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363B1 - 포설기 - Google Patents

포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363B1
KR100890363B1 KR1020080134240A KR20080134240A KR100890363B1 KR 100890363 B1 KR100890363 B1 KR 100890363B1 KR 1020080134240 A KR1020080134240 A KR 1020080134240A KR 20080134240 A KR20080134240 A KR 20080134240A KR 100890363 B1 KR100890363 B1 KR 10089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ing
hopper
prime mover
steering shaf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삼
Original Assignee
김운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삼 filed Critical 김운삼
Priority to KR102008013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01C19/201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with driven loosening, discharging or spreading parts, e.g. power-driven, drive derived from road-wheels
    • E01C19/202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with driven loosening, discharging or spreading parts, e.g. power-driven, drive derived from road-wheels solely rotating, e.g. discharging and spreading drums
    • E01C19/2025Thrower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e.g. drums or brushes rotated to fling the material at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설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설기의 이동이 일정한 속도로 미끄러짐 없이 이동되어 미끄럼방지 조성물 또는 모래와 같은 포설자재의 포설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포설기에 있어서, 원동기와 구동휠을 구비하고 상기 원동기와 구동휠이 조향축부를 통하여 조향전동결속수단에 의하여 전동결속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동기와 구동휠이 조향전동결속수단을 통하여 전동결속되게 구성함으로써 포설자재의 포설에 있어서 포설기가 균일한 속도로 이동됨으로써 그 포설두께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포설기

Description

포설기{A screed sledge}
본 발명은 포설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설기에 있어서, 원동기와 구동휠을 구비하고 상기 원동기와 구동휠이 조향축부를 통하여 조향전동결속수단에 의하여 전동 결속되게 구성하여서 포설기의 이동이 일정한 속도로 미끄러짐 없이 이동되어 미끄럼방지 조성물 또는 모래와 같은 포설자재의 포설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설기는 바닥 미끄럼방지 시공을 위한 미끄럼방지 조성물 또는 보도블럭 시공을 위한 모래 등과 같은 포설자재를 포설면에 균일한 두께로 포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포설기는 미끄럼방지 조성물 또는 모래 등과 같은 포설자재를 담아 일정 두께로 포설할 수 있게 한 포설호퍼와, 상기 포설호퍼를 견인할 수 있게 한 견인손잡이와, 상기 포설호퍼가 구름 이동할 수 있게 양측으로 구비된 호퍼휠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설기는 포설호퍼에 포설자재를 채우고 견인손잡이를 잡아 끌게되면 포설호퍼에 채워진 포설자재가 포설면에 일정 두께로 포설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설기는 작업자에 의한 견인작업에 의하여 이동되어서 미끄럼방지 조성물 또는 모래 등과 같은 포설자재의 포설이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어 포설되는 포설자재의 포설두께가 작업자의 견인속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그 포설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미끄럼방지시공시 시공 바닥에 접착제 종류의 하도를 도포한 후 포설작업을 하게 되는데 끈적거리고 미끄러운 하도로 인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져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설호퍼에 채워진 포설자재가 벽체와의 마찰로 인하여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설기가 수작업에 의하여 견인되어 포설자재의 포설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점과, 작업과정에 있어 접착제 성분의 하도로 인하여 작업자가 안전사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본 발명은 포설기에 있어서, 원동기와 구동휠을 구비하고 상기 원동기와 구동휠이 조향축부를 통하여 조향전동결속수단에 의하여 전동결속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동기와 구동휠이 조향전동결속수단을 통하여 전동결속되게 구성함으로써 포설자재의 포설에 있어서 포설기가 균일한 속도로 이동됨으로써 그 포설두께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조성물 또는 모래 등과 같은 포설자재의 포설에 있어서 균일한 속도로 안전하게 이동하며 일정한 두께로 포설자재를 포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설기에 있어서, 직사각 통형상으로 하부가 개구된 호퍼부를 가지며 호퍼부의 하부 양측에 호퍼휠(110)를 구비한 포설호퍼(100)와, 상기 포설호퍼(100)를 구속하는 포설기 몸체(210)와, 상기 포설기 몸체(210)의 전방측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관체로 이루어진 조향축부(220)와, 상기 조향축부(220)의 하부에 양측으로 구비된 구동휠(510)과, 상기 조향축부(220)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견인손잡이(230)와, 상기 조향축부(220)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작동과정의 진동에 의하여 포설호퍼(100)에 채워진 포설자재의 배출을 유도하는 원동기(400)와, 상기 조향축부(220)를 통하여 원동기(400)와 구동휠(510)을 전동결속시키는 조향전동결속수단 및 견인손잡이(230)에 설치되어 원동기(4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가속레버(42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연기관은 조향축부(220)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포설호퍼(100) 측으로 돌출 형성된 원동기지지판(221)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 회전수 이상에서 회전력이 인출되게 하는 원심클러치를 통하여 결속된 구동풀리(410)로 회전력이 인출되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설호퍼(1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설기 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게 구성하고, 호퍼부가 하부로 갈수록 전 후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배출 방향 측의 벽체 하부에 포설자재(1)가 걸림 없이 부드럽게 배출 포설되게 곡면 형성된 포설립(121)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휠(110)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공형의 높이조절공(122)에 결속되게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조향전동결속수단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부(220)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구비되어서 원동기(400)의 구동풀리(410)와 전동 결속되어는 종동풀리(610)와, 상기 종동풀리(610)와 수직기어치합수단에 의하여 기어치합되어 조향축부(220)를 통하여 하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축(620)과, 상기 연결축(620)의 하부에서 수직기어치합수단에 의하여 기어치합되어 측방항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양단에 구동휠(510)은 결속되는 구동축(630)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구동휠(510)은 하도가 도장된 포설면과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돌기(511)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스프라켓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직기어치합수단은 워엄기와 베벨기어 중 어는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하여 포설기를 견인할 수 있게 작업자에 의하여 선택 전개되며 견인손잡이(230)의 하부측에 전개수단에 의하여 결속된 견인휠(71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개수단은 견인손잡이(2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개시 포설호퍼(100)측으로 경사지게 전개되어 구동휠(510)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견인암(720)과, 상기 견인암(720)을 회전 전개할 수 있게 돌출형성된 전개손잡이(730)와 상기 견인휠(710)의 절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전개손잡이(730)를 물어 구속하는 구속클립(740)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설기에 있어서; 직사각 통형상으로 하부가 개구되며 하부 양측에 호퍼휠(110)를 구비한 포설호퍼(100)와, 상기 포설호퍼(100)를 구속하는 포설기 몸체(210)와, 상기 포설기 몸체(210)의 전방측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관체로 이루어진 조향축부(220)와, 상기 조향축부(220)의 하부에 양측으로 구비된 구동휠(510)과, 상기 조향축부(220)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견인손잡이(230)와, 상기 조향축부(220)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작동과정의 진동에 의하여 포설호퍼(100)에 채워진 포설자재의 배출을 유도하는 내연기관의 원동기(400)와, 상기 조향축부(220)를 통하여 원동기(400)와 구동휠을 전동결속시키는 조향전동결속수단 및 견인손잡이(230)에 설치되어 원동기(4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가속레버(42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포설자재를 포설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설호퍼(100)에 포설자재(1)를 채우고 원동기(400)의 시동을 건다.
그리고, 견인손잡이(230)에 구비된 가속레버(420)를 조작하게 되면, 원동기(400)의 회전수가 증가하여 원심클러치가 동작하여 구동풀리(410)를 통하여 회전력이 출력되게 되고, 출력된 회전력은 구동풀리(410)와 종동풀리(610) 및 조향축부(220)를 관통하여 설치된 연결축(620) 및 구동축(630)을 통하여 구동휠(510)에 전달되어서 본 발명에 따른 포설기가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포설기의 구동휠(510)의 견인에 의한 이동과정에 있어서 원동기(400)의 왕복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하여 포설호퍼(100)로 진동이 전달되어 포설자재(1)의 배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포설기가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어 그 포설 두께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포설작업이 완료되어 포설기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개손잡이(730)를 이용하여 견인휠(710)을 전개시킴으로써 구동휠(510)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게 들려지고 견인휠(710)이 지면과 접하여 작업자가 견인손잡이(230)를 잡아 당김으로써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동기와 구동휠이 조향전동결속수단을 통하여 전동결속되게 구성함으로써 포설자재의 포설에 있어서 포설기가 균일한 속도로 이동됨으로 써 그 포설두께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원동기를 적용하여 실시함으로써 그 작동과정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포설호퍼에 채워진 포설자재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구동휠이 미끄럼방지돌기를 구비함으로써 끈적거리고 미끄러운 하도가 도포된 시공바닥에서 미끄럼 없이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전개수단에 의하여 결합된 견인휠을 구비함으로써 포설작업을 실시하지 않을 경우 견인휠을 전개하여 원활하게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설호퍼의 상세 측 단면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전동결속수단의 상세 측 단면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인 견인휠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설자재
100 : 포설호퍼
110 : 호퍼휠
121 : 포설립 122 : 높이조절공
210 : 포설기 몸체
220 : 조향축부 221 : 원동기지지판
230 : 견인손잡이
삭제
400 : 원동기 410 : 구동풀리 420 : 가속레버
510 : 구동휠 511 : 미끄럼방지돌기
610 : 종동풀리 620 : 연결축 630 : 구동축
710 : 견인휠 720 : 견인암 730 : 전개손잡이
740 : 구속클립

Claims (5)

  1. 포설기에 있어서;
    직사각 통형상으로 하부가 개구된 호퍼부를 가지며 호퍼부의 하부 양측에 호퍼휠(110)를 구비한 포설호퍼(100)와, 상기 포설호퍼(100)를 구속하는 포설기 몸체(210)와, 상기 포설기 몸체(210)의 전방측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관체로 이루어진 조향축부(220)와, 상기 조향축부(220)의 하부에 양측으로 구비된 구동휠(510)과, 상기 조향축부(220)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견인손잡이(230)와, 상기 조향축부(220)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작동과정의 진동에 의하여 포설호퍼(100)에 채워진 포설자재의 배출을 유도하는 원동기(400)와, 상기 조향축부(220)를 통하여 원동기(400)와 구동휠(510)을 전동결속시키는 조향전동결속수단 및 견인손잡이(230)에 설치되어 원동기(4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가속레버(42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400)는 조향축부(220)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포설호퍼(100) 측으로 돌출형성된 원동기지지판(221)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 회전수 이상에서 회전력이 인출되는 원심클러치를 통하여 결속된 구동풀리(410)로 회전력이 인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포설호퍼(100)는 포설기 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게 구성하고, 호퍼부가 하부로 갈수록 전 후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배출 방향 측의 벽체 하부에 포설자재 걸림 없이 부드럽게 배출 포설되게 곡면 형성된 포설립(121)를 구비하고, 상기 호퍼휠(110)은 높이 조절가능하게 장공형의 높이조절공(122)에 결속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전동결속수단은 조향축부(220)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구비되어서 원동기(400)의 구동풀리(410)와 전동 결속되어는 종동풀리(610)와, 상기 종동풀리(610)와 수직기어치합수단에 의하여 기어치합되어 조향축부(220)를 통하여 하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축(620)과, 상기 연결축(620)의 하부에서 수직기어치합수단에 의하여 기어치합되어 측방항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양단에 구동휠(510)은 결속되는 구동축(6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510)은 하도가 도장된 포설면과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돌기(511)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기어치합수단은 워엄기와 베벨기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하여 포설기를 견인할 수 있게 작업자에 의하여 선택 전개되며 견인손잡이(230)의 하부측에 전개수단에 의하여 결속된 견인휠(710)을 구비하되,
    상기 전개수단은 견인손잡이(2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개시 포설호퍼(100)측으로 경사지게 전개되어 구동휠(510)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는 견인암(720)과, 상기 견인암(720)을 회전 전개할 수 있게 돌출형성된 전개손잡이(730)와 상기 견인휠(710)의 절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전개손잡이(730)를 물어 구속하는 구속클립(7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기.
KR1020080134240A 2008-12-26 2008-12-26 포설기 KR10089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240A KR100890363B1 (ko) 2008-12-26 2008-12-26 포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240A KR100890363B1 (ko) 2008-12-26 2008-12-26 포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363B1 true KR100890363B1 (ko) 2009-03-25

Family

ID=4069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240A KR100890363B1 (ko) 2008-12-26 2008-12-26 포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34B1 (ko) * 2020-03-06 2020-10-14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938A1 (en) 2000-08-17 2002-02-21 The Concrete Edge Company Curb form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s
KR100441467B1 (ko) 2000-11-27 2004-08-02 이화성업주식회사 도로의 미끄럼방지 시설용 혼합재 도포기 및 이를 이용한미끄럼방지 시설물의 시공 방법
JP2005315054A (ja) 2004-03-30 2005-11-10 Sekisui Jushi Co Ltd 溶融式滑り止め舗装の施工装置及び方法
KR200418609Y1 (ko) 2006-04-01 2006-06-12 김동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938A1 (en) 2000-08-17 2002-02-21 The Concrete Edge Company Curb form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s
KR100441467B1 (ko) 2000-11-27 2004-08-02 이화성업주식회사 도로의 미끄럼방지 시설용 혼합재 도포기 및 이를 이용한미끄럼방지 시설물의 시공 방법
JP2005315054A (ja) 2004-03-30 2005-11-10 Sekisui Jushi Co Ltd 溶融式滑り止め舗装の施工装置及び方法
KR200418609Y1 (ko) 2006-04-01 2006-06-12 김동규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34B1 (ko) * 2020-03-06 2020-10-14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8460B1 (en) Self-propelled pavement material placing machine and methods for backfilling micro-trenches
US6200065B1 (en) Lightweight, portable vibratory screed
US7316520B2 (en) Low surface area shearing device
JP4054031B2 (ja) 複数の舗装材料層を同時に打設するための路面舗装機および舗装方法
WO2009079709A1 (en) Slip form paver
US7654017B2 (en) Trenching attachment hav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070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trenches in paved surfaces
KR100890363B1 (ko) 포설기
JP2017089325A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
KR100784031B1 (ko) 미끄럼방지용 다짐롤러 장치
CA2868740C (en) Vibratory pothole packer
US7901157B2 (en) Vibratory plate compactor with aggregate feed system
CN205443879U (zh) 轮式滑模路沿石摊铺机
US4878778A (en) Concrete path paver
CA3207370A1 (en) Skid-steers and mobile mixing skid-steers attachments with scoop and related methods for facilitating processing and installing of asphalt
JP4834495B2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
US8734050B1 (en) Infiltration trench filler system and method
US3316821A (en) Bituminous paving apparatus
CN205443878U (zh) 用于滑模路沿石摊铺机的滑模翻转及整平装置
KR100738015B1 (ko) 노견 골재 포설장치
RU52603U1 (ru) Асфальтоукладчик
JPH0344803Y2 (ko)
CN112653022A (zh) 一种用于对电缆的自动铺设设备
KR960016760B1 (ko) 준설기
KR200356942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