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461Y1 -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 - Google Patents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461Y1
KR200414461Y1 KR2020060003804U KR20060003804U KR200414461Y1 KR 200414461 Y1 KR200414461 Y1 KR 200414461Y1 KR 2020060003804 U KR2020060003804 U KR 2020060003804U KR 20060003804 U KR20060003804 U KR 20060003804U KR 200414461 Y1 KR200414461 Y1 KR 200414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color
road
aggregate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욱
김태형
허동렬
이상택
Original Assignee
한승욱
김태형
허동렬
이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욱, 김태형, 허동렬, 이상택 filed Critical 한승욱
Priority to KR2020060003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4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6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a binder; Aggregate, fillers or other additives for application on or in the surface of toppings having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인리스 슬래그, 제강 슬래그의 입자크기는 1mm 내지 4.5㎜이고 80중량%으로, 그리트의 입자크기는 1mm내지 2.5mm이고 20중량%으로 믹서기에서 다양한 색상을 갖는 안료와 혼합하여 미끄럼방지용 골재를 생성하고, 상기 미끄럼방지용 골재를 노면 상에 도포 된 칼라 수지 접착제에 살포하되,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는 노면의 1m2 당 1.8 내지 2.4Kg/m2로 도포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는 상기 노면에 도포된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 표면에 1m2 당 8 내지 12Kg/m2 를 살포한 후 표면에 수지를 묻혀 굴린 다음 평활하게 쓸어서 롤러로 다진 후 경화시켜 칼라 미끄럼 방지층을 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를 제공할 수 있다.
노면, 칼라 수지 접착제, 미끄럼방지용 골재, 칼라 미끄럼 방지층,

Description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The non-slip road with various colo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에서 미끄럼방지 골재의 생성단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의 생성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 방지 도로
110: 노면 120: 칼라 미끄럼 방지층
122: 칼라 수지 접착제 124: 미끄럼방지 골재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 방지 도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색상의 접착제(칼라수지)를 노면(아스팔트도로 또는 콘크리트 도로)에 도포한 후 다양한 색상을 갖는 스테인리스 슬래그, 제강 슬래그 및 그리트를 혼합 하여 노면(아스팔트도로 또는 콘크리트 도로)에 가설하면, 운전자가 도로의 위험 구간(도로의 급커브 구간이나 도로가 경사져서 교통사고의 위험이 많은 장소나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최대한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의 흔들림, 마찰소음, 슬립(slip)현상 및 눈 또는 비가 왔을 때 노면 표면에 발생하는 수막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 방지 도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의 커브길, 지하주차장의 경사로, 고속도로의 경사지역을 비롯하여 지하철 건설공사중 개착구간에 임시로 설치되는 복공판 위, 교차로 주변 및 경사로에 마련된 신호등의 정차선은 노면이 매우 미끄럽고, 특히 비나 눈에 의한 결빙 또는 슬립(Slip)현상 때문에 더욱 미끄럽기 때문에 차량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미끄럼방지(Non Slip)공사를 노면 위에 가설하고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 공사는 도로상의 커브길 및 역 경사지역을 비롯하여 노면의 미끄럼 저항이 낮아진 곳, 도로의 평면 및 종단 선형이 불량한 곳, 지하철 건설공사중 복공판 설치지역 등의 포장면에 미끄럼저항성을 높여주어 자동차의 제동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차량충돌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인명을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미끄럼방지 공사에는 제철소에서의 제강공정 중에 생성되는 슬래그(Slag)나 실리카(Sio2) 또는 폐유리 등을 결합재에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노면 위에 부착시켜 가설하고 있다.
이들 기술과 관련된 출원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65629호나 제 454160호 공보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강 슬래그 나 동 슬래그를 이용하여 미끄럼방지 시설용 골재로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71675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골재를 포함한 미끄럼방지제를 용융시켜 액상으로 노면에 직접 시공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술한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공법은 제철공장에서 철을 뽑아내고 남은 제강 슬래그를 약 3∼5㎜정도 크기의 입자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골재를 결합제를 이용하여 미끄럼 방지층으로 적용하면, 상기 제강 슬래그는 마모량 이 높기 때문에 많은 차량이 통행하게 될 때, 상기 제강 슬러그의 면은 마찰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제강 슬래그의 입자크기가 만약 5㎜정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층의 두께가 거의 7㎜정도에 육박하므로 자동차의 운행시 차량의 진동으로 승차감은 저하되고, 차량에 실린 내용물(깨지기 쉬운 유리, 전자제품, 과일 및 계란)이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리카와 결합재를 적당 비율로 혼합하여 몰탈 형태로서 180∼210℃ 정도로 열융착시켜 칼라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작업속도가 매우 빠르고 접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골재의 강도가 제강 슬래그 보다 낮아 쉽게 파손되고, 미끄럼 방지층의 표면에 수지분이 형성되어 마찰력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눈이나 비로 인해 더욱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색상을 갖 는 수지를 첨가한 칼라 수지 접착제를 노면에 도포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접촉 압력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산화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슬래그와 제강 슬래그를 그리트와 적정비율로 혼합한 후, 믹서기에서 믹싱 하여 약 24시간 정도 건조하는 과정을 3 내지 5차례 반복하면, 응집력이 획기적으로 좋아짐으로 마모량이 감소하지 않고 마찰력이 좋아지고 강도가 더욱 강해진 미끄럼방지 골재가 생성되고,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를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 위에 살포한 후, 표면에 수지를 묻혀 굴린 다음 평활하게 쓸어서 롤러로 다진 후 경화시켜 가설하면, 주행중인 차량의 흔들림, 마찰소음, 슬립(slip)현상 및 눈 또는 비가 왔을 때의 도로(노면)에 발생하는 수막현상을 현저하게 줄여주고 먼지의 발생이 적어 환경 친화적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노면)의 위험 구간인 급커브 구간, 도로가 경사져서 교통사고의 위험이 많은 장소, 및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운전자는 도로(노면)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차량 감속을 유도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테인리스 슬래그, 제강 슬래그의 입자크기는 1mm 내지 4.5㎜이고 80중량%으로, 그리트의 입자크기는 1mm내지 2.5mm이고 20중량%으로 믹서기에서 다양한 색상을 갖는 안료와 혼합하여 미끄럼방지용 골재를 생성하고, 상기 미끄럼방지용 골재를 노면 상에 도포 된 칼라 수지 접착제에 살포하되,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는 노면의 1m2 당 1.8 내지 2.4Kg/m2로 도포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는 상기 노면에 도포된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 표면에 1m2 당 8 내지 12Kg/m2 를 살포한 후 표면에 수지를 묻혀 굴린 다음 평활하게 쓸어서 롤러로 다진 후 경화시켜 칼라 미끄럼 방지층을 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는, 에폭시계, 아크릴계 및 우레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는, 상기 스테인리스 슬래그, 제강 슬래그는 80중량%로 그리트는 20중량%으로 혼합하여, 믹서기에서 토너와 함께 믹싱 한 후, 약 24시간 정도 건조하는 과정을 적어도 3 내지 5차례 반복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에서 미끄럼 방지 골재의 생성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100)는 노면(110)과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은 칼라 수지 접착제(122) 및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포함한다.
상기 노면(110)은 일반적인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포 장도로를 말한다.
한편, 입자크기가 스테인리스 슬래그와 제강 슬래그는 1mm내지 4.5mm로 80중량%으로, 그리트는 20중량%으로 혼합하여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구성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노면(110) 표면에 도포 된 칼라 수지 접착제(122)에 살포하되,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는 노면의 1m2 당 1.8 내지 2.4Kg/m2로 도포 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는 상기 노면에 도포된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의 표면에 1m2 당 8 내지 12Kg/m2 를 살포한 후, 표면에 수지를 묻혀 굴린 다음 평활하게 쓸어서 롤러로 다진 후 경화시켜면 칼라 미끄럼 방지층이(120) 생성된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 슬래그 또는 재강 슬래그는 제강공정에서 금속이나 광석의 불순물을 처리하는 제련, 용접, 다른 금속가공과정 및 연소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서, 입자의 크기는 1mm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테인리스 슬래그, 제강 슬래그는 80중량%로 그리트는 20중량%으로 믹서기(미도시)에서 토너와 함께 믹싱(Mixing)하여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생성한다(단계S101).
그 다음, 혼합된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상온에서 약 24시간 정도 건조한다(단계S102).
그 다음,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다시 믹서기(미도시)에서 토너와 함께 믹싱 한다(단계S103).
그 다음, 혼합된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다시 상온에서 약 24시간 정 도 건조한다(단계S104).
그 다음,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다시 믹서기(미도시)에서 토너와 함께 믹싱 한다(단계S105).
그 다음, 혼합된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다시 상온에서 약 24시간 정도 건조한다(단계S106).
그 다음,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다시 믹서기(미도시)에서 믹싱 한다(단계S107).
그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3 내지 5차례 반복하면 응집력이 획기적으로 좋아지므로 마모량이 감소하지 않고 마찰력이 좋아지고 강도는 더욱 강해져 내마모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골재(124)가 생성 완료된다(단계S108).
즉,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는 믹서기(미도시)에서 토너와 함께 믹싱 한 후, 약 24시간 정도 건조하는 과정을 적어도 3 내지 5 차례 반복함으로 인해, 응집력이 획기적으로 좋아짐으로 마모량이 감소하지 않고 마찰력이 좋아지고 강도는 더욱 강해지게 된다.
또한, 만약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의 입자크기가 1㎜미만이면 마찰력이 떨어져 미끄럼 방지효과가 없고, 4.5㎜를 초과하게 되면 노면(110) 위에 도포 된 상기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주행하는 차량의 승차감을 떨어뜨리고, 차량의 타이어의 마모와 노면(110)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테인리스 슬래그, 재강 슬래그의 입자의 크기는 1mm 내지 4.5㎜ 정도이고, 그리트는 1mm 내지 2.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믹서기(미도시)에서 토너와 함께 믹싱하는 이유는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의 점도를 높여주고,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 방지 도로(100)의 색이 자외선에 의해 변질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 슬래그와 재강 슬래그의 입자의 크기를 2.5mm 내지 4.5mm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는 에폭시계, 아크릴계 및 우레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는 상기 노면(110) 위에 도포 하되,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는 토너를 섞어 각종 색상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에 각종 색상을 갖는 토너를 첨가하는 것은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노면(110)의 표면을 번갈아 다른 색상을 갖도록 가설하여 위험구간에서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여 과속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상술한 바와 같이 믹서기(미도시)에서 토너와 함께 믹싱할 때 다양한 색상을 갖는 수지를 첨가하여 믹싱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다양한 색상이 첨가된 상기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을 상기 노면(110) 표면에 가로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가설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들이 멀리에서부터 위험구간(도로의 급커브 구간이나 도로가 경사져서 교통사고의 위험이 많은 장소 및 어린이 보호구역)을 시각적으로 확 인할 수 있도록 상기 노면(110) 표면에 형성된 상기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에 시인성이 높은 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인성이 가장 높은 색은 검은색 바탕에 노랑색이며 반대로 시인성이 가장 낮은 색은 노랑색 바탕에 흰색이므로, 상기 노면(110) 표면에 가설되는 상기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에 다양한 경고 문구(Wording) 또는 경고 표시를 시인성을 잘 적용하여 넣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들이 멀리에서부터 위험구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감속을 유발시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미끄럼 방지도로에는 검정색, 갈색 및 적색의 색상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검정색, 갈색 및 적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의 생성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테인리스 슬래그, 제강 슬래그 및 그리트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미끄럼방지용 골재를 이용하여 노면에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을 가설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을 가설하고자 하는 노면(110)을 평탄화 작업을 한 후, 상기 노면(110)을 깨끗이 청소한다(단계S201).
그 다음, 상기 노면(110)의 바닥에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를 상기 노면(110)의 가로방향이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바른다(단계S202).
그 다음, 상기 스테인리스 슬래그, 제강 슬래그 및 그리트가 혼합된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 표면에 살포한다.
이때,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는 예를 들어 상기 노면(110)의 면적이 1m2 이면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는 1.8 내지 2.4Kg/m2로 도포 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는 상기 노면의 면적이 1m2이면 8 내지 12Kg/m2 를 살포한다(단계S203).
그 다음, 미끄럼방지용 골재를 수지에 묻혀 굴린 후 표면이 평활하도록 한다(단계S204).
그 다음, 롤러로 다져진 후 상온에서 경화시키면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이 생성된다(단계S205).
그 다음, 생성된 상기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에 일부 접착되지 않은 불순물들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은 상기 노면(110) 표면에 가설이 완료되는 것이다(단계S206).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골재(124)를 살포한 후, 표면에 수지를 묻혀 굴린 다음 평활하게 쓸어서 롤러로 다질 때,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124)는 롤러로 다지지 아니하여도 경화되는 정도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100)를 가설할 때는 롤러로 다져서 경화시켜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을 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는바,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노면(110)에 칼라 수지 접착제(122)를 1m2 당 1.8 내지 2.4Kg/m2를 도포하고, 입자크기가 2.5mm 내지 4.5㎜인 스테인리스 슬래그와 제강 슬래그는 80중량%으로, 입자크기가 1mm 내지 2.5mm인 그리트는 20중량%으로 혼합된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에 살포하되,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 표면에 1m2 당 8 내지 12Kg/m2 를 살포한 후, 표면에 수지를 묻혀 굴린 다음 평활하게 쓸어서 롤러로 다진 후, 경화시켜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을 가설하였다.
[실시예2]
노면(110)에 칼라 수지 접착제(122)를 1m2 당 1.8 내지 2.4Kg/m2를 도포하고, 입자크기가 1mm 내지 2.5㎜인 스테인리스 슬래그와 제강 슬래그는 80중량%으로, 입자크기가 1mm 내지 2.5mm인 그리트는 20중량%으로 혼합된 미끄럼방지 골재(124)를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에 살포하되,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122) 표면에 1m2 당 8 내지 12Kg/m2 를 살포한 후, 표면에 수지를 묻혀 굴린 다음 평활하게 쓸어서 롤러로 다진 후, 경화시켜 칼라 미끄럼 방지층(120)을 가설하였다.
상기 [실시예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과로부터 본 고안자들은 상기 칼라 미끄럼 방지층이 가설된 노면에 다양한 차량을 이용하여, 내구성을 측정한 결과, 상기 칼라 미끄럼 방지층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접촉 압력에 대 한 저항성이 크며 산화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눈 또는 비가 올 때도 차량이 미끌어지는 슬립(Slip)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될 뿐만 아니라 수막현상도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과로 부터 본 고안자들은 상기 [실시예1]와 동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색상을 갖는 수지를 첨가한 칼라 수지 접착제를 노면에 도포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접촉 압력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산화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슬래그와 제강 슬래그를 그리트와 적정비율로 혼합한 후, 믹서기에서 믹싱 하여 약 24시간 정도 건조하는 과정을 3 내지 5차례 반복하면, 응집력이 획기적으로 좋아짐으로 마모량이 감소하지 않고 마찰력이 좋아지고 강도가 더욱 강해진 미끄럼방지 골재가 생성되고,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를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 위에 살포한 후, 표면에 수지를 묻혀 굴린 다음 평활하게 쓸어서 롤러로 다진 후 경화시켜 가설하면, 주행중인 차량의 흔들림, 마찰소음, 슬립(slip)현상 및 눈 또는 비가 왔을 때의 도로(노면)에 발생하는 수막현상을 현저하게 줄여주고 먼지의 발생이 적어 환경 친화적인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 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도로(노면)의 위험 구간인 급커브 구간, 도로가 경사져서 교통사고의 위험이 많은 장소 및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운전자는 도로(노면)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차량 감속을 유도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스테인리스 슬래그, 제강 슬래그의 입자크기는 1mm 내지 4.5㎜이고 80중량%으로, 그리트의 입자크기는 1mm 내지 2.5mm이고 20중량%으로 믹서기에서 다양한 색상을 갖는 안료와 혼합하여 미끄럼방지용 골재를 생성하고, 상기 미끄럼방지용 골재를 노면 상에 도포 된 칼라 수지 접착제에 살포하되,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는 노면의 1m2 당 1.8 내지 2.4Kg/m2로 도포하고,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는 상기 노면에 도포된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 표면에 1m2 당 8 내지 12Kg/m2 를 살포한 후, 표면에 수지를 묻혀 굴린 다음 평활하게 쓸어서 롤러로 다진 후 경화시켜 칼라 미끄럼 방지층을 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수지 접착제는,
    에폭시계, 아크릴계 및 우레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지 도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 골재는,
    상기 스테인리스 슬래그, 제강 슬래그는 80중량%로 그리트는 20중량%으로 혼합하여, 믹서기에서 토너와 함께 믹싱 한 후, 약 24시간 정도 건조하는 과정을 적어도 3 내지 5차례 반복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의 미끄럼방 지 도로.
KR2020060003804U 2006-02-10 2006-02-10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 KR200414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04U KR200414461Y1 (ko) 2006-02-10 2006-02-10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04U KR200414461Y1 (ko) 2006-02-10 2006-02-10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017 Division 2006-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461Y1 true KR200414461Y1 (ko) 2006-04-20

Family

ID=4929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804U KR200414461Y1 (ko) 2006-02-10 2006-02-10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4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33203A (zh) 一种冷涂快干型彩色路面防滑涂料
CN101298375A (zh) 高弹性彩色抗滑磨耗层
KR100622608B1 (ko) 포장도로의 미끄럼방지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536955B1 (ko) 도로상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재
KR101079727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그루빙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10074609A (ko) 조도를 이용한 기능성 도로용 미끄럼방지 도료 및 그제조방법
KR101154450B1 (ko) 미끄럼 저항이 증대된 미끄럼 방지 포장재 및 미끄럼 방지 도포방법
KR100725759B1 (ko) 미끄럼 방지용 저감재 조성물
KR100721509B1 (ko) 소성 폐점토벽돌을 이용한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시공방법
CN102787543A (zh) 路面耐久性彩色树脂抗滑薄层
KR200399107Y1 (ko) 도로상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재가 도포된과속방지턱
KR200414461Y1 (ko) 다양한 색상을 갖는 미끄럼방지 도로
KR200414451Y1 (ko) 노면 미끄럼방지층 구조
KR101182672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1241795B1 (ko) 미끄럼 방지 바닥재의 시공 방법
KR102450179B1 (ko) 친환경 아크릴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성과 미끄럼 저항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KR100550388B1 (ko) 도로포장용 미끄럼방지 조성물 및 이로 도포된 미끄럼방지도로
KR20030075838A (ko) 포장도로의 도장공법
CN204594562U (zh) 一种汽车衡秤台面板防腐及防滑装置
KR101002804B1 (ko) 미끄럼방지 포장방법
KR101041111B1 (ko) 미끄럼 방지 도로 시공방법
KR200399114Y1 (ko) 미끄럼방지 도로
KR100193336B1 (ko) 도로 표지선의 난-슬립 시공 방법
KR100700206B1 (ko) 도로의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907

Effective date: 20080422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