록킹편
25b : 보강리브 27 : 록킹 돌기부
27a : 걸림 후크편
본 고안은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와 브라켓과 결합구조를 착탈이 용이한 록킹식 결합구조로 그 구조가 개선된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및 흐름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설치된 시스템을 자동차용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Car)이라 한다. 상기 공조시스템은 크게 3가지, 즉 인테이크(intake), 모드(mode) 그리고 템프(temp)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첫째, 인테이크 기능은 외부의 공기를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하거나 또는 자동차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말하고, 둘째, 모드 기능은 공조시스템의 덕트로부터 벤트(vent), 플로어(floor) 또는 디프로스트(defrost) 출구로 나가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말하며, 세째, 템프 기능은 냉기와 온기의 혼합량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온도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CU;Electric Control Unit)에서 공급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에이취 백(H-VAC;Heater-Vehicle Airconditioner Controller)에 설치된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덕트의 출구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행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액츄에이터는 브라켓을 매개로 히터 유닛등의 공조장치에 고정되며, 그 액츄에이터의 고정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의 테두리 부위에 결합공(14)이 형성되고, 그 결합공(14)과 대응되는 체결공(22)이 브라 켓(20)에 형성되며, 그 결합공(14)과 체결공(22)에 관통 결합되어 브라켓(20)과 액츄에이터를 일체화시키는 체결볼트(30)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 그 액츄에이터(10)의 모서리 부위에는 브라켓(20)을 매개로 공조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공(12)이 형성된 플랜지를 갖는다.
그런데, 기존의 액츄에이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20)은 브라켓 본체(21)의 중간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22)을 통해 체결볼트(30)로 액츄에이터(10)와 체결되는 결합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그 견고한 결합을 위해 그 소재의 재질을 스틸로 한정할 수 밖에 없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체결볼트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그 체결볼트의 체결을 위해 별도의 체결도구가 요구되며, 체결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액츄에이터와 브라켓의 결합방식을 착탈이 용이한 록킹 결합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별도의 체결볼트나 체결도구 없이도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라켓 본체의 일측면에 액츄에이터의 일부 테두리가 수용되도록 벽체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단부가 수용부내로 진입되는 액츄 에이터의 플랜지부위와 접촉되어 자체 탄성력으로 상기 액츄에이터의 플랜지 부위를 가압 지지하는 록킹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는 상부면 테두리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록킹편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록킹 돌기부는 단부 하측으로 상기 액츄에이터의 플랜지 부위에 형성된 고정공과 록킹 결합되도록 걸림 후크편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수용부의 벽면중 일부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일측면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보강리브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기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브라켓 본체(21)의 일측면에 액츄에이터(10)와의 결합을 위해 벽체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용부(25)와, 그 수용부(25)의 양측에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단부가 수용부(25)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수용부(25)내로 진입되는 액츄에이터(10)의 플랜지 부위와 접촉되어 가압 지지하는 록킹 돌기부(27)를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수용부(25)는 액츄에이터(10)의 테두리 일부가 진입되도록 입구가 되는 일측 부위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그 수용부(25)는 상부 테두리에 액츄에이터(10)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록킹편(25a)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수용부(25)의 벽체들중 외측면에 브라켓 본체(21)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보강리브(25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는, 액츄에이터(10)의 진입동작시 발생되는 외부 충격에 대해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록킹 돌기부(27)는 일단부가 브라켓 본체(21)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10)의 플랜지 부위와 접촉되는 자유단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접촉되는 액츄에이터(10)의 플랜지부위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록킹 돌기부(27)의 타단부에는 액츄에이터(10)의 플랜지 부위에 형성된 고정공(12) 내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측으로 걸림 후크편(27a)이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는, 액츄에이터의 일측 테두리부위가 수용부(25)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도록 삽입시키면, 액츄에이터(10)의 상부면이 수용부(25)의 록킹편(25a)과 접촉됨과 아울러, 그 액츄에이터(10)의 플랜지부위가 록킹 돌기부(27)의 하측으로 진입되면서 걸림 후크편(27a)이 고정공(12) 내로 수용되면서 록킹 결합된다.
그 액츄에이터(10)의 일측 부위가 브라켓(20)의 수용부(25) 내에 수용되면, 액츄에이터(10)의 하부면이 브라켓 본체(21)의 상측면과 면접촉되고, 상부면과 플 랜지부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록킹편(25a)과 록킹 돌기부(27)에 의해 접촉되어 지지되어 록킹 결합된다.
이때, 그 록킹 돌기부(27)의 걸림 후크편(27a)은 액츄에이터(10)의 고정공(12)과 간섭되도록 결합되어 액츄에이터(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서, 액츄에이터(10)를 공조장치에 브라켓(20)을 매개로 고정되도록 연결시키면, 공지의 것과 동일하게 공조장치용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와 브라켓간의 결합구조를 착탈이 용이한 록킹 결합방식으로 개선시킨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브라켓 본체의 상측에 액츄에이터의 일 부위를 파지할 수 있도록 수용부와 록킹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츄에이터의 진입동작에 의해 록킹 결합되어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브라켓 본체(21)의 일측면에 액츄에이터(10)의 일부 테두리가 수용되도록 벽체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용부(25)와,
    상기 수용부(25)의 양측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단부가 수용부(25)내로 진입되는 액츄에이터(10)의 플랜지부위와 접촉되어 자체 탄성력으로 상기 액츄에이터(10)의 플랜지 부위를 가압 지지하는 록킹 돌기부(27)를 구비하되,
    상기 수용부(25)는 상부면 테두리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록킹편(25a)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 돌기부(27)는 단부 하측으로 상기 액츄에이터(10)의 플랜지 부위에 형성된 고정공(12)과 록킹 결합되도록 걸림 후크편(27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5)의 벽면중 일부와 상기 브라켓 본체(21)의 일측면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보강리브(25b)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KR2020070010779U 2007-06-29 2007-06-29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KR200442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779U KR200442138Y1 (ko) 2007-06-29 2007-06-29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779U KR200442138Y1 (ko) 2007-06-29 2007-06-29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138Y1 true KR200442138Y1 (ko) 2008-10-10

Family

ID=4164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779U KR200442138Y1 (ko) 2007-06-29 2007-06-29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1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825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두원공조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결합 구조체
KR101771059B1 (ko) 2013-12-23 2017-09-05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의 액추에이터 조립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825A (ko)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두원공조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결합 구조체
KR101628408B1 (ko) * 2011-07-26 2016-06-08 주식회사 두원공조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결합 구조체
KR101771059B1 (ko) 2013-12-23 2017-09-05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의 액추에이터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282B2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AU2004202967A1 (en) Return air apparatus with down draft diverter
KR200442138Y1 (ko) 공조장치용 액츄에이터의 브라켓 구조체
US20140342650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200301164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替装置
KR10128766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커버 장착구조
KR1015781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07424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
KR1014672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501470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1254982A (ja) 設備機器
KR200310307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KR101484703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0423188Y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필터 커버 결합 구조
KR200329732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의 케이스
KR200469876Y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JP385572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08400A (ja) 車両用空調装置
CN213513211U (zh) 流体流通壳体和包括所述壳体的组件
JP2004180650A (ja)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
JP386452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053852B2 (ja) 自動車の空調ユニット配設構造
KR20210114262A (ko) 공조케이스의 사이드 커버 고정구조
JPH09226352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WO2020029214A1 (en) Automotive air ventilation unit with noise absorbing screen at interior air int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