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424B1 -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424B1
KR101107424B1 KR1020040088612A KR20040088612A KR101107424B1 KR 101107424 B1 KR101107424 B1 KR 101107424B1 KR 1020040088612 A KR1020040088612 A KR 1020040088612A KR 20040088612 A KR20040088612 A KR 20040088612A KR 101107424 B1 KR101107424 B1 KR 10110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unit
portions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509A (ko
Inventor
김영근
한규익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42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2003/065Details for holding filter elements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장치용의 필터유닛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조장치내에 필터유닛을 고정설치하는 고정수단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필터 정비시 그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20)의 필터수납실(21)내에 고정설치되는 필터유닛(Filter Unit, 10)의 필터 케이스부재(12)의 상하 끝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된 상·하 고정수단(F1, F2)을 구비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용의 필터유닛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 고정수단(F1, F2)은, 상기 필터 케이스부재(12)의 상하 끝단부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조케이스(20)의 상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2)에 록킹(Locking) 결합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하 후크부(Hook, 18a, 18b)를 구비하는 상·하 수평부(14a, 14b)와, 상기 상·하 수평부(14a, 14b)로부터 소정간격을 갖고 절곡형성된 상·하 탄성부(15a, 15b)와, 상기 상·하 탄성부(15a, 15b)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하 손잡이부(16a, 16b)와, 상·하 탄성부(15a, 15b)와 상·하 수평부(14a, 14b) 사이에 연결형성된 리브(Rib, 17a, 1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공조장치, 필터유닛, 여과부재, 탄성부, 후크부, 리브, 공조케이스

Description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A Structure for Fixing Filter Unit of Car Air-Conditioner}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의한 필터유닛(Filter Unit)을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닛(Blower Unit)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필터유닛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필터유닛의 필터 케이스 부재와 여과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유닛을 자동차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유닛의 필터 케이스부재와 여과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필터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사시도.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필터유닛을 자동차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필터유닛을 자동차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로부터 탈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필터유닛(Filter Unit) 11 ... 여과부재
12 ... 필터 케이스부재 14a, 14b ... 수평부
15a, 15b ... 탄성부 16a, 16b ... 손잡이
17a, 17b ... 리브(Rib) 18a, 18b ... 후크부(Hook)
20 ... 공조케이스 21 ... 필터수납실
22 ... 걸림홈 23 ... 가이드벽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장치용의 필터유닛(Filter Unit)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장치내에 필터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잦은 외력에 의해서도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필터 정비시 그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용의 필터유닛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조장치는, 송풍팬을 구비한 블로어 유닛에 의해 차실내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실내의 각 토출구와 연통된 덕트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조장치에는, 송풍팬에 의하여 공조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유해성분, 냄새성분 등을 흡착제거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과부재를 구비한 필터유닛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주로 차량 카울(Cowl)과 블로어 유닛(Blower Unit) 사이, 블로어 유닛의 내외기전환도어와 송풍팬 사이, 또는 블로어 유닛과 증발기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유닛에 구비된 여과부재는 어느정도의 사용기간이 지나면 그 표면에 불순물이 축적되게 되고, 그로 인하여 통기성능이 저하되면서 공조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새 여과부재로 교체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필터유닛은 그 여과부재의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공조장치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일례로서, 일본국 특개평11-170840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닛에 탄성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어 유닛(100)은, 차량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의 유동통로와 각각 연결되는 내기유입구(101)와 외기유입구(102), 상기 내기유입구(101)와 상기 외기유입구(102) 사이에서 회동하면서 내기유입구(101)와 외기유입구(1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전환도어(미도시)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Air Intake case, 110)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송풍팬(미도시)을 구비한 스크롤 케이스(Scroll Case, 120)와;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전동모터(121)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블로어 유닛에 있어서, 공기여과용 필터유닛(140)은 상기 내외기전환도어와 송풍팬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130)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유닛(140)은 꽃가루 등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부재(141)와, 이 여과부재(141)를 둘러싸도록 지지하는 케이스부재(14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142)의 양측에는, 상기 블로어 유닛의 개구부(130)로부터 필터유닛(140)을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손잡이부(1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손잡이(143a)와, 이 손잡이(143a)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10)의 양측부에 형성된 끼움수용부(131)에 끼워지는 한쌍의 끼움돌기부(143b)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부(143b)와 손잡이(143a)는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는 연결부(143c)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끼움돌기부(143b)는 손잡이(143a)를 서로 잡고 외력을 가함에 따라 연결부(143c)에서 연결점(P1, P2)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필터유닛(140)을 블로어 유닛의 개구부(130)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필터유닛(140)을 블로어 유닛의 개구부(130)에 삽입하고 나서, 한쌍의 손잡이(143a)에 외력을 가해 끼움돌기부(143b)가 서로 벌어지도록 한 후에, 손잡이(143a)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끼움돌기부(143b)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끼움수용부(103)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 상태에서, 여과부재(141)의 교환을 위해 필터유닛(140)을 상기 블로어 유닛의 개구부(130)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에는, 한쌍의 손잡이(143a)에 외력을 가하여 끼움돌기부(143b)가 벌어지도록 한 후에 필터유닛(120)을 상기 개구부(130)로부터 인출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터유닛의 장착 및 탈거과정에서 손잡이(143a)에 외력을 가하면, 끼움돌기부(143b)가 연결부(143c)를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143c)와 끼움돌기부(143b)와의 연결점(P1, P2)이 종종 파손되어 탄성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여과부재(121)의 교환시 케이스부재(122)도 함께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교체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상기 끼움수용부(131)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손잡이부(143)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유닛(140)의 케이스부재(142)의 양측단 길이를 블로어 유닛(100)의 폭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형성길이만큼의 불필요한 점유공간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33188 호에, 필터유닛의 장착 및 탈거시 고정수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유닛 고정구조를 개시한 바 있다.
즉, 상기 필터유닛 고정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여과시키는 여과부재(221)와, 상기 여과부재(221)가 안착되는 필터 케이스부재(222)로 이루어진 필터유닛(200)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 부재(222)의 전방부 상하측에 각각 상·하 연장리브(223a, 223b)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 연장리브(223a, 223b)의 끝단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된 상·하 탄성부(226a, 226b)를 형성하며, 상기 상·하 탄성부(226a, 226b)의 끝단부에 각각 상·하 손잡이부(227a, 227b)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 탄성부(226a, 226b)의 끝단부 외면에는 공조케이스(300)의 내측면에 걸려 록킹(Locking) 결합되도록 상·하 후크부(228a, 228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구조를 갖는 필터유닛(200)은, 작업자가 상·하 손잡이부(227a, 227b)를 파지하여 서로 근접되도록 외력을 가할 때, 상·하 탄성부(226a, 226b)가 탄성적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상·하 후크부(228a, 228b)의 결합 및 해제에 의해 공조케이스(300)에 형성된 필터수납실(310)에 장착 또는 탈거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필터유닛(200)의 장착 또는 탈거시, 상기 상·하 탄성부(226a, 226b)의 절곡부(225a, 225b)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발생되는 파단응력을 상기 절곡부에 바로 이웃한 수평부(224a, 224b)로 분산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공조케이스(300)에 형성된 필터수납실(310)에의 필터유닛(200)의 장착 또는 탈거시 상·하 탄성부(226a, 226b)가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필터유닛 고정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상·하 탄성부(226a, 226b)와 수평부(224a, 224b) 사이에 일정한 갭(Gap, G)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연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상·하 탄성부(226a, 226b)에 잦은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그 상·하 탄성부(226a, 226b)가 수평부(224a, 224b)측으로 처지는 형상변형을 일으켜서,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복원력이 취약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유닛(200)을 공조케이스(300)에 형성된 필터수납실(310)에 장착시, 후크부(228a, 228b)가 필터수납실(310)의 내측면에 한번에 록킹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하여 장착작업 시간이 상당히 지체되는 등 전반적으로 필터 정비성이 저하되는 면이 있었다. 더욱이, 작업자의 무리한 작업으로 인하여 필터유닛(200)의 장착 또는 탈거시, 탄성작용부위, 즉 탄성부(226a, 226b) 또는 후크부(228a, 228b)가 파손될 염려가 있고,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여과부재(221)의 교환시 필터 케이스부재(222)도 함께 교체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 후크부(228a, 228b)를 공조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록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공조케이스(300)의 내측면에 상기 후크부(228a, 228b)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야 하나, 공조케이스(300)의 측벽 자체가 얇은 경우, 그러한 홈을 갖는 공조케이스를 금형사출하기가 곤란한 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조케이스내에 필터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잦은 외력에 의해서도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필터 정비시 그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용의 필터유닛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필터수납실내에 고정설치되는 필터유닛의 필터 케이스부재의 상하 끝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된 상·하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용의 필터유닛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 고정수단은, 상기 필터 케이스부재의 상하 끝단부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상하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록킹결합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후크부를 구비하는 상·하 수평부와,
상기 상·하 수평부로부터 소정간격을 갖고 절곡형성된 상·하 탄성부와,
상기 상·하 탄성부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하 손잡이부와,
상기 상·하 탄성부와 상·하 수평부 사이에 연결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상·하 후크부와 상기 걸림홈의 결합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유닛의 필터 케이스부재와 여과부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필터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공조케이스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필터유닛을 공조케이스내에 장착하는 상태와 탈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 터유닛(10)은, 지그재그 식으로 접힌 여과부재(11)와, 상기 여과부재(11)가 안착되도록 상기 여과부재(11)의 둘레를 지지하는 필터 케이스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필터 케이스부재(12) 전방부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공조케이스(20)의 필터수납실(21)을 밀폐하는 필터커버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그 상하측에 상·하 연장리브(13a, 13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 연장리브(13a, 13b)의 끝단부에는 탄성적으로 유동하는 상·하 고정수단(F1, F2)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 고정수단(F1, F2)은, 상기 상·하 연장리브(13a, 13b)의 각 끝단부로부터 필터수납실(21)의 삽입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상·하 수평부(14a, 14b)와, 상기 상·하 수평부(14a, 14b)로부터 소정간격을 갖고 절곡형성된 상·하 탄성부(15a, 15b)와, 상기 상·하 탄성부(15a, 15b)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하 손잡이부(16a, 16b)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 손잡이부(16a, 16b)는, 필터유닛(10)을 공조케이스(20)의 필터수납실(21)에 장착 또는 탈거할 때,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탄성부(15a, 15b)의 끝단에 절곡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탄성부와 수평부 사이에 갭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필터유닛을 공조케이스의 필터수납실에 장착 또는 탈거할 때, 탄성부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부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의 일부면이 상기 수평부의 끝부분(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장리브와 수평부의 연결부분)에 닿을 정도로 휨변형이 생기게 된다. 이러 한 휨변형은 잦은 외력에 의해서 탄성부가 수평부쪽으로 처져서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복원력을 크게 떨어뜨리는 원인을 초래하고, 경우에 따라 탄성부위를 파손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휨변형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상기 탄성부(15a, 15b)의 탄성작용효과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15a, 15b)와 상기 수평부(14a, 14b) 사이에 휨변형방지용의 보강 리브(Rib, 17a, 17b)가 수직으로 연결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17a, 17b)는 상기 탄성부(15a, 15b)와 상기 수평부(14a, 14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지주역할을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탄성부(15a, 15b)가 수평부(14a, 14b)측으로 처지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필터유닛(10)을 공조케이스(20)의 필터수납실(21)에 장착 또는 탈거할 때, 한쌍의 손잡이부(16a, 16b)에 약간의 외력만을 가하여도 충분한 탄성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기 필터유닛(10)을 공조케이스(20)의 필터수납실(21)에 장착할 때, 상기 필터유닛(10)이 필터수납실(21)로부터 유동됨이 없이 공조케이스(20)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하 수평부(14a, 14b)에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상·하 후크부(18a, 1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공조케이스(20)의 외면, 즉, 상기 필터수납실(21)이 형성되어 있는 공조케이스의 전방 상하측에는, 상기 상·하 후크부(18a, 18b)의 형 성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걸림홈(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걸림홈(22)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필터유닛(10)을 필터수납실(21)에 장착할 때, 상·하 후크부(18a, 18b)가 도 6에 원안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22)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그 결합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벽(23)이 상·하향 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하 후크부(18a, 18b)는 상기 가이드벽(23)에 의해 상기 걸림홈(22)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필터유닛(1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20)중 블로어 유닛의 내외기전환 도어와 송풍팬 사이에 설치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그 설치위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카울과 블로어 유닛 사이 또는 블로어 유닛과 증발기 사이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터유닛(10)을 필터수납실(21)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필터유닛(10)을 필터수납실(21)내에 어느정도 삽입한 후, 상·하 손잡이(16a, 16b)를 파지하여 서로 근접되도록 소정의 외력을 가한다.
이 상태에서, 필터유닛(10)을 필터수납실(21)내에 완전히 삽입한 다음 상·하 손잡이(16a, 16b)를 놓게 되면, 상·하 손잡이(16a, 16b)는 상·하 탄성부(15a, 15b)에 의해 서로 멀어지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공조케이스(20)의 전면 상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2)에 록킹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도 7a 참조)
한편, 이와같이 필터수납실(21)에 장착된 필터유닛(10)을 탈거하고자 할 경 우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하 손잡이(16a, 16b)를 파지하여 서로 근접되도록 외력을 가하는 상태에서 필터유닛(10)을 필터수납실(21)로부터 인출하면 된다.(도 7b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유닛(10)의 장착 또는 탈거시 작업자가 상·하 손잡이(16a, 16b)를 파지하여 의도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상·하 탄성부(15a, 15b)는 상·하 수평부(14a, 14b)와의 사이에 연결형성된 보강리브(17a, 17b)에 의해 종래와 같이 휨변형이 발생되는 일이 없게 되고, 그에 따라 탄성부(15a, 15b)의 탄성복귀력이 취약해지는 일도 없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상·하 탄성부(15a, 15b)는 손잡이(16a, 16b)에 가해지는 외력이 잦아지더라도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여과부재(11)의 교환시 필터 케이스부재(12)를 함께 교체할 필요없이 필터 케이스부재(12)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 정비시 필터정비작업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유닛을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탄성부와 수평부 사이에 보강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부에 공조케이스 외면에 고정되는 후크부를 형성함으로써, 잦은 외력에 의해서도 상기 탄성부가 상기 수평부쪽으로 처지는 일이 없게 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 또는 후크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필터 케이스 부재의 상품가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터 정비시 그 정비성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하여 공조케이스의 금형사출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Claims (2)

  1. 공조케이스(20)의 필터수납실(21)내에 고정설치되는 필터유닛(Filter Unit, 10)의 필터 케이스부재(12)의 상하 끝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된 상·하 고정수단(F1, F2)을 구비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용의 필터유닛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 고정수단(F1, F2)은, 상기 필터 케이스부재(12)의 상하 끝단부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조케이스(20)의 상하측에 형성된 걸림홈(22)에 록킹(Locking) 결합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상·하 후크부(Hook, 18a, 18b)를 구비하는 상·하 수평부(14a, 14b)와,
    상기 상·하 수평부(14a, 14b)로부터 소정간격을 갖고 절곡형성된 상·하 탄성부(15a, 15b)와,
    상기 상·하 탄성부(15a, 15b)의 끝단부에 형성된 상·하 손잡이부(16a, 16b)와,
    상·하 탄성부(15a, 15b)와 상·하 수평부(14a, 14b) 사이에 연결형성된 리브(Rib, 17a, 17b)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22)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상·하 후크부(18a, 18b)와 상기 걸림홈(22)의 결합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벽(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용의 필터유닛 구조.
  2. 삭제
KR1020040088612A 2004-11-03 2004-11-03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 KR10110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12A KR101107424B1 (ko) 2004-11-03 2004-11-03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12A KR101107424B1 (ko) 2004-11-03 2004-11-03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09A KR20060039509A (ko) 2006-05-09
KR101107424B1 true KR101107424B1 (ko) 2012-01-19

Family

ID=3714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612A KR101107424B1 (ko) 2004-11-03 2004-11-03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05B1 (ko) * 2008-08-26 2015-01-0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KR101112109B1 (ko) * 2009-11-13 2012-02-2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컨필터
KR102230125B1 (ko) * 2017-03-08 2021-03-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필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4976B1 (ko) * 2018-07-24 2023-05-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필터커버의 결합구
CN111632438A (zh) * 2020-03-17 2020-09-08 苏州逸新和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系统用过滤器
KR102551287B1 (ko) * 2020-12-15 2023-07-05 이창원 자동차용 방향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096A (ja) 2000-01-20 2001-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内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30033188A (ko) * 2001-10-18 2003-05-01 주식회사 실트론 단결정 실리콘 잉곳 성장 장치에서의 필터링 장치
KR200333188Y1 (ko) * 2003-08-19 2003-1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필터유닛 고정구조
JP2004106568A (ja) * 2002-09-13 2004-04-08 Nishikawa Kasei Co Ltd 車両の空調用ダク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096A (ja) 2000-01-20 2001-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内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30033188A (ko) * 2001-10-18 2003-05-01 주식회사 실트론 단결정 실리콘 잉곳 성장 장치에서의 필터링 장치
JP2004106568A (ja) * 2002-09-13 2004-04-08 Nishikawa Kasei Co Ltd 車両の空調用ダクト
KR200333188Y1 (ko) * 2003-08-19 2003-1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필터유닛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509A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0189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filter
KR101107424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유닛 고정구조
KR100235745B1 (ko) 에어필터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12293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28766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필터커버 장착구조
JP499255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118543B2 (ja) 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
JP457281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08589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9114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911997B1 (ko)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필터커버 조립체
JP2007030562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376908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설치구조
JP4111068B2 (ja) ブロワ装置
KR10110575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44205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결합장치
KR20050017510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필터 조립구조
JP4821709B2 (ja) 空調装置
JP2001137632A (ja) フィルタ脱着構造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20090056237A (ko) 송풍기유니트의 필터커버조립체
KR101149260B1 (ko) 블로워 모터 냉각용 공기 흡입구 구조
KR200333188Y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필터유닛 고정구조
JP3379275B2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そのフィルタ取付構造
JPH0728981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着脱機構
KR200299992Y1 (ko) 룸에어컨의 필터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