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516Y1 -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516Y1
KR200437516Y1 KR2020060028143U KR20060028143U KR200437516Y1 KR 200437516 Y1 KR200437516 Y1 KR 200437516Y1 KR 2020060028143 U KR2020060028143 U KR 2020060028143U KR 20060028143 U KR20060028143 U KR 20060028143U KR 200437516 Y1 KR200437516 Y1 KR 200437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fiber composite
composite pipe
bonding lay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섭
Original Assignee
신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섭 filed Critical 신철섭
Priority to KR2020060028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5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5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에 있어서 : 내주면에 복수의 링 형태의 돌기가 돌출형성된 관체부와, 상기 관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부로 이루어지는 합성고무체 ; 상기 관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합성고무체보다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연질 접합층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은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을 연질 접합층과 합성고무체의 이중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의 외주와 이음관의 내주를 접착할 때 버핑 공정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과 이음관이 단순히 접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접착에 의한 밀봉과 연질 접합층의 눌려진 만큼의 압력에 의해서 그 밀봉이 더욱 강화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접착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섬유 복합관, 연결패킹, 이중구조, 연질 접합층

Description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PACKING FOR CONNECTING GLASS REINFORCED PLASTIC PIP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례의 연결패킹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보 고안이 사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결패킹 110 : 합성고무체
111 : 관체부 112 : 단턱부
120 : 연질 접합층
본 고안은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에 관한 것이다.
유리섬유 복합관은 내부식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를 기본으로 하여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래를 사용하고 내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섬유로 강화시킨 제품이다. 유리섬유 복합관의 규격은 KS M 3370에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리섬유 복합관은 그 표면이 매우 매끄러운 관계로, 통상의 주철관 등의 이음용 연결패킹과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유리섬유 복합관의 직관을 연결하기 위하여는 유리섬유 복합관으로 이루어진 이음관의 양단에 이음용 연결패킹을 접착한 후, 이음관의 양단으로부터 이음관의 내주에 유리섬유 복합관의 직관을 삽입한다.
이때 이음용 연결패킹의 내주면에 복수의 링 형태의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링 형태의 돌기가 직관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이음용 연결패킹과 직관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한편, 이음용 연결패킹과 이음관 사이는 이음용 연결패킹의 외주를 접착제에 의하여 이음관의 내주에 접착시킴으로써 그 밀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유리섬유 복합관은 그 표면이 매우 매끈하며, 또한 그 두께가 다른 제품에 비하여 얇은 관계로 주철관 등의 제품에 비하여 그 접착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음용 연결패킹의 표면층에는 첨가제의 화합물이나 대기중으로부터 흡착된 불순물들이 존재하여 접착제와의 접착력을 열화시키는 광택층이 존재한다.
따라서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그 표면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버핑(BUFFING) 공정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모든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에 버핑 공정을 수행한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 아닐 수 없으며, 또한 이와 같이 버핑 공정을 수행한 후 접착을 한다고 하여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접착 성능이 점차 열화되는 것은 해결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을 연질 접합층과 합성고무체의 이중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의 외주와 이음관의 내주를 접착할 때 버핑 공정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과 이음관이 단순히 접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연질 접합층의 눌려진 만큼의 압력에 의해서 그 밀봉이 이루어지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접착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에 있어서 : 내주면에 복수의 링 형태의 돌기가 돌출형성된 관체부와, 상기 관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부로 이루어지는 합성고무체 ; 상기 관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합성고무체보다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연질 접합층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질 접합층과 상기 합성고무체는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질 접합층과 합성고무체가 접착제 등에 의하여 서로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 중에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질 접합층은 밀도 0.1~0.9g/cm3의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례의 연결패킹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보 고안이 사용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이음용 연결패킹(100)는 크게 합성고무체(110)와 연질 접합층(120)으로 이루어진다.
합성고무체(110)는 다시 관체부(111)와 단턱부(112)로 구분 형성되며, 합성고무체(110)는 EPDM, SBR, NBR, CR 등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진다.
관체부(111)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게 그 내주면에 복수의 링 형태의 돌기(111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11a)는 후술하는 유리섬유 복합관의 직관(10a, 10b)과 접촉되어 압착되는 부분이다.
단턱부(112)는 관체부(111)의 일단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112)는 후술하는 이음관(20)의 일단부에 걸려 본 이음용 연결패킹(100)이 이음관(20)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합성고무체(110)의 외주면, 구체적으로는 관체부(111)의 외주면에 관체부(11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연질 접합층(120)이 일체로 마련된다.
연질 접합층(120)은 상기 합성고무체(110)보다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연질고무 혹은 연질합성수지 혹은 연질발포수지 혹은 연질발포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는 연질 접합층(120)으로서 밀도 0.1~0.9g/cm3의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질 접합층(120)은 관체부(111)에 접착되어 마련될 수도 있지만, 그 작업 방법을 간단히 하고 접합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합성고무체(110)의 제조시 연질 접합층(120)이 함께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질 접합층(120)은 그 내주면이 관체부(111)에 접촉하며, 또한 그 외주면이 유리섬유 복합관의 내주면에 접착되게 된다.
따라서 연질 접합층(120)의 외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후 유리섬유 복합관의 이음관의 내주면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연질 접합층(120)이 유리섬유 복합관의 이음관(20)의 내주면에 접착되면, 추후 유리섬유 복합관의 직관(10a, 10b) 등을 이음관(20)의 내주면에 삽입 할 경우 연질 접합층(120)은 이음관(20)과 직관(10a 및 10b) 사이에서 압착되며, 따라서 이음관(20)과 연결패킹(100) 사이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 뿐만 아니라 연질 접합층(120)이 눌려진 만큼에 상당하는 복원압력에 의하여 밀봉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 3의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유리섬유 복합관의 이음관(20)에 연결패킹(100)을 접착한 후, 유리섬유 복합관의 이음관(20)의 양단으로부터 유리섬유 복합관의 직관(10a, 10b)을 삽입하면, 유리섬유 복합관의 이음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연결패킹(100)과 직관(10a 또는 10b) 사이는 링 형태의 돌기(111a)가 압착되는 것에 의하여 밀봉이 되며, 또한 연결패킹(100)과 이음관(20) 사이는 연질 접합층(120)과 이음관(20)의 접착력과 연질 접합층(120)이 눌려진 만큼의 복원압력에 의하여 밀봉된다.
상기의 실시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을 연질 접합층과 합성고무체의 이중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의 외주 와 이음관의 내주를 접착할 때 버핑 공정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과 이음관이 단순히 접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접착에 의한 밀봉과 연질 접합층의 눌려진 만큼의 압력에 의해서 그 밀봉이 더욱 강화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접착 성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에 있어서 :
    내주면에 복수의 링 형태의 돌기가 돌출형성된 관체부와, 상기 관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턱부로 이루어지는 합성고무체 ;
    상기 관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합성고무체보다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연질 접합층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접합층과 상기 합성고무체는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접합층은 밀도 0.1~0.9g/cm3의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KR2020060028143U 2006-10-20 2006-10-20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KR200437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43U KR200437516Y1 (ko) 2006-10-20 2006-10-20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43U KR200437516Y1 (ko) 2006-10-20 2006-10-20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516Y1 true KR200437516Y1 (ko) 2007-12-07

Family

ID=4162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143U KR200437516Y1 (ko) 2006-10-20 2006-10-20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5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23B1 (ko) * 2008-12-10 2009-10-20 주식회사 코오롱 이음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23B1 (ko) * 2008-12-10 2009-10-20 주식회사 코오롱 이음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8590B (zh) 橡胶软管的制造方法、橡胶软管及带有端子配件的橡胶软管
US20040104576A1 (en) Pipe clamp inner seal
MXPA03006529A (es) Cosntruccion de manguera reforzada termoplastica.
JP2007504419A5 (ko)
JP2011002012A (ja) 管継手部構造
JP2007504419A (ja) 二重層ロールブーツ
KR200437516Y1 (ko) 유리섬유 복합관 이음용 연결패킹
EP1347228A3 (de) Kfz-Spritzwasserleitungs-Verbindungsanordnung
JP2008157383A (ja) シ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A2458710C (en)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JPH08294979A (ja) 燃料ホース
KR101736681B1 (ko) 파이프 연결밸브
JP5442591B2 (ja) 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JP3775878B2 (ja) ガスケット
JP5089730B2 (ja) マンホール用耐震性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取付け方法
JP2571528B2 (ja) ガスケット
JP3082856B1 (ja) 螺旋補強ホース
JPH1163336A (ja) 補強ゴム可撓継手
JP2005180567A (ja) 樹脂製チューブ
JPH1163331A (ja) ゴムホースのフランジ部の構造及び可とう継手
JP2014190366A (ja) 管継手
JPS6028584Y2 (ja) 耐摩耗性ホ−ス
JPH11118078A (ja) 樹脂管用可とう継手
JP4448985B2 (ja) 硬質相手パイプ・ホースと樹脂ホースのシール接続構造
KR101780232B1 (ko) 파이프 클램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