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606Y1 -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606Y1
KR200437606Y1 KR2020070006086U KR20070006086U KR200437606Y1 KR 200437606 Y1 KR200437606 Y1 KR 200437606Y1 KR 2020070006086 U KR2020070006086 U KR 2020070006086U KR 20070006086 U KR20070006086 U KR 20070006086U KR 200437606 Y1 KR200437606 Y1 KR 200437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king vessel
hole
discharge
pressur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월식
Original Assignee
서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월식 filed Critical 서월식
Priority to KR2020070006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에 의해 팽창된 압축공기를 자동으로 조리용기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조리용기 내부에 남을 수 있는 잔여 압력까지 모두 배출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의하면, 밸브부재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팽창된 압축공기를 자동으로 조리용기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밸브부재가 절곡되므로 강제로 통기공을 개방시킬 수 있어 조리용기 내부에 남을 수 있는 잔여 압력까지 모두 배출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압력배출장치, 조리용기, 밸브부재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A stream pressure discharge apparatus for cooking vesse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분리 단면도이며, "나"는 결합 단면도.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리용기 12 : 본체
14 : 뚜껑 100 :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110 : 케이스 112 : 몸체
114 : 압력배출공간 116 : 삽입공
118 : 배출공 120 : 통기공
122 : 제1플랜지부 124 : 제2플랜지부
126 : 커버체 130 : 밸브부재
132 : 몸통부 134 : 머리부
136 : 힌지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에 의해 팽창된 압축공기를 자동으로 조리용기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조리용기 내부에 남을 수 있는 잔여 압력까지 모두 배출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라 함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원에 의해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도구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그 종류에 따라 조리용 압력솥, 조리용 냄비 및 조리용 압력 후라이팬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용기는 조리 중 음식물이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음식물에서 증기가 발생되며, 이 증기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승된 압력에 의해 조리용기의 뚜껑이 유동됨으로 국물을 넘치게 하여 주변을 오염시켜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넘치는 국물이 열원을 소화시킴으로써 가스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근래에 들어서는 조리시 발생되는 과도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력배출장치가 구비된 조리용기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4685호가 그 일예인데, 이는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 이상 상승하면 개폐부재가 상승하여 이를 외부로 배출하고, 일정 압 이하로 떨어지면 탄성부재에 의해서 하강하여 압력 배출을 막음하도록 작동된다.
이렇게, 작동되는 종래의 압력배출장치의 개폐부재는 압력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승 하강되는 것인데, 조리용기 내부에 압력이 모두 배출되지 않더라도 일정 압 이하로만 떨어지면 탄성부재에 의해서 하강 작동되므로 더 이상 압력이 배출되지 못하는 것이다. 즉,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을 모두 배출하고 싶어도 배출을 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본체 내부의 잔여 압력을 모두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뚜껑을 열어야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뚜껑을 열어 잔여 압력을 모두 배출시킬 수 있는 있겠지만 외부 이물질이 본체 내부 즉 음식물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에 의해 팽창된 압축공기를 자동으로 조리용기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조리용기 내부에 남을 수 있는 잔여 압력까지 모두 배출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압력배출장치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져 장착공에 끼움되며, 내부에는 압력배출공간이 형성되고, 상면과 외주면에는 상기 압력배출공간과 연통되는 삽입공과 압력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 하측에는 상기 압력배출공간 보다 직경이 작은 통기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1플랜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져 통기공을 막음토록 구비되되 힌지를 축으로 절곡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상부에 결합되어져 상기 삽입공의 상면을 막음하는 머리부로 이루어지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배출공의 상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커버체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분리 단면도이며, "나"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조리용기(10) 뚜껑(14)에 형성된 장착공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100)는 크게 케이스(110) 및 밸브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14)에 형성된 장착공은 통상적으로 압력배출장치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형성되는 것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를 미부호 설명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압력배출공간(114)이 형성되고, 상면과 외주면에는 상기 압력배출공간(114)과 연통되는 삽입공(116)과 압력이 배출되는 배출공(118)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 하측에는 상기 압력배출공간(114) 보다 직경이 작은 통기공(120)이 형성되는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의 하부 외주면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22)와, 제2플랜지부(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플랜지부(124)는 배출공(118) 보다 아래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된 배출공(118)의 상부에는 이물질이 배출공(118)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커버체(126)가 형성된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상기 몸체(112)의 하면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122)와 제2플랜지부(124)의 이격된 거리는 뚜껑(14)의 두께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122)는 장착공 내면에 밀접되고, 제2플랜지부(124)는 장착공 외면에 밀접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부재(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삽입공(116)으로 삽입 되어져 통기공(120)을 막음토록 구비되되 힌지(136)를 축으로 절곡되는 몸통부(132)와, 상기 몸통부(132) 상부에 결합되어져 상기 삽입공(116)의 상면을 막음하는 머리부(1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브부재(130)는 원활한 작동을 위해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3의 부분 확대도를 참조로 하면, 상기 몸통부(132)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알 수 있는데, 즉 상기 몸통부(132)는 상,하부 몸통부재(132a)(132b)로 구성되며, 하부 몸통부재(132b)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부 몸통부재(132a)는 돌기부가 형성되어져 서로 결합되며 힌지(136)를 축으로 접철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132)의 하부는 하강 작동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비해 하중을 가질 수 있도록 단면적이 크고 무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케이스(110)의 몸체(112)가 뚜껑(14)에 형성된 장착공으로 삽입되되, 하면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122)가 장착공 내면에 밀접되고, 그 상부에 형성된 제2플랜지부(124)가 장착공 외면에 밀접되어 고정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2)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공(116)으로 밸브부재(130)의 몸통부(132)가 삽입되며, 그 하부는 통기공(120)을 막음하고 있고, 상부에 부착된 머리부(134)는 삽입공(116) 상면을 막음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밸브부재(130)의 하부는 단면적이 크고, 무겁게 형성되므로 자중에 의해 통기공(120)을 단단히 막음할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2)에 형성된 배출공(118) 상면 외주면에는 커버체(126)가 형성되어져 이물질이 배출공(118)으로 유입되는 것을 커버하고 있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조리용기 본체(12)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 이상으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압력이 화살표 방향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즉, 압력은 케이스(110)에 형성된 압력배출공간(114)과 통기공(120)을 통해 상승하며, 통기공(120)을 막음하고 있던 밸브부재(130)는 압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 밸브부재(130)의 상승에 따라 압력은 케이스(110)에 형성된 배출공(118)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 뒤, 조리용기 본체(12)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 이하로 떨어지면 밸브부재(130)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다시 케이스(110)의 통기공(120)을 막음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다"를 참조로 하면, 상기 "나"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조리용기 본체(12) 내부에는 일정 압력이 남게 될 것이므로 절곡되는 밸브부재(130)를 이용하여 잔여 압력을 모두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밸브부재(130)를 케이스(110) 상측 방향으로 더 상승시킨 후 상부 몸통부재(132a)를 일측 방향으로 절곡시키게 된다. 그러면, 밸브부재(130)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되지 않으므로 통기 공(120)을 계속 개방시켜 압력이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뚜껑(14)을 열어야 되는 종래와 달리 뚜껑(14)을 열지 않아도 잔여 압력을 모두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본체(1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뒤,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서 잔여 압력이 모두 배출되고 나면 상기 밸브부재(130)의 상부 몸통부재(132a)를 직립시키게 되면 밸브부재(13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다시 케이스(110)의 통기공(120)을 막음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100)에 의하면, 밸브부재(130)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팽창된 압축공기를 자동으로 조리용기(10)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밸브부재(130)가 절곡되므로 강제로 통기공을 개방시킬 수 있어 조리용기(10) 내부에 남을 수 있는 잔여 압력까지 모두 배출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장점을 지닌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의하면, 밸브부재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팽창된 압축공기를 자동으로 조리용기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밸브부재가 절곡되므로 강제로 통기공을 개방시킬 수 있어 조리용기 내부에 남을 수 있는 잔여 압력까지 모두 배출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잔고장의 발생이 거의 없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조리용기 뚜껑에 형성된 압력배출 장착공에 설치되어서 조리시 발생되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상의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에 있어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져 상기 장착공에 끼움되며, 내부에는 압력배출공간이 형성되고, 상면과 외주면에는 상기 압력배출공간과 연통되는 삽입공과 압력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 하측에는 상기 압력배출공간 보다 직경이 작은 통기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1플랜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져 통기공을 막음토록 구비되되 힌지를 축으로 절곡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상부에 결합되어져 상기 삽입공의 상면을 막음하는 머리부로 이루어지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배출공의 상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커버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2020070006086U 2007-04-13 2007-04-13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200437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86U KR200437606Y1 (ko) 2007-04-13 2007-04-13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86U KR200437606Y1 (ko) 2007-04-13 2007-04-13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606Y1 true KR200437606Y1 (ko) 2007-12-17

Family

ID=4162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086U KR200437606Y1 (ko) 2007-04-13 2007-04-13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6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17Y1 (ko) * 2008-06-26 2010-10-15 서월식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17Y1 (ko) * 2008-06-26 2010-10-15 서월식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2996B1 (en) Microwave pressure cooker
KR100988212B1 (ko) 진공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체크밸브
BR102017007132A2 (pt) Pressure cooker with improved safety
KR20100000110U (ko)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KR20090068085A (ko) 남비 뚜껑 손잡이
KR20130012872A (ko) 진공 가능한 냄비뚜껑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냄비용 뚜껑
KR200437606Y1 (ko)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200437605Y1 (ko)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KR200383124Y1 (ko)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CN107536459B (zh) 压力烹饪器具
JP2009195594A (ja) 炊飯器
KR200436574Y1 (ko) 조리용기용 압력배출장치
KR200271679Y1 (ko) 팽창공기를 배출시키는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KR101041485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벨로우즈형 증기 배출밸브
KR200368271Y1 (ko)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제거장치
JP2010263985A (ja) 圧力式炊飯器
JP2000116507A (ja) 炊飯器の蒸気孔構造
KR200199951Y1 (ko) 넘침 방지수단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JP2014083211A (ja) 加圧注出式液体容器
JP3303562B2 (ja) 電気炊飯器
KR101432964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KR200308596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압력조절부재
KR101482075B1 (ko) 조리용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