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146B1 -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146B1
KR100958146B1 KR1020090126173A KR20090126173A KR100958146B1 KR 100958146 B1 KR100958146 B1 KR 100958146B1 KR 1020090126173 A KR1020090126173 A KR 1020090126173A KR 20090126173 A KR20090126173 A KR 20090126173A KR 100958146 B1 KR100958146 B1 KR 10095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layer
pattern
pressure plate
forming pressure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남필
Original Assignee
장남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남필 filed Critical 장남필
Priority to KR102009012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2Devices for making, treating or filling grooves or like channels in not-yet-hardened paving, e.g. for joints or markings; Removable forms therefor; Devices for introducing inserts or removable insert-supports in not-yet-hardened paving
    • E01C23/025Making or working grooves or like channels in laid paving, e.g. smoothing groov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2Devices for making, treating or filling grooves or like channels in not-yet-hardened paving, e.g. for joints or markings; Removable forms therefor; Devices for introducing inserts or removable insert-supports in not-yet-hardened paving
    • E01C23/028Positioning or producing markings, e.g. by forcing marking materials into the surface, by sc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폭 내에 도포되는 미끄럼 방지층을 자체의 중량으로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선폭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상부 좌, 우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이송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미끄럼 방지층, 문양형성 가압판, 요철문양, 이송손잡이, 미끄럼 방지층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CONSTRUCTING APPARATUS OF NON-SLIP LAYER}
본 발명은 차선폭 내에 도포되는 미끄럼 방지층을 자체의 중량으로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고예방을 위하여 도로에는 여러 가지 안전시설물이 설치하고 있으며,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도로에서 도로의 기울기가 급하거나 급커브 구간, 경사로 등 제동거리가 요구되는 구간은 눈이나 비로 인하여 노면에 슬립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차량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현재 도로면이나 일부 교량노면에 설치되고 있는 미끄럼 방지층은 입경이 큰 골재나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polyester) 수지 등에 착색안료 또는 야광안료 등을 혼합한 도료의 형태로 표면에 시공하여 미끄럼을 방지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층은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도로에 일정간격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차량과 노면 접촉 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차 량의 슬립현상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층의 시공을 위한 시공장치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34565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미끄럼방지층을 시공하도록 중앙에 공급안치부(112)를 구비하고 전후로 이송바퀴(113)를 형성한 몸체(111)의 후측으로 이송손잡이(114)를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공급안치부(112)로 안치되는 공급호퍼(121)의 내측으로 드럼설치부(122)를 형성하고, 공급호퍼(121)의 하부에 도료가 공급되는 도료공급구(123)를 형성하며, 도료공급구(123)의 하부에 형성된 시공셔터(125)를 작동링크(124)로 이송손잡(114)이 일측에 형성된 작동바(126)에 결합하여 작동바(126)의 작동으로 작동링크(124)에 결합된 시공셔터(125)가 도료공급구(123)를 개폐시켜 도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형성한 도료공급부(120)와, 상기 도료공급부(120)의 공급호퍼(121) 내측에 형성된 드럼설치부(122)로 시공드럼(131)을 고정한 드럼회전축(133)이 회전되도록 설치형성하고, 시공드럼(131)의 표면으로 미끄럼방지층(115)의 배출유로(116)가 구비되도록 요철형태의 시공요철부(132)를 형성한 시공드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층 시공장치』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끄럼방지층 시공장치는, 시공드럼에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는 도료를 묻혀 차선을 따라 시공드럼을 이동하면서 차선폭 노면에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였으나, 현장에서 시공한 결과 시공드럼에 미끄럼 방지층 형성 도료가 완전히 흡착되어 차선폭 노면에 시공이 불가능한 등 실질적으로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차선폭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상부 좌, 우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이송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문양형성 가압판의 저면에 불소수지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이 문양형성 가압판에 들러붙지 않도록 한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문양형성 가압판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문양은, 그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문양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미끄럼 방지층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문양형성 가압판의 폭을 차선폭에 부합하는 3m~3.5m로 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용이하게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문양형성 가압판을 전동수레에 설치하여 전동수레를 이동하면서 미끄럼 방지층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선폭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상부 좌, 우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이송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저면에는 불소수지가 도포된 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문양은, 그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문양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폭은, 차선폭에 부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폭은, 차선폭에 부합하는 3m~3.5m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차선폭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이 설치되는 전동수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 저면에는, 불소수지가 도포된 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수레는, 상면 일단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선단 로드가 아래를 향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상부 저면에 설피되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선단 로드에 연결설치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작동실린더 로드의 신장시 문양형성 가압판이 하강하면서 미끄럼 방지층에 문양을 찍을 수 있도록 문양형성 가압판에 부합되는 형태로 천공된 작동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전동수레 몸체와; 상기 전동수레 몸체의 상면 전후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전동수레의 저면 전후에 좌우 한 쌍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레바퀴와; 상기 전동수레의 저면 전후 중 어느 한쪽의 수레바퀴 차축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레바퀴 몸체의 저면 전후에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는 좌우 수레바퀴의 폭은 미끄럼 방지층을 밟지않도록 차선폭을 초과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는 차선폭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문양형성 가압판의 상부 좌, 우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이송손잡이로 구성되어 미끄럼 방지층에 문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요철문양은, 그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문양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미끄럼 방지층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문양형성 가압판 저면에 불소수지 코팅층을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층이 문양형성 가압판에 들러붙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양형성 가압판을 전동수레에 설치하여 전동수레를 이동하면서 미끄럼 방지층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선폭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상부 좌, 우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이송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저면에는 불소수지가 도포된 코팅층이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문양은, 그림문양, 문자문 양, 기하학문양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폭은, 차선폭에 부합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폭은, 차선폭에 부합하는 3m~3.5m인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선폭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이 설치되는 전동수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 저면에는, 불소수지가 도포된 코팅층이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수레는, 상면 일단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선단 로드가 아래를 향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상부 저면에 설피되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선단 로드에 연결설치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작동실린더 로드의 신장시 문양형성 가압판이 하강하면서 미끄럼 방지층에 문양을 찍을 수 있도록 문양형성 가압판에 부합되는 형태로 천공된 작동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전동수레 몸체와; 상기 전동수레 몸체의 상면 전후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전동수레의 저면 전후에 좌우 한 쌍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레바퀴와; 상기 전동수레의 저면 전후 중 어느 한쪽의 수레바퀴 차축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구 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레바퀴 몸체의 저면 전후에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는 좌우 수레바퀴의 폭은 미끄럼 방지층을 밟지않도록 차선폭을 초과하여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양형성 가압판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3은 제1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는, 차선폭(W1)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30)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30)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11)이 형성되는 문양형성 가압판(10)과,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10)의 상면 좌, 우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이송손잡이(20)로 구성된다.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10)은, 사각형태의 판체로 구성되는 누름틀로서 미끄럼 방지층(30)에 여러 가지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그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문양 및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의 음, 양각의 요철문양(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요철문양(11)이 형성된 문양형성 가압판(10)의 표면에는 불소수지(弗素樹脂, 플루오로수지(fluororesin))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10)의 표면에 코팅되는 불소수지는 마찰계수가 작고, 온도 -100℃~260℃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비점착성(非粘着性)이므로 문양형성 미끄럼 방지층(30)을 가압하더라도 문양형성 가압판(10)에 미끄럼 방지층(30)이 들러붙지 않는다.
문양형성 가압판(10)은 정사각 형태의 판체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문양형성 가압판의 폭(W2)은 문양형성 가압판(10)이 차선폭(W1) 내의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30)을 가압하면서 문양을 형성하기 때문에 차선폭(W1)에 부합되는 3m~3.5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10)을 불투명체로 형성할 수 있으나 미끄럼 방지층(30)을 가압과 동시에 미끄럼 방지층(30)에 형성되는 문양을 알 수 있도록 문양형성 가압판(10)을 투명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송손잡이(20)는 문양형성 가압판(10)의 상면 좌, 우 가장자리 또는 전후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모양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긴 “ㄷ”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는 하는 것이 가장 좋다.
도 4는 제2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형성 가압판(10)을 전동수레(40)에 설치하여 전동수레(40)를 이동하면서 미끄럼 방치층(30)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10)은, 정사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차선폭(W1)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30)을 따라 가압 이동하면서 미끄럼 방지층(30)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11)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문양(11)이 형성된 문양형성 가압판(10)의 저면에는 미끄럼 방지층(30)이 문양형성 가압판(10)에 들러붙지 않도록 불소수지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의 가로폭(W2)은, 문양형성 가압판(10)이 차선폭(W1)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30)을 따라 이동하므로 차선폭(W1)에 부합되는 3m~3.5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수레(40)는, 문양형성 가압판(10)이 설치되는 전동수레 몸체(41)와, 손잡이부(42)와, 전동수레 몸체(41)의 저면 전후에 설치되는 수레바퀴(43)와, 수레바퀴(43)를 연결하는 수레바퀴 차축(44)과, 동력전달수단(45)에 의해 수레바퀴 차축(44)과 연결되는 구동모터(46)로 구성된다.
상기 전동수레 몸체(41)는, 사각 판으로 구성되면서 상면 일단에서 “∩”와 같은 형태의 지지프레임(4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11)의 상부의 저면에는 선단 로드가 아래를 향하도록 후단이 연결된 작동실린더(412)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실린더(412)는 1개를 설치하여 선단 로드를 문양형성 가압판(10)과 연결할 수도 있으나, 이보다는 작동실린더(412)를 복수로 설치하여 문양형성 가압판(10)의 좌우 양단을 연결하는 것이 작동상 안정적이다.
상기 전동수레 몸체(41)의 일단 중 문양형성 가압판(10)과 수직으로 동일한 위치에는 문양형성 가압판(10)에 부합되는 작동공간(413)을 천공형성함으로써, 작동실린더(412) 로드의 신장시 문양형성 가압판(10)이 하강하면서 작동공간(413)을 지나 미끄럼 방지층(30)의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30)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작동실린더(412) 로드의 신장 길이는 문양형성 가압판(10)이 미끄럼 방지층(30)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레바퀴(43)는, 수레바퀴 차축(44)의 좌우 양단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한 쌍의 수레바퀴(43)는 전동수레 몸체(41) 저면의 전, 후방에 대향 설치된다.
이때, 후방에 설치되는 수레바퀴 차축(44)의 일단에는 풀리 또는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45)을 구동모터(46) 축단과 연결하여 구동모터(46)의 구동에 의해 수레바퀴 차축(44)에 회전을 전달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구동모터(46)에 전원을 인가한 다음 전동수레(40)의 상면 후단에 설치된 손잡이부(42)를 잡고 있으면 구동모터(46)와 연결된 동력전달수단(45)에 의해 수레바퀴 차축(44)에 회전이 전달된다.
이에 전동수레(40)가 미끄럼 방지층(3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작동실린더(412) 로드의 신장에 의해 문양형성 가압판(10)이 미끄럼 방지층(30)을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30)에 문양을 형성한다.
한편, 수레바퀴 차축(44) 양단에 설치된 좌우 수레바퀴의 폭(W3)은 차선폭(W1)을 초과하는 폭으로 형성하여 이동하는 수레바퀴(43)가 차선폭(W1)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치층(30)을 밟고 지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는 차선폭(W1) 내에 도포되는 미끄럼 방지층(30)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30)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은 제1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층(30)을 형성하고자 하는 차선폭(W1) 내의 노면에 미끄럼 방지층(30)을 도포한 다음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30)이 문양 형성에 적합한 상태가 되면 미끄럼 방지층(30) 상부를 문양형성 가압판(10)으로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30)에 문양을 형성한다.
즉, 2인 1조로 문양형성 가압판(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송손잡이(20)를 잡고 도장을 찍듯이 미끄럼 방지층(30)에 문양형성 가압판(10)을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30)에 문양을 형성한다.
여기서, 문양형성 가압판(10)의 이송손잡이(20)를 양쪽에서 잡고 문양형성 가압판(10)을 누르기 때문에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가압이 미끄럼 방지층(30)에 고르게 전달되지 않아 문양형성이 한쪽은 선명하게 되고 다른 쪽은 선명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문양형성 가압판(10) 저면을 최대한 수평으로 맞추어 동시에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미끄럼 방지층(30)에 문양형성 가압판(10)을 가압하면 문양형성 가압판(10)의 저면에 그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문양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음양각의 요철문양(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층(30)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10)의 저면에는 불소수지의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 방지층(30)을 가압하더라도 미끄럼 방지층(30)이 문양형성 가압판(10) 저면에 들러붙지 않는다.
도 4는 제2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층(30)을 따라 전동수레(40)가 이동하면서 문양형성 가압판(10)이 미끄럼 방지층(30)의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30)에 문양을 형성한다.
이때, 작동실린더(412)에 의해 문양형성 가압판(10)이 일정한 힘으로 미끄럼 방지층(30)을 가압하므로 미끄럼 방지층(30)에 고르고 일정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문양형성 가압판(10)의 가압에 의해 미끄럼 방지층(30)을 고르게 다지는 효과도 동시에 득할 수 있다.
전동수레(40)의 이동을 위한 작동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46)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46)와 수레바퀴 차축(44)이 동력전달수단(45)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수레바퀴 차축(44)에 회전이 전달되고 수레바퀴(43)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연동하여 작동실린더(412) 로드의 신장에 의해 문양형성 가압판(10)이 하강하면서 차선폭(W1) 내의 노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30)을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30)에 문양을 형성한다.
이때, 전동수레(40)가 자동으로 움직이므로 작업자는 손잡이부(42)만 잡고 있으면 되며, 문양형성 가압판(10)은 수동을 가압할 때보다 미끄럼 방지층(30)을 가압하는 힘이 일정하므로 미끄럼 방지층(30)에 고르고 일정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층(30)을 고르게 다질 수 있다.
또한, 좌우 수레바퀴의 폭(W3)이 차선폭(W1)을 초과하여 형성되므로 전동수레(40)가 이동하더라도 수레바퀴(43)가 미끄럼 방지층(30)을 밟지않으므로 미끄럼 방지층(30)의 손상우려가 전혀 없으며, 전동수레(40)의 이동속도 조절은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에 따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문양형성 가압판 11:요철문양
20:이송손잡이 30:미끄럼 방지층
40:전동수레 41:전동수레 몸체
42:손잡이부 43:수레바퀴
44:수레바퀴 차축 45:동력전달수단
46:구동모터 411:지지프레임
412:작동실린더 413:작동공간
W1:차선폭 W2:문양형성 가압판의 폭
W3:좌우 수레바퀴의 폭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차선폭 내에 도포된 미끄럼 방지층 상부를 가압하여 미끄럼 방지층에 음, 양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에 음, 양각의 요철문양이 형성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이 설치되는 전동수레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동수레는, 상면 일단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선단 로드가 아래를 향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상부 저면에 설치되는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선단 로드에 연결설치되는 문양형성 가압판과, 상기 작동실린더 로드의 신장시 문양형성 가압판이 하강하면서 미끄럼 방지층에 문양을 찍을 수 있도록 문양형성 가압판에 부합되는 형태로 천공된 작동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전동수레 몸체와; 상기 전동수레 몸체의 상면 전후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전동수레의 저면 전후에 좌우 한 쌍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레바퀴와; 상기 전동수레의 저면 전후 중 어느 한쪽의 수레바퀴 차축과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문양형성 가압판 저면에는, 불소수지가 도포된 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8. 삭제
  9. 삭제
  10. 인·보도, 차도, 자전거도로, 어린이보호구역, 공원구역, 버스전용차로, 건축물의 옥상콘크리트, 자동차주차장 표면에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미끄럼방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1020090126173A 2009-12-17 2009-12-17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KR10095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73A KR100958146B1 (ko) 2009-12-17 2009-12-17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73A KR100958146B1 (ko) 2009-12-17 2009-12-17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146B1 true KR100958146B1 (ko) 2010-05-18

Family

ID=4228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73A KR100958146B1 (ko) 2009-12-17 2009-12-17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1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174B1 (ko) * 2011-06-16 2013-07-17 성산기업주식회사 요철형 도로의 시공방법
CN106894319A (zh) * 2017-03-15 2017-06-27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水泥混凝土路面刻槽方法
KR102613308B1 (ko) * 2023-04-27 2023-12-13 노왕건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도로 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116A (ja) 1996-07-25 1998-02-10 Chikada Kogyosho:Goushi スリップ防止溝形成具およびスリップ防止溝形成方法
KR200418609Y1 (ko) * 2006-04-01 2006-06-12 김동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KR100807357B1 (ko) * 2006-12-07 2008-02-28 통명석재 주식회사 보차도 포장용 석판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116A (ja) 1996-07-25 1998-02-10 Chikada Kogyosho:Goushi スリップ防止溝形成具およびスリップ防止溝形成方法
KR200418609Y1 (ko) * 2006-04-01 2006-06-12 김동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KR100807357B1 (ko) * 2006-12-07 2008-02-28 통명석재 주식회사 보차도 포장용 석판 시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174B1 (ko) * 2011-06-16 2013-07-17 성산기업주식회사 요철형 도로의 시공방법
CN106894319A (zh) * 2017-03-15 2017-06-27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水泥混凝土路面刻槽方法
CN106894319B (zh) * 2017-03-15 2019-12-24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水泥混凝土路面刻槽方法
KR102613308B1 (ko) * 2023-04-27 2023-12-13 노왕건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도로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8900C (en) Method of forming an inlaid pattern in an asphalt surface
KR100958147B1 (ko)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EP0692046B1 (en) Asphalt imprinting method
KR100958146B1 (ko)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KR101501091B1 (ko) 도포용 바닥재의 미끄럼방지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KR100958437B1 (ko) 미끄럼 방지층 시공장치
CN216712661U (zh) 一种用于路缘石的抓取移动装置
EP0924345A1 (en) Embossing device for road markings
KR100930663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문양 각인장치
KR101697311B1 (ko) 도포용 바닥재의 다목적 요철형성용 롤러장치
CN115369733A (zh) 一种耐磨性标志线喷涂设备及喷涂工艺
JP7079432B2 (ja) 舗装材敷設機
KR102165634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CN209759991U (zh) 一种混凝土喷涂系统用划线机
CN216275114U (zh) 一种市政建筑用沥青铺设设备
AU2002349235B2 (en) Method of forming an inlaid pattern in an asphalt surface
AU2007200206B2 (en) Method of forming an inlaid pattern in an asphalt surface
CN203487434U (zh) 一种涂料摊铺装置
CN212533669U (zh) 一种车辆加挂前推式压路机
JP3045719U (ja) スキッド訓練器及びその補助具
JP4619340B2 (ja) ニート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自走式ニート施工装置
JPH033612Y2 (ko)
KR100780417B1 (ko) 미끄럼 방지용 도로 포장방법
KR100839991B1 (ko)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KR0127953Y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