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727Y1 -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727Y1
KR200434727Y1 KR2020060027161U KR20060027161U KR200434727Y1 KR 200434727 Y1 KR200434727 Y1 KR 200434727Y1 KR 2020060027161 U KR2020060027161 U KR 2020060027161U KR 20060027161 U KR20060027161 U KR 20060027161U KR 200434727 Y1 KR200434727 Y1 KR 200434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frame
frame
road sig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석
Original Assignee
(주)화성이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성이노테크 filed Critical (주)화성이노테크
Priority to KR2020060027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7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과 도로표지판이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도로표지판이 일측으로 경사지거나 지상으로 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평지지프레임의 휨이 방지될 수 있는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을 이루며 외주면이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부착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며 소정곡률로 벤딩되어 타단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소정거리가 유지되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도로표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지주의 외주면은 용접접합되며, 상기 보조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구조물, 지지프레임, 보조프레임, 벤딩

Description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SUPPORTING STRUCTURE FOR ROAD SIGNBOARD}
도 1은 종래의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의 요부에 대한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사용상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20 : 제1지지프레임
30 : 제2지지프레임 32, 42 : 관통공
40 : 보조프레임
본 고안은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바람 등의 외력에 대해 안정된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차량 운행자나 보행자에게 도로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위험사항을 알림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종 안내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표지판에 의해 차량 운행자와 보행자에게 도로에 관련된 각종 정보, 즉 도로의 진행방향이나 거리 또는 장소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종래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대한 것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은 지주(2)의 상부에 브라켓(8)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수평지지프레임(6)을 결합고정시킨 후 상기 수평지지프레임(6)의 하단부에 도로표지판을 경첩(8)에 의해 연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은 상기 경첩(8)이 수평지지프레임 및 도로표지판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서, 비와 습기에 의해 용접부위가 부식되면서 경첩(8)과 도로표지판의 결합력이 약해져 장기간 설치되는 경우 도로표지판의 자체 하중으로 인해 도로표지판이 수평지지프레임(6)으로부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운행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로표지판이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지만, 상기 도로표지판의 일측만이 경첩(8)에 의해 수평지지프레임(6)에 연결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강한 바람이 불 경우에는 도로표지판이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에 놓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차량 운행자가 도로표지판에 표시된 정보를 정확히 식별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프레임(6)을 브라켓(4)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하는 경우 수평지지프레임(6)의 자체 하중으로 인해 브라켓(4)에 용접접합 또는 볼트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주(2)에 설치된 수평지지프레임(6)이 강한 바람이 불 경우에 풍압을 견디지 못하고 지주(2)에서 휘어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고 있다. 즉, 상기 수평지지프레임(6)은 지주(2)에 직각으로 고정되는 지점부터 도로표지판이 설치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와 조합되어 수평지지프레임(6)이 갖는 자체 항복내력을 초과하는 모멘트의 영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프레임과 도로표지판의 결합을 견고하여 지상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으며,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도로표지판이 일측으로 경사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지프레임의 휨이 방지될 수 있는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을 이루며 외주면이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부착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며 소정곡률로 벤딩되어 타단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소정거리가 유지되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2지지프레임에 도로표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지주의 외주면은 용접접합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조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결합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의 요부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은 지주(10), 제1지지프레임(20), 보조프레임(40), 제2지지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주(10)는 도로에 인접한 인도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며, 통상 강관으로 형성된다. 지주(10)는 지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상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주(10)의 하부에 보강지지대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강풍등의 외력에 의해 지주(10)가 쓰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20)은 지주(10)의 상부에 지주(10)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도로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다. 제1지지프레임(20)은 지주(10)와 브라켓(도면부호 미표시)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제1지지프레임(20)의 수평면상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지지대(도면부호 미표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프레임(40)은 소정높이의 관형상을 이루며, 하기의 제2지지프레임(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는 중공되어 있다. 보조프레임(40)은 그 외주면이 지주(10)의 외주면에 부착고정되며, 이 때 용접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프레임(40)과 지주(10)와의 접합력이 강해질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40)의 높이는 지나치게 작지 않아야 하며, 약 300mm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조프레임(40)의 외주면을 지주(10)에 접합시키게 되면 통상의 직각방향으로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방법보다 접합되는 부분의 길이가 커져서 더욱 강한 접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보조프레임(40)은 지주(10)에 접합되는 면을 기준으로 좌우에 복수개의 관통공(42)이 형성되어 하기의 제2지지프레임(30)과 볼트결합이 가능한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제2지지프레임(30)은 내부가 중공된 강관으로 제조되며, 소정곡률로 벤딩되어 양끝단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제2지지프레임은 'ㄱ'자 형상을 이루되, 꺾이는 부분이 직각되지 않고 소정의 곡률로 벤딩되는 형상을 이룬다.
제2지지프레임(30)의 일단은 보조프레임(40)의 중공부(43)에 끼워지며, 타단은 제1지지프레임(20)과 평행하게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제2지지프레임(30)을 소정곡률로 벤딩형성시킨 이유는 보조프레임(40)이 중공부(43)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되도록 지주(10)에 용접접합되기 때문에, 보조프레임(40)의 중공부(43)에 제2지지프레임(3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될 때 제2지지프레임(30)의 타단이 제1지지프레임(20)과 평행하게 연장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지지프레임(30)이 보조프레임(40)에 끼워져 결합될 때 보조프레임(40)의 관통공(42)에 대응되도록 제2지지프레임(30)에도 복수개의 관통공(32)이 형성되어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주(10)가 지상에 설치되는 구조와 제1지지프레임(20)이 지주(10)에 설치되는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제2지지프레임(30)의 설치과정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40)의 중공부(43)가 지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이 되도록 보조프레임(40)의 외주면을 지주(10)의 외주면에 용접접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제2지지프레임(30)을 보조프레임(40)의 중공부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끼워넣고, 각각의 관통공(32, 42)을 일치시킨 후 볼트(44a)를 삽입시켜 너트(44b)로 조인다. 이러한 설치과정은 종래 지주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방식에 비해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관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에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20)과 제2지지프레임(30) 모두에 도로표지판이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지지프레임에 경첩에 의해 설치되던 지지구조물에 비해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어 도로표지판이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어 지상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으며, 강풍이 불어도 도로표지판이 일측으로 경사지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에 의하면, 도로표지판이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됨으로써, 도로표지판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강한 바람이 불어도 도로표지판이 일측으로 경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조프레임을 사용하여 제2지지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용이해지고, 설치자재의 운반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조프레임의 외주면이 지주에 용접접합됨으로써, 제2지지프레 임과 지주와의 접합력이 강화되므로 강풍등의 외력에 의하여 도로표지판이 수평면면상 좌우로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지지프레임이 소정곡률로 벤딩형성됨으로써, 모멘트가 감소되어 하중에 의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3)

  1.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을 이루며 외주면이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부착고정되는 보조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보조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며 소정곡률로 벤딩되어 타단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소정거리가 유지되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도로표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지주의 외주면은 용접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KR2020060027161U 2006-09-30 2006-09-30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KR200434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161U KR200434727Y1 (ko) 2006-09-30 2006-09-30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161U KR200434727Y1 (ko) 2006-09-30 2006-09-30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727Y1 true KR200434727Y1 (ko) 2006-12-28

Family

ID=4178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161U KR200434727Y1 (ko) 2006-09-30 2006-09-30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7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0163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KR100952610B1 (ko) 교량용 확장 인도
KR100997128B1 (ko)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JP5033726B2 (ja) 型枠支保工および型枠支保工用水平力処理部材
KR101406035B1 (ko)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0946212B1 (ko) 교통시설물 설치용 가로보의 설치구조
JP5020162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KR101106074B1 (ko)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KR101176940B1 (ko) 다기능 교통시설물 철주
KR200433150Y1 (ko) 가로등용 지주의 고정대
KR200434727Y1 (ko)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KR101095957B1 (ko) 문형 도로표지판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8297886A (ja) 鋼製高欄及び高欄の取り替え方法
KR100944007B1 (ko) 교량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피시빔 인상장치 및 방법
JP4590810B2 (ja) 倒壊防止機能付きポール
JP4629114B2 (ja) 鋼管柱基部構造体
JP6166005B1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KR101124348B1 (ko) 법면용 확장 보도
JP2011174372A (ja) 鋼製高欄
KR101054212B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
KR101958722B1 (ko) H-빔을 이용한 방음 터널에서의 빔 결합형 루프 판넬 고정장치
JP4097886B2 (ja) 鋼管柱基部構造体
CN219342782U (zh) 一种市政道路局部加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