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574Y1 -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574Y1
KR200436574Y1 KR2020070008511U KR20070008511U KR200436574Y1 KR 200436574 Y1 KR200436574 Y1 KR 200436574Y1 KR 2020070008511 U KR2020070008511 U KR 2020070008511U KR 20070008511 U KR20070008511 U KR 20070008511U KR 200436574 Y1 KR200436574 Y1 KR 200436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otating body
cooking vessel
cook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월식
Original Assignee
서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월식 filed Critical 서월식
Priority to KR2020070008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5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5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에 의해 팽창된 압축공기를 회전에 의해 배출하므로 분산 배출이 가능하고,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동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요리시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고,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의하면, 압력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분산 배출되므로 쉽게 증발시킬 수 있으며, 압력 배출시 회전체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회전되므로 작동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요리시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압력배출장치, 회전체, 조리용기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A stream pressure discharge apparatus for cooking vesse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분리 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저면 사시도이며, "나"는 회전체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6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및 개략적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리용기 12 : 본체
14 : 뚜껑 16 : 손잡이
18 : 장착공 100 :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110 : 케이스 112 : 결합공
114 : 이송공 116 : 제1플랜지부
118 : 제2플랜지부 120 : 회전체
122 : 결합홈 124 : 연장부
126 : 배출공 130 : 가이드핀
140 : 커버체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에 의해 팽창된 압축공기를 회전에 의해 배출하므로 분산 배출이 가능하고,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동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요리시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고,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라 함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원에 의해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도구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그 종류에 따라 조리용 압력솥, 조리용 냄 비 및 조리용 압력 후라이팬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용기는 조리 중 음식물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음식물에서 증기가 발생되며, 이 증기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승된 압력에 의해 조리용기의 뚜껑이 유동됨으로 국물을 넘치게 하여 주변을 오염시켜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넘치는 국물이 열원을 소화시킴으로써 가스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근래에 들어서는 조리시 발생되는 과도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배출장치가 구비된 조리용기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4685호가 그 일예인데, 이는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 이상 상승하면 개폐부재가 상승하여 이를 외부로 배출하고, 일정 압 이하로 떨어지면 탄성부재에 의해서 하강하여 압력 배출을 막음하도록 작동된다.
이렇게, 작동되는 종래의 압력배출장치의 개폐부재는 압력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승 하강되는 것인데, 조리용기 내부에 압력이 모두 배출되지 않더라도 일정 압 이하로만 떨어지면 탄성부재에 의해서 하강 작동되므로 더 이상 압력이 배출되지 못하는 것이다. 즉,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을 모두 배출하고 싶어도 배출을 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본체 내부의 잔여 압력을 모두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뚜껑을 열어야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뚜껑을 열어 잔여 압력을 모두 배출시킬 수는 있겠지만 외부 이물질이 본체 내부 즉 음식물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에 의해 팽창된 압축공기를 회전에 의해 배출하므로 분산 배출이 가능하고,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동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요리시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고,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뚜껑에 형성된 장착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하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일측에는 압력이 이송되는 이송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며, 중앙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압력을 배출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되,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회전체; 및 상기 케이스의 결합공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회전체의 결합홈에 나사 결합되어져 회전체가 이탈되지 않고 승하강 및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는 열기를 차단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실리콘 재질의 커버체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는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부에는 뚜껑의 장착공 내면에 밀착되는 제1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 상부에는 장착공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가 추가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100)는 통상의 압력배출장치와 마찬가지로 조리용기용 뚜껑(14)의 장착공(18)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조리시 본체(12)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미도시 되었지만 뚜껑(14) 손잡이(16)를 분리하고, 그 위치에 본 고안의 압력배출장치(100)를 장착하여 손잡이겸 압력배출장치로도 사용가능하며, 본체(12) 일측에도 새로운 장착공을 형성하여 설치 가능함을 인지하여야 된다.
하기에서,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10)에 장착되어져 작동되는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100)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을 설명토록 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저면 사시도이며, "나"는 회전체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100)는 크게 케이스(110), 회전체(120) 및 가이드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는 뚜껑(14)에 형성된 장착공(1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하 관통된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2) 일측에는 압력이 이송되는 이송공(1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는 착탈에 유리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는 장착공(18)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도록 하부에는 상기 장착공(18)의 내면에 밀접되는 제1플랜지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116) 상부에는 뚜껑(14)의 두께만큼 이격 형성되어져 상기 장착공(18)의 외면에 밀접되는 제2플랜지부(118)를 형성함이 더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체(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홈(122)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연장부(1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124)에는 사선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126)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의 "가"와 "나"를 참조로 하면, 상기 회전체(120)의 연장부(124)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126)은 회전체(120)의 중심을 따라 원주 배열되어져 있되,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배출공(126)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후술하겠지만 상승하는 압력에 의해 회전체(120)를 마치 바람개비처럼 회전될 수 있도록 구현하기 위해서 있다. 즉, 상승 하는 압력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공(126)의 내벽을 치고 배출되므로 회전체(120)는 가이드핀(130)을 축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핀(130)은 상기 케이스(110)의 결합공(112)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회전체(120)의 결합홈(122)에 나사 결합되어져 회전체(120)가 이탈되지 않고 승하강 작동 및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핀(130)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체(120)의 결합홈(122)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됨은 너무나 명백하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로 하여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회전체(120)가 안치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체(120)의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부(124)가 상기 케이스(110) 상부 외주면을 일부 커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결합공(112)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된 가이드핀(130)은 회전체(120)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홈(122)에 나사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회전체(120)는 가이드핀(130)을 매개로 케이스(110)의 결합공(112)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며, 가이드핀(130)의 하중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시 하향되어져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된 이송공(114)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케이스(110) 상부 외주면을 커버하는 회전체(120)의 배출공(126) 또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상술토록 하겠다.
도 6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및 개략적 평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케이스(1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116)는 뚜껑(14)에 형성된 장착공(18)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제1플랜지부(116) 상부에 형성된 제2플랜지부(118)는 장착공(18)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케이스(110)는 장착공(18)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결합공(112)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된 가이드핀(130)과 나사 결합된 회전체(120)가 안치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체(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핀(130)의 하중에 의해 상시 하향되어져 케이스(110) 상부를 밀폐하고 있으며, 장착공(18)의 내외면에는 제1,2플랜지부(116)(118)가 각각 밀접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조리용기(10)를 밀폐하게 된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지만 조리용기(10) 본체(12)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 이상으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압력이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압력은 케이스(110)에 형성 된 이송공(114)을 통해 상승하여 이송공(114)을 막음하고 있는 회전체(120)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면, 케이스(110)의 상부 외주면을 커버하고 있는 회전체(120)의 연장부(124)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126)이 동시에 개방되며, 압력은 개방된 배출공(1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회전체(12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다"를 참조로 하면, 상승되어 배출되는 압력은 회전체(120)의 연장부(124)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공(126)을 통과하게 됨을 알 수 있는데, 통과 과정에서 배출공(126)의 경사진 내벽을 치면서 배출되므로 회전체(12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사방으로 분산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압력 배출시 회전체(120)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회전되므로 작동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요리시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은 회전체(120)의 회전에 의해 분산 배출되므로 쉽게 증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을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회전체(120)의 상부에는 열기를 차단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실리콘 재질의 커버체(140)가 추가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렇게 커버체(140)가 구비되면 사용자를 열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의하면, 압력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분산 배출되므로 쉽게 증발시킬 수 있으며, 압력 배출시 회전체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회전되므로 작동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요리시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조리용기 뚜껑에 형성된 압력배출 장착공에 설치되어서 조리시 발생되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상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형성된 장착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하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일측에는 압력이 이송되는 이송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며, 중앙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압력을 배출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되,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회전체; 및
    상기 케이스의 결합공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회전체의 결합홈에 나사 결합되어져 회전체가 이탈되지 않고 승하강 및 회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는 열기를 차단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실리콘 재질의 커버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부에는 뚜껑의 장착공 내면에 밀착되는 제1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 상부에는 장착공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2020070008511U 2007-05-23 2007-05-23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200436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11U KR200436574Y1 (ko) 2007-05-23 2007-05-23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511U KR200436574Y1 (ko) 2007-05-23 2007-05-23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574Y1 true KR200436574Y1 (ko) 2007-09-07

Family

ID=4162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511U KR200436574Y1 (ko) 2007-05-23 2007-05-23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5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17Y1 (ko) 2008-06-26 2010-10-15 서월식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17Y1 (ko) 2008-06-26 2010-10-15 서월식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5810A (en) Cookware lid and handle assemblies
KR0132659Y1 (ko) 자동밀폐 기능을 갖는 냄비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CN104172906A (zh) 微波压力锅
USRE45375E1 (en) Cooking vessel top to prevent boil over of liquids
KR20090068085A (ko) 남비 뚜껑 손잡이
KR200436574Y1 (ko)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101244277B1 (ko) 중탕기
CN203789694U (zh) 一种高压锅的改进结构
KR20170039330A (ko) 조리용기용 뚜껑
JP2009195594A (ja) 炊飯器
KR20120029925A (ko) 뚜껑 회전잠금수단이 구비된 압력솥
KR101061498B1 (ko) 압력조절밸브
KR20120039421A (ko) 저진공 조리용기의 밀폐장치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437606Y1 (ko)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200437605Y1 (ko)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101343151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368226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102648107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가진 진공 조리기
KR200434708Y1 (ko) 압력 조리용기
KR200491879Y1 (ko) 조리용기 뚜껑
KR101359043B1 (ko) 조리기구의 압력조절장치
KR102393074B1 (ko)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