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120Y1 - 매트고정판 - Google Patents

매트고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120Y1
KR200434120Y1 KR2020060025711U KR20060025711U KR200434120Y1 KR 200434120 Y1 KR200434120 Y1 KR 200434120Y1 KR 2020060025711 U KR2020060025711 U KR 2020060025711U KR 20060025711 U KR20060025711 U KR 20060025711U KR 200434120 Y1 KR200434120 Y1 KR 200434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ground
fixing plate
anchor pi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원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풍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풍록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풍록원
Priority to KR2020060025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64)를 가지며 매트(C)를 관통하여 지면에 박히는 앙카핀(60)에 의해 지면에 포장된 매트(C)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매트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매트(C)상에 안착되고, 상기 매트(C)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52)가 테두리에 내향형성되며, 상기 앙카핀(60)이 관통되어 앙카핀(60)의 상기 헤드(64)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매트(C)를 가압하여 매트(C)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판상의 몸체(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상의 몸체(50)가 매트(C)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는 앙카핀(60)에 의해 매트(C)상에 고정되므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몸체(50)가 매트(C)의 겹치는 부분을 따라 등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매트(C)의 겹치는 부분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법면, 피막, 매트, 고정, 판

Description

매트고정판 { MAT FIXING PLATE }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매트고정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매트고정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트고정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매트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매트고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매트고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몸체 52 : 절개부
54 : 수용홈 56 : 스파이크
60 : 앙카핀 62 : 관통부
64 : 헤드 H : 통기공
본 고안은 지면에 포장된 매트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매트고정판에 관한 것으로서, 낙석을 방지하기 위해 법면에 포장된 매트를 고정시키는 매트고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측방에 경사형성된 법면, 즉 도로변의 경사형성된 지면은 낙석이 발생될 우려가 높으므로, 낙석을 방지하기 위한 낙석방지공사가 실시된다. 최근에는 법면에 식물을 생육시켜서 낙석을 방지하는 동시에 환경을 미화시키는 친환경공법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공법은 법면에 종자를 뿌린 후 섬유질과 같은 생분해재로 형성된 매트를 법면에 포장한다. 따라서, 종자는 매트에 의해 보호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생분해되는 매트를 거름으로 이용한다.
여기서, 전술한 매트는 그물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거적이나 천으로된 포장막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매트는 그물망이나 포장막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매트는 법면에 포장된 후 격자형태로 교차되는 로프에 감싸져서 고정된다.
한편, 첨부된 도 1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된 등록 제 141791 호(명칭: 토목용 낙석보호망 고정구)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매트고정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매트고정판(4)은 도시된 바와 같은 U볼트(8)와 함께 한조를 이루면서 매트(1)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매트고정구(3)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매트고정판(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형태의 매트(1)상에 안착되어 매트(1)를 가압한다. 이때, 매트고정판(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형성된 로프홈(5) 및 로프지지턱(6, 6')를 통해 매트(1)를 감싸는 로프(2)의 교차부위에 설치되며, 체결공(7, 7')을 통해 체결되는 플랜지형 U볼트(8) 및 너트(9)에 의해 매 트(1)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매트고정판(4)은 로프(2)에 의해 눌려지면서 매트(1)를 가압한다. 즉, 매트고정판(4)은 매트(1)를 가압하여 매트(1)를 들뜨지 않게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매트고정판(4)은 로프(2)의 교차부위를 고정시키면서 매트(1)를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2)의 교차부위에 설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로프(2)의 교차부위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는 사실상 설치될 수 없다. 즉, 매트고정판(4)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없다.
특히, 일단부가 서로 겹치면서 법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매트(1)의 겹친부분은 바람에 잘 날리면서 들뜨는 부분이므로 반드시 매트고정판(4)이 설치되어야 하지만, 이 겹친부분에 로프(2)가 교차되지 않으면 매트고정판(4)을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법면에 뿌려진 종자는 들뜨면서 형성되는 매트(1)의 틈새를 통해 유실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매트고정판(4)은 플랜지형 U볼트(8) 및 너트(9)의 체결에 의해 매트(1)상에 고정되므로, 고정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고정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게다가, 종래기술에 의한 매트고정판(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매트(1)에 안착되는 면적만큼 매트(1)를 은폐하므로, 매트고정판(4)의 하부에 뿌려진 종자는 사실상 발아가 불가능하다.
아울러, 종래기술에 의한 매트고정판(4)은 상부에 로프홈(5) 및 로프지지 턱(6, 6')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조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이에 더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매트고정판(4)은 나사결합되는 플랜지형 U볼트(8) 및 너트(9)에 의해 매트(1)상에 고정되므로 설치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해체도 매우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면에 박히는 앙카핀에 의해 가압되어 매트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앙카핀의 가압력에 의해 매트를 가압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매트를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은폐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은폐되는 매트의 일부분에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매트고정판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를 가지며 매트를 관통하여 지면에 박히는 앙카핀에 의해 지면에 포장된 매트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매트상에 안착되고, 상기 매트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테두리에 내향형성되며, 상기 앙카핀이 관통되어 앙카핀의 상기 헤드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매트를 가압하여 매트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판상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고정판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매트를 관통하여 지면에 박히는 스파이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개부와 함께 상기 매트를 노출시켜서, 상기 매트에 외부의 공기를 제공하는 통기공을 상기 몸체에 관통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매트고정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매트고정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트고정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때,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트고정판이 법면에 포장된 매트를 고정한 것을 측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매트고정판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52)가 테두리에 내향형성되고, 중앙에 관통공(50a)이 형성된 판상의 몸체(5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50)는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금속재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몸체(50)는 휨이 방지되면서 후술되는 매트(C)를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이 확보되도록, 두께 및 지름을 약 2mm 및 9cm를 적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두께 및 지름은 몸체(50)의 재질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몸체(5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상부 및 하부를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몸체(50)는 상부가 볼록하고 하부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부가 평평하고 하부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몸체(50)는 후술되는 매트(C)를 가압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판상을 이루 면 족하다.
한편, 전술한 절개부(52)는 1개 내지 8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5개로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개부(52)는 몸체(50)의 면적을 부분적으로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몸체(50)는 중앙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앙카핀(60)이 관통된다. 이때, 앙카핀(60)은 몸체(50)에 형성된 관통공(50a)을 통해 몸체(50)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이러한 앙카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끈한 표면을 갖는 봉형태의 단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앙카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의 관통공(50a)에 관통되는 일직선형태의 관통부(62) 및, 이 관통부(62)의 단부에 돌출형성된 헤드(64)를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관통부(62)는 지중에 용이하게 박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64)의 반대편에 위치한 단부를 도시된 바와 같이 날카롭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헤드(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62)의 단부를 관통부(62)의 축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관통부(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64)와의 사이에 예각 이내의 경사(θ)가 형성되도록 단부를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내지 85°의 경사(θ)가 형성되도록 단부를 절곡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내지 45°의 경사(θ)가 형성되도록 단부를 절곡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렇게, 경사(θ)를 형성하는 이유는, 지중에 박혀서 고정되는 관통부(62)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관통부(62)는 지중에 박히면서 몸체(50)의 가압에 필요한 가압력을 헤드(64)에 제공하도록, 헤드(64)의 길이(l)에 대해 4배 내지 12배의 길이(L)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배의 길이(L)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도시된 관통부(62) 및 헤드(64)는 약 32cm 및 4cm의 길이(L, l)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관통부(62)는 헤드(64) 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관통부(62)는 도면상 좌측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오목홈(62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홈(62a)은 지중에 박히는 관통부(62)에 흙을 침투시킨다. 즉, 오목홈(62a)에는 흙이 침투된다. 따라서, 관통부(62)는 지중에 견고히 고정된다. 물론, 오목홈(62a)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홈(62a)은 관통부(62)의 축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통부(62)의 축과 직교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62)의 양측에 교호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오목홈(62a)을 교호상태로 형성할 경우 관통부(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제그식 단면을 갖는다. 물론, 오목홈(62a)은 도시된 바와 달리 관통부(62)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앙카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원통형의 봉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면상 좌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형철근이나 헬리컬철근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만약, 앙카핀(60)을 이형철근이나 헬리컬철근으로 구성하면, 앙카핀(60)의 관통부(62)는 구조상의 특성으로 인해 지중에 견고히 박힌 다.
또한, 앙카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62)의 단부를 절곡하지 않고, 도시된 바와 달리 관통부(62)의 단부에 미도시된 플랜지를 형성하여 헤드(64)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헤드(64)는 미도시된 플랜지 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헤드(64)는 전술한 몸체(50)의 가압이 가능하도록 관통부(62)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면 족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매트고정판의 몸체(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핀(60)에 의해 법면(S)에 포장된 매트(C)를 따라 듬성듬성 고정된다. 이때, 몸체(50)는 도면상 우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핀(60)에 의해 매트(C)의 일단부가 교차되는 부위에 고정된다. 물론, 몸체(50)는 매트(C)가 교차되는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도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상 좌측에 확대 도시된 도면은 몸체(50)가 매트(C)상에 안착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몸체(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C)상에 안착되어 앙카핀(60)에 의해 매트(C)에 고정된다. 이때, 앙카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 및 매트(C)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지중에 고정된다.
이러한, 앙카핀(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62)가 지중에 박힘에 따라 헤드(64)가 몸체(50)를 가압한다. 즉, 헤드(64)는 관통부(62)가 지중에 박히면서 견인함에 따라 몸체(50)를 가압한다. 따라서, 매트(C)는 몸체(50)에 눌려서 들뜨지 않는다. 물론, 관통부(62)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드(64) 보다 훨씬 길게 형성됨에 따라 헤드(64)에 충분한 가압력을 전달한다. 즉, 헤드(64)는 관통부(62) 에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몸체(5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헤드(64)는 관통부(62)가 지중에 고정될 경우,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와 평행을 이루면서 수평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관통부(62)는 앞서 설명한 헤드(64)와의 경사(θ)로 인하여, 축(A)이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방향(Y)에 대해 경사(α)를 형성한다. 즉, 관통부(62)는 지중에서 경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관통부(62)는 경사(α)에 의해 고정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관통부(62)는 고정력이 강화됨에 따라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 한편, 몸체(50)는 절개부(52)에 의해 도면상 우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매트(C)를 가압한다. 따라서, 몸체(50)의 절개부(52)에 위치한 매트(C)는 몸체(50)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노출된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매트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트고정판은 몸체(5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의 몸체(5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수용홈(54) 및 스파이크(56)가 형성된 것이 다른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점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홈(54)은 도면상 상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절곡형성된 앙카핀(60)의 헤드(64)를 수용한다. 이러한 수용홈(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64)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헤드(64)는 수용홈(54)에 일부분이 구속되어 측방으로 유동하지 못한다
다음, 스파이크(5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스파이크(56)는 몸체(50)와 동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파이크(56)는 매트(C)를 관통해서 지면에 박힌다. 따라서, 몸체(50)는 매트(C)상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도면상 하측에 확대 도시된 도면은 스파이크(56)를 나사식 핀(56a)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스파이크(56)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핀(56a)을 몸체(50)에 관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파이크(56)는 용접이나 코깅 또는 볼팅에 의해 몸체(50)에 동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몸체(50)에 전술한 바와 같은 스파이크(56)를 마련할 경우, 전술한 앙카핀(60)은 생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스파이크(56)가 앙카핀(60) 대신 지중에 박히기 때문이다. 물론, 앙카핀(60)을 생략하려면 스파이크(56)의 길이를 도시된 바와 달리 매우 길게 형성하여야 한다.
이때, 스파이크(56)의 길이는 몸체(50)가 스파이크(56)에 의해 매트(C)상에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의 최대 반지름(R) 보다 약 2배 내지 3배의 길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파이크(56)는 그 길이로 인하여 지중에 박힌상태로 몸체(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파이크(56)의 길이는 몸체(5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몸체(50)의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은 스파이크(5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앙카핀(60)을 생략할 경우 도시된 바와 달리 몸체(5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스파이크(56)는 몸체(50)의 테두리 및 중앙에 모 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스파이크(56)를 몸체(50)의 중앙부에 형성하려면, 도면상 하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식 핀을 스파이크(56)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매트고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술한 절개부(52)를 전술한 몸체(50)의 테두리에 등간격으로 3개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트고정판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64)가 플랜지형태로 형성된 앙카핀(60)이 관통될 수 있다. 즉,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매트고정판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64)가 관통부(62)의 단부에 플랜지형태로 형성된 앙카핀(60)에 의해 매트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앙카핀(60)은 약 16mm의 굵기에 약 300mm의 길이가 적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다른 한편,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매트고정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상 (a)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매트고정판의 몸체(50)에 3개의 절개부(52)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상 (b)는 몸체(50)에 4개의 절개부(52)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상 미설명 부호 H는 몸체(50)에 형성된 통기공이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매트고정판은 도시된 바와 같은 통기공(H)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공(H)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52)와 함께 매트(C)를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매트(C)는 통기공(H)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매 트(C)는 생분해되는 시간이 보다 단축될 뿐만 아니라 생분해되는 면적이 보다 확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매트고정판은, 판상의 몸체가 매트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는 앙카핀에 의해 매트상에 고정되므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몸체가 매트의 겹치는 부분을 따라 등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매트의 겹치는 부분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가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므로, 몸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가 앙카핀에 의해 고정되므로 몸체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편의성 향상의 효과도 있다.
또, 몸체의 절개부를 통해 매트가 노출되므로, 매트가 생분해 될 경우 노출되는 부위에 은폐되었던 종자가 발아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몸체의 통기공이 매트에 공기를 제공하므로 매트의 생분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몸체에 형성된 스파이크가 매트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므로 몸체가 매트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헤드(64)를 가지며 매트(C)를 관통하여 지면에 박히는 앙카핀(60)에 의해 지면에 포장된 매트(C)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판에 있어서,
    상기 매트(C)상에 안착되고, 상기 매트(C)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52)가 테두리에 내향형성되며, 상기 앙카핀(60)이 관통되어 앙카핀(60)의 상기 헤드(64)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매트(C)를 가압하여 매트(C)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판상의 몸체(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고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매트(C)를 관통하여 지면에 박히는 스파이크(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고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0)는,
    상기 절개부(52)와 함께 상기 매트(C)를 노출시켜서, 상기 매트(C)에 외부의 공기를 제공하는 통기공(H)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고정판.
KR2020060025711U 2006-09-25 2006-09-25 매트고정판 KR200434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711U KR200434120Y1 (ko) 2006-09-25 2006-09-25 매트고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711U KR200434120Y1 (ko) 2006-09-25 2006-09-25 매트고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120Y1 true KR200434120Y1 (ko) 2006-12-15

Family

ID=41782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711U KR200434120Y1 (ko) 2006-09-25 2006-09-25 매트고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1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19B1 (ko) 2008-02-13 2010-02-03 (주)자연과학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19B1 (ko) 2008-02-13 2010-02-03 (주)자연과학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575B1 (ko) 매트고정판
KR101200663B1 (ko) 길이조절 가능한 수목 지지 장치
JP6942334B2 (ja) 受圧板セ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斜面保護方法
KR200434120Y1 (ko) 매트고정판
JP2007016544A (ja) 法面保護工及びネット固定装置
JP5143106B2 (ja) 斜面安定化構造と斜面安定用受圧板
JP4256545B2 (ja) 斜面保護方法及び逆巻き施工斜面保護方法
JP4756000B2 (ja) 樹木の支持施工方法と、支持施工用具
CA2194647A1 (en) Playground appliance
KR200426475Y1 (ko) 피막커버용 고정구
JP2000178925A (ja) リングネット式落石防止装置
KR100384232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지지구조
JP2010255229A (ja) 斜面保護方法及び斜面保護構造体
JP3922414B2 (ja) 斜面安定化工法および斜面安定化装置
JP2004324122A (ja) 無機系植生基材を法面に吹き付ける際の植生基材層の固定治具
JP4071664B2 (ja) 法面保護工法
JP5128997B2 (ja) 緑化構造物、固定部及び獣類の侵入防止方法
KR100629944B1 (ko) 암반붕괴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JP4074590B2 (ja) 受圧構造物
KR20170102617A (ko) 사면보강공법 및 사면보강장치
JP3436707B2 (ja) 球根保持兼用スペーサを用いた法面緑化工法
JP3008083U (ja) 樹木サポート
JP2548087B2 (ja) 防風雪板の固定装置
KR101644021B1 (ko) 개량된 식재구조를 갖는 친환경 방음벽
JP2003213694A (ja) スペーサ構造と法面の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