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991B1 -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991B1
KR100839991B1 KR1020080024969A KR20080024969A KR100839991B1 KR 100839991 B1 KR100839991 B1 KR 100839991B1 KR 1020080024969 A KR1020080024969 A KR 1020080024969A KR 20080024969 A KR20080024969 A KR 20080024969A KR 100839991 B1 KR100839991 B1 KR 10083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paint
road surface
mold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창호
Original Assignee
우리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2Devices for making, treating or filling grooves or like channels in not-yet-hardened paving, e.g. for joints or markings; Removable forms therefor; Devices for introducing inserts or removable insert-supports in not-yet-hardened paving
    • E01C23/021Removable, e.g. reusable, forms for grooves or like channels ; Installing same prior to placing th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노면에 상부 측으로 돌기형상에 인식돌기가 복수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내부에 홈을 구비한 성형틀을 제작시키는 성형틀 제작단계와, 상기 성형틀 제작단계에서 성형틀을 제작한 상태로 도로의 노면이 표시되는 부분에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척을 실시하는 노면 세척단계와, 상기 노면 세척단계에서 노면을 세척한 상태에서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도료의 색상과 종류를 선정하고, 도료가 도포되는 범위를 설정하여 선정된 색상과 종류의 도료를 설정된 도포 범위로 도포하는 도료 도포단계와, 상기 도료 도포단계에서 도료를 도포한 상태로 도포된 도료가 경화되기 전에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부여된 방향성에 부합하는 위치로 인식돌기가 형성되도록 성형틀을 가압시키는 성형틀 가압단계와, 상기 성형틀 가압단계에서 성형틀을 가압한 상태로 설정된 방향성에 따라 성형틀을 이송하면서 방향성이 있는 복수의 인식돌기가 구비된 표시부를 성형하는 표시부 성형단계와, 상기 표시부 성형단계에서 표시부를 성형한 상태로 도료가 경화되어 방향성이 있도록 돌출된 인식돌기가 형성된 표시부를 완성시키는 표시부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 노면, 표시, 인식돌기, 표시부

Description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constructing method of road surface marking}
본 발명은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道路, road)는 인간이나 차가 다니는 비교적 큰 길로 도로는 태고로부터 인류와 함께 발전하여, 현대의 자동차 시대에 필요한 고속도로에 이르기까지 근대화되어 왔다. 또한 생산과 유통 등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기능을 다하고 있으며, 교통체계(交通體系) 중에서 특히 우리의 생활에 중요한 교통시설을 말하는 것으로, 도로는 태고로부터 인류와 함께 발전하여, 현대의 자동차 시대에 필요한 고속도로에 이르기까지 근대화되어 왔다. 또한 생산과 유통 등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기능을 다하고 있으며, 교통체계(交通體系) 중에서 특히 우리의 생활에 중요한 교통시설이다.
이러한, 도로의 구조는 직선부와 곡선부가 다르고, 터널부에서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로 구조의 기본이 되는 횡단형상(橫斷形狀)은 차도(車道) ·노견(路肩) ·중앙분리대 등으로 분류되며, 가로에서는 이 외에 보도 ·측구(側溝)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는 차량의 속도를 증대하면서 운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포장을 실시하고, 포장된 노면에 주행 방향과 횡단보도 및 안전지대 등을 노면에 표시하도록 도료를 도장하여 도로의 노면에 표시하며, 표시된 도장체는 도로의 특성과 기능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도장되어 교통의 안전하고 신속하게 교통의 흐름을 통제하면서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도로 노면 표시는 도로를 표시하는 도료를 분사하여 경화되기 전에 압축롤러로 가압시켜 도로의 노면에 압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도료에 혼합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도로 노면 표시는 우천과 강설과 같은 기후조건이나 야간에 인식이 잘 되지 않는 시인성이 축소되어 차량이 방향을 잃고 상호 충돌하거 나, 횡단보도를 인식하지 못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차량 및 인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도로 노면 표시는 압착되는 도료가 수지 형태로 구획되는 선을 형성하기 위해서 압착 성형하면 미끄럼 지수가 증대하고, 우천이나 강설에 의해 물이 공급되면 미끄럼 발생이 배가되어 차량 운행 시에 차선 위에서 미끄럼이 발생되어 사고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도로 노면 표시는 도로에 표시를 위해서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구분하였으나, 방향성을 색으로만 표시함에 따라 장애인의 경우 인식이 어려워 도로나 보도 측으로 장애인을 위한 표시도구를 따로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비 용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도로 노면 표시는 노면의 표시 만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감속구간이나 어린이 보호구간을 노면의 표시로 운전자에게 인식시킴에 따라 운전 시 부주의 하면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도로에 노면으로 표시되는 도료를 분사한 상태로 경화되기 전에 복수로 돌출되는 인식돌기를 도로의 특성과 기능에 맞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성형틀로 가압시켜 이송하면서 성형 형성함에 따라 돌출된 인식돌기로 인해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돌기로 미끄럼을 방지하며, 인식돌기의 방향성을 부여하여 표시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은 도로의 노면에 상부 측으로 돌기형상에 인식돌기가 복수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내부에 홈을 구비한 성형틀을 제작시키는 성형틀 제작단계와,
상기 성형틀 제작단계에서 성형틀을 제작한 상태로 도로의 노면이 표시되는 부분에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척을 실시하는 노면 세척단계와,
상기 노면 세척단계에서 노면을 세척한 상태에서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도료의 색상과 종류를 선정하고, 도료가 도포되는 범위를 설정하여 선정된 색상과 종류의 도료를 설정된 도포 범위로 도포하는 도료 도포단계와,
상기 도료 도포단계에서 도료를 도포한 상태로 도포된 도료가 경화되기 전에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부여된 방향성에 부합하는 위치로 인식돌기가 형성되도록 성형틀을 가압시키는 성형틀 가압단계와,
상기 성형틀 가압단계에서 성형틀을 가압한 상태로 설정된 방향성에 따라 성형틀을 이송하면서 방향성이 있는 복수의 인식돌기가 구비된 표시부를 성형하는 표시부 성형단계와,
상기 표시부 성형단계에서 표시부를 성형한 상태로 도료가 경화되어 방향성이 있도록 돌출된 인식돌기가 형성된 표시부를 완성시키는 표시부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단계는 선정되는 도료에 야광안료를 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료 도포단계는 선정되는 도료에 미끄럼 방지제를 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은 도로에 노면으로 표시되는 도료를 분사한 상태로 경화되기 전에 복수로 돌출되는 인식돌기를 도로의 특성과 기능에 맞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성형틀로 가압시켜 이송하면서 성형 형성 함에 따라 돌출된 인식돌기로 인해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돌기로 미끄럼을 방지하며, 인식돌기의 방향성을 부여하여 표시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은 도로에 분사되어 차량의 방향과 횡단보도 및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시선으로 사용되는 표시부에 복수의 돌기 형상의 인식돌기를 형성하여 우천이나 강설 시나 야간에도 돌출된 인식돌기로 인해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은 도로에 표시되는 노면으로 설치된 표시구에 복수의 돌기형태의 인식돌기를 구비하여 아파트나 어린이 보호 구역과 같은 감속구간의 표시 시에 운전자가 부주의하게 운행하여도 인식돌기와 접촉되면서 구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은 도로의 노면에 돌출형성된 인식돌기가 주행하는 차량에 접촉하면서 미끄럼 방지효율을 증대시켜 미끄럼의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은 도로의 노면에 돌출 형성된 인식돌기를 횡단보도나 도로의 주행방향 또는 주행반대방향 등을 표시하도록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방향성을 부여하여 설치함에 따라 입체적으로 도로의 기능과 형태를 인지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은 도로의 노면에 돌출 형성된 인식돌기를 다양한 구간에 설치하여 여타로 설치되었던 장애인의 인지시설, 도로방향표지판, 표시병 등의 시설이 없이도 장애인이 돌출된 인식돌기를 인지하고, 운전자 도 인식돌기에 방향으로 도로의 다양한 방향 정보를 얻음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고, 도로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은 도로에 분사되어 인식돌기가 형성되는 도료에 야간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야광안료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제를 더 혼합하여 시인성과 미끄럼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은 도로의 노면(10)에 상부 측으로 돌기형상에 인식돌기(21)가 복수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내부에 홈을 구비한 성형틀을 제작시키는 성형틀 제작단계(S1)로 복수의 인식돌기(21)가 성형되도록 성형틀을 제작한다.
이렇게, 성형틀 제작단계(S1)에서 성형틀을 제작한 상태로 도로의 노면(10)이 표시되는 부분에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척을 실시하는 노면 세척단계(S2)로 노면에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세척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노면 세척단계(S2)에서 노면을 세척한 상태에서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도료의 색상과 종류를 선정하고, 도료가 도포되는 범위를 설정하여 선정된 색상과 종류의 도료를 설정된 도포 범위로 도포하는 도료 도포단계(S3)로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선정된 도료를 노면(10)으로 도포를 실시한다.
이때, 도료 도포단계(S3)는 선정되는 도료에 야광안료를 더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야간에 야광성분의 발광에 의해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료 도포단계(S3)는 선정되는 도료에 미끄럼 방지제를 더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식돌기(21)와 표시부(20)의 미끄럼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렇게, 도료 도포단계(S3)에서 도료를 도포한 상태로 도포된 도료가 경화되기 전에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부여된 방향성에 부합하는 위치로 인식돌기 (21)가 형성되도록 성형틀을 가압시키는 성형틀 가압단계(S4)로 성형틀을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적합하도록 부여된 방향성이 형성되는 위치로 성형틀을 가압시킨다.
이때, 인식돌기(21)가 형성되는 방향성은 성형틀의 가압으로 생성되는 인식돌기(21)의 방향에 따라 횡단보도의 시작점과 마지막점을 알려 장애인의 도로 인지효율을 증대하고, 도로의 진출입 방향이나, 진행방향을 알리는 방향으로 인식돌기 (21)의 방향을 설정하여 돌출된 인식돌기(21)가 장애인의 도로 감지수단 및 각종 표지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방향성을 부여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틀 가압단계(S4)에서 성형틀을 가압한 상태로 설정된 방향성에 따라 성형틀을 이송하면서 방향성이 있는 복수의 인식돌기(21)가 구비된 표시부(20)를 성형하는 표시부 성형단계(S5)로 인식돌기(21)를 방향성에 일치되도록 성형틀을 이송하면서 표시부(20)를 형성한다.
이렇게, 표시부 성형단계(S5)에서 표시부(20)를 성형한 상태로 도료가 경화되어 방향성이 있도록 돌출된 인식돌기(21)가 형성된 표시부(20)를 완성시키는 표시부 완성단계(S6)로 형성된 표시부(20)가 경화되어 노면(10)에 설치되면서 시공을 마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면 20 : 표시부
21 : 인식돌기

Claims (3)

  1. 도로의 노면에 상부 측으로 돌기형상에 인식돌기가 복수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내부에 홈을 구비한 성형틀을 제작시키는 성형틀 제작단계와,
    상기 성형틀 제작단계에서 성형틀을 제작한 상태로 도로의 노면이 표시되는 부분에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척을 실시하는 노면 세척단계와,
    상기 노면 세척단계에서 노면을 세척한 상태에서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도료의 색상과 종류를 선정하고, 도료가 도포되는 범위를 설정하여 선정된 색상과 종류의 도료를 설정된 도포 범위로 도포하는 도료 도포단계와,
    상기 도료 도포단계에서 도료를 도포한 상태로 도포된 도료가 경화되기 전에 도로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부여된 방향성에 부합하는 위치로 인식돌기가 형성되도록 성형틀을 가압시키는 성형틀 가압단계와,
    상기 성형틀 가압단계에서 성형틀을 가압한 상태로 설정된 방향성에 따라 성형틀을 이송하면서 방향성이 있는 복수의 인식돌기가 구비된 표시부를 성형하는 표시부 성형단계와,
    상기 표시부 성형단계에서 표시부를 성형한 상태로 도료가 경화되어 방향성이 있도록 돌출된 인식돌기가 형성된 표시부를 완성시키는 표시부 완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 도포단계는 선정되는 도료에 야광안료를 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 도포단계는 선정되는 도료에 미끄럼 방지제를 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20080024969A 2008-03-18 2008-03-18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KR10083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969A KR100839991B1 (ko) 2008-03-18 2008-03-18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969A KR100839991B1 (ko) 2008-03-18 2008-03-18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991B1 true KR100839991B1 (ko) 2008-06-19

Family

ID=3977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969A KR100839991B1 (ko) 2008-03-18 2008-03-18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9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546A (ko) * 1995-01-05 1996-08-17 박응균 경사로의 논 슬립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0126104B1 (ko) * 1994-06-24 1997-12-24 최영호 포장도로의 차선 도색방법
KR0180945B1 (ko) * 1994-08-03 1999-04-01 최영호 포장도로의 도로표지방법
KR100400820B1 (ko) 2000-10-25 2003-10-10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KR200399114Y1 (ko) 2005-08-01 2005-10-19 (주)신진테크 미끄럼방지 도로
KR100572731B1 (ko) 2003-11-24 2006-04-24 (주)하이콘건설 미끄럼 방지용 도로포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104B1 (ko) * 1994-06-24 1997-12-24 최영호 포장도로의 차선 도색방법
KR0180945B1 (ko) * 1994-08-03 1999-04-01 최영호 포장도로의 도로표지방법
KR960029546A (ko) * 1995-01-05 1996-08-17 박응균 경사로의 논 슬립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00820B1 (ko) 2000-10-25 2003-10-10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KR100572731B1 (ko) 2003-11-24 2006-04-24 (주)하이콘건설 미끄럼 방지용 도로포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99114Y1 (ko) 2005-08-01 2005-10-19 (주)신진테크 미끄럼방지 도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1530B2 (en) Directional surface marking safety and guidance devices and systems
CN106833203A (zh) 一种冷涂快干型彩色路面防滑涂料
KR101079727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그루빙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68040B1 (ko)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시트와 이의 시공방법
KR100839991B1 (ko) 도로 노면 표시 시공방법
US10697138B2 (en) Directional surface marking safety and guidance devices and systems
KR20030075838A (ko) 포장도로의 도장공법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US20150056012A1 (en) Three-Dimensional Preform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er
US20200378076A1 (en) Contrast Surface Marking Devices and Systems
CA2530751C (en) Retro-reflective system for increasing safety of a railroad crossing, and associated method
KR20060000066U (ko) 횡단 보도 구역의 보행자 안전용 녹색 미끄럼 방지포장
KR100949672B1 (ko)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20080003833U (ko) 차선 도포 구조 및 도포장치
JP3020579U (ja) 路面敷設ブロッ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横断歩道路面構成体
KR0126104B1 (ko) 포장도로의 차선 도색방법
KR101079724B1 (ko) 포장 노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그루브 시공방법
KR20190128938A (ko)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JPH07109709A (ja) 路面標示施工方法及び施工装置
KR200364200Y1 (ko) 차선의 구조
CN203270472U (zh) 公路及百米桩
KR20190010943A (ko) 도로의 미끄럼 방지구조
KR200414461Y1 (ko)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
KR200244687Y1 (ko) 미끄럼 방지용 안전경계블록
CN103233436A (zh) 公路、百米桩及百米桩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