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609Y1 -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609Y1
KR200418609Y1 KR2020060008686U KR20060008686U KR200418609Y1 KR 200418609 Y1 KR200418609 Y1 KR 200418609Y1 KR 2020060008686 U KR2020060008686 U KR 2020060008686U KR 20060008686 U KR20060008686 U KR 20060008686U KR 200418609 Y1 KR200418609 Y1 KR 200418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slip
storage unit
roller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2020060008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6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01C19/17Application by spraying or throwing
    • E01C19/178Elements or attachments for spreading-out or smoothing-down the applied material, e.g.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도료를 노면에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방지도료가 저장되는 사각함체형상으로 된 도료저장부하면에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연동되는 전륜과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부중앙에는 도료저장부의 후방에 장착된 가스통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를 가열하는 가스화구가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단부에는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전륜과 연동되는 표면조도형성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제공하므로써, 한 대의 장치로써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가 경화되지 않게 가열하면서 미끄럼방지도료의 노면도포작업과 롤러에 의한 표면조도형성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이동에 따라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롤러에 의해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방지도료의 표면전체에 표면조도가 균일하게 형성되게 하므로써 미끄럼방지도료의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끄럼방지도료, 노면, 도포, 롤러, 테프론코팅, 가스화구, 전동체인

Description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Device for applying nonskid paints to the road surface}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의 도료배출구개폐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의 (가)(나)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면도포장치 2 : 도료저장부 2a : 도료배출구
3 : 손잡이 4 : 개폐용 레버 5 : 가스통거치부
6 : 가스통 7a, 7b : 가이드핀 8 : 롤러구동용 스프로킷
9 : 전방스프로킷 10 : 전륜샤프트 10a, 10b : 전륜
11 : 장력조절부 12 : 전동체인 13 : 후방스프로킷
14 : 후륜샤프트 14a, 14b : 후륜 15 : 보조륜
16 : 배출구개폐판 6a, 16b : 래크 17 : 연결봉
18 : 링크판 19 : 회전축 19a, 19b : 피니언
20 : 가스공급호스 20a : 가스콕크 21 : 가스화구
22 : 표면조도형성용 롤러 23a, 23b : 도료가이드판
24 : 장력조절부 25 : 전동체인 26 : 롤러스프로킷
27a, 27b : 롤러지지용 브라켓 28 : 커버판
30 : 미끄럼방지도료
본 고안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도료를 노면에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방지도료가 저장되는 사각함체형상으로 된 도료저장부하면에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연동되는 전륜과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부중앙에는 도료저장부의 후방에 장착된 가스통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를 가열하는 가스화구가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단부에는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전륜과 연동되는 표면조도형성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제공하므로 써, 한 대의 장치로써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가 경화되지 않게 가열하면서 미끄럼방지도료의 노면도포작업과 롤러에 의한 표면조도형성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이동에 따라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롤러에 의해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방지도료의 표면전체에 표면조도가 균일하게 형성되게 하므로써 미끄럼방지도료의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는 도로의 급경사지대 또는 급커브지대에는 차량의 타이어와 노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일정간격으로 도포하므로써 차속을 미리 감속시키지 못해 발생하게 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도료는 열경화성 수지를 바인더로 하고 요변제로 변성우레아 용액과 미끄럼방지 골재로 실리카 샌드를 첨가하여 제조되므로써, 노면도포시 수지층 표면에 조도(profile)를 형성하여 상기 조도에 의해서 1차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수지층의 내부와 표면에 함유된 실리카 샌드에 의해서 2차로 미끄럼을 방지하여 미끄럼방지 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도로에서 탈락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도료는 도포하고자 하는 노면의 이물질을 파워툴(power tool), 클리닝 브러쉬(cleaning brush) 등으로 완전히 제거한 후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노면에 도포한 다음 롤러를 사용하여 표면조도를 형성시키고, 상온에서 20~ 30분 동안 경화시킴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데, 이때 롤러를 사용하여 표면거칠기 형성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수지내 혼합된 충진재, 실리카 샌드가 수지 경화시 부여되는 요변성(thixotropy)에 의해 표면에 산형태의 조도를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조도에 의해 미끄럼저항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노면에 도포할 경우에는 우선 한 명의 작업자가 고온의 용융상태로 저장된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일정량씩 배출시키면서 노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기존의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노면상에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도포한 후, 이어서 다른 작업자가 별도로 구비된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장치에 의해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평탄화시키면서 표면의 조도를 형성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울 뿐 아니라 도포장치를 이용한 도포작업과 롤러를 이용한 평탄화 및 표면조도형성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에 필요한 인원이 증대되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을 경우에는 도포작업시 도포장치에 저장된 미끄럼방지용 도료속에 포함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가 촉진되어 도료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서둘러 작업을 해야 하거나 작업시마다 별도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도포장치에 저장된 미끄럼방지용 도료를 데워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차가운 노면상에 도포된 미끄럼방지용 도료가 경화되기 전에 롤러를 이용한 평탄화 및 표면조도형성작업도 서둘러 진행해야 하므로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방지용 도료의 표면전체에 균일한 표면조도가 형성되 지 못하여 도료의 미끄럼방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미끄럼방지도료가 저장되는 사각함체형상로 된 도료저장부하면에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연동되는 전륜과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부중앙에는 도료저장부의 후방에 장착된 가스통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를 가열하는 가스화구가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단부에는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전륜과 연동되는 표면조도형성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한 대의 장치로써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가 경화되지 않게 가열하면서 미끄럼방지도료의 노면도포작업과 롤러에 의한 표면조도형성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이동에 따라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롤러에 의해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방지도료의 표면전체에 표면조도가 균일하게 형성되게 하므로써 미끄럼방지도료의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후면하부가 전면부하단에 관통형성된 도료배출구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도료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료저장부의 외측후면상부에는 일측면에 개폐용 레버가 힌지결합된 손잡이가 상향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며, 외측후면하부에는 가스통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스통거치부가 고정설치되며, 외측후면하부 의 양측에는 도포작업시 노면에 도포되는 미끄럼방지도료의 도포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저장부의 하면에는 일단부에 롤러구동용 스프로킷이 고정설치되며 중앙부에 전방스프로킷이 고정설치되며 양측방에 전륜이 고정설치된 전륜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스통거치부의 하면전방에는 중앙부에 상기 전륜샤프트의 전방스프로킷과 장력조절부가 개재된 전동체인으로 연결되는 후방스프로킷이 고정설치되며 양단부에 후륜이 고정설치된 후륜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후방에는 보조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저장부의 도료배출구전방에는 전면부양측에 래크가 고정설치된 배출구개폐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설치되고, 상기 배출구개폐판의 전방상부에는 일단부에 상기 개폐용 레버의 끝단부에 힌지결합된 연결봉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링크판이 고정설치되며 양측방에 배출구개폐판의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이 각각 고정설치된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하부에는 상기 가스통거치부에 장착된 가스통과 가스콕크가 구비된 가스공급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가스화구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도료저장부의 외측전방하단에는 외주면전체에 테프론코팅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양측방에 도료가이드판이 설치되며 일단부에 전륜샤프트의 롤러구동용 스프로킷과 장력조절부가 개재된 전동체인으로 연결되는 롤러스프로킷이 고정설치된 표면조도형성용 롤러가 한 쌍의 롤러지지용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저장부의 외측전면부중앙에는 도료저장부의 외측전면부하단을 커버하는 커버판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의 (가)(나)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의 도료배출구개폐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의 (가)(나)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는 도 1a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사각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후면하부가 전면부하단에 관통형성된 도료배출구(2a)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도료저장부(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도료저장부(2)는 내부에 저장되는 고온의 용융상태인 미끄럼방지도료가 외부기온에 의해 빨리 경화되지 않게 벽체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이중벽체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료저장부(2)의 외측후면상부에는 일측면에 개폐용 레버(4)가 힌지결합된 손잡이(3)가 상향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며, 외측후면하부에는 도료저장부(2)에 저장되는 미끄럼방지도료를 식지 않게 가열하는 가스화구(21)에 엘피지 또는 부탄가스 등을 공급하는 가스통(6)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스통거치부(5) 가 고정설치되며, 외측후면하부의 양측에는 미끄럼방지도료의 도포작업시 노면에 그어진 작업선에 맞추어 도포되어야 하는 미끄럼방지도료의 도포방향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핀(7a)(7b)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료저장부(2)의 하면에는 일단부에 롤러구동용 스프로킷(8)이 고정설치되며 중앙부에 전방스프로킷(9)이 고정설치되며 양측방에 전륜(10a)(10b)이 고정설치된 전륜샤프트(10)가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통거치부(5)의 하면전방에는 중앙부에 상기 전륜샤프트(10)의 전방스프로킷(9)과 장력조절부(11)가 개재된 전동체인(12)으로 연결되는 후방스프로킷(13)이 고정설치되며 양단부에 후륜(14a)(14b)이 고정설치된 후륜샤프트(14)가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후방에는 보조륜(1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부(11)는 일단부에 전동체인(12)을 지지하는 보조스프로킷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도료저장부(2)의 하면에 고정볼트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동체인(12)의 장력조절시 장력조절부(11)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볼트를 느슨하게 풀어 보조스프로킷이 전동체인(12)을 팽팽하게 지지하도록 장력조절부(11)를 회동시킨 다음, 다시 고정볼트를 조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료저장부(2)에 형성된 도료배출구(2a)의 전방에는 전면부양측에 래크(16a)(16b)가 고정설치된 배출구개폐판(16)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개폐판(16)의 전방상부에는 일단부에 상기 개폐용 레 버(4)의 끝단부에 힌지결합된 연결봉(17)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링크판(18)이 고정설치되며 양측방에 배출구개폐판(16)의 래크(16a)(16b)에 치합되는 피니언(19a)(19b)이 각각 고정설치된 회전축(19)이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하부에는 상기 가스통거치부(5)에 장착된 가스통(6)과 가스콕크(20a)가 구비된 가스공급호스(20)에 의해 연결되는 가스화구(21)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스화구(21)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된 가스노즐이 배출구개폐판(16)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미끄럼방지도료의 도포작업시 가스화구(21)로부터 분출되는 불꽃에 의해 배출구개폐판(16)과 도료배출구(2a)를 통해 배출되는 미끄럼방지도료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료저장부(2)의 외측전방하단에는 외주면전체에 테프론코팅층(22a)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양측방에 도료가이드판(23a)(23b)이 설치되며 일단부에 전륜샤프트(10)의 롤러구동용 스프로킷(8)과 장력조절부(24)가 개재된 전동체인(25)으로 연결되는 롤러스프로킷(26)이 고정설치된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가 한 쌍의 롤러지지용 브라켓(27a)(2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의 외주면전체에 형성된 테프론코팅층(22a)은 분자내에 탄소-불소 결합이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총칭하는 불소수지가 코팅처리된 것으로, 이 불소수지는 다른 플라스틱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내열성, 내약품성, 비점착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작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음식물이 달라붙거나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후라이팬이나 냄비와 같은 가열조리용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의 표면에 테프론코팅층(22a)을 형성한 이유는 미끄럼방지도료의 도포작업시 노면에 도포되어야 할 미끄럼방지도료가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의 표면에 들러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미끄럼방지도료에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가 일시적으로 접촉되었다가 떨어지는 순간 미끄럼방지도료의 요변성에 의해 미끄럼방지도료의 표면에 미세한 돌기를 형성시켜 미끄럼방지도료의 표면조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미끄럼방지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24)는 일단부에 전동체인(25)을 지지하는 보조스프로킷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도료저장부(2)의 측면하부에 고정볼트에 의해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동체인(25)의 장력조절시 장력조절부(24)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볼트를 느슨하게 풀어 보조스프로킷이 전동체인(25)을 팽팽하게 지지하도록 장력조절부(24)를 회동시킨 다음, 다시 고정볼트를 조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료저장부(2)의 외측전면부중앙에는 도료저장부(2)의 외측전면부하단을 커버하는 커버판(28)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의 사용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를 이용하여 노면에 미끄럼방지도료를 도포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별도의 지원차량에 의해 운반돼 온 고온의 용융상태로 된 미끄럼방지도료를 노면도포장치(1)의 도료저장부(2)에 저장한 후, 가스통거치부(5)에 장착된 가스통(6)에 연결되는 가스공급호스(20)에 설치된 가스콕크(20a)를 개방한 다음, 라이터 등과 같은 점화수단을 이용하여 도료저장부(2)의 전방하부에 고정설치된 가스화구(21)에 불꽃을 점화함으로써 도료저장부(2)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를 가열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포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도료저장부(2)의 내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가 경화되지 않고 유동성이 좋은 융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노면도포장치(1)를 미끄럼방지도료를 도포하고자 하는 장소까지 미끄럼방지도료를 노면에 도포하지 않고 이동시킬 때에는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면도포장치(1)의 후방에 고정설치된 손잡이(3)를 잡고 상방에서 하방으로 힘을 가하여 전륜(10a)(10b)을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고 보조륜(15)이 지면이 닿게 한 상태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므로써 미끄럼방지도료를 노면에 도포하지 않고 이동시킬 때 노면도포장치(1)의 전방하단에 설치된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가 미끄럼방지도료가 도포되지 않은 거친 노면에 접촉되어 표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노면도포장치(1)를 미끄럼방지도료를 도포할 장소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도료저장부(2)의 후면에 설치된 가이드핀(7a)(7b)를 회동시켜 미끄럼방지도료의 도포방향을 지시하기 위하여 노면에 그어놓은 선 위에 맞추어 놓은 다음, 손잡이(3)의 일측에 설치된 개폐용 레버(4)를 조작하여 도 5의 (가)(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료저장부(2)의 도료배출구(2a)를 폐쇄하고 있는 배출구개폐판(16)을 개방시키므로써 도료저장부(2)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30)를 노면상에 배출하게 된다.
즉, 손잡이(3)의 일측에 설치된 개폐용 레버(4)를 잡아 당기게 되면, 개폐용 레버(4)와 연결된 연결봉(17)이 회전축(19)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된 링크판(18)를 전방으로 밀게 되어 회전축(19)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축(19)의 회전과 함께 회전축(19)의 양측방에 고정설치된 피니언(19a)(19b)이 회전함에 따라 이 피니언(19a)(19b)에 치합되는 래크(16a)(16b)가 양측방에 고정설치된 배출구개폐판(16)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료저장부(2)의 도료배출구(2a)가 개방되고, 개방된 도료배출구(2a)를 통해 도료저장부(2)의 내부에 저장된 용융상태의 미끄럼방지도료(30)가 노면으로 배출되기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3)의 일측에 설치된 개폐용 레버(4)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개폐과정과는 반대로 배출구개폐판(16)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료저장부(2)의 도료배출구(2a)가 폐쇄되므로써 미끄럼방지도료의 배출을 중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용 레버(4)의 조작에 의해 개방된 도료배출구(2a)를 통해 도료저장부(2)의 내부에 저장된 용융상태의 미끄럼방지도료(30)가 노면으로 배출되기 시작할 때, 도 6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면도포장치(1)의 손잡이(3)를 잡고 노면도포장치(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노면도포장치(1)의 이동속도에 따라 후륜샤프트(14)의 양단부에 고정설치된 후륜(14a)(14b)이 회전하게 되고, 후륜(14a)(14b)의 회전과 함께 후륜샤프트(14)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된 후방스프로킷(13)과 전동체인(12)으로 연결되는 전방스프로킷(9)이 회전하게 되고, 전방스프로킷(9)의 회전과 함께 전륜샤프트(10)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된 롤러구동용 스프로킷(8)과 전동체인(25)으로 연결되는 롤러스프로킷(26)이 회전하게 되고, 롤러스프로킷(26)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외주면전체에 테프론코팅층(22a)이 형성된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노면도포장치(1)의 전방하단에 설치된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가 노면도포장치(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후륜(14a)과 전동체인(12)으로 연동되는 전륜샤프트(10)(10a)에 전동체인(25)에 의해 연결되어 항상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도료저장부(2)로부터 도료배출구(2a)를 통해 배출된 용융상태의 미끄럼방지도료(30)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되므로 노면상에 배출된 미끄럼방지도료(30)가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평탄하게 도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노면도포장치에 의하면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의 외주면전체에 형성된 테프론코팅층(22a)에 의해 노면상에 도포되는 미끄럼방지도료(30)가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의 표면에 들러붙지 않게 될 뿐 아니라, 노면상에 도포되는 미끄럼방지도료(30)가 장치의 이동에 따라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의 테프론코팅층(22a)에 일시적으로 접촉되었다가 떨어지는 순간 미끄럼방지도료(30)의 특유의 요변성에 의해 미끄럼방지도료(30)의 표면에 미세한 돌기를 균일하게 형성시켜 표면조도를 더욱 더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미끄럼방지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는 미끄럼방지도 료가 저장되는 사각함체형상으로 된 도료저장부하면에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연동되는 전륜과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부중앙에는 도료저장부의 후방에 장착된 가스통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를 가열하는 가스화구가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단부에는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전륜과 연동되는 표면조도형성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므로써, 한 대의 장치로써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가 경화되지 않게 가열하면서 미끄럼방지도료의 노면도포작업과 롤러에 의한 표면조도형성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이동에 따라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롤러에 의해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방지도료의 표면전체에 표면조도가 균일하게 형성되게 하므로써 미끄럼방지도료의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면이 개구된 사각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후면하부가 전면부하단에 관통형성된 도료배출구(2a)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도료저장부(2)가 구비되고,
    상기 도료저장부(2)의 외측후면상부에는 일측면에 개폐용 레버(4)가 힌지결합된 손잡이(3)가 상향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며, 외측후면하부에는 가스통(6)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스통거치부(5)가 고정설치되며, 외측후면하부의 양측에는 도포작업시 노면에 도포되는 미끄럼방지도료의 도포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핀(7a)(7b)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저장부(2)의 하면에는 일단부에 롤러구동용 스프로킷(8)이 고정설치되며 중앙부에 전방스프로킷(9)이 고정설치되며 양측방에 전륜(10a)(10b)이 고정설치된 전륜샤프트(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스통거치부(5)의 하면전방에는 중앙부에 상기 전륜샤프트(10)의 전방스프로킷(9)과 장력조절부(11)가 개재된 전동체인(12)으로 연결되는 후방스프로킷(13)이 고정설치되며 양단부에 후륜(14a)(14b)이 고정설치된 후륜샤프트(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후방에는 보조륜(1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저장부(2)의 도료배출구(2a)전방에는 전면부양측에 래크(16a)(16b)가 고정설치된 배출구개폐판(16)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드식으로 삽입설치되고,
    상기 배출구개폐판(16)의 전방상부에는 일단부에 상기 개폐용 레버(4)의 끝단부에 힌지결합된 연결봉(17)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링크판(18)이 고정설치되며 양측방에 배출구개폐판(16)의 래크(16a)(16b)에 치합되는 피니언(19a)(19b)이 각각 고정설치된 회전축(19)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하부에는 상기 가스통거치부(5)에 장착된 가스통(6)과 가스콕크(20a)가 구비된 가스공급호스(20)에 의해 연결되는 가스화구(21)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도료저장부(2)의 외측전방하단에는 외주면전체에 테프론코팅층(22a)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양측방에 도료가이드판(23a)(23b)이 설치되며 일단부에 전륜샤프트(10)의 롤러구동용 스프로킷(8)과 장력조절부(24)가 개재된 전 동체인(25)으로 연결되는 롤러스프로킷(26)이 고정설치된 표면조도형성용 롤러(22)가 한 쌍의 롤러지지용 브라켓(27a)(2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저장부(2)의 외측전면부중앙에는 도료저장부(2)의 외측전면부하단을 커버하는 커버판(28)이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KR2020060008686U 2006-04-01 2006-04-01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KR200418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86U KR200418609Y1 (ko) 2006-04-01 2006-04-01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86U KR200418609Y1 (ko) 2006-04-01 2006-04-01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609Y1 true KR200418609Y1 (ko) 2006-06-12

Family

ID=4176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86U KR200418609Y1 (ko) 2006-04-01 2006-04-01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609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47B1 (ko) 2007-04-20 2007-07-27 대도산업(주) 열가소성 수지와 경질골재의 혼합물을 이용하여미끄럼방지부를 시공하는 장치와 방법
KR100834565B1 (ko) 2008-02-18 2008-06-02 채영란 미끄럼방지층 시공장치 및 방법
KR100890363B1 (ko) 2008-12-26 2009-03-25 김운삼 포설기
KR100891752B1 (ko) 2008-11-04 2009-04-03 김복희 소성토를 이용하는 미끄럼 방지층의 시공장치 및 방법
KR100958437B1 (ko) * 2009-12-17 2010-05-17 장남필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KR100958147B1 (ko) * 2009-12-17 2010-05-18 장남필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KR100958146B1 (ko) * 2009-12-17 2010-05-18 장남필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KR101299477B1 (ko) * 2010-10-29 2013-08-29 (주)성광산업개발 노면 미끄럼방지제의 용융기
KR20200091536A (ko) * 2019-01-22 2020-07-31 한국도로공사 포터블 포장 기구 및 이를 구비한 도로포장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47B1 (ko) 2007-04-20 2007-07-27 대도산업(주) 열가소성 수지와 경질골재의 혼합물을 이용하여미끄럼방지부를 시공하는 장치와 방법
KR100834565B1 (ko) 2008-02-18 2008-06-02 채영란 미끄럼방지층 시공장치 및 방법
KR100891752B1 (ko) 2008-11-04 2009-04-03 김복희 소성토를 이용하는 미끄럼 방지층의 시공장치 및 방법
KR100890363B1 (ko) 2008-12-26 2009-03-25 김운삼 포설기
KR100958437B1 (ko) * 2009-12-17 2010-05-17 장남필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KR100958147B1 (ko) * 2009-12-17 2010-05-18 장남필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KR100958146B1 (ko) * 2009-12-17 2010-05-18 장남필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KR101299477B1 (ko) * 2010-10-29 2013-08-29 (주)성광산업개발 노면 미끄럼방지제의 용융기
KR20200091536A (ko) * 2019-01-22 2020-07-31 한국도로공사 포터블 포장 기구 및 이를 구비한 도로포장 장치
KR102288139B1 (ko) * 2019-01-22 2021-08-12 한국도로공사 포터블 포장 기구 및 이를 구비한 도로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8609Y1 (ko)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KR100930075B1 (ko)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100757495B1 (ko) 방수시공장치
CA1103537A (en) Portable machine for transporting heated asphalt products for use in repairing asphalt pavement
CN111706016B (zh) 一种沥青防水卷材铺设装置
CN113863595A (zh) 一种建筑工程技术防水卷材铺设固定装置
US4820078A (en) Apparatus for road surface repair with fiber-reinforced asphalt
WO2007143559A1 (en) Apparatus for applying a protective layer to a pipe joint
KR100700037B1 (ko) 전동식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KR200462165Y1 (ko) 도로의 미끄럼방지층 도포장치
KR10218968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2103871B1 (ko) 방수 도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도막 시공방법
JP7165987B2 (ja) 床版防水材塗布ブラシとこれを備える床版防水材塗布装置
RU2593510C2 (ru) Блок разравнивания с механизмом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й регулировки высоты
GB2464154A (en) Apparatus for laying a bitumen joint
CN216838894U (zh) 沥青路面裂缝贴缝机
CN214116219U (zh) 一种沥青道路用灌缝装置
CN208563056U (zh) 沥青注浆设备总成
CN211547194U (zh) 一种沥青路面修复机
JP4349601B2 (ja) アスファルト防水施工法とその設備
CN113958076B (zh) 一种防水保温一体板的封边装置
CN215518305U (zh) 一种公路工程用快速划线装置
CN115897915B (zh) 一种沥青卷材铺设用辅助机器
CN217450731U (zh) 一种防腐涂料自动涂覆装置
CN112275600B (zh) 一种镁铝合金板材表面处理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